KR20120138044A -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044A
KR20120138044A KR1020110057310A KR20110057310A KR20120138044A KR 20120138044 A KR20120138044 A KR 20120138044A KR 1020110057310 A KR1020110057310 A KR 1020110057310A KR 20110057310 A KR20110057310 A KR 20110057310A KR 20120138044 A KR20120138044 A KR 20120138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upply
space
suppor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770B1 (ko
Inventor
전남필
박중덕
Original Assignee
전남필
박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필, 박중덕 filed Critical 전남필
Priority to KR102011005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77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체 연료가 사용되는 보일러의 연소 장치 내부에 재를 배출하는 재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장치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냉각 공간을 가지도록 중공 축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소 장치의 외부로 재가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류부, 상기 스크류부의 개방된 타측에서 상기 냉각 공간의 안쪽으로 삽입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공급 공간을 가지도록 중공 축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공급 공간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공급공이 형성된 냉각 공급부, 일측 끝이 상기 스크류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부의 타측에 체결되고, 안쪽으로 상기 냉각 공급부가 삽입 체결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냉각 회전부, 상기 냉각 회전부의 바깥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냉각 회전부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냉각 지지부, 그리고 상기 냉각 회전부의 타측에 체결되며, 상기 냉각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ash discharge apparatus for solid fuel boiler}
본 발명은 고체 연료 보일러용 연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boiler)는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물에 전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화력발전용?선박 등의 동력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증기터빈에 고온고압의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나 각종 공장의 작업용으로, 또는 일반의 난방용 등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일러의 주요부는 물과 증기를 담는 강철제용기(보일러 본체)와 연료의 연소장치 및 화로로 되어 있다.
상술된 보일러에서 연소되는 연료로는 화석 연료인 석탄, 액체인 석유, 그리고 기체인 도시 가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탄 및 석유는 그 매장량이 제한되어 있어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끝내는 그 자원이 고갈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시 가스에 경우에는 기체임에 따라 이송 및 보관이 어렵고, 각 가정이나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관 등의 시설물이 필요함에 따라 많은 비용이 필요하며, 폭발 등의 위험이 항상 상존한다.
이에, 왕겨, 통밥, 잡목, 그리고 목재 칩 등의 값이 싸고 탈 수 있는 고체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가 개발되고 있다. 고체 연료는 열량이 석탄, 석유 등과 비교하여 떨어지고, 연소가 어려워 연소에 따른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목재를 압축하여 발열량이 높은 우드 팰릿(wood pellet)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드 팰릿은 폐목재 등을 톱밥 형태로 분쇄한 후에 압축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 나무보다 발열량이 높고 연소율도 95%에 달해 잔해를 거의 남기지 않는다. 탄소 배출량도 일반 경유의 12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이, 고체 연료도 발열량을 높이면서 재(슬러지)의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일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고체 연료는 연소 시에 재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나, 필연적으로 재가 발생됨에 따라 보일러의 내부에는 재를 배출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런, 종래 기술의 재 배출 장치는 보일러에 고체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는 연소 장치의 안쪽으로 스크류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된 스크류는 고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연소되는 공간의 안쪽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재 배출 장치는 연소 장치의 안쪽으로 고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연소되는 고열이 그대로 스크류에 전달되도록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연소되는 고열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가 쉽게 열변형이 발생됨에 따라 재의 배출 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따른 교체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유지 보수에 사용되는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재 배출 장치는 연소 장치의 안쪽에서 고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이 스크류에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파손이 발생되면 재의 배출이 중단된 상태에서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역류와 불완전 연소가 발생됨에 따라 교체를 위해서 연소 장치를 중단한 상태로 작업자가 교체 작업이 가능한 온도로 온도가 저하되는 시간을 기다린 후에 파손된 스크류를 제거하고, 재설치가 진행됨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온도 저하에 따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연소 장치에서 발생되는 재를 제거하는 스크류의 안쪽으로 수냉식으로 냉각하는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 스크류의 열변형을 최소화 하여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재 배출 효율이 향상되는 고체 연료용 재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내용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는 고체 연료가 사용되는 보일러의 연소 장치 내부에 재를 배출하는 재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장치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냉각 공간을 가지도록 중공 축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소 장치의 외부로 재가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류부, 상기 스크류부의 개방된 타측에서 상기 냉각 공간의 안쪽으로 삽입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공급 공간을 가지도록 중공 축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공급 공간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공급공이 형성된 냉각 공급부, 일측 끝이 상기 스크류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부의 타측에 체결되고, 안쪽으로 상기 냉각 공급부가 삽입 체결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냉각 회전부, 상기 냉각 회전부의 바깥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냉각 회전부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냉각 지지부, 그리고 상기 냉각 회전부의 타측에 체결되며, 상기 냉각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 지지부에서 상기 냉각 회전부로 공급되어 상기 공급공을 통해서 상기 공급 공간의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스크류부의 안쪽인 상기 냉각 공간으로 공급되고, 상기 냉각 공간에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류부를 냉각한 후에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냉각 지지부를 통해서 배출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연소 장치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재가 배출되도록 나선 형태로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는 스크류 날, 및 상기 스크류 날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 끝에 상기 냉각 회전부와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 체결부를 가지고, 안쪽에 상기 냉각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 날을 회전시킬 수 있는 스크류 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축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류 날을 회전시켜 나선형을 따라서 재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냉각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냉각 공급부를 통해서 상기 냉각 공간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 냉각되고, 냉각 후에는 상기 냉각 공급부와 상기 냉각 회전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 회전부는, 일측 끝에 상기 스크류부의 상기 스크류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회전 체결부, 및 타측 끝에 상기 구동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작동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 회전부는 상기 스크류부와 상기 회전 체결부로 체결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작동 체결부로 체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냉각 회전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부와 체결된 상기 냉각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 끝에 상기 냉각 회전부의 상기 작동 체결부와 체결되는 구동 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 체결부로 체결된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냉각 공급부의 타측으로 상기 공기 공급공의 일측 위치에는 상기 냉각 회전부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는 공급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냉각 회전부의 안쪽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 공급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냉각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냉각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냉각 공급부보다 크기가 큰 삽입 배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 회전부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 배출 공간의 안쪽 면의 타측으로 상기 지지 공간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삽입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냉각 회전부의 안쪽의 타측에는 일측이 상기 삽입 배출 공간에 연통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상기 냉각 회전부의 타측 끝이 삽입된 상태로 안쪽 면에 상기 공급 체결부로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삽입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 공급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 회전부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 공급 공간의 안쪽 면에서 상기 공급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 공간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삽입 공급공이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지지 공간을 통해서 상기 삽입 공급공간을 거쳐서 상기 공급공으로 공급되어 상기 공급 공간을 통해서 상기 스크류부로 공급되고, 상기 스크류부에서 냉각한 후에 상기 냉각 공간과 연통된 상기 삽입 배출 공간을 거쳐서 상기 삽입 배출공을 통해서 상기 냉각 회전부의 상기 지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지지부는, 상기 스크류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냉각 회전부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공간의 일측으로 상기 삽입 배출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있는 지지 배출공을 가지며, 상기 지지 공간의 타측으로 상기 삽입 공급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있는 지지 공급공을 가지는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 회전부가 회전되도록 안쪽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 회전부가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베어링, 상기 지지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배출공에 삽입되어 외부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 그리고 상기 지지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공급공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지지 몸체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기 냉각 회전부를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베어링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냉각수는 상기 지지 공급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공급관을 통해서 상기 삽입 공급공을 거쳐서 상기 냉각 회전부에 공급되고, 배출 시에 상기 삽입 배출공을 통해서 상기 지지 배출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배출관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배출공의 양측으로 상기 지지 공간의 안쪽 면에 각각 위치하여 삽입된 상기 냉각 회전부의 바깥 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배출 차단링, 및 상기 지지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공급공의 양측으로 상기 지지 공간의 안쪽 면에 각각 위치하여 삽입된 상기 냉각 회전부의 바깥 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공급 차단링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차단링은 삽입되는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지지 공간 사이에서 상기 삽입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밀폐시킬 수 있고, 상기 공급 차단링은 삽입되는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지지 공간 사이에서 상기 공급관을 통해서 상기 삽입 공급공으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하는 연소 장치의 안쪽에 설치되어 고체 연료의 연소 시에 발생되는 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 형태의 재 배출 장치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수냉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냉각을 실시하면서 외부로 재를 배출시킴으로써,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재 배출 장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변형에 의한 재 배출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고, 열변형에 의한 교체 주기가 길어져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재를 배출시키는 스크류의 안쪽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연소열이 지속적으로 스크류에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고온의 연소열을 견딜 수 있으로써, 높은 열이 발생되는 연소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어 범용성이 확대되고, 교체에 따른 작업 손실이 최소화 함에 따라 연소 효율도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가 연소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의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분해 정면도.
도 4는 도 1의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결합 정면도.
도 5는 도 1의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가 연소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결합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100)는 고체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는 연소 장치(10)의 일측에서 안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작동에 의해 연소 시에 발생되는 재를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런, 재 배출 장치(100)는 회전에 의해 재를 배출하는 스크류부(110), 냉각 공급부(120), 냉각 회전부(130), 그리고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스크류부(110)는 연소 장치(10)의 안쪽에서 회전에 의해 재를 배출하는 스크류 날(111), 및 스크류 축(112)을 포함한다.
스크류 날(111)은 연소 장치(10)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재가 배출되도록 나선 형태로 스크류 축(112)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다.
스크류 축(112)은 스크류 날(111)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냉각 공간(113)을 가지도록 중공 축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스크류 축(112)은 구동부(150)의 작동으로 회전되도록 타측 끝에 냉각 회전부(130)와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 체결부(114)를 가지고, 안쪽에 냉각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축 형태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 날(11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류 축(112)은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크류 날(111)을 회전시켜 나선형을 따라서 재가 외부로 배출되고, 냉각 회전부(130)과 함께 회전되면서 냉각 회전부(130)와 냉각 공급부(120)를 통해서 냉각 공간(113)으로 냉각수가 공급되어 냉각되고, 냉각 후에는 다시 냉각 공급부(120)와 냉각 회전부(130)로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냉각 공급부(120)는 스크류 축(112)의 타측에서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냉각 공간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안쪽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공급 공간(121)을 가지고, 타측으로 공급 공간(121)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공급공(122)을 가지는 축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냉각 공급부(120)의 타측 끝에는 공기 공급공(122)의 일측 위치로 냉각 회전부(130)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는 공급 체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 공급부(120)는 냉각 회전부(130)에 공급 체결부(123)로 체결된 상태에서 스크류 축(112)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공급공(122)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공급 공간(121)을 통과하여 개방된 일측으로 연통된 냉각 공간(113)으로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냉각 회전부(130)는 스크류 축(112)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 끝이 스크류 축(112)과 함께 회전되도록 체결되어 있고, 안쪽으로 냉각 공급부(120)가 삽입 체결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냉각수가 공급과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 회전부(130)의 안쪽의 일측에는 냉각 공급부(120)가 삽입되면서 냉각 공급부(120)에서 공급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냉각 공간(113)과 연통되어 냉각 공급부(120) 보다 크기가 큰 삽입 배출 공간(13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배출 공간(131)의 안쪽 면의 타측으로 냉각 지지부(140)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삽입 배출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 회전부(130)의 안쪽의 타측에는 일측이 삽입 배출 공간(131)에 연통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냉각 회전부(130)의 타측 끝이 삽입된 상태로 안쪽 면에 공급 체결부(123)로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삽입 체결부(135)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 공급 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공급 공간(121)의 안쪽 면에서 공급공(122)과 연통되는 위치에 냉각 지지부(140)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삽입 공급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냉각수는 냉각 회전부(130)와 냉각 지지부(140)를 통해서 삽입 공급 공간(121)을 거쳐서 공급공(122)으로 공급되어 공급 공간(121)을 통해서 스크류부(110)로 공급되고, 스크류부(110)에서 냉각한 후에 냉각 공간(113)과 연통된 삽입 배출 공간(131)을 거쳐서 삽입 배출공(132)을 통해서 냉각 회전부(130)의 냉각 지지부(140)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냉각 회전부(130)의 일측 끝에는 스크류부(110)의 스크류 체결부(114)와 체결되도록 회전 체결부(136)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 회전부(130)의 타측 끝에는 구동부(150)와 체결되도록 작동 체결부(137)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냉각 회전부(130)는 스크류부(110)와 회전 체결부(136)로 체결되고, 구동부(150)와 작동 체결부(137)로 체결되어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냉각 지지부(140)는 냉각 회전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지지 몸체(141), 베어링(143), 배출관(145), 배출 차단링(146), 공급관(148), 그리고 공급 차단링(149)을 포함한다. 지지 몸체(141)는 스크류부(1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냉각 회전부(130)가 삽입되는 지지 공간(142)이 형성되고, 지지 공간(142)의 일측으로 삽입 배출공(132)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있는 지지 배출공(144)을 가지며, 지지 공간(142)의 타측으로 삽입 공급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있는 지지 공급공(122)을 가진다.
베어링(143)은 지지 몸체(1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냉각 회전부(130)가 회전되도록 안쪽에 삽입되어 냉각 회전부(130)가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 몸체(141)는 지지 몸체(141)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는 냉각 회전부(130)를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베어링(143)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배출관(145)은 지지 몸체(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 배출공(144)에 삽입되어 외부로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출 차단링(146)은 지지 몸체(14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 배출공(144)의 양측으로 지지 공간(142)의 안쪽 면에 각각 위치하여 삽입된 냉각 회전부(130)의 바깥 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배출 차단링(146)은 삽입되는 냉각 회전부(130)와 지지 공간(142) 사이에서 삽입 배출공(132)으로 배출되는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배출관(145)으로 배출되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공급관(148)은 지지 몸체(14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 공급공(122)에 삽입되어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냉각수는 지지 공급공(122)에 삽입되어 있는 공급관(148)을 통해서 삽입 공급공(122)을 거쳐서 냉각 회전부(130)에 공급되고, 배출 시에 삽입 배출공(132)을 통해서 지지 배출공(144)에 삽입되어 있는 배출관(145)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급 차단링(149)은 지지 몸체(14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 공급공(122)의 양측으로 지지 공간(142)의 안쪽 면에 각각 위치하여 삽입된 냉각 회전부(130)의 바깥 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공급 차단링(149)은 삽입되는 냉각 회전부(130)와 지지 공간(142) 사이에서 공급관(148)을 통해서 삽입 공급공(122)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구동부(150)는 냉각 회전부(130)와 체결되어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151), 및 구동축(152)을 포함한다. 구동 모터(151)는 냉각 회전부(130)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류부(110)와 체결된 냉각 회전부(1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축(152)은 구동 모터(15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 끝에 냉각 회전부(130)의 작동 체결부(137)와 체결되는 구동 체결부(153)를 가지고, 구동 모터(151)의 작동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구동축(152)은 구동 모터(151)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구동 체결부(153)로 체결된 냉각 회전부(130)와 스크류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냉각수는 냉각 지지부(140)에서 냉각 회전부(130)로 공급되어 공급공(122)을 통해서 공급 공간(121)의 개방된 일측으로 스크류부(110)의 안쪽인 냉각 공간(113)으로 공급되고, 냉각 공간(113)에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류부(110)를 냉각한 후에 냉각 회전부(130)와 냉각 지지부(140)를 통해서 배출되어 스크류부(1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재 배출 장치 110 : 스크류부
111 : 스크류 날 112 : 스크류 축
113 : 냉각 공간 114 : 스크류 체결부
120 : 냉각 공급부 121 : 공급 공간
122 : 공급공 123 : 공급 체결부
130 : 냉각 회전부 131 : 삽입 배출 공간
132 : 삽입 배출공 133 : 삽입 공급 공간
134 : 삽입 공급공 135 : 삽입 체결부
136 : 회전 체결부 137 : 작동 체결부
140 : 냉각 지지부 141 : 지지 몸체
142 : 지지 공간 143 : 베어링
144 : 지지 배출공 145 : 배출관
146 : 배출 차단링 147 : 지지 공급공
148 : 공급관 149 : 공급 차단링
150 : 구동부 151 : 구동 모터
152 : 구동축 153 : 구동 체결부

Claims (7)

  1. 고체 연료가 사용되는 보일러의 연소 장치 내부에 재를 배출하는 재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장치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냉각 공간을 가지도록 중공 축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소 장치의 외부로 재가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류부,
    상기 스크류부의 개방된 타측에서 상기 냉각 공간의 안쪽으로 삽입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공급 공간을 가지도록 중공 축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공급 공간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공급공이 형성된 냉각 공급부,
    일측 끝이 상기 스크류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부의 타측에 체결되고, 안쪽으로 상기 냉각 공급부가 삽입 체결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냉각 회전부,
    상기 냉각 회전부의 바깥을 감싸고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냉각 회전부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지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냉각 지지부, 그리고
    상기 냉각 회전부의 타측에 체결되며, 상기 냉각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 지지부에서 상기 냉각 회전부로 공급되어 상기 공급공을 통해서 상기 공급 공간의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스크류부의 안쪽인 상기 냉각 공간으로 공급되고, 상기 냉각 공간에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류부를 냉각한 후에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냉각 지지부를 통해서 배출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연소 장치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재가 배출되도록 나선 형태로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는 스크류 날, 및
    상기 스크류 날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 끝에 상기 냉각 회전부와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 체결부를 가지고, 안쪽에 상기 냉각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 날을 회전시킬 수 있는 스크류 축
    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축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류 날을 회전시켜 나선형을 따라서 재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냉각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냉각 공급부를 통해서 상기 냉각 공간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 냉각되고, 냉각 후에는 상기 냉각 공급부와 상기 냉각 회전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회전부는,
    일측 끝에 상기 스크류부의 상기 스크류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회전 체결부, 및
    타측 끝에 상기 구동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작동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회전부는 상기 스크류부와 상기 회전 체결부로 체결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작동 체결부로 체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냉각 회전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부와 체결된 상기 냉각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 끝에 상기 냉각 회전부의 상기 작동 체결부와 체결되는 구동 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동축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 체결부로 체결된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급부의 타측으로 상기 공기 공급공의 일측 위치에는 상기 냉각 회전부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는 공급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각 회전부의 안쪽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 공급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냉각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냉각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냉각 공급부보다 크기가 큰 삽입 배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 회전부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 배출 공간의 안쪽 면의 타측으로 상기 지지 공간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삽입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각 회전부의 안쪽의 타측에는 일측이 상기 삽입 배출 공간에 연통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상기 냉각 회전부의 타측 끝이 삽입된 상태로 안쪽 면에 상기 공급 체결부로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삽입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 공급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 회전부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 공급 공간의 안쪽 면에서 상기 공급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 공간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삽입 공급공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지지 공간을 통해서 상기 삽입 공급공간을 거쳐서 상기 공급공으로 공급되어 상기 공급 공간을 통해서 상기 스크류부로 공급되고, 상기 스크류부에서 냉각한 후에 상기 냉각 공간과 연통된 상기 삽입 배출 공간을 거쳐서 상기 삽입 배출공을 통해서 상기 냉각 회전부의 상기 지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는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지지부는,
    상기 스크류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냉각 회전부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공간의 일측으로 상기 삽입 배출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있는 지지 배출공을 가지며, 상기 지지 공간의 타측으로 상기 삽입 공급공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있는 지지 공급공을 가지는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 회전부가 회전되도록 안쪽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 회전부가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베어링,
    상기 지지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배출공에 삽입되어 외부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 그리고
    상기 지지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공급공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공급관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지지 몸체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기 냉각 회전부를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베어링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냉각수는 상기 지지 공급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공급관을 통해서 상기 삽입 공급공을 거쳐서 상기 냉각 회전부에 공급되고, 배출 시에 상기 삽입 배출공을 통해서 상기 지지 배출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배출관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배출공의 양측으로 상기 지지 공간의 안쪽 면에 각각 위치하여 삽입된 상기 냉각 회전부의 바깥 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배출 차단링, 및
    상기 지지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공급공의 양측으로 상기 지지 공간의 안쪽 면에 각각 위치하여 삽입된 상기 냉각 회전부의 바깥 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공급 차단링
    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 차단링은 삽입되는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지지 공간 사이에서 상기 삽입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밀폐시킬 수 있고,
    상기 공급 차단링은 삽입되는 상기 냉각 회전부와 상기 지지 공간 사이에서 상기 공급관을 통해서 상기 삽입 공급공으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밀폐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KR1020110057310A 2011-06-14 2011-06-14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KR101263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10A KR101263770B1 (ko) 2011-06-14 2011-06-14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10A KR101263770B1 (ko) 2011-06-14 2011-06-14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044A true KR20120138044A (ko) 2012-12-24
KR101263770B1 KR101263770B1 (ko) 2013-06-11

Family

ID=4790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310A KR101263770B1 (ko) 2011-06-14 2011-06-14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7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585B1 (ko) * 2013-11-28 2015-01-20 김성식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기용 용융압출기의 압출스크류 냉각장치
CN109798513A (zh) * 2019-01-14 2019-05-24 江山华隆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生物质锅炉用炉渣二次燃烧结构
CN110566984A (zh) * 2019-08-06 2019-12-13 左慧玲 一种锅炉炉渣余热回收利用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68B1 (ko) 2013-08-20 2014-10-06 동원신재생에너지 주식회사 그을음 생성 방지 구조를 가진 펠릿 보일러용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030B1 (ko) * 1994-09-07 1998-10-01 오정무 다단연소장치
JPH1089659A (ja) * 1996-09-11 1998-04-10 Densen Sogo Gijutsu Center 熱分解残渣の排出装置と排出方法
KR20040107168A (ko) * 2003-06-12 2004-12-20 박죽랑 Rdf(고형연료)를 활용한 연속식 소각보일러
JP4789916B2 (ja) 2007-12-28 2011-10-12 株式会社御池鐵工所 燃焼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585B1 (ko) * 2013-11-28 2015-01-20 김성식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기용 용융압출기의 압출스크류 냉각장치
CN109798513A (zh) * 2019-01-14 2019-05-24 江山华隆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生物质锅炉用炉渣二次燃烧结构
CN109798513B (zh) * 2019-01-14 2020-04-03 江山华隆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生物质锅炉用炉渣二次燃烧结构
CN110566984A (zh) * 2019-08-06 2019-12-13 左慧玲 一种锅炉炉渣余热回收利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770B1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770B1 (ko)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CN101387406A (zh) 星形、螺旋联合加煤装置
KR20110032551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보일러의 열원장치 및 그 열원장치를 이용한 열 교환기
CN201264812Y (zh) 高温锁风阀
KR200489378Y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JP2012117680A (ja) 発電システム
CN210717600U (zh) 一种用于热解气化炉的炉内残渣排放机构
KR102015550B1 (ko)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KR101280057B1 (ko) 연소재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
JP6824685B2 (ja) バーナ装置、バーナ装置の冷却媒体制御方法
KR20110087490A (ko) 전기모터의 디스크 마찰을 이용한 스팀 발생장치
KR101230496B1 (ko) 우드펠릿 연관식 보일러
JP2007212119A (ja) バイオマス燃焼装置
CN218781268U (zh) 一种垃圾焚烧发电用的热力发电装置
KR101230189B1 (ko) 고체 연료 보일러용 연소 장치
WO2018189846A1 (ja) バイオマス熱電供給システム
CN216155796U (zh) 一种具有自动去除炭渣功能的气化炉
CN201555233U (zh) 新型高效干式出渣机
CN219222388U (zh) 一种煤粉与天燃气一体式双燃料燃烧器
CN210241531U (zh) 一种低氮立式冷凝蒸汽发生器
CN209763045U (zh) 一种半气化半悬浮燃烧装置
KR200262032Y1 (ko) 정제된 폐유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연소기의 가스역류방지장치
KR101519880B1 (ko) 수상패킹을 갖는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연소로장치
RU2070637C1 (ru) Тепло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кошеварова "тгэск"
CN117663858A (zh) 一种热能回收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