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103A - 호환 가능한 안경 - Google Patents

호환 가능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103A
KR20120137103A KR1020110056429A KR20110056429A KR20120137103A KR 20120137103 A KR20120137103 A KR 20120137103A KR 1020110056429 A KR1020110056429 A KR 1020110056429A KR 20110056429 A KR20110056429 A KR 20110056429A KR 20120137103 A KR20120137103 A KR 2012013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clip
clip member
hin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혜종
Original Assignee
안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혜종 filed Critical 안혜종
Priority to KR102011005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103A/ko
Publication of KR2012013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를 수용하는 한 쌍의 림(rim)을 가지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좌우 양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안경 다리와, 상기 안경테 림의 림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코받침 및 상기 코받침이 탈거되고 그 위치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안경테에 안경 다리, 코받침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존 안경으로 사용되며, 상기 안경테에서 안경 다리, 코받침이 탈거된 후, 상기 코받침이 탈거된 위치에 클립을 장착시켜 상기 안경테를 상기 클립에 의해 별도의 다른 안경에 장착하면 보조 안경으로 사용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안경을 다양한 방식으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기능을 갖는 안경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경 유지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호환 가능한 안경{COMPATIBLE EYEGLASSES}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별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다른 안경에 취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호환 가능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 회복을 위하거나,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거나, 선글라스 등과 같이 패션의 일방편으로 매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던 이러한 안경들은 일반적으로,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렌즈 고정구를 가지는 림(rim)을 포함하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양단에서 조립되어 사용자의 귓바퀴에 취부하기 위한 안경 다리(temple) 및 상기 안경테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코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코 받침을 포함한다.
한편, 최근에는 영상 산업을 발달로 3D 영상이 재생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촬상 센서로 동시에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피사체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입체 화면을 감상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별도의 3D 영상 감상용 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자들은 3D 영상 재생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3D 영상 감상용 안경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자들은 상술한 3D 영상 재생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다수개의 3D 영상 감상용 안경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두부에 맞도록 다양한 크기의 3D 영상 감상용 안경과, 시력 보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를 위한 클립-온(clip-on) 타입 안경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클립-온 타입 안경은 별도의 안경 다리가 없으며 시력 보정용 안경에 클립 타입으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의 시력 보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에게도 편리하게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다수개의 3D 영상 감상용 안경과 별도로 클립 온 타입 안경을 제공하면 입체 안경 제조자들의 입장에서는 비용이 증가하게되며, 소비자 입장에서도 이렇게 별도로 추가된 클립-타입 안경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입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력 보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기존의 3D 영상 감상용 안경 이외에 별도의 클립-온 타입 안경을 관리해야하므로 분실의 위험성이 높으며 사용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능성 안경을 변형시켜 기 착용하고 있는 시력 보정용 안경 등에 호환 가능하게 적용시킴으로써 안경의 유지 비용이 절감되도록 구현되는 호환 가능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던 3D 영상 감상용 안경을 변형하여 간단히 시력 보정용 안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환 가능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력 보정용 안경에 적용하기 위한 3D 영상 감상용 안경을 배제시켜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구현되는 호환 가능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던 3D 영상 감상용 안경을 변형시켜 기 착용하고 있는 시력 보정용 안경에 적용시킴으로써 시력 보정용 안경을 위한 별도의 3D 영상 감상용 안경을 배제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호환 가능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안경에 있어서, 렌즈를 수용하는 한 쌍의 림(rim)을 가지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좌우 양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안경 다리와, 상기 안경테 림의 림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코받침 및 상기 코받침이 탈거되고 그 위치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안경테에 안경 다리, 코받침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존 안경으로 사용되며, 상기 안경테에서 안경 다리, 코받침이 탈거된 후, 상기 코받침이 탈거된 위치에 클립을 장착시켜 상기 안경테를 상기 클립에 의해 별도의 다른 안경에 장착하면 보조 안경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클립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편이 몸체에서 돌출 설치되는 제1클립 부재와, 상기 제1클립 부재와 힌지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힌지편이 몸체에서 돌출 설치되는 제2클립 부재와, 상기 제1클립 부재와 제2클립 부재가 힌지 결합되었을 때, 각 클립 부재의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이 항상 오므려지도록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 및 상기 제1클립 부재 또는 제2클립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의 몸체에 적용되며, 상기 안경테의 림 연결부에 형성된 코받침 설치홈에 착탈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장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클립 부재와 상기 제2클립 부재는 상기 제1클립 부재의 힌지편에 형성된 힌지 구멍에 상기 제2클립 부재의 힌지편에 돌출 형성된 힌지 돌기가 힌지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힌지 스프링은 상기 제1클립 부재와 제2클립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각 클립 부재의 하측이 서로 오므려지려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클립 부재와 상기 제2클립 부재 사이에는 완충 부재를 더 설치하되,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클립 부재의 하측 내면과 함께 유동하도록 고정되는 제1클립 부재 고정편과, 상기 제2클립 부재의 하측 내면과 함게 유동하도록 고정되는 제2클립 부재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에 의해 안경테를 별도의 다른 안경의 안경테에 장착시킬 때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별도의 다른 안경의 안경테에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2클립 부재의 몸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돌기 고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 부재의 제1, 2클립 부재 고정편에는 단부의 직경이 더 큰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돌기 고정 구멍에 관통후 상기 고정 돌기의 더 큰 직경을 갖는 단부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안경은 3D 영상 감상용 안경이며, 상기 별도의 안경은 사용자가 기존에 취부하고 있는 시력 보정용 안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영상 감상용 안경 등과 같은 기능성 안경을 변형시켜 기 착용하고 있는 시력 보정용 안경 등에 호환 가능하게 적용시킴으로써 시력 보정용 안경 착용자가 기능성 안경을 시력에 맞추어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경의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 가능한 안경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호환 가능한 안경에 적용되는 클립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호환 가능한 안경에 클립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호환 가능한 안경에 장착된 클립에 시력 보정용 안경이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5는 도 1의 호환 가능한 안경에 장착된 클립에 의해 시력 보정용 안경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서는 3D 영상 감상용 안경에 대하여 도시하고 이에 적용되는 클립 및 클립에 고정되는 시력 보정용 안경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선글라스 등 다양한 안경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 가능한 안경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a)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1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경(10)은 일반 안경 처럼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안경(10)은 3D 영상 감상용 안경, 선그라스 등 다양한 안경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10)은 렌즈 장착구를 가지는 한 쌍의 연장 형성된 림(rim)(21)으로 구성되는 안경테(20)와, 안경테(20)의 양단에 설치되며 단독으로 사용될 때 사용자의 귓바퀴에 취부되는 안경 다리(temple)(30)와, 안경테(20)의 중앙에서 돌출 설치되어 사용자의 코에 취부되는 코받침(40) 및 안경테(20)의 탈거된 코받침의 장착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50)을 포함한다.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 다리(30)는 안경테(20)의 양단에 형성된 안경 다리 설치홈(22)에 안경 다리(30)의 장착 단부(31)를 장착시킴으로써 설치된다. 안경 다리(30)는 안경 다리 설치홈(22)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안경 다리 설치홈(22)과 안경 다리의 장착 단부(31)는 상호 공지의 후크 걸림 구조 또는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안경 다리(30)는 안경테(20)의 안경 다리 설치홈(22)에 설치 후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만 안경테(20)에서 분리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받침(40) 역시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에 형성된 코받침 설치홈(24)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 된다. 코받침(40)과 코받침 설치홈(24)은 역시 공지의 후크 형상을 갖는 걸림 구조 또는 요철 구조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코받침(40)은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의 코받침 설치홈(24)에 설치 후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만 안경테(20)에서 분리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20)에서 안경 다리(30)와 코받침(40)을 제거하고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에 클립(50)을 적용시키는 상태이며, (e)는 클립(50)이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에 형성되는 코받침 설치홈(24)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후술되겠지만 (e)와 같은 상태에서는 안경(10)이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다른, 예를 들면 시력 보정용 안경에 후술될 클립(50)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호환 가능한 안경에 적용되는 클립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클립(50)은 제1클립 부재(51)와 제2클립 부재(52)가 힌지 스프링(53)에 의해 집게 형태로 힌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제1클립 부재(51)는 길이를 갖는 몸체(511)와, 몸체(511)의 중앙 부분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편(512)을 포함한다. 제1클립 부재(51)의 힌지편(512)에는 힌지 구멍(513)이 형성된다. 몸체(511)의 힌지편(512)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조작 단부(514)가 형성되며, 하측으로 고정 단부(515)가 형성된다. 고정 단부(515)의 외측으로는 장착 돌기(517)가 돌출 형성된다. 장착 돌기(517)는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에 형성된 코받침 설치홈(24)에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제2클립 부재(52)는 길이를 갖는 몸체(521)와, 몸체(521)의 중앙 부분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편(522)을 포함한다. 제2클립 부재(52)의 힌지편(522)에는 힌지 돌기(523)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1클립 부재(51)의 힌지편(512)에 형성된 힌지 구멍(513)에 제2클립 부재(52)의 힌지편(522)에 형성된 힌지 돌기(523)가 힌지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클립(50)이 완성된다.
힌지 스프링(53)은 제1클립 부재(51)와 제2클립 부재(52) 사이에 설치된다. 힌지 스프링(53)은 제1클립 부재(51)의 고정 단부(515)와 제2클립 부재(52)의 고정 단부(525)가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된다. 힌지 스프링(53)으로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이 바람직하다. 힌지 스프링(53)의 제1단부(531)는 제1클립 부재(51)의 조작 단부(514)의 내측면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힌지 스프링(53)의 제2단부(532)는 제2클립 부재(52)의 조작 단부(524)의 내측면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두 클립 부재(51, 52)의 힌지편(512, 522)을 힌지축으로 하여 조작 단부들(514,524)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려하며, 이와 반대로 고정 단부들(515, 525)은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받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조립된 클립(50)의 제1클립 부재(51)의 조작 단부(514)와 제2클립 부재(52)의 조작 단부(524)를 마주잡고 오므리게 되면 제1클립 부재(51)의 고정 단부(515)와 제2클립 부재(52)의 고정 단부(525)는 서로 벌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 힌지 스프링(53)은 제1클립 부재(51)의 고정 단부(515)와 제2클립 부재(52)의 고정 단부(525)가 서로 오므려지려고 하는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클립(50)의 제1클립 부재(51)와 제2클립 부재(52) 사이에는 완충 부재(54)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부재(54)는 'U'자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제1클립 부재 고정편(541)으로, 타단은 제2클립 부재 고정편(543)으로 사용된다. 또한, 제1클립 부재 고정편(541)은 제1클립 부재(51)의 고정 단부(515)와 함께 유동되며, 제2클립 부재 고정편(543)은 제2클립 부재(52)의 고정 단부(525)와 함께 유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54)는 클립(50)이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에 설치된 후 별도의 다른 안경의 안경테에 장착될 때, 이 안경테의 클립 결합 부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되는 접촉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완충 부재(54)는 러버, 실리콘, 우레탄 등 인체에 무해한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 부재(54)의 제1클립 부재 고정편(541)의 외측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542)가 돌출 형성되어 제1클립 부재(51)의 고정 단부(516)에 형성된 돌기 고정 구멍(516)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클립 부재 고정편(541)에 형성된 고정 돌기(542)는 단부가 좀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돌기 고정 구멍(516)에 끼워진 후 좀 더 큰 직경을 갖는 고정 돌기(542)의 단부가 돌기 고정 구멍(516)을 관통 후 다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역시, 완충 부재(54)의 제2클립 부재 고정편(543)의 외측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544)가 돌출 형성되어 제1클립 부재(51)의 고정 단부(525)에 형성된 돌기 고정 구멍(526)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2클립 부재 고정편(543)의 고정 돌기(544)는 단부가 좀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돌기 고정 구멍(526)에 끼워진 후 좀 더 큰 직경을 갖는 고정 돌기(544)의 단부가 돌기 고정 구멍(526)을 관통 후 다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완충 부재(54)의 제1클립 부재 고정편(541)과 제2클립 부재 고정편(543)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별도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제1클립 부재 고정편(541)과 제2클립 부재 고정편(543)은 제1클립 부재(51)의 고정 단부(515)와 제2클립 부재(52)의 고정 단부(525)에 장착되었을 때, 완충 부재(54)가 별도로 적용되는 안경의 안경테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호환 가능한 안경에 클립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에 형성된 코받침 설치홈(24)에 클립(50)이 장착된다. 클립(50)은 제1클립 부재(51)의 몸체(511)에서 돌출 형성된 장착 돌기(517)가 림 연결부(23)의 코받침 설치홈(24)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역시, 클립(50)의 장착 돌기(517)는 안경테(20)의 코받침 설치홈(24)에 설치된 후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만 안경테(20)에서 분리될 수 있는 후크형 걸림 구조, 스냅 핏(snap-fit) 결합 구조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호환 가능한 안경에 장착된 클립에 시력 보정용 안경이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호환 가능한 안경에 장착된 클립에 의해 시력 보정용 안경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환 가능한 안경의 사용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10)은 안경테(20)의 좌우 측면에 안경 다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림 연결부(23)에 코받침(4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안경(10)을 사용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안경(10)은 3D 영상 감상을 위한 3D 영상 감상용 안경일 수 있으며, 선글라스 또는 편광 안경 등 다양한 안경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안경(10)을 시력 보정용 안경(도 4의 60)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경우, 우선 안경테(20)에서 두 개의 안경 다리(30)를 도 1의 (b)와 같이 분리한다. 그후,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에 설치되어 있는 코받침(40) 역시 도 1의 (c)와 같이 분리한다. 앞서 기술하였지만, 안경 다리(30)와 코받침(40)은 사용자의 외압 없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고정되어 있다.
그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20)의 림 연결부(23)에 형성된 코받침 설치홈(24)에 클립(50)을 장착한다. 즉, 클립(50)의 제1클립 부재(51) 몸체(511)의 고정 단부(515)에 돌출 형성된 장착 돌기(517)가 림 연결부(23)의 코받침 설치홈(24)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클립(50)의 장착 돌기(517)는 안경테(20)의 코받침 설치홈(24)에 설치 후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만 안경테(2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장착 된다.
그후,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10)의 안경테(20)에 고정된 클립(50)을 이용하여 별도의 시력 보정용 안경(60)에 고정시킨다. 즉, 클립(50)의 클립 부재들(51, 52)에 각각 형성된 조작 단부(514, 524)를 잡고 오므리면 하측의 고정 단부들(515, 525)이 상호 외측으로 벌어지며, 그 사이로 시력 보정용 안경(60)의 림 연결부(63)를 삽입한다. 그후, 조작 단부(514, 524)에서 손을 떼면 클립 부재들(51, 52)에 형성된 고정 단부들(515, 525)이 서로 오므려지려는 가압력에 의해 결과적으로 클립(50)이 시력 보정용 안경(60)의 림 연결부(63)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안경테(20)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시력 보정용 안경(60)의 림 연결부(63)설치되되, 클립이 림 연결부에 걸리는 방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한 쌍의 클립 부재(51, 52)가 직접 시력 보정용 안경(60)의 림 연결부(63)에 접촉하는 것은 아니며, 제1, 2클립 부재(51, 52) 사이에 설치된 완충 부재(54)가 림 연결부(63)에 접촉되기 때문에 힌지 스프링(53)의 가압력에 따른 시력 보정용 안경(6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경테(20)를 별도의 시력 보정용 안경(60)에 부착하여 사용하다가 다시 원래의 안경(10)으로 사용할 경우, 상술한 설명의 역순으로 클립(50)을 안경테(20)에서 탈거하고, 클립(50)이 제거된 안경테(20)의 코받침 설치홈(23)에 코받침(40)을 끼우고, 안경테(20)의 양측면에 안경 다리(30)를 다시 장착하면 다른 안경을 위한 구성이 아닌,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안경으로 시력 보정용 안경을 기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별도의 안경으로는 시력 보정용 안경이 아닌 일반 패션 안경 등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3D 영상 감상용 안경이 아닌 편광 안경 등 다양한 용도의 안경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0: 안경 20: 안경테
21: 림(rim) 22: 안경 다리 설치홈
23: 림 연결부 24: 코받침 설치홈
30: 안경 다리 31: 장착 단부
40: 코받침 50: 클립
51: 제1클립 부재 52: 제2클립 부재
53: 힌지 스프링 54: 완충 부재
60: 시력 보정용 안경 63: 림 연결부
511: (제1클립 부재)몸체 512: (제1클립 부재)힌지편
513: (제1클립 부재)힌지 구멍 514: (제1클립 부재)조작 단부
515: (제1클립 부재)고정 단부 516: (제1클립 부재)돌기 고정 구멍
517: 장착 돌기 521: (제2클립 부재)몸체
522: (제2클립 부재)힌지편 523: (제2클립 부재)힌지 돌기
524: (제2클립 부재)조작 단부 525: (제2클립 부재)고정 단부
526: (제2클립 부재)돌기 고정 구멍

Claims (5)

  1. 안경에 있어서,
    렌즈를 수용하는 한 쌍의 림(rim)을 가지는 안경테;
    상기 안경테의 좌우 양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안경 다리;
    상기 안경테 림의 림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코받침; 및
    상기 코받침이 탈거되고 그 위치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안경테에 안경 다리, 코받침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존 안경으로 사용되며,
    상기 안경테에서 안경 다리, 코받침이 탈거된 후, 상기 코받침이 탈거된 위치에 클립을 장착시켜 상기 안경테를 상기 클립에 의해 별도의 다른 안경에 장착하면 보조 안경으로 사용되는
    호환 가능한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편이 몸체에서 돌출 설치되는 제1클립 부재;
    상기 제1클립 부재와 힌지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힌지편이 몸체에서 돌출 설치되는 제2클립 부재;
    상기 제1클립 부재와 제2클립 부재가 힌지 결합되었을 때, 각 클립 부재의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이 항상 오므려지도록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 및
    상기 제1클립 부재 또는 제2클립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의 몸체에 적용되며, 상기 안경테의 림 연결부에 형성된 코받침 설치홈에 착탈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장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클립 부재와 상기 제2클립 부재는 상기 제1클립 부재의 힌지편에 형성된 힌지 구멍에 상기 제2클립 부재의 힌지편에 돌출 형성된 힌지 돌기가 힌지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힌지 스프링은 상기 제1클립 부재와 제2클립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각 클립 부재의 하측이 서로 오므려지려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는
    호환 가능한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립 부재와 상기 제2클립 부재 사이에는 완충 부재를 더 설치하되,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클립 부재의 하측 내면과 함께 유동하도록 고정되는 제1클립 부재 고정편과,
    상기 제2클립 부재의 하측 내면과 함게 유동하도록 고정되는 제2클립 부재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에 의해 안경테를 별도의 다른 안경의 안경테에 장착시킬 때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별도의 다른 안경의 안경테에 접촉하도록 하는
    호환 가능한 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클립 부재의 몸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돌기 고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 부재의 제1, 2클립 부재 고정편에는 단부의 직경이 더 큰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돌기 고정 구멍에 관통후 상기 고정 돌기의 더 큰 직경을 갖는 단부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호환 가능한 안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은 3D 영상 감상용 안경이며, 상기 별도의 안경은 사용자가 기존에 취부하고 있는 시력 보정용 안경이 적용되는
    호환 가능한 안경.
KR1020110056429A 2011-06-10 2011-06-10 호환 가능한 안경 KR20120137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429A KR20120137103A (ko) 2011-06-10 2011-06-10 호환 가능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429A KR20120137103A (ko) 2011-06-10 2011-06-10 호환 가능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103A true KR20120137103A (ko) 2012-12-20

Family

ID=4790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429A KR20120137103A (ko) 2011-06-10 2011-06-10 호환 가능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1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70396U (zh) 一种智能运动眼镜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US20180045977A1 (en) Bridgeless glasses
JP3179613U (ja) 組み立てが容易でありながら、取り外し可能な眼鏡フレームを備える3d用眼鏡
KR101420774B1 (ko) 분리형 다기능 안경
KR20120100577A (ko) 렌즈교체형 안경
JP3236897U (ja) レンズ交換可能なメガネ
WO2020024672A1 (zh) 一种具有防汗功能的眼镜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CN218213648U (zh) 一种眼镜
KR20110002454A (ko) 목걸이용 안경테
KR20120137103A (ko) 호환 가능한 안경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CN211528832U (zh) 一种镜腿一体式半框眼镜
KR20170123737A (ko) 탈착식 선글라스가 구비된 안경
KR101547963B1 (ko) 조립식 안경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JP3179031U (ja) 眼鏡類
KR20210052832A (ko) 안경 착용자를 위한 마스크 착용 보조 시스템
CN216351597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眼镜
CN204155014U (zh) 一种利于匹配纠正度数的镜腿结构
CN211528834U (zh) 一种镜腿一体式全框眼镜
KR101374129B1 (ko) 안경용 렌즈 프레임 탈착구조
KR101488791B1 (ko) 클립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