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394A -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394A
KR20120137394A KR1020127025402A KR20127025402A KR20120137394A KR 20120137394 A KR20120137394 A KR 20120137394A KR 1020127025402 A KR1020127025402 A KR 1020127025402A KR 20127025402 A KR20127025402 A KR 20127025402A KR 20120137394 A KR20120137394 A KR 2012013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dp
type
processing
ap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745B1 (ko
Inventor
지유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3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방안은,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PDP를 생성함으로써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하나의 PDP가 아닌 더 많은 PDP를 지원할 수 있게 하므로, 현재의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고 하나의 임박한 서비스 유형이 활성화 상태의 PDP에 의해 처리될 수 없을 때, 처리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현재의 PDP를 비활성화하며,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PDP를 재설정하고, 상기 서비스의 처리를 완료한 후 이전의 PDP를 복구하는 복잡한 절치를 회피하므로,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여러 유형의 서비스를 병렬 처리하는 능력이 실현되고, 사용자 경험도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NDROID SYSTEM}
본 발명은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드로이드(Android)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3월 10일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ndroid System"이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출원 제201010123923.8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내용 전부는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새로운 세대의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 시스템이다. 점점 더 많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운영 체제로 사용되고,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채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는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매우 편리하게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먼저 안드로이드 시스템에는 두 가지 기본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데, 하나는 APN이고, 다른 하나는 PDP이며, 다음과 같다:,
액세스 포인트 이름(Aceess Point Name, APN): 하나의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와 외부 네트워크의 논리적 이름(logical name); PDP가 활성화될 때 대응하는 APN 구성(configuration)이 필요하다.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PDP): 모바일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 채널; 하나의 PDP는, 모바일 단말기가 IP 주소를 소유할 수 있게 하고, 이것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연구를 통해 본 발명자는, 현재,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채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복수의 APN의 동시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타이밍(timing)에,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채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중인 상태에 있는 APN은 하나뿐이고, 따라서,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채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는 단 하나의 PDP만 존재한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 존재하는 APN은 전용 서비스를 위한 APN, 즉 인터넷 서비스에 특화된 APN이고, 대응하는 PDP는 인터넷 서비스만 처리할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의 처리를 요청받은 경우, 현재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의 처리 방법은 먼저 현재 활성화 상태이고 인터넷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는 PDP를 비활성화한 다음, MMS를 처리할 수 있는 APN의 구성에 따라 MMS를 처리할 수 있는 PDP를 활성화하고, MMS의 처리가 종료된 후 인터넷 서비스를 처리하는 이전의 PDP를 복구한다. 현재의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전용 APN에 대응하는 PDP가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을 때, 다른 유형의 서비스 처리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서비스의 처리가 새로운 서비스의 처리를 위해 중단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원래의 서비스 처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이동 단말기의 처리 속도를 감소시키며, 사용자 경험을 저하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의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흐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새로운 서비스를 처리하면서 현재 서비스의 정상적인 처리를 보장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처리 속도를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증대시키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은,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 때, 상기 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활성화 상태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이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을 때,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PDP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1 PDP가 활성화되어 있고 상기 제1 PDP를 통해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안드로이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장치는,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 때,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현재 활성화 상태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이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
상기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을 때,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PDP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1 PDP를 통해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한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해결방안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하나의 PDP가 아닌 더 많은 PDP를 지원하도록,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PDP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고 하나의 임박한 서비스 유형이 활성화 상태의 PDP에 의해 처리될 수 없을 때, 처리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현재의 PDP를 비활성화하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PDP를 재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의 처리를 완료한 후 이전의 PDP를 복구하는 복잡한 절치를 근본적으로 회피하여,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여러 유형의 서비스를 병렬 처리하는 능력이 실현되고, 사용자 경험도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 또는 종래기술을 더욱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을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명백히,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공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공된 방법에서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제공된 장치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S101: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 때,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서비스는 현재의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의 임의 서비스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서비스 요청은 실행될 임의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청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각 서비스는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을 가진다.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를 예로 들면, 예를 들어 웹페이지 브라우징 또는 웹페이지 상에서의 비디오 보기는 인터넷 서비스에 속하는 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 또는 송신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속한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인터넷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은 default(디폴트)이고,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은 MMS이다.
S102: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S103: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을 때,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PDP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새롭게 생성된 PDP는 제1 PDP로 기술된다.
또,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PDP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제1 AP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APN의 구성에 따라 대응하는 제1 PDP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PDP 컨텍스트(context)는 모바일 단말기와 네트워크 사이의 상호작용 채널을 나타낸다. 하나의 PDP 컨텍스트는 모바일 단말기가 IP 어드레스를 소유할 수 있게 하고, 이것은 모바일 단말기 내의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한다. PDP는 APN의 구성에 따라 활성화된다. PDP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서비스 유형은 APN의 구성에 의해 결정된다. APN의 구성은 APN, proxy, port, user name, password, APN type 등을 포함한다. 그 중, APN은 APN의 이름이고; proxy와 port는 게이트웨이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이며; APN이 proxy와 port로 구성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된 proxy와 port를 통해 서버와 상호작용해야 하고; user name과 password는, APN를 사용하여 PDP가 활성화될 때 인증에 사용되고; user name과 password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APN은 PDP를 성공적으로 활성화할 수 없으며; APN type은 APN에 의해 활성화된 PDP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서비스 유형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APN 유형이 * 또는 공란(empty)인 경우, APN에 의해 활성화된 PDP가 모든 유형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APN type이 MMS이면, APN에 의해 활성화된 PDP가 MMS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APN type이 default이면, 인터넷 관련 서비스와 같은, APN에 의해 활성화된 PDP가 MMS 이외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활성화된 PDP에 대응하는 APN type이 default인 경우, MMS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서비스가 MMS인 경우에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PDP가 활성되어야 한다.
S104: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제1 PDP가 활성화되어 있고 제1 PDP를 통해 제1 서비스를 처리한다고 통지한다.
생성된 후, 제1 PDP는 그러한 유형의 서비스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재, 네트워크 측의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가 동시에 활성화 상태에 있는 복수의 PDP를 갖는 것을 지원한다. 이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에서 동시에 활성화 상태에 있는 PDP가 복수 존재할 때, 모바일 단말기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IP 어드레스를 소유할 수 있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고 결정될 때, 활성화 상태의 대응하는 PDP는 제1 서비스를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는 대응하는 APN에 의해 default 유형의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제1 서비스 요청에 의해 요청된 제1 서비스는 웹페이지를 통해 비디오를 보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default 유형에 속하고, 새로운 PDP를 생성할 필요 없이,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에 의해 바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된 방법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하나의 PDP가 아닌 더 많은 PDP를 지원하도록,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PDP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고 하나의 임박한 서비스 유형이 활성화 상태의 PDP에 의해 처리될 수 없을 때, 처리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현재의 PDP를 비활성화하며,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PDP를 재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의 처리를 완료한 후 이전의 PDP를 복구하는 복잡한 절치를 근본적으로 회피하여,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여러 유형의 서비스를 병렬 처리하는 능력이 실현되고, 사용자 경험도 크게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도 1에 나타낸 방법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Framwork(프레임워크) 내의 DataConnectionTracke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된 방법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처리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채용한 휴대폰을 위한 프로세스는 특히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201: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스템 디폴트 APN1의 구성에 따라 PDP1을 활성화하고, PDP1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o1)를 생성한다.
상기 시스템은 휴대폰의 안드로이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PN1의 APN type은 default이고, MMS 이외의 서비스 유형은 모두 PDP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S202: 휴대폰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o1)을 통해 스트리밍 미디어 비디오를 액세스하는 동안에 DataConnectionTracker가 MMS 수신 요청을 수신한다.
S203: DataConnectionTracker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서비스의 서버스 유형이 MMS라고 결정한다.
S204: DataConnectionTracker가 PDP1이 MMS 유형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PDP1을 사용하여 그 서비스를 처리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S205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DP1은 MMS 이외의 서비스 유형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스의 흐름은 단계 S205로 진행되어야 한다.
S205: DataConnectionTracker가, 현재 시스템이 임의의 유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단계 S2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S207로 진행한다.
S206: MMS 유형의 서비스를 처리하는 APN2의 구성에 따라 PDP2(즉, 제1 PDP)를 활성화하여, PDP2에 대응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o2)를 생성한다.
S207: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를 비활성화하고, MMS 유형의 서비스를 처리하는 APN2의 구성에 따라 PDP2(즉, 제1 PDP)를 활성화하여, PDP2에 대응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o2)를 생성한다.
활성화 상태의 각 PDP는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한다.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모두 사용중 상태이면, 새로운 PDP가 활성화되더라도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없으므로, 시스템은 활성화된 PDP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 따라서,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PDP가 활성화되어야 할 때, 임의의 유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여야 하고, 존재하는 경우, APN의 구성에 따라 PDP2를 활성화하기 위해 단계 S206으로 바로 진행한다. 그러나,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 단계 S2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활성 상태의 PDP를 비활성화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해방하여야 하며, 그 후, APN2의 구성에 따라 PDP2를 활성화하여, 해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PDP2의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활성화된 PDP들이 default의 APN type을 가지는 PDP를 포함할 때, 그 PDP는 바로 비활성화되고, 그렇지 않으면 APN type의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 레벨에 따라 비활성화하기 위해 하나의 PDP가 선택되어야 한다. 일단 PDP가 비활성화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PDP2가 활성화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PDP2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통지받는다.
물론, 활성 상태의 기존 PDP의 정상적인 서비스 처리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현재 활성화된 PDP 중 default의 APN type을 가지는 PDP가 없는 경우, 어떤 새로운 PDP도 활성화될 수 없고, 애플리케이션은 PDP 활성화에 실패하였음을 직접 통지받을 수 있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의 서비스 데이터가 제1 PDP를통해 송신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그러한 유형의 서비스 데이터가 제1 PDP를 통해 송신될 수 있도록, 제1 PDP와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 사이의 연결 채널이 설정되어야 한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 계속되는, 도 3을 참조한다. APN2의 구성에 따라 PDP2가 활성화된 후의, PDP2와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 사이의 연결 채널의 설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301: APN2가 게이트웨이를 가지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단계 S30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302로 진행한다.
S302: APN2에 의해 설정된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현재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한다.
유의할 것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새로운 PDP(즉, PDP2)가 활성화될 때, default 라우팅 아이템은 시스템에 의해 라우팅 테이블에 자동 추가될 것이라는 점이다. 원래 서비스의 정상적인 처리를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라우팅 테이블에 자동 추가된 default 라우팅 아이템을 삭제할 필요가 있다.
S303: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socket을 PDP2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o2)와 바인딩(binding)한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게이트웨이를 가지는 APN과 게이트웨이를 가지지 않는 APN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APN에 의해 구성된 PDP와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 사이의 연결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채용한다. 게이트웨이를 가지는 APN의 경우, 처리는 간단하고, 목적지 어드레스가 게이트웨이인 데이터는, APN에 의해 구성된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현재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에 단지 추가함으로써 APN에 의해 구성된 PDP에 라우팅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목적지 어드레스가 APN에 의해 구성된 게이트웨이인 데이터는 PDP2에 라우팅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가 없는 APN의 경우, 채용된 처리 방법은 APN에 의해 처리된 서비스 유형의 애플리케이션들과 APN에 의해 구성된 제1 PDP 사이의 연결을 각각 설정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socket은 제1 PDP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바인딩된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socket은 PDP2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o2)와 바인딩된다.
APN2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경우에, 이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socket 각각 io2와 바인딩될 것이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socket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setsockopt () 함수를 통해 PDP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바인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처리될 서비스 유형에 따른 처리 능력을 가지는지를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현재 처리되고 있는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처리될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APN의 구성에 따라 처리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새로운 PDP를 활성화한다. 또, 새로운 PDP가 취득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또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새로운 PDP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므로,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의 송신을 더욱 보장한다.
실시예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 때,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401);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402);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을 때,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PDP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유닛(403);
제1 처리 유닛(403)은 먼저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제1 APN을 결정한 다음, 제1 APN의 구성에 따라 대응하는 제1 PDP를 활성화하고;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제1 PDP를 통해 제1 서비스를 처리한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404).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장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하나의 PDP가 아닌 더 많은 PDP를 지원하도록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PDP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서비스를 처리하고 있고 하나의 임박한 서비스 유형이 활성화 상태의 PDP에 의해 처리될 수 없을 때, 처리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현재의 PDP를 비활성화하며,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PDP를 재생성하고, 상기 서비스의 처리를 완료한 후 이전의 PDP를 복구하는 복잡한 절치를 근본적으로 회피하므로,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여러 유형의 서비스를 병렬 처리하는 능력이 실현되고 사용자 경험도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에 나타낸 장치는 또한,
그러한 유형의 서비스 데이터가 제1 PDP를 통해 송신될 수 있도록, 제1 PDP와 대응한 서비스 유형 사이에 연결 채널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연결 유닛(405)을 더 포함한다.
또한, 연결 유닛(404)은,
제1 PDP에 의해 구성된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 서브유닛; 및
상기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현재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하도록 구성된 추가 서브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유닛(404)은,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socket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 서브유닛; 및
상기 socket을 제1 PDP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바인딩하도록 구성된 바인딩 서브유닛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나타낸 장치는 또한,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을 때, 현재 활성화 상태의 대응하는 PDP를 사용하여 제1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 유닛(40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장치는,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처리될 서비스 유형에 따른 처리 능력을 가지는지를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현재 처리되고 있는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처리될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APN의 구성에 따라 처리될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새로운 PDP를 활성화한다. 또, 새로운 PDP가 취득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또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새로운 PDP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므로,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의 송신을 더욱 보장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타스크를 실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구성요소,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타스크가 통신 네워크를 통해 연결된 원격 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프로그램 모듈은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로컬로 원격 컴퓨터 스토리지 매체에 위치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유의할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개선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개선 및 변경도 또한 본 발명이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이다.

Claims (10)

  1.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 때, 상기 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현재 활성화 상태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이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을 때,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PDP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1 PDP가 활성화되어 있고 상기 제1 PDP를 통해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한다는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P를 통해 그러한 유형의 서비스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PDP와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 사이에 연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P와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 사이에 연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DP에 대응하는 APN에 의해 구성된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현재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P와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 사이에 연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socket을 상기 제1 PDP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바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의 PDP가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을 때, 상기 현재 활성화 상태의 대응하는 PDP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6. 제1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 때, 상기 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현재 활성화 상태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이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
    상기 현재 활성화 상태의 PDP가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을 때,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PDP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1 PDP를 통해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한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
    을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P를 통해 그러한 유형의 서비스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PDP와 대응하는 서비스 유형 사이에 연결 채널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1 PDP에 대응하는 APN에 의해 구성된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 서브유닛; 및
    상기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현재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하도록 구성된 추가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socket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 서브유닛; 및
    상기 socket을 상기 제1 PDP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바인딩하도록 구성된 바인딩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의 PDP가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을 때, 상기 현재 활성화 상태의 대응하는 PDP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장치.
KR1020127025402A 2010-03-10 2011-03-10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08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123923.8 2010-03-10
CN201010123923.8A CN101808270B (zh) 2010-03-10 2010-03-10 一种基于Android的业务处理方法和装置
PCT/CN2011/071668 WO2011110094A1 (zh) 2010-03-10 2011-03-10 一种基于android系统的业务处理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394A true KR20120137394A (ko) 2012-12-20
KR101408745B1 KR101408745B1 (ko) 2014-06-17

Family

ID=4260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402A KR101408745B1 (ko) 2010-03-10 2011-03-10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70032B2 (ko)
EP (1) EP2547168B1 (ko)
JP (1) JP5625075B2 (ko)
KR (1) KR101408745B1 (ko)
CN (1) CN101808270B (ko)
WO (1) WO2011110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8270B (zh) * 2010-03-10 2016-03-3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基于Android的业务处理方法和装置
CN102707997B (zh) * 2012-06-12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宽带设备多pdp数据通讯的驱动装置和方法
US10004108B2 (en) * 2013-06-04 2018-06-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ing bandwidth availability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9521077B2 (en) * 2013-07-22 2016-12-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connection via a proxy device using a generic access point name
CN103533165B (zh) * 2013-10-10 2015-07-15 成都达信通通讯设备有限公司 兼容支持手持设备安卓应用程序的多apn并发方法及其系统
CN104053250B (zh) * 2014-06-26 2018-05-1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Android的多PDP数据传输方法
WO2016011665A1 (zh) * 2014-07-25 2016-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用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91597A (fi) * 1999-07-12 2001-01-13 Nokia Networks Oy Access-kontekstin hallinta makrotason liikkuvuudenhallintarekisteröinn in yhteydessä access-verkoissa
FI107674B (fi) 1999-08-30 2001-09-14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tiedonsiirron optimoimiseksi pakettikytkentäisessä langattomassa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FI113726B (fi) * 2000-05-25 2004-05-31 Nokia Corp Tilaajan laskuttamisen järjestäminen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DK1350407T3 (da) * 2000-12-04 2009-12-07 Nokia Corp Brugerenhed, fremgangsmåde og kommunikationssystem til etablering af en forbindelse til et fungerende netværkselement
US7054945B2 (en) * 2001-04-09 2006-05-30 Nokia Corporation Technique for providing announcements in mobile-originated calls
KR100453325B1 (ko) * 2002-11-18 200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멀티미디어 망에서의 ip 멀티미디어 세션 제공 방법
KR20050093896A (ko) * 2004-03-19 200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동일한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를통해 서로 다른 패킷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방법
GB0420549D0 (en) * 2004-09-15 2004-10-20 Nokia Corp A method and entity for monitoring traffic
US7508812B2 (en) * 2005-01-28 2009-03-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ocket management for always-on data connections
CN100389616C (zh) * 2005-03-18 2008-05-21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交互功能业务数据交互的方法
ATE496464T1 (de) * 2006-02-05 2011-02-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einrichtungen zum installieren von paketfiltern bei einer datenübertragung
AU2007248861B2 (en) * 2006-05-03 2010-10-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multiple service bearers via efficient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procedures
US20070258427A1 (en) * 2006-05-03 2007-11-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multiple service bearers via efficient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procedures
US8364850B2 (en) * 2006-07-20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Utility service in multi-processor environment
WO2008012790A1 (en) * 2006-07-27 2008-01-31 Contextream Inc. Distributed edge network
CN101472273B (zh) * 2007-12-29 2010-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Pdp上下文处理方法及移动通信系统
CN101572862B (zh) * 2008-05-02 2013-11-06 三星电子株式会社 支持3g系统和lte系统间互通的方法和设备
KR20100010114A (ko) * 2008-07-22 2010-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아이피 주소설정을 위한 장치및 방법
CN101662452B (zh) * 2008-08-27 2012-07-0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分组数据协议连接的建立方法及其装置
CN101466099B (zh) * 2009-01-14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分组数据协议激活请求的安全监控方法和移动终端
US8811935B2 (en) * 2010-01-12 2014-08-19 Blackberry Limited Emergency services in home cells system and method
CN101808270B (zh) * 2010-03-10 2016-03-3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基于Android的业务处理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0094A1 (zh) 2011-09-15
US9370032B2 (en) 2016-06-14
EP2547168B1 (en) 2018-05-02
KR101408745B1 (ko) 2014-06-17
JP2013535036A (ja) 2013-09-09
JP5625075B2 (ja) 2014-11-12
EP2547168A4 (en) 2013-04-03
US20130005320A1 (en) 2013-01-03
CN101808270A (zh) 2010-08-18
EP2547168A1 (en) 2013-01-16
CN101808270B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745B1 (ko)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반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JP6952787B2 (ja) セッション再確立方法および装置、amf、smfならびに端末
KR102596924B1 (ko) 이벤트 통지 방법, 장치 및 저장매체
Alam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d Hoc Network among Android smart devices
JP5584760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端末
CN109891933A (zh) 同时支持语音业务和数据业务的方法和终端
EP2493248A1 (en) Evolved packe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attachment thereof
WO2010121528A1 (zh) 一种移动终端及其基于p2p模式的数据传输方法
WO2021057526A1 (zh) 一种网关设备容灾的方法及通信设备
WO2015085923A1 (zh) 一种网络切换方法和终端设备
WO2019096306A1 (zh) 一种处理请求的方法以及相应实体
WO2018154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user or user equipment parameters in a multi-access edge computing system
JP2023519873A (ja) 接続確立方法、通信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8781217B (zh) 多媒体数据传输的方法、服务器和终端
CN11397326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以及系统
CN110856213B (zh) 切换数据传输方式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089193B (zh) 上下文释放方法、设备及系统
CN110337079B (zh) 一种5g网络通信的方法、终端、网络设备及服务器
CN11326124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2015513729A (ja) データ・アクセス方法及び装置
WO2016154831A1 (zh) 一种实现传输控制协议tcp传输的方法及装置
WO2018107368A1 (zh) 数据传输的连接建立方法及装置
CN103973588A (zh) 数据业务加速方法及装置
CN102752743B (zh) 移动设备信息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9391914B (zh) 一种进行会话寻址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