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476A - Sanitary washing device - Google Patents

Sanitary was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476A
KR20120137476A KR1020127022666A KR20127022666A KR20120137476A KR 20120137476 A KR20120137476 A KR 20120137476A KR 1020127022666 A KR1020127022666 A KR 1020127022666A KR 20127022666 A KR20127022666 A KR 20127022666A KR 20120137476 A KR20120137476 A KR 20120137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inlet
heat transfer
heater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9717B1 (en
Inventor
료이치 고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57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6129B2/en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4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3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with bare resistanc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2Devices for preventing or removing corrosion, slime or sca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6Connecting elements of a heat exchang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본 발명의 위생 세정 장치(1)는, 노즐(7)과 급수로(9)와 열 교환기(10)를 구비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케이싱(23)과 평판 형상 히터(20)와, 유로 공간(25)을 갖는다. 상기 유로 공간은, 상기 유입부측의 간극의 폭이, 상기 유출부측의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A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nozzle (7), a water feed passage (9), and a heat exchanger (10). The heat exchanger has a casing (23), a flat plate heater (20), and a flow path space (25). The flow path space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gap on the inflow portion sid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ap on the outflow portion side.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SANITARY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하여, 특히, 온수를 분출하는 노즐을 갖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having a nozzle for spraying hot water.

종래, 온수를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for blowing hot water from a nozzle is known.

예를 들어, 두께 치수가 작은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 내에 평판 형상의 히터가 수직 설치로 수납되어 있다. 평판 형상 히터의 양 전열면의 각각에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사행(蛇行)시키면서 상방으로 향하는 2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판 형상 히터를 구동하고 있는 동안에, 세정수는, 각각의 유로를 따라서 통류하며, 적온까지 온도 상승 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참조). For example, flat-plate heaters are housed vertically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casing having a small thickness dimension. Two flow paths are formed upwardly in a zigzag mann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each of the two heat transfer surfaces of the flat plate heater. While the flat plate heater is driven, the washing water flows along the respective flow paths, and the temperature rises to a certain temperature (for example, refer to patent literature).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220876 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8-220876

종래 예에서는 사행하는 유로에 있어서 세정수가 체류하거나 기포가 정체하거나 하는 부분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세정수가 체류하는 부분에서는, 세정수가 국소적으로 비등한다. 이 국부적인 비등 부분에서는 평판 형상 히터의 표면에 세정수에 포함되는 칼슘 성분 등이 고착하여, 스케일이 생성된다. 스케일에 의해서 세정수로의 열 전달이 저해되어, 평판 형상 히터의 국소적인 고온화를 초래한다. 또한, 스케일의 생성이 조장되어, 퇴적한 스케일로 세정수의 유로 저항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필요한 세정수의 유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examp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shing water stagnates in the meandering flow path or the portion where the bubbles become stagnant may occur. In the portion where the washing water stays, the washing water locally boils. In this local boiling portion, a calcium component or the like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flat plate heater, and scale is generated. The heat transfer to the washing water is inhibited by the scale, resulting in locally high temperature of the flat plate heater. In addition, scale generation is promoted, and the passage resistance of the washing water is increased by the deposited scale. Thereb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quired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can not be ensured.

또한, 기포가 정체하는 부분에서는, 세정수의 체류 및 평판 형상 히터의 국부적인 고온화 등을 초래하여, 상기의 문제가 생긴다. Further, at the portion where the bubbles stagnate, the reten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localized high temperature of the flat plate heater cause the above problems.

또한, 스케일에 의해 평판 형상 히터가 국부적으로 고온이 되면, 평판 형상 히터에 온도 차이가 생긴다. 이 온도 차이에 의한 열응력에 의해서, 세라믹스를 발열체에 이용한 평판 형상 히터에서는, 평판 형상 히터에 균열이나 깨짐 등이 생겨, 평판 형상 히터가 고장나 버린다. Further, when the flat plate heater is locally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by the scale, a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in the flat plate heater. Due to the thermal stress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cracks, cracks, and the like are generated in the flat plate heater in a flat plate heater using ceramics as a heating element, and the flat plate heater is broke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필요한 세정수의 유량을 확보하고, 또한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securing a flow rate of required washing water and preventing a failure.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노즐과, 급수원에 접속되어야 하는 상류단을 갖고, 하류단이 상기 노즐에 접속된 급수로와, 상기 급수로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열 교환기가,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보다 상방쪽에 위치하는 유출부와, 하단부가 상기 유입부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상기 유출부에 연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히터 수용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용되어,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主面)에 대향하는 전열면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 히터와, 상기 전열면과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유로 공간을 갖고, 상기 유로 공간은, 상기 유입부측의 간극의 폭이, 상기 유출부측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zzle, a water supply path having an upstream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having a downstream end connected to the nozzle, and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ath, The heat exchanger includes an inlet portion, an outlet portion located above the inlet portion, and a plate-like heater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ion at the lower end portion and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ortion at the upper end portion, A flat plate-shaped heater accommodated in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casing so as to extend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including a heat transfer surface facing the main surface of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Wherein a width of the gap on the inflow portion side is larger than a width of the gap on the outflow portion side, It is formed to be smaller.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고, 필요한 세정수의 유량을 확보하며, 또한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provides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securing a flow rate of required washing water and preventing failure.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참조 하, 이하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s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가 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에 탑재되는 열 교환기의 정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열 교환기의 우측 주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열 교환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열 교환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C의 영역의 확대도,
도 7은 도 4의 열 교환기에 형성된 전열선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4의 열 교환기에 형성된 전열선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도 9의 위생 세정 장치에 탑재된 열 교환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oilet,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heat exchanger mounted 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of Fig. 1, Fig.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right main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cut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cut along the line BB in Fig. 3,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C in Fig. 4,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heating wire formed in the heat exchanger of Fig. 4,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heating wire formed in the heat exchanger of Fig. 4,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at exchanger mounted 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of Fig. 9,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초가 된 지견)(Knowledge that became the basi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자들은 평판 형상 히터의 양 전열면을 따라서 유로를 형성한 열 교환기에 대하여 검토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a heat exchanger in which a flow path is formed along both heat transfer surfaces of a flat plate heater.

일반적으로, 세정수에 대한 양 전열면측의 각각 전열량이 거의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하여 열 교환기가 설계된다. 만일 양측의 전열량에 큰 차이가 생기면, 한쪽편의 유로에 있어서 국소적인 비등 현상이 발생하여, 기포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기포에 의해 유로 중의 세정수의 통류 저항이 높아져, 양 유로에 있어서의 유량 밸런스가 깨져, 전열량의 차이가 보다 커져 버린다. Generally, a heat exchanger is desig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amounts on the sides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washing water are substantially the same. If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heat between the two sides, a local boiling phenomenon may occur in the flow path of one side, and bubbles may be generated. Such bubbles increase the flow resistance of the cleansing water in the flow path, the flow balance in both flow paths is broken, and the difference in total heat amount becomes larger.

또한, 열 교환기의 출수구 근방에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가 마련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기포가 크게 성장하여 온도 센서에 부착하면, 온도 센서가 세정수에 접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온도 센서는 적절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된다. 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thermistor may be provided near the outlet of the heat exchanger. In this case, when the bubbles grow large and adhere to the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sensor can not contact the washing water. Therefore, the temperature sensor can not be properly detected.

또한, 기포가 전열면에 부착하여 크게 성장하면, 기포는, 전열면과 세정수 사이에 개재하여, 양자를 해리시켜 버린다. 이 경우, 열이 전열면으로부터 세정수에 전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전열면의 온도가 크게 상승한다. 기포가 부착한 전열면과, 그 반대의 전열면의 온도 차이가 커진다. 이 열응력에 기인하여, 평판 형상 히터에 변형 등이 생겨 열 교환기의 수명이 짧아진다. Further, when the bubbles adhere to the heat transfer surface and grow large, the bubbles interpose between the heat transfer surface and the cleansing water to dissociate them.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transfer heat from the heat transfer surface to the washing w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increases greatl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eat transfer surface on which the bubbles adhere and the heat transfer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increases. Due to the thermal stress, deformation or the like occurs in the flat plate heater, and the service life of the heat exchanger is shortened.

스케일이 전열면에 부착하는 가장 지배적인 요인은 전열면의 온도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일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전열면의 설정 온도는, 비등이 발생하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로 정해진다. 또한, 전열면의 설정 온도는, 수돗물의 스케일 농도나 히터의 소요 내구 시간 등에 의해서, 적절히 정해진다. 전열면의 일부에서도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그 부분에 스케일이 부착하여, 스케일이 전열 장애가 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전열면의 면적을 늘리면 좋다. 그렇지만, 이것은 열 교환기의 비용 증가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열면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평판 형상 히터의 와트 밀도 또는 열 전달율의 분포를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열면의 사이즈가 최소, 전열면의 온도를 설정 온도 이하로 할 수 있지만, 평판 형상 히터의 비용이 비싸져 버린다. The most dominant factor that scale attaches to the front surface is the temperature of the front surface. Generally, in order to suppress scale adhesion, the s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is set to 100 deg. C or lower, preferably 80 deg. C or lower, at which boiling occurs. The set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is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e scale concentration of the tap water, the required duration of the heater, and the like. If a part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exceeds the set temperature, a scale is attached to the part, and the scale becomes a heat conduction failure. In order to avoid this, it is sufficient to increase the area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However,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increases the cost of the heat exchanger. It is also conceivable to set the distribution of the wattage density or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flat plate heat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becomes almost uniform as a whol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can be minimiz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can be mad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but the cost of the flat plate heater becomes expensive.

또한, 스케일 등의 원인이 되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기포의 배출을 촉진시키거나 하기 위해, 세정수의 속도를 더욱 크게 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열면으로부터 세정수에의 열 전달율이 향상하여, 전열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온수 세정 변좌에 사용되는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세정수의 1회당의 사용 수량(水量)이 적다. 이 때문에, 유로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하여, 세정수의 유속을 높여야만 한다. 통상, 세정수의 유량의 최대값은 500cc/min 정도이다. 이 유량값에 대하여 유속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유로 두께를 0.5mm 이내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유로 두께를 매우 얇게 하면, 국소적인 유속의 불균일성이 생기기 쉽다. 이 유로 두께:0.5mm는, 속도 경계층의 두께 : 수mm의 오더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속도 경계층이 유로 전역을 덮는다. 따라서, 유로 두께에 의해 속도 구배가 변화하여, 유로 두께의 불균일에 의한 유속의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It is also conceivable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washing water in order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bubbles which cause scale or the like, or to accelerate the discharge of bubbles. In this case, the heat transfer rate from the heat transfer surface to the cleaning water is improved, and the siz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 can be reduced. However, in general, 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used for a hot water washing toilet seat, the amount of water used per washing water is small.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of the flow path must be made very thin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Normally, the maximum value of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is about 500 cc / min.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flow velocity with respect to this flow rate value, it is necessary to set the flow channel thickness within 0.5 mm. As described above, if the channel thickness is made very thin, nonuniformity of the local flow velocity tends to occur. The thickness of the flow path: 0.5 mm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elocity boundary layer: several millimeters, so that the velocity boundary layer covers the entire flow channel. Therefore, the velocity gradient chang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flow path, and the flow velocity is likely to vary due to unevenness in the flow path thickness.

또한, 속도 경계층은 전열면에서 속도가 제로이며, 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유체층이다. 이 때문에, 전열면 상의 거품을 전열면 상으로부터 배출시키는 힘이 약하다. 또한, 유로 두께가 얇으면, 유로 중에 생긴 거품의 크기가 유로 두께보다 커지기 쉽다. 이 경우, 거품은 유로 두께에 대응하여 변형하여, 거품의 표면 장력으로 밀어올림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품은 움직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거품이 유로 중에 체류하여, 이 거품에 의해 유속의 불균일이 국부적으로 생기기 쉽다.The velocity boundary layer is a fluid layer whose velocity is zero at the heat transfer surface and whose velocity changes abruptly. Therefore, the bubbles on the heat transfer surface are weak in the force of discharging from the heat transfer surface. Further, when the channel thickness is thin, the size of the foam formed in the channel tends to become larger than the channel thickness. In this case, the bubbles are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ow path, and a push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bubbles, so that the bubbles are hard to move. Therefore, the bubbles stagnate in the flow passage, and the bubbles tend to locally cause unevenness of the flow velocity.

이 국소적인 유속의 불균일이 생기면, 와트 밀도가 30W/cm2 이상이 되는 고와트 밀도인 평판 형상 히터에서는, 전열면 온도가 국소적으로 큰 폭으로 상승한다. 이 개소에서 비등이 생겨 더욱 거품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흐름의 불균일이 조장되어, 전열면이 번 아웃(burnout) 한다. In the case of flat plate type heaters having a watt density of 30 W / cm < 2 > or more at a watt density of 30 W / cm < 2 > or more when the local flow velocity becomes uneven, the heat transfer surface temperature locally increases greatly. Boiling occurs at this point, causing more bubbles. For this reason, uneven flow is promoted, and the heat transfer surface burns out.

압력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세정수의 유속을 큰 폭으로 크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속도가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유로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유로를 수평 방향으로 사행시키면, 유로를 흐르는 세정수의 거리 및 시간이 길고, 유로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기포에 의해 세정수의 흐름이 막히기 쉽다. 따라서, 사행하는 유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It is difficult to greatly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because the pressure loss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speed becomes uneven, it is also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flow path. Further, if the flow path is skew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and tim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is long and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s small, so that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is likely to be blocked by the bubbles. Therefore, a meandering flow path is not preferable.

평판형의 히터를 열 교환기에 이용하면, 열 교환기가 컴팩트하게 되고, 또한, 전열 면적을 크게 하기 쉽다. 그렇지만, 강제 대류에 의해 전열면을 따른 균일하고 빠른 흐름을 생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전열면을 따른 빠른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하는 바와 같이, 유로의 두께를 얇게 하면, 흐름이 불균일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부분적으로 과열부를 일으키면, 이 과열부에 열이 집중하고, 이 부분의 세정수가 증발하여, 기포가 생긴다. 기포가 유출하지 않으면, 이 부분은 더욱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기포가 커져, 전열면이 극도로 고온이 되면, 히터가 파괴된다. When a flat plate heater is used in a heat exchanger, the heat exchanger becomes compact and the heat transfer area can be easily increased.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generate a uniform and fast flow along the heat transfer surface by forced convection.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thickness of the flow path is made thinner in order to generate a rapid flow along the heat transfer surface, the flow tends to become uneven. For this reason, when a partially superheated portion is generated, heat is concentrated in the superheated portion, and the washing water of this portion is evaporated to generate bubbles. If the bubble does not leak, this portion is further heated. As a result, when the air bubble becomes large and the heat transfer surface becomes extremely high, the heater is destroyed.

또한, 전열면에 따른 얇고 빠른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유로의 유입부에 편평한 교축부를 마련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교축부에 공기 등이 모이기 쉽고, 이 기포가 흐름을 불균일하게 한다. 이와 같이, 유로의 유입부에 평평한 교축부를 마련하는 일에도 과제가 있다.In order to form a thin and fast flow along the heat transfer surface, it is also conceivable to provide a flat diaphragm in the inflow portion of the flow path. However, air is easily collected at the throttling portion, and this bubble makes the flow uneve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lso a problem in providing a flat cross-linking portion in the inflow portion of the flow path.

또한, 가정의 수도 배관 중에 있어서도, 유체 중에 공기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공기 등의 기포를 열 교환기 내에 모이게 하는 일 없이 부드럽게 배출할 필요가 있다. Further, even in the domestic water piping, air is contained in the flui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moothly discharge bubbles such as air without collecting the bubbles in th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 knowledg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노즐과, 급수원에 접속되어야 하는 상류단을 갖고, 하류단이 상기 노즐에 접속된 급수로와, 상기 급수로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며, 상기 열 교환기가,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유출부와, 하단부가 상기 유입부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상기 유출부에 연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히터 수용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용되어,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에 대향하는 전열면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 히터와, 상기 전열면과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유로 공간을 갖고, 상기 유로 공간은 상기 유입부측의 간극의 폭이, 상기 유출부측의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zzle, a water supply path having an upstream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having a downstream end connected to the nozzle, and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ath, The heat exchanger includes an inlet portion, an outlet portion located above the inlet portion, and a plate-like heater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ion at the lower end portion and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ortion at the upper end portion, A flat plate shaped heater accommodated in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casing so as to exte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ncluding a heat transfer surface facing the main surface of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Wherein a width of the gap on the inflow portion side of the flow path space is smaller than a width of a gap on the outflow portion side, It is.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상기 유입부측의 발열 밀도가, 상기 유출부측의 발열 밀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the flat plate heat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at density at the inlet side is larger than the heat density at the outlet side.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세라믹 기체와, 상기 세라믹 기체상에 패턴 인쇄로 형성된 전열선을 갖고, 상기 유입부측의 상기 전열선의 단면적이, 상기 유출부측의 상기 전열선의 단면적보다 작아도 좋다. 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the flat plate heater may have a ceramic base and an electric heating line formed by pattern printing on the ceramic base, and the sectional area of the electric heating line on the inlet side may be small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the electric heating line on the outlet side.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세라믹 기체와, 상기 세라믹 기체상에 패턴 인쇄하여 형성된 전열선을 갖고, 상기 유입부측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열선의 간격이 상기 유출부측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열선의 간격보다 커도 좋다. 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the flat plate heater has a ceramic base and a heating wire formed by pattern printing on the ceramic bas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heating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inlet side of the heating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outlet side. It may be larger than the interval.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열 교환기가 입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상기 유입부의 사이에 형성된 헤더부를 더 갖고, 상기 헤더부는, 주 유로와, 상기 주 유로로부터 상기 유입부를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는 교축 유로를 갖고 있어도 좋다. 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the heat exchanger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port and a header section form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inlet section, and the header section may have a main flow path and a throttling flow path that gradually narrows from the main flow path toward the inflow section .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또한,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을 통하여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below,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 through all the drawing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또한, 평판 형상 히터(20)의 전열면(20a, 20b)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열 교환기(10)를 수직 설치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하는 Z 방향은 연직 방향을 나타낸다. X 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직교하고 또한, 평판 형상 히터(20)의 전열면(20a, 20b)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낸다. Y 방향은 Z 방향 및 X 방향의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단면적은 세정수의 흐름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면적을 나타낸다.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tate in which the heat exchanger 10 is vertically installed so that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of the flat plate heater 20 ar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Z direction shown in each figure indicates the vertical direction. The X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also indicate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of the flat plate heater 20. [ The Y direction indicate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Z direction and the X direction. The sectional area represents the area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위생 세정 장치(1)는, 노즐(7)과, 급수원(8)에 접속되어야 할 상류단을 갖고, 하류단이 노즐(7)에 접속된 급수로(9)와, 급수로(9)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10)를 구비한다.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includes a nozzle 7 and a water supply passage 9 having an upstream en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8 and having a downstream end connected to the nozzle 7, And a heat exchanger (10)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r.

도 10은 도 9의 위생 세정 장치(1)에 탑재된 열 교환기(1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10 mounted o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of Fig.

열 교환기(10)는, 유입부(10a)와, 유입부(10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유출부(10b)와, 하단부가 유입부(10a)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유출부(10b)에 연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23c)을 포함하는 케이싱(23)과, 케이싱(23)의 히터 수용 공간(23c)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용되어, 히터 수용 공간(23c)의 주면(30a, 40a)에 대향하는 전열면(20a, 20b)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 히터(20)와, 전열면(20a, 20b)과 히터 수용 공간(23c)의 주면(30a, 40a)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유로 공간(25)을 갖는다. 유로 공간(25)은 유입부(10a)측의 간극의 폭이, 유출부(10b)측의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과 연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쌍방을 포함한 개념이다. 「히터 수용 공간」은 케이싱으로부터 히터를 제거했다고 가정했을 경우에, 히터가 존재하고 있던 영역과 해당 영역에 접하는 공간을 포함한 공간을 의미한다. 「유로 공간」은 케이싱 내에, 평판 형상 히터의 한쌍의 전열면을 따라서 유체(여기에서는 물)를 인도하도록 형성된 유로라 환언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10 has an inlet 10a and an outlet 10b positioned above the inlet 10a and a low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0a and an uppe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0b A casing 23 including a plate-lik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mmunicated with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of the casing 23 and accommodated to exte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of the casing 23, The flat plate heater 20 including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facing the main surfaces 30a and 40a of the space 23c and the flat surfaces 30a and 30b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nd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And 40a, which ar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low space 25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gap on the inlet 10a sid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ap on the outlet 10b side. Here, the " vertical direction " is a concept including both vertical directions and directions interse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 heater accommodating space " means a space including a region in which the heater is present and a space in contact with the heater region, assuming that the heater is removed from the casing. The " flow path space " can be referred to as a flow path formed in the casing for guiding fluid (here, water) along a pair of heat transfer surfaces of the flat plate type heater.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1)에서는, 세정수는 급수원(8)으로부터 급수로(9)를 흐른다. 세정수는, 급수로(9)에 있어서 열 교환기(10)에 유입하고, 여기서 가열된다. 고온이 된 세정수는, 열 교환기(10)로부터 유출하여, 노즐(7)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온수가 노즐(7)로부터 분출한다.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8 to the water supply passage 9.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heat exchanger 10 in the water feed passage 9 and is heated therein. The cleansing water which has become high temperature flows out of the heat exchanger 10 and is supplied to the nozzle 7. As a result, hot water is ejected from the nozzle 7.

또한, 열 교환기(10)에 있어서는, 세정수는, 유입부(10a)로부터 케이싱(23)의 히터 수용 공간(23c)에 유입한다. 세정수는, 히터 수용 공간(23c)의 평면상의 주면(30a, 40a)과 평판 형상 히터(20)의 전열면(20a, 20b) 사이에 들어가 유로 공간(25)을 통과한다. 이 때 세정수는, 전열면(20a, 20b)에 의해 가열되며, 그 온도가 상승한다. In the heat exchanger 10,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of the casing 23 from the inflow section 10a. The washing water enters between the main surfaces 30a and 40a on the plane of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and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of the flat plate heater 20 and passes through the flow space 25.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is heated by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nd the temperature rises.

이 유로 공간(25)에서는, 유입부(10a)측의 간극의 폭이, 유출부(10b)측의 간극의 폭보다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유로 공간(25)을 흐르는 세정수는 유입부(10a)측에서 강제 대류가 빨라진다. 여기서,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세정수와의 경계층의 속도 구배가 커져, 열 전달율이 높아진다.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세정수에 열이 부여되고, 전열면(20a, 20b)의 온도가 낮아, 전열면(20a, 20b)에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In this flow path space 25, the width of the gap on the inflow portion 10a sid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ap on the outflow portion 10b side. For this reason,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space 25 accelerates forced convection on the inflow portion 10a side. Here, the velocity gradient of the boundary layer with the washing water is increased from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nd the heat transfer rate is increased. Heat is applied to the washing water from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s low and the scale is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세정수는, 강제 대류에 의해, 유입부(10a)측으로부터 유출부(10b)측으로 흐른다. 유출부(10b)측에 있어서도, 세정수는 전열면(20a, 20b)에 더욱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에 혼입되어 있던 공기가 팽창하여 기포가 발생한다. 이 유출부(10b)측의 간극의 폭이 크기 때문에, 기포가 유로 공간(25)에 모여있지 않고, 유출부(10b)로 나온다.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inflow portion 10a side to the outflow portion 10b side by forced convection. Even in the outflow portion 10b side, the washing water is further heated on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s a result, the air mixed in the washing water expands and bubbles are generated. The air bubble does not collect in the flow path space 25 and flows out to the outflow portion 10b because the width of the gap on the outflow portion 10b side is large.

또한, 세정수가 온도 상승하여, 그 밀도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자연 대류의 상승류가 생겨, 세정수가 유출부(10b)로 흐른다. 이 유출부(10b)측의 간극의 폭이 크기 때문에, 자연 대류의 상승류에 의해 기포가 배제되기 쉽고, 또한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세정수로의 열 전달율이 향상한다. Further, as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rises and the density thereof becomes smaller, an upward flow of natural convection occurs and the washing water flows to the outlet 10b. Since the width of the gap on the outflow portion 10b side is large, bubbles are easily excluded by the upward flow of natural convection, and the heat transfer rate from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to the washing water is improved.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1)에 의하면, 기포가 원활히 배출되는 것에 의해, 기포에 의해서 세정수와 전열면(20a, 20b)의 열 교환이 저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행된다.According to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ubbles are reliably discharged by the bubbles, so that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washing water and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s stably performed.

또한, 기포에 의해 세정수가 일부에 체류하여, 스케일이 국부적으로 생기는 것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스케일이 유로 공간(25)을 좁혀버리는 일 없이, 세정수가 원활히 흐르기 때문에, 필요한 유량의 세정수를 확보할 수 있다. Also, the bubbles stagnate in a part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generation of the scale locally is reduced. Therefore, since the scale flows smoothly without narrowing the flow path space 25, the required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secured.

또한, 전열면(20a, 20b)에 기포가 부착하지 않고, 이 부분이 고온이 되어, 전열면(20a, 20b)에 있어서 온도 차이가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온도 차이에 의한 열응력에 의해 전열면(20a, 20b)이 변형하거나 파손하거나 하지 않으며, 평판 형상 히터(20)가 고장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ir bubbles do not adhere to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nd this portion becomes a high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temperature differences on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thermal stres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o prevent the plate heater 20 from failing.

(실시형태 2)(Embodiment 2)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sanitary washing apparatus]

도 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를 변기(2)에 장착한 화장실을 도시한다. Fig. 1 shows a toilet equipped with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toilet 2.

위생 세정 장치(1)는, 변기(2)의 상면에 배설되어 있다. 위생 세정 장치(1)는, 본체부(3), 변좌부(4), 변기 덮개부(5) 및 조작부(6)를 구비한다.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2).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3, a toilet seat 4, a toilet lid 5 and an operating portion 6.

본체부(3)는, 변좌부(4)의 후방측, 즉 착석한 사용자에서 보아 배후측에 배설되어 있다. 본체부(3)는, 횡장의 하우징(3a)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급수로(9) 및 열 교환기(10)를 수용한다. 또한, 이것 이외에도, 본체부(3)는, 도시하지 않는 세정 유닛, 건조 유닛 및 이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등이 수납되어 있다. The body portion 3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seat portion 4, that is, on the rear side as viewed from a seated user. The main body 3 accommodates the water supply passage 9 and the heat exchanger 10 shown in Fig. 9 in the transverse-section housing 3a. In addition to these, the main body 3 houses a cleaning unit, a drying unit (not show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se operations, and the like.

급수로(9)는, 변기(2)의 설치 건물에 부수의 수도 설비[급수원(8)]로부터 수돗물(유체, 액체, 세정수)을 열 교환기(10)를 거쳐서 노즐(7)에 도입한다. 사용자가 조작부(6)를 조작하여 소정의 입력을 실행하면, 세정 유닛이 구동한다. 세정수가 열 교환기(10)에서 따뜻해져, 온수가 노즐(7)로부터 샤워 형상으로 변기(2)의 개구를 향하여 토출한다.The water supply line 9 introduces tap water (fluid, liquid,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facility (water supply source 8)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building of the toilet 2 to the nozzle 7 via the heat exchanger 10 do.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6 to execute a predetermined input, the cleaning unit is driven. The washing water is heated in the heat exchanger 10 and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7 in the form of a shower toward the opening of the toilet 2.

[열 교환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Heat Exchanger]

도 2는 열 교환기(10)의 정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열 교환기(10)의 우측 주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열 교환기(10)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열 교환기(10)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의 영역의 확대도이다.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0.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right main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0;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10 cut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heat exchanger 10 cut along the line B-B in Fig.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C in Fig.

열 교환기(10)는, Y 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으며, X-Z 방향으로 장방형 형상을 이룬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10)는, 평판 형상 히터(20)와 제 1 유로 형성 부재(21)와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The heat exchanger 10 has a small thickness dimension in the Y direction and a rectangular shape in the X-Z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heat exchanger 10 includes a flat plate heater 20, a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and a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As shown in Fig.

제 1 유로 형성 부재(21) 및 제 2 유로 형성 부재(22)에 의해 케이싱(23)이 형성된다. 제 1 유로 형성 부재(21) 및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예를 들어, 각각 ABS 수지에 유리 섬유를 컴파운드 한 강화 ABS 수지로 형성된다. The casing (23) is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are each formed of, for example, a reinforced ABS resin in which ABS resin is compounded with glass fiber.

제 1 유로 형성 부재(21)는 평판 형상 히터(20)의 제 1 전열면(20a)측에 배치된다. 제 1 유로 형성 부재(21)는 베이스부(30) 및 선반 단부(3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0)는 베이스면(주면)(30a)을 포함하고, 베이스면(30a)은 평면 형상이며 제 1 전열면(20a)에 대향한다. 선반 단부(31)에 있어서, 베이스부(30)의 Y 방향의 두께가 바뀐다. 선반 단부(31) 보다 유출부(10b)측에 있어서의 베이스부(30)의 두께는, 선반 단부(31)보다 유입부(10a)측보다 작다. 이 때문에, 선반 단부(31)보다 유입부(10a)측의 베이스면(30a)은, 유출부(10b)측의 베이스면(30a)에 비해, 제 1 전열면(20a)에 근접한다. 유입부(10a)측의 베이스면(30a)과 제 1 전열면(20a) 사이의 폭은 유출부(10b)측의 베이스면(30a)과 제 1 전열면(20a) 사이의 폭보다 좁다.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is disposed on the first heat transfer surface 20a side of the flat plate heater 20.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includes a base portion 30 and a shelf end portion 31. The base portion 30 includes a base surface (main surface) 30a, and the base surface 30a is planar and opposes the first heat transfer surface 20a. In the shelf end portion 31, the thickness of the base portion 30 in the Y direction is changed. The thickness of the base portion 30 on the outlet 10b side of the shelf 31 is smaller than the shelf 31 on the side of the inlet 10a. The base surface 30a on the inlet 10a side of the shelf end 31 is closer to the first heat transfer surface 20a than the base surface 30a on the outlet 10b side. The width between the base surface 30a at the inlet 10a side and the first heat conductive surface 20a is narrow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base surface 30a at the outflow portion 10b side and the first heat conductive surface 20a.

제 1 유로 형성 부재(21)는 베이스부(30)의 주연부에 전체 둘레에 벽 형상의 플랜지부(32)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32)의 선단부에 결합 홈(33)이 형성되며, 결합 홈(33)은 플랜지부(32)를 따라서 그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is provided with a wall-like flange portion 32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base portion 30. A coupling groove 33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lange portion 32 and the coupling groove 33 is formed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32.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평판 형상 히터(20)의 제 2 전열면(20b)측에 배치된다.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베이스부(40) 및 선반 단부(4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40)는 베이스면(주면)(40a)을 포함하고, 베이스면(40a)은 평면 형상이며 제 2 전열면(20b)에 대향한다. 선반 단부(41)에 있어서, 베이스부(40)의 Y 방향의 두께가 바뀐다. 선반 단부(41)보다 유출부(10b)측에 있어서의 베이스부(40)의 두께는, 선반 단부(41)보다 유입부(10a)측보다 작다. 이 때문에, 선반 단부(41)보다 유입부측의 베이스면(40a)은, 유출부(10b)측의 베이스면(40a)에 비해, 제 2 전열면(20b)에 근접한다. 유입부(10a)측의 베이스면(40a)와 제 2 전열면(20b) 사이의 폭은 유출부(10b)측의 베이스면(40a)과 제 2 전열면(20b) 사이의 폭보다 좁다.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is disposed on the second heat transfer surface 20b side of the flat plate heater 20.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includes a base portion 40 and a shelf end portion 41. The base portion 40 includes a base surface (main surface) 40a, and the base surface 40a is planar and opposes the second heat transfer surface 20b. In the shelf end portion 41, the thickness of the base portion 40 in the Y direction is changed. The thickness of the base portion 40 on the side of the outlet portion 10b is smaller than the side of the inlet portion 10a than the shelf end portion 41 on the side of the outlet portion 10b. The base surface 40a on the inflow portion side of the shelf end portion 41 is closer to the second heat transfer surface 20b than the base surface 40a on the outflow portion 10b side. The width between the base surface 40a and the second heat conductive surface 20b on the side of the inlet 10a is narrow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base surface 40a and the second heat conductive surface 20b on the outflow portion 10b side.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베이스부(40)의 주연부에 전체 둘레에 벽 형상의 플랜지부(42)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42)는, 베이스면(40a)의 반대 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그리고 플랜지부(42)의 선단부는, 베이스면(40a)측으로 뒤집어져 있다. 이 선단부의 끝에 결합 돌기(43)가 마련되며, 결합 돌기(43)가 플랜지부(42)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is provided with a wall-like flange portion 42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base portion 40. The flange portion 42 project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surface 40a.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42 is turned over to the base surface 40a side. A coupling protrusion 4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ip end, and a coupling protrusion 43 is formed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42.

제 1 유로 형성 부재(21)의 플랜지부(32) 중에 제 2 유로 형성 부재(22)의 플랜지부(42)가 들어가고, 제 1 유로 형성 부재(21)의 결합 홈(33)에 제 2 유로 형성 부재(22)의 결합 돌기(43)가 끼워진다. 예를 들면, 결합 돌기(43)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 결합 홈(33)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유로 형성 부재(21)와 제 2 유로 형성 부재(22)는 수밀적으로 접합되며, 케이싱(23)이 형성된다.The flange portion 42 of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is inserted into the flange portion 32 of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and the flange portion 42 of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3 of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The engaging projection 43 of the forming member 22 is fitted. For example, the engaging projections 43 are fixed to the engaging grooves 33 by ultrasonic welding. As a result,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21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22 are joined together in a watertight manner, and the casing 23 is formed.

케이싱(23)은 2개의 측면과 2개의 주면과 천장면와 저면을 갖고, 이들에 둘러싸이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중공부를 포함한다. 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중공부는,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23c)을 구성한다. 히터 수용 공간(23c)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히터 수용 공간(23c)의 하단부가 유입부(10a)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유출부(10b)에 연통한다. Y-Z 방향의 2개의 측면 중, 1개의 측면에 입수구(23a) 및 출수구(23b)가 개구한다. 출수구(23b)의 개구가 유출부(10b)가 된다. 입수구(23a)는, 측면의 일단 하부에 마련되며, 급수로(9)(도 9)의 상류측 단부에 접속된다. 출수구(23b)는, 측면의 일단 상부에 마련되며, 급수로(9)(도 9)의 하류측 단부에 접속된다. X-Z 방향의 2개의 주면은 베이스면(30a, 40a)에 각각 형성된다. 천장면은, 평판 형상 히터(20)의 상단과 대향한다. 천장면은, 출수구(23b)에 가까울수록 천장면과 평판 형상 히터(20)의 상단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경사진다. 저면은 평판 형상 히터(20) 하단과 대향한다. 천장면에 유로 공간(25)의 유입부(10a)가 개구하고, 유입부(10a)는 X 방향으로 연장된다. 케이싱(23)의 내부에 유로 공간(25) 및 헤더부(45)가 형성된다. The casing 23 has two side surfaces, two main surfaces, a ceiling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nd include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hollow portion surrounded by these. This substantially rectangular hollow portion constitutes a plate-lik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ortion 10a and the upper end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outflow portion 10b. The inlet port 23a and the outlet port 23b open in one side surface among two side surfaces of a Y-Z direction. And the opening of the outlet 23b becomes the outlet 10b. The inlet 23a is provided at on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water supply passage 9 (Fig. 9). The outlet 23b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side face and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water supply passage 9 (Fig. 9). Two main surfaces in the X-Z direction are formed on the base surfaces 30a and 40a, respectively. The ceiling surface is op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flat plate shape heater 20. The ceiling surface is inclin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flat plate heater 20 becomes wider as it approaches the outlet 23b. The bottom surface faces the lower end of the flat plate shape heater 20. The inflow part 10a of the flow path space 25 opens in the ceiling surface, and the inflow part 10a extends in the X direction. A channel space (25) and a header portion (45) are formed in the casing (23).

유로 공간(25)은, 제 1 전열면(20a)과 베이스면(30a) 사이의 유로와 제 2 전열면(20b)과 베이스면(40a) 사이의 유로를 포함한다. 이들 2개의 유로는, 평판 형상 히터(2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2개의 유로는, 입구측 유로(25a) 및 출구측 유로(25b)를 각각 갖는다. 입구측 유로(25a)는 선반 단부(31, 41)보다 하부의 입수구(23a)에 가까운 측에 마련된다. 출구측 유로(25b)는, 선반 단부(31, 41)보다 상부의 출수구(23b)에 가까운 측에 마련된다.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두께는,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두께보다 작다. The flow path space 25 includes a flow path between the first heat transfer surface 20a and the base surface 30a and a flow path between the second heat transfer surface 20b and the base surface 40a. These two flow path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flat plate-like heater 20. The two flow paths each have an inlet-side flow passage 25a and an outlet-side flow passage 25b.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s provided on the side closer to the lower inlet / outlet 23a than the shelf end portions 31, 41.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is provided on the side closer to the outlet port 23b than the shelf end portions 31 and 41. [ The thickness of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n the Y-axis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in the Y-axis direction.

헤더부(4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공간(25)의 유입부(10a)와 입수구(23a) 사이에 마련되어 X 방향으로 연장된다. 헤더부(45)는, 헤더부 주 유로(45a) 및 헤더부 교축 유로(45b)를 포함한다. 헤더부 주 유로(45a)에 있어서의 X-Y 방향의 유로 단면적은 헤더부 교축 유로(45b) 보다 넓다. 즉, 이 X-Y 방향의 유로 단면적은 입수구(23a)로부터 유입부(10a)로 흐르는 세정수의 흐름에 대하여 직교한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유로 단면적은 헤더부 주 유로(45a)로부터 유입부(10a)로부터 유입부(10a)를 향하여 서서히 좁아진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는 크랭크 형상을 갖는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는, 수직부(45bb), 수평부(45bc) 및 수직부(45bd)를 포함한다. 수직부(45bb), 수평부(45bc) 및 수직부(45bd)의 순으로, 그 단면적이 작아진다(즉 좁아짐). The header portion 45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portion 10a of the flow path space 25 and the inlet port 23a and extends in the X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header portion 45 includes a header portion main flow path 45a and a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n the X-Y direction in the header portion main flow path 45a is wider than that in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in the X-Y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from the inlet 23a to the inlet 10a.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er portion interflow channel 45b gradually narrows from the header portion main flow path 45a toward the inflow portion 10a from the inflow portion 10a. The header portion communication oil passage 45b has a crank shape. The header portion interfacing flow passage 45b includes a vertical portion 45bb, a horizontal portion 45bc, and a vertical portion 45b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portion 45bb, the horizontal portion 45bc, and the vertical portion 45bd becomes smaller (that is, becomes narrower).

평판 형상 히터(20)는 케이싱(23)의 히터 수용 공간(23c)에 수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평판 형상 히터(20)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을 갖고, 양면에 제 1 및 제 2 전열면(20a, 20b)을 포함한다. 평판 형상 히터(20)는 세라믹 기체(20k), 저항체 패턴(20p) 및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전열면(20a, 20b)의 온도는, 국부적으로 소정 온도보다 고온이 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 소정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전열면(20a, 20b)의 온도를 비등이 발생하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소정 온도는, 수돗물의 스케일 농도나, 히터의 소요 내구 시간 등에 의해 적절히 정해진다.The flat plate heater 20 is accommodated in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23c of the casing 23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lat plate heater 20 has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on both surfaces thereof. The flat plate heater 20 includes a ceramic base 20k, a resistor pattern 20p, and an electrode (not shown). The temperatures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re prevented from becoming locally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is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generally set to 100 deg. C or less, preferably 80 deg. C or less, at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is boiled.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e scale concentration of the tap water, the required duration of the heater, and the like.

저항체 패턴(20p)은, 세라믹 기체(20k) 상에 저항체가 인쇄되어 있다. 저항체 패턴(20p)은, 전열선(히터선)을 구성하고, 전극으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발열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선은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사행하면서, Z 방향의 상방으로 넓어진다.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폭(20s)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폭(20s)보다 가늘고, 이 히터선의 단면적이 작다. 이 히터선의 폭(20s)이 가늘고, 히터선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히터선의 저항값이 크다. 따라서,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저항값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저항값보다 높다. 이것에 의해,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는,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보다 높다.In the resistor pattern 20p, a resistor is printed on the ceramic base 20k. The resistor pattern 20p constitutes a heating wire (heater wire) and generates heat by energization from the electrode. As shown in Fig. 7, the heater wire extends in the X direction and meanders and extends upward in the Z direction. The width 20s of the heater wire in the inlet side flow path 25a is thinner than the width 20s of the heater wire in the outlet side flow path 25b and the sectional area of the heater wire is small. The smaller the width 20s of the heater wire and the small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er wire, the greater the resistance value of the heater wire. Therefor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heater wire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s higher tha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heater wire i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The heat generating density in the resistive pattern 20p in the inlet side flow path 25a is higher than the heat generating density in the resistive pattern 20p in the outlet side flow path 25b.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흐름][Flow of rinsing water in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밸브가 열리면, 세정수는, 급수원(8)의 수도 배관으로부터 분기수 마개를 거쳐서 급수로(9)로 흐른다. 도 3 및 도 4에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는, 급수로(9)로부터 입수구(23a)를 거쳐서 케이싱(23) 내에 유입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water pipe of the water supply source 8 to the water feed passage 9 via the diverging water cap.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casing 23 from the water feed passage 9 via the inlet 23a.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는, 헤더부(45)의 헤더부 주 유로(45a)에 진입한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단면적이 헤더부 주 유로(45a)의 단면적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헤더부 주 유로(45a)로부터 헤더부 교축 유로(45b)으로의 저항은 헤더부 주 유로(45a)의 X 방향으로의 저항보다 크다. 따라서, 세정수의 상당수는 헤더부 주 유로(45a)의 X 방향으로 흐르고, 세정수는 헤더부 주 유로(45a)를 균일하게 채운다. 그리고, 세정수는, 헤더부 주 유로(45a)로부터 헤더부 교축 유로(45b)로 흐른다. 이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기 때문에, 세정수의 흐름은 점차 빨라진다. 또한,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공기가 체류하는 장소가 없다. 이 때문에, 세정수 중에 공기가 혼입해도, 공기는 모이는 일 없이, 유입부(10a)측을 향하여 옮겨진다. 세정수가 유입부(10a)로부터 입구측 유로(25a)로 흘러 들어가면, 기포는, 수직 방향의 유로 공간(25)을 따라서 부력에 의해서 부드럽게 상승한다. 또한, 기포는, 유출부(10b)를 향하여 높아지는 케이싱(23)의 천장면을 따라서, 유출부(10b)로 흐른다. 그리고, 기포는, 유출부(10b)로부터 출수구(23b)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4 to 6, the washing water enters the header portion main flow path 45a of the header portion 45. As shown in Fig. The resistance from the header portion main flow path 45a to the header portion flow path 45b is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header portion main flow path 45a because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header portion flow path 45b is much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header portion main flow path 45a,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resistance in the X direction. Therefore,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washing water flows in the X direction of the header main flow path 45a, and the washing water uniformly fills the header main flow path 45a. Then,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header main flow passage 45a to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ssage 45b. Since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ssage 45b is gradually narrowed,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gradually becomes faster. Further, there is no place where air stays in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Therefore, even if air is mixed into the cleansing water, the air is transferred toward the inlet 10a without aggregation.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inflow section 10a to the inlet-side flow path 25a, the bubbles rise smoothly by the buoyancy along the flow path space 25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 the bubbles flow to the outflow portion 10b along the ceiling of the casing 23 rising toward the outflow portion 10b. Then, the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outflow portion 10b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port 23b.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는, 유입부(10a)로부터 유로 공간(25)의 입구측 유로(25a)에 유입한다. 유로 두께가 얇은 영역인 입구측 유로(25a)에서는 세정수의 유속이 빠르다. 이 때문에, 평판 형상 히터(20)의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의 경계층의 속도 구배가 크고,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와의 열 전달율이 크다. 게다가, 각 전열면(20a, 20b)에 있어서,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높다. 따라서, 세정수는, 각 전열면(20a, 20b)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이 되는 동시에, 그 밀도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는 상승하여, 입구측 유로(25a)로부터 출구측 유로(25b)에 유입한다.As shown in Fig. 4,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inlet-side flow path 25a of the flow path space 25 from the inlet portion 10a. The flow velocity of the washing water is faster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which is a thin region of the flow path thickness. Therefore, the velocity gradients of the boundary surfaces between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of the flat plate heater 20 and the cleansing water are large and the heat transfer rate between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nd the cleansing water is large. In addition, in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the heat density in the resistive pattern 20p at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s high. Therefore, the washing water is heated by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to become high temperature, and the density thereof is reduced. As a result, the washing water rises and flows from the inlet-side flow passage 25a to the outlet-side flow passage 25b.

또한,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높기 때문에, 각 전열면(20a, 20b)의 온도는 높아지려고 한다. 단,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온도는 낮기 때문에, 서브 쿨(물의 비등 온도에 대해서의 냉각도)은 커져 세정수는 각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열을 많이 빼앗는다. 또한, 입구측 유로(25a)에서는, 유로 두께가 얇고, 세정수의 유속이 빠르다. 따라서, 세정수가 열 전달율이 높으며, 국소적인 비등 현상이 생길 정도의 고온이 되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ing density in the resist pattern 20p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s high, the temperatures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re intended to be increased. 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s low, the subcool (cooling degree with respect to the boiling temperature of the water) becomes large, and the washing water absorbs a large amount of heat from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Further,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the flow path thickness is thin and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is high. Therefore, the washing water has a high heat transfer rate, and does not reach a high temperature at which local boiling phenomenon occurs.

출구측 유로(25b)에서는,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강제 대류에 부가하여, 밀도의 차이로부터 자연 대류도 생긴다. 이들에 의해, 세정수는, 각 전열면(20a, 20b)을 따라서 상승한다. 이 세정수는,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가 높다. 이 세정수에 의해 각 전열면(20a, 20b)으로부터 빼앗기는 열은 적고, 서브 쿨의 값은 작다. 이 때문에,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각 전열면(20a, 20b)의 온도는 상승하기 쉽다. 그렇지만,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작기 때문에, 출수구(23b)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세정수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지만, 급격한 비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스케일이 각 전열면(20a, 20b)의 일부에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to the forced convection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also has natural convec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density. As a result, the washing water rises along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Since this washing water is heated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the temperature is high. By this cleaning water, less heat is taken from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and the value of the subcool is small. Therefore, the temperatures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are likely to rise. However, since the heat-generating density at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is small,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gradually rises as it approaches the outlet 23b, but does not cause rapid boiling. This prevents the scale from adhering to a part of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또한, 만일 각 전열면(20a, 20b)상에 발생하는 기포가 일어나도,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유로 두께가 두꺼운 출구측 유로(25b)를 기포가 따라서 상승한다. 그리고, 기포는 출수구(23b)로부터 배출된다. Further, even if air bubbles are generated on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the air bubbles rise along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with a thicker flow path thickness i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Then, the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 23b.

이와 같이 고온이 된 세정수가 출수구(23b)로부터 급수로(9)에 유입한다. 세정수는, 탱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온도가 조정된다. 그리고, 전자 밸브가 열리면, 노즐(7)로부터 따뜻한 세정수가 토출된다. The high-temperature washing water thus flows into the water feed passage 9 from the outlet port 23b.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s adjusted by a tank (not shown) or the like. When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warm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7.

[효과][effect]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의해, 유속이 서서히 빨라진다. 이 때문에, 수도 배관 중에 공기가 혼입되었을 경우라도, 기포가 크게 성장하기 전에, 기포가 하류로 압출되어, 헤더부(45) 및 유로 공간(25)으로부터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기포에 의해서, 각 전열면(20a, 20b)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흐름이 불균일하게 되어, 각 전열면(20a, 20b)이 국소적으로 과열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스케일이 각 전열면(20a, 20b)에 국부적으로 부착하여, 유로를 좁히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필요한 유량이 확보된다. 또한, 스케일에 의한 각 전열면(20a, 20b)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열응력으로 평판 형상 히터(20)가 고장 나는 것이 회피된다. The flow rate of the header portion is gradually increased by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whose sectional area is gradually narrowed. Therefore, even when air is mixed into the water pipe, the bubbles are extruded downstream and quickly discharged from the header portion 45 and the flow path space 25 before the bubbles grow large. As a result,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n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is made non-uniform by the air bubbles, and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are prevented from locally becoming overheated. Therefore, the scale is locally attached to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to prevent the flow path from being narrowed. Thus, a necessary flow rate is secured. Further,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due to the scale, it is avoided that the plate heater 20 is broken due to thermal stress.

또한, 헤더부 교축 유로(45b)가 크랭크 형상을 갖는 것에 의해,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있어서의 유로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만일,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있어서의 단면적이 조금 넓어져도,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있어서 유로 저항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가 헤더부 주 유로(45a)의 전체 길이에 균일하게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유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has a crank shape, the flow path in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becomes longer. Therefore,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header portion throttle passage 45b is slightly wider, the passage resistance in the header portion throttle passage 45b can be ensured. As a result, the washing water can flow uniformly into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at the entire length of the header portion main flow path 45a.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의해 유로 공간(25)에 있어서 각 전열면(20a, 20b)을 따른 세정수의 균일한 빠른 흐름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의 열 전달율이 커진다. 이 때문에, 세정수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각 전열면(20a, 20b)의 온도를 낮게 억제하여, 각 전열면(20a, 20b)에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각 전열면(20a, 20b) 상에 발생하는 기포가 빠지기 쉬워, 국부적인 스케일의 발생 및 열응력에 의한 평판 형상 히터(20)의 파손이 방지되는 동시에,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의 열 교환이 저해되지 않고, 안정된 열 교환이 가능해진다. Uniform flow of the washing water along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n the flow path space 25 is formed by the header portion interfacing flow path 45b. As a result, the heat transfer rate of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nd the washing water increases. Therefore, the washing water can be efficiently he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to be low, and to prevent the scale from adhering to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Further, bubbles generated on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surfaces 20a, 20b are liable to be released, generation of a local scale and breakage of the flat plate heater 20 due to thermal stress are prevented, and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The heat exchange of the washing water is not inhibited, and stable heat exchange becomes possible.

특히, 입구측 유로(25a)에서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에 가깝고, 또한 유로 두께가 얇다. 이 때문에, 입구측 유로(25a)에서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로부터의 빠른 흐름이 유지된다. 따라서,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와의 경계층에 있어서의 속도 구배가 크고, 각 전열면(20a, 20b)과 세정수의 강제 대류에 의한 열 전달율이 크다. 세정수가 효율적으로 가열되어, 평판 형상 히터(20)의 파손이 방지된다. Particularly, the inlet-side flow passage 25a is close to the header portion communication flow passage 45b and the flow passage thickness is thin. Therefore,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a fast flow from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is maintained. Therefore, the velocity gradient in the boundary layer between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nd the washing water is large and the heat transfer rate due to the forced convection of the washing water to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s large. The washing water is efficiently heated, and breakage of the flat plate heater 20 is prevented.

또한,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각 전열면(20a, 20b)의 발열 밀도가 작기 때문에, 국소적인 비등 현상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평판 형상 히터(20)의 파손이 방지된다.Since the heat transfer densities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are small, local boiling phenomenon is prevented, and breakage of the flat plate heater 20 is prevented.

또한, 평판 형상 히터(20)는 표리의 양면의 전열면(20a, 20b)으로 세정수를 가열하기 때문에, 방열 로스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열 교환기(10)의 높은 열효율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컴팩트화 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flat plate heater 20 heats the washing water by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there is almost no heat loss lo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igh thermal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10 and to make it compact.

또한,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도, 평판 형상 히터(20)는 국소적인 비등 현상이 생길 정도의 고온이 되는 것이 억제되어, 국부적인 스케일의 생성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금속과 비교하여 열 용량이 작지만, 깨지기 쉬우면 세라믹을 평판 형상 히터(20)에 이용해도, 그 분열이 방지되어, 위생 세정 장치(1)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the flat plate heater 20 is suppressed from becoming a high temperature to such a degree that local boiling phenomenon occurs, and generation of a local scale is prevented. Therefore, even if the ceramic is used for the flat plate heater 20, heat dissipation is small, and the thermal capacity is smaller than that of metal. However, if the ceramic is used for the flat plate heater 20, the division can be prevented and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can be prolonged.

또한, 만일, 평판 형상 히터(20)에 양 전열면(20a, 20b)의 각각에 있어서의 전열량에 큰 차이가 생겨, 한쪽의 유로의 세정수가 국소적으로 비등하여, 기포가 생겼다고 해도, 기포가 원활히 배출된다. 따라서, 세정수의 유로 저항이 높아지거나 2개의 유로의 유량 밸런스가 무너지거나 2개의 유로의 전열량에 큰 차이가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Even if bubbles are generated due to a larg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heat transfer between the two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n the flat plate heater 20 and the rinsing water of one of the two flow paths is locally boiled, Is smoothly discharged. Therefore, it is prevented that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washing water becomes high, the flow balance of the two flow paths is collapsed, or a large difference in the heat transfer amount of the two flow paths is prevented.

또한, 만일, 유로 공간(25)의 유출부(10b) 근방에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가 배치되어 있어도, 온도 센서는 적절히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즉, 기포가 배출되는 것에 의해, 기포가 커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큰 기포가 온도 센서에 붙어, 온도 센서가 큰 기포에 의해서 세정수와 접촉하지 못하여 세정수의 온도를 검출할 수 없다는 상황이 회피된다.In addition, even if a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thermistor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outflow portion 10b of the flow path space 25, the temperature sensor can appropriately detect the temperature. That is, since the bubbles are discharged, the bubbles do not increase. Therefore, a situation in which large bubbles adhere to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can not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due to the large bubbles not contacting the washing water is avoided.

또한, 세정수의 강제 대류 및 기포의 배출에 의해, 스케일이 전열면(20a, 20b)에 부착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스케일에 의한 전열 장애를 회피하기 위해, 전열면(20a, 20b)의 면적을 늘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위생 세정 장치(1)의 비용 상승이 방지되며, 또한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Further, due to the forced convec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discharge of the bubbles, the scale is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Thereby,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area of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n order to avoid heat transfer trouble due to scale. Therefore, the cost of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1 can be made more compact.

또한,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며, 또한 유로 공간(25)에 있어서 입구측 유로(25a)의 단면적이 출구측 유로(25b)보다 좁다. 이것에 의해, 유로 두께를 얇게 하지 않아도, 각 전열면(20a, 20b)을 따른 세정수의 균일한 빠른 흐름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er portion interflow channel 45b is gradually narrowed,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side channel 25a in the channel space 25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outlet- As a result, uniform flow of the washing water along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s formed without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ow path.

또한, 단면적이 서서히 좁아지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와, 단면적이 좁은 입구측 유로(25a)에 의해, 강제 대류가 생겨, 전열면(20a, 20b) 상의 기포가 빠르게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게다가, 단면적이 넓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 큰 기포라도 이동하기 쉽다. 따라서, 기포는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의 흐름은 균일하게 된다. Further, forced convection occurs due to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ssage 45b whose sectional area is gradually narrowed and the inlet-side flow passage 25a whose sectional area is narrow, so that the air bubbles on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are quickly pushed upward.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outlet-side passage 25b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even large bubbles can easily move. Therefore, the bubbles ar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becomes uniform.

또한, 각 전열면(20a, 20b)의 발열 밀도는, 출구측 유로(25b)가 입구측 유로(25a)보다 작다. 이것에 대하여, 세정수의 유속은 입구측 유로(25a)가 출구측 유로(25b)보다 크다. 이 때문에, 각 전열면(20a, 20b)의 열 유속은 입구측 유로(25a)가 출구측 유로(25b)보다 높다. 이것에 의해, 전열면(20a, 20b)의 온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국소적으로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density of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s smaller than that of the inlet-side flow passage 25a. On the other hand, the flow velocity of the washing water is larger in the inlet-side flow passage 25a than in the outlet-side flow passage 25b. Therefore, the heat flow rate of each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is higher than that of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This makes it possible to uniformize the temperatures of the heat transfer surfaces 20a and 20b, thereby suppressing the scale from locally adhering.

[그 이외의 예][Other examples]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폭(20s)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히터선의 폭(20s)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단,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보다 높아지면, 이 히터선의 폭(20s)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width 20s of the heater wire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s made narrower than the width 20s of the heater wire i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have. However, if the heat density in the resist pattern 20p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becomes higher than the heat density in the resist pattern 20p i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But is not limited to the line width 20s.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항체의 패턴(20p)에서는,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히터선의 간격(20h)이, 출구측 유로(25b)보다 좁다. 이것에 의해, 입구측 유로(25a)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가 출구측 유로(25b)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패턴(20p)에 있어서의 발열 밀도보다 높아져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in the resistor pattern 20p, the interval 20h between adjacent heater wires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s narrower tha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Thus, the heat generating density in the resistive pattern 20p in the inlet-side flow path 25a is higher than the heat generating density in the resistive pattern 20p in the outlet-side flow path 25b.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헤더부 교축 유로(45b)는, 대략 크랭크 형상을 갖고, 그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좁혀졌다. 헤더부 교축 유로(45b)의 형상은 대략 크랭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수직부(45bb) 및 수평부(45bc)의 2변으로 형성되고, 그 2변이 각각 경사진 대략 「<」형상의 단면에서 헤더부 교축 유로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유로 단면적이 단계적으로 좁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향하여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의 단면에서 헤더부 교축 유로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유로 단면적은 연속적으로 점점 좁혀진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45b has a substantially crank shape, and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thereof is gradually narrowed. The shape of the header portion interflow channel 45b is not limited to the crank. For example, a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may be formed in an end surface of an approximately &quot; &quot; shape formed by two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45bb and the horizontal portion 45bc shown in Fig.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epwise narrowing of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shaped cross section whose distance toward the top is narrowed. 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ssage is gradually narrowed.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각 부재(21, 22)에 있어서 선반 단부(31, 41)에 의해 베이스부(30, 40)의 Y 방향의 두께가 단계적으로 바뀌었다. 이것에 의해, 유로 공간(25)에 단면적이 다른 2개의 유로(25a, 25b)가 마련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0, 40)의 Y 방향의 두께가 서서히 바뀌도록 각 부재(21, 22)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유로 공간(25)에는 단면적이 서서히 바뀌는 1개의 유로가 마련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cknesses of the base portions 30 and 40 in the Y direction are gradually changed by the shelf end portions 31 and 41 in the members 21 and 22, respectively. As a result, two flow paths 25a and 25b having different sectional areas are provided in the flow path space 25.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the members 21 and 22 may be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base portions 30 and 40 in the Y direction is gradually changed. In this case, the flow path space 25 is provided with one flow path whose cross sectional area gradually changes.

또한, 상기 전체 실시형태는, 서로 상대를 배제하지 않는 한, 서로 조합시켜도 좋다. Further, the above-mentioned entir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unless excluding each other.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많은 개량이나 다른 실시형태가 분명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선의 형태를 당업자에게 교시하는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는 일 없이,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only, and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details of the structure and / or the function can be substantial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위생 세정 장치는, 필요한 세정수의 유량을 확보하고, 또한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The sanitary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or the like capable of securing a required flow rate of washing water and preventing a failure.

1 : 위생 세정 장치 7 : 노즐
8 : 급수원 9 : 급수로
10 : 열 교환기 10a : 유입부
10b : 유출부 20 : 평판 형상 히터
20a : 제 1 전열면(전열면) 20b : 제 2 전열면(전열면)
20k : 세라믹 기체 20p : 패턴(전열선)
23 : 케이싱 23a : 입수구
25 : 유로 공간 30a : 베이스면(주면)
40a : 베이스면(주면) 45 : 헤더부
45a : 헤더부 주 유로(주 유로) 45b : 헤더부 교축 유로(교축 유로)
1: Hygienic cleaning device 7: Nozzle
8: Water source 9: Water source
10: Heat exchanger 10a:
10b: outlet portion 20: flat plate heater
20a: First heat-transferring surface (heat-transferring surface) 20b: Second heat-transferring surface (heat-transferring surface)
20k: ceramic base 20p: pattern (heating wire)
23: casing 23a: inlet
25: channel space 30a: base surface (main surface)
40a: base surface (main surface) 45: header portion
45a: header main flow path (main flow path) 45b: header portion throttling flow path (throttle flow path)

Claims (5)

노즐과, 급수원에 접속되어야 하는 상류단을 갖고, 하류단이 상기 노즐에 접속된 급수로와, 상기 급수로에 마련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열 교환기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유출부와, 하단부가 상기 유입부에 연통하고, 상단부가 상기 유출부에 연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히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히터 수용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에 대향하는 전열면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 히터와,
상기 전열면과 상기 히터 수용 공간의 주면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유로 공간을 갖고,
상기 유로 공간은 상기 유입부측의 상기 간극의 폭이 상기 유출부측의 상기 간극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위생 세정 장치.
And a heat exchanger having an upstream e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having a downstream end connected to the nozzle, and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water feed path,
The heat exchanger,
And an inlet portion, an outlet portion located above the inlet portion, a lower end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ion, an upper end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portion, and a plate-shaped heater accommodating spac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sing,
A flat plate-shaped heater accommodated in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casing so as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a heat transfer surface facing the main surface of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And a flow path space formed in a gap between the heat transfer surface and the main surface of the heater accommodating space,
The flow path space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gap on the inlet sid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ap on the outlet side.
Hygienic clean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상기 유입부측의 발열 밀도가 상기 유출부측의 발열 밀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생 세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lat plate heat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at density at the inlet side is larger than the heat density at the outlet side
Hygienic clean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세라믹 기체와, 상기 세라믹 기체상에 패턴 인쇄로 형성된 전열선을 갖고,
상기 유입부측의 상기 전열선의 단면적이 상기 유출부측의 상기 전열선의 단면적보다 작은
위생 세정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at plate heater has a ceramic base body and a heating wire formed by pattern printing on the ceramic base body,
Sectional area of the heating wire on the inflow portion side is small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ing wire on the outflow portion side
Hygienic clean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 히터는 세라믹 기체와, 상기 세라믹 기체상에 패턴 인쇄하여 형성된 전열선을 갖고,
상기 유입부측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열선의 간격이 상기 유출부측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열선의 간격보다 큰
위생 세정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at plate heater has a ceramic base body and a heating wire formed by pattern printing on the ceramic base body,
The spacing of the heating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inlet side is greater than the spacing of the heating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outlet side.
Hygienic cleaning devi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입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형성된 헤더부를 더 갖고,
상기 헤더부는 주 유로와, 상기 주 유로로부터 상기 유입부를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는 교축 유로를 갖는
위생 세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heat exchanger further has an inlet and a header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inlet,
The header portion has a main flow passage and a throttle flow passage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main flow passage toward the inflow portion.
Hygienic cleaning device.
KR1020127022666A 2011-04-22 2012-03-06 Sanitary washing device KR1013997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5750 2011-04-22
JPJP-P-2011-095749 2011-04-22
JP2011095749A JP5786129B2 (en) 2011-04-22 2011-04-22 Heat exchanger
JP2011095750 2011-04-22
PCT/JP2012/001522 WO2012144122A1 (en) 2011-04-22 2012-03-06 Hygienic clea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476A true KR20120137476A (en) 2012-12-21
KR101399717B1 KR101399717B1 (en) 2014-05-27

Family

ID=4704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666A KR101399717B1 (en) 2011-04-22 2012-03-06 Sanitary wash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399717B1 (en)
CN (1) CN102859086B (en)
TW (1) TWI504370B (en)
WO (1) WO201214412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7346A1 (en) * 2012-12-17 2014-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Heat exchanger and sanitary cleaning device with same
JP6155972B2 (en) * 2013-08-27 2017-07-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HEAT EXCHANGE UNIT AND HUMAN BODY LOCAL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693A (en) * 1991-03-15 1993-09-14 In-Touch Products Co. Parenteral fluid warmer apparatus and disposable cassette utilizing thin, flexible heat-exchange membrane
JPH0988159A (en) * 1995-09-21 1997-03-31 Toto Ltd Sanitary cleaner
TW373047B (en) * 1997-04-02 1999-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for washing human private
JP2000054463A (en) 1998-08-10 2000-02-22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KR100624568B1 (en) * 2006-01-02 2006-09-15 주식회사 노비타 Warm water device the moment for irrigator
KR100804303B1 (en) 2007-04-25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Instantaneous water heater
CN201190322Y (en) * 2008-05-23 2009-02-04 浙江星星便洁宝有限公司 Instant heating device for intelligent toilet chair
KR200453744Y1 (en) * 2009-01-12 2011-05-27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Instant Heating Heat Assembly for Bidet
JP2012002491A (en) * 2009-09-07 2012-01-05 Panasonic Corp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42561A (en) 2012-11-01
WO2012144122A1 (en) 2012-10-26
CN102859086A (en) 2013-01-02
CN102859086B (en) 2015-01-21
TWI504370B (en) 2015-10-21
KR101399717B1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3263B2 (en) Instantaneous hot water system for washing machine
CN104179231A (en) Heat exchange unit and human body local cleaning device
KR20140057184A (en) A heating device that slim type
KR101399717B1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553411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exchanger
JP3675249B2 (en) Instant heating water heater
JP5747165B2 (en) Heat exchanger
JP5945722B2 (en) Heat exchanger and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equipped with it
JP2012007764A (en) Combustion device
KR20160117966A (en) Boiler
WO2013150696A1 (en) Heat exchanger and hygienic cleaning device provided therewith
KR20210056966A (en) A hot water tank for bidet and bidet comprising the same
JP5786129B2 (en) Heat exchanger
US20120148220A1 (en) Heat exchanger
JP6299758B2 (en) Heating device and sanitary washing device and equipment provided with the same
JP3241659U (en) Vertical electric water heater with spacer plates
JP5460937B1 (en) Heat exchanger and sanitary wash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H0674557A (en) Pure water heater
KR20030063065A (en) a realtime water heating apparatus for bidet
CN217610751U (en) Fluid heater and have its intelligent closestool lid and intelligent closestool
JP6114613B2 (en) Storage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KR100859792B1 (en) A hot water circulation apparatus using bubbles
JP2005090872A (en) Fluid heating apparatus
CN107787432B (en) Fluid circulation heating apparatus having overpressure prevention member
JP2022068964A (en) Bath sensor and water heater equipp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