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149A -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149A
KR20120137149A KR1020110056502A KR20110056502A KR20120137149A KR 20120137149 A KR20120137149 A KR 20120137149A KR 1020110056502 A KR1020110056502 A KR 1020110056502A KR 20110056502 A KR20110056502 A KR 20110056502A KR 20120137149 A KR20120137149 A KR 2012013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purge
valve
gas
b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영
서원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149A/ko
Publication of KR2012013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할 때 퍼지량의 극대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시동 온 상태에서 캐니스터의 퍼지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캐니스터 퍼지조건이 아니면 퍼지관로의 제2밸브를 폐쇄하고, 포집관로의 제3밸브를 개방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캐니스터에 포집하는 과정; 캐니스터 퍼지조건이면 퍼지관로의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포집관로의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CANISTER PURGE SYSTEN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할 때 퍼지량의 극대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휘발류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은 대기중으로 증발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유해한 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가 장착되고 있다.
캐니스터의 성능은 증발가스의 시험을 통해 정차중 및 주행중에 인증 시험하도록 되어 있으며, 증발가스에 대한 강화되는 규제에 따라 개선되고 있다.
캐니스터는 연료탱크와 연결되는 포집관로(Fuel Tank Vapor Line)를 통해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퍼지하여 포집한다.
그리고, 퍼지조건에서 캐니스터와 엔진의 흡기 시스템을 연결하는 퍼지관로에 장착되는 캐니스터 퍼지 밸브(Canister Purge Valve)를 개방시켜 엔진의 흡기 부압을 통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연소실로 퍼지시킨다.
캐니스터는 연료탱크와 포집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엔진의 흡기 시스템과 퍼지관로를 통해 연결되며, 대기측과 대기관로가 연결된다.
상기 엔진의 흡기 시스템과 연결되는 퍼지관로에는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퍼지량을 조절할 수 있는 캐니스터 퍼지 밸브가 배치된다.
대기관로에는 통상 열림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료 시스템의 진단을 위한 캐니스터 폐쇄 밸브가 배치된다.
따라서, 퍼지조건에서 캐니스터 퍼지 밸브를 개방시켜 엔진의 부압으로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할 때 캐니스터에 형성된 부압이 연료탱크와 대기중으로 연결되어 대기중의 공기와 연료탱크내의 고농도의 증발가스가 동시에 캐니스터에 추가로 유입되므로, 캐니스터의 퍼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주행 상태에서 엔진이 시동 오프를 유지하는 시간이 상당하므로, 엔진의 부압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충분하게 퍼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증발가스의 양이 캐니스터의 포집 능력을 넘어서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시키고, 심한 냄새를 발생시켜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의 부합으로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할 때 연료탱크와 캐니스터 사이의 포집관로를 차단하여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퍼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퍼지량의 극대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의 부합으로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하는 과정에서 엔진의 부압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연료탱크와 캐니스터 사이의 포집관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대기관로에 배치되는 가압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캐니스터 퍼지량의 극대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 캐니스터의 대기관로에 배치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밸브; 캐니스터와 엔진 흡기 시스템을 연결하는 퍼지관로에 배치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시키는 제2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탱크와 캐니스터를 연결하는 포집관로에 배치되어 캐니스터의 증발가스 포집을 단속하는 제3밸브; 상기 캐니스터의 대기관로에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캐니스터에 가압하는 펌프; 퍼지조건에서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에 포집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퍼지조건에서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에 포집되는 것을 차단하며, 엔진 부압이 기준 부압 미만이면 펌프를 작동시켜 캐니스터에 외부 공기를 가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퍼지조건에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제3밸브를 일정시간 개방시켜 증발가스를 캐니스터로 퍼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동 온 상태에서 캐니스터의 퍼지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캐니스터 퍼지조건이 아니면 퍼지관로의 제2밸브를 폐쇄하고, 포집관로의 제3밸브를 개방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캐니스터에 포집하는 과정; 캐니스터 퍼지조건이면 퍼지관로의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포집관로의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니스터 퍼지조건에서 퍼지관로의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포집관로의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하며, 엔진의 부압이 기준압력 미만이면 대기관로의 펌프를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를 캐니스터에 가압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니스터 퍼지조건에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설정시간 동안 제3밸브를 개방시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캐니스터로 퍼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적인 장치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캐니스터의 퍼지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퍼지량을 극대화하여 증발가스 법규 대응을 위해 인위적으로 엔진을 작동시키는 구간이 줄어 들어 연비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연료탱크(10)와 캐니스터(20), 제1밸브(30), 제2밸브(40), 제3밸브(50), 펌프(60), 제어부(70) 및 흡기 시스템(80)을 포함한다.
연료탱크(10)는 차량의 연료로 사용되는 휘발류가 저장되고, 캐니스터(20)는 연료탱크(10)에서 증발되는 증발가스를 포집관로(11)를 통해 퍼지하여 포집한다.
제1밸브(30)는 대기관로에 배치되는 캐니스터 폐쇄 밸브로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통상 열림상태를 유지하여 캐니스터(20)에 대기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준다.
상기 제1밸브(30)는 연료 시스템의 리크(Leak) 진단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폐쇄된다.
제2밸브(40)는 캐니스터(20)와 엔진의 흡기 시스템(80)을 연결하는 퍼지관로(21)에 배치되는 퍼지밸브로,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80)으로 퍼지시키거나 차단한다.
제2밸브(40)는 퍼지조건에서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어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80)으로 퍼지하고, 퍼지조건이 아닌 상태에서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폐쇄되어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가 엔진의 흡기 시스템(80)으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3밸브(50)는 연료탱크(10)와 캐니스터(20)를 연결하는 포집관로(11)에 배치되어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연료탱크(10)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20)에 퍼지되어 포집되도록 하거나 차단한다.
제3밸브(50)는 퍼지조건에서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폐쇄되어 연료탱크(10)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20)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하고, 퍼지조건이 아닌 상태에서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어 연료탱크(10)의 증발가스가 퍼지관로(11)를 통해 캐니스터(20)로 퍼지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밸브(30)와 제2밸브(40) 및 제3밸브(5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밸브로 적용될 수 있다.
폄프(60)는 대기관로에 배치되어 엔진의 부압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는 퍼지조건에서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기동되어 캐니스터(20)에 대기 공기의 공급을 가압시켜 캐니스터(20)의 퍼지량을 높여 준다.
제어부(70)는 퍼지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퍼지를 제어한다.
상기 퍼지조건은 연료학습을 실행하지 않고, OBD진단을 실행하지 않으며 수온센서(81)에서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이고,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농도가 설정된 일정수준 이상인 조건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70)는 퍼지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퍼지관로(21)에 배치되는 제2밸브(40)를 폐쇄하고, 포집관로(11)에 배치되는 제3밸브(50)를 개방시켜 연료탱크(10)의 증발가스를 캐니스터(20)에 포집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제1밸브(60)를 개방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퍼지조건을 만족하면 퍼지관로(21)에 배치되는 제2밸브(40)를 개방시켜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80)으로 퍼지시키고, 포집관로(11)에 배치되는 제3밸브(50)를 폐쇄하여 연료탱크(10)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20)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시켜 캐니스터(20)의 퍼지량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퍼지조건을 만족하고, 엔진의 부압이 설정된 기준부압 미만인 경우 퍼지관로(21)에 배치되는 제2밸브(40)를 개방시켜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800으로 퍼지시키고, 포집관로(11)에 배치되는 제3밸브(50)를 폐쇄하여 연료탱크(10)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20)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하며, 캐니스터(20)에 대기의 압력이 충분하게 미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펌프(60)를 작동시켜 캐니스터(20)에 대기의 공기를 가압시킴으로써, 캐니스터(20)의 퍼지량을 높여준다.
상기 제어부(70)는 배기 매니폴더에 배치되는 산소센서(82)의 정보를 분석하여 공연비의 희박(Lean) 혹은 농후(Rich)를 판단하고, 공연비의 조건에 따라 캐니스터(20)의 퍼지량을 조절하여 에미션을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통해 차량의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하는 동작을 도 2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에서 엔진의 시동이 온을 유지하게 되면(S101) 제어부(70)는 수온센서(81)로부터 엔진의 블록 및 헤드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여(S102) 설정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03).
상기 설정온도를 엔진의 웜업을 판단하기 위한 냉각수의 온도 조건으로 예를 들어 85℃로 설정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 S103의 판단에서 제어부(70)에 검출되는 수온센서(81)의 정보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제어부(70)는 엔진의 웜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S102의 과정으로 리턴되어 엔진이 충분한 웜업이 이루어지기까지 반복한다.
상기 S103의 판단에서 제어부(70)에 검출되는 수온센서(81)의 정보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어부(70)는 엔진의 웜업이 충분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퍼지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04).
상기 퍼지조건은 연료학습을 실행하지 않고, OBD진단을 실행하지 않으며 수온센서(81)에서 검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이고,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농도가 설정된 일정수준 이상인 조건을 의미한다.
상기 S104의 판단에서 제어부(70)가 퍼지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태로 판단하면 제어부(70)는 캐니스터(20)의 대기관로에 배치되는 제1밸브(30)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연료탱크(10)와 캐니스터(20)를 연결하는 퍼지관로(11)에 배치되는 제3밸브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연료탱크(11)의 증발가스를 캐니스터(20)에 포집하며, 엔진의 흡기 시스템(80)와 캐니스터(20)를 연결하는 퍼지관로(21)에 배치되는 제2밸브(40)를 폐쇄하여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가 엔진의 흡기 시스템(8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증발가스의 퍼지가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S105).
즉, 상기 제어부(70)는 퍼지조건이 아닌 일반 운전조건에서 연료탱크(10)의 증발가스를 캐니스터(20)에 포집한다.
그러나, 상기 S104의 판단에서 제어부(70)가 퍼지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연료탱크(10)의 압력을 검출하여(S106) 증발가스에 의한 연료탱크(10)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을 유지하는지 판단한다(S107).
상기 S107의 판단에서 연료탱크(10)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을 유지하는 상태이면 연료탱크(10)와 캐니스터(20)를 연결하는 포집관로(11)에 배치되는 제3밸브(50)를 일정시간 개방시켜(S108), 연료탱크(10)에 있는 증발가스를 캐니스터(20)로 퍼지시켜 포집한 다음 상기 S106의 과정으로 리턴한다(S109).
상기 S107의 판단에서 연료탱크(10)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 미만이면 엔진의 흡기 시스템(80)와 캐니스터(20)를 연결하는 퍼지관로(21)에 배치되는 제2밸브(40)를 개방하여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퍼지시킨다.
이때, 퍼지량을 산소센서(82)로부터 검출되는 공연비의 희박 혹은 농후의 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퍼지가 실행되면 제어부(70)는 연료탱크(10)와 캐니스터(20)를 연결하는 포집관로(11)에 배치되는 제3밸브(50)를 폐쇄하여 연료탱크(10)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20)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퍼지량을 극대화한다(S111).
또한, 제어부(70)는 상기와 같이 캐니스터(20)의 퍼지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대기압과 엔진의 부압을 검출하여 대기압과 엔진 부압의 차가 설정된 기준압력(C) 미만, 즉 엔진의 부압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12).
예를 들어, 엔진의 부압이 대기압 보다 작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S112의 판단에서 엔진의 부압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면 대기관로에 배치되는 펌프(60)를 작동시켜(S113) 대기의 공기를 캐니스터(20)에 가압함으로써, 캐니스터(20)의 퍼지량을 극대화한다(S114).
또한,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주행모드에 따라 엔진이 시동 오프를 유지하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농도가 일정수준을 초과하는 퍼지조건이면 제2밸브(40)를 개방하고, 제3밸브(50)를 폐쇄한 상태에서 캐니스터(20)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하는 과정에서 배기관로에 배치되는 펌프(60)를 작동시켜 대기의 공기를 캐니스터(20)에 가압함으로써, 캐니스터(20)의 퍼지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동작은 캐니스터(20)의 퍼지조건에서 반복적으로 실행되어 퍼지량을 극대화함으로써, 에미션 안정화와 증발가스의 대기누출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연료탱크 20 : 캐니스터
30 : 제1밸브 40 : 제2밸브
50 : 제3밸브 60 : 펌프
70 : 제어부 80 : 흡기 시스템

Claims (6)

  1.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
    캐니스터의 대기관로에 배치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밸브;
    캐니스터와 엔진 흡기 시스템을 연결하는 퍼지관로에 배치되어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퍼지시키는 제2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탱크와 캐니스터를 연결하는 포집관로에 배치되어 캐니스터의 증발가스 포집을 단속하는 제3밸브;
    상기 캐니스터의 대기관로에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캐니스터에 가압하는 펌프;
    퍼지조건에서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에 포집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지조건에서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에 포집되는 것을 차단하며, 엔진 부압이 기준 부압 미만이면 펌프를 작동시켜 캐니스터에 외부 공기를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지조건에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제3밸브를 일정시간 개방시켜 증발가스를 캐니스터로 퍼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4. 시동 온 상태에서 캐니스터의 퍼지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캐니스터 퍼지조건이 아니면 퍼지관로의 제2밸브를 폐쇄하고, 포집관로의 제3밸브를 개방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캐니스터에 포집하는 과정;
    캐니스터 퍼지조건이면 퍼지관로의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포집관로의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퍼지조건에서 퍼지관로의 제2밸브를 개방하여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 시스템으로 퍼지시키고, 포집관로의 제3밸브를 폐쇄하여 연료탱크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퍼지되는 것을 차단하며, 엔진의 부압이 기준압력 미만이면 대기관로의 펌프를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를 캐니스터에 가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퍼지조건에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면 설정시간 동안 제3밸브를 개방시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캐니스터로 퍼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방법.
KR1020110056502A 2011-06-10 2011-06-10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 KR20120137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502A KR20120137149A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502A KR20120137149A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149A true KR20120137149A (ko) 2012-12-20

Family

ID=4790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502A KR20120137149A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1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144A (ko) * 2018-11-05 202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
KR20200073839A (ko) * 2018-12-14 2020-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증기 듀얼 퍼지 시스템이 적용된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1030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밀폐형 퍼지시스템, 및 그것의 증발가스 흡착 질량 및 농도 예측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144A (ko) * 2018-11-05 202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
KR20200073839A (ko) * 2018-12-14 2020-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증기 듀얼 퍼지 시스템이 적용된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1030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밀폐형 퍼지시스템, 및 그것의 증발가스 흡착 질량 및 농도 예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1054B2 (en) Fuel system diagnostics
US9086040B2 (en) Fuel system degradation test using two fuel tanks
JP539433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漏れ診断装置
US7107759B2 (en) Apparatus for reducing hydrocarbon emiss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417369B1 (ko) 능동형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N104033258A (zh) 用于egr的进气空气氧补偿
US98227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vapor canister purge
JP2011252466A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ストップ時のパージ装置
US10481043B2 (en) Method for small leak testing of an evaporative emissions system
JP2007092589A (ja) 蒸発燃料処理システムのリーク診断装置
US10927794B2 (en) Active canister purge system and diagnostic method thereof
JP2005036759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10205296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 누설 진단 방법
KR20120137149A (ko)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장치 및 방법
US20200217262A1 (en) Engine system
JP2020037924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101807007B1 (ko) 차량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US20200271065A1 (en)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Purge Gas
US20230043915A1 (en) Leakage Detector
US20220185101A1 (en) Purge system of fuel vapor and method thereof
JP4715426B2 (ja) 蒸発燃料処理システムのリーク診断装置
US11149670B2 (en) Exhaust purification system
JP3937258B2 (ja) エバポ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JP3334487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KR20190083557A (ko) 차량용 연료 시스템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