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652A -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652A
KR20120134652A KR1020110053724A KR20110053724A KR20120134652A KR 20120134652 A KR20120134652 A KR 20120134652A KR 1020110053724 A KR1020110053724 A KR 1020110053724A KR 20110053724 A KR20110053724 A KR 20110053724A KR 20120134652 A KR20120134652 A KR 20120134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wer housing
groove
connecto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삼열
Original Assignee
유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열 filed Critical 유삼열
Priority to KR102011005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652A/ko
Publication of KR20120134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강도 및 내마모성을 증진시키고 접지가 용이하도록 커넥터 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하부 하우징이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하우징; 및 통신기기간의 신호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하우징은 SUS 재질이며, 하부 하우징 측면 일정부위에 홈이 형성되어 회로기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단자의 납땜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된 결합부재가 결합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접지구조를 갖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Printed cable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신호선 및 접지선을 갖는 실드케이블의 접속에 이용되고, 용도에 따라 신호의 고속전송을 가능토록 하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커넥터로부터 외부로 발생되는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강도 및 내마모성을 증진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회로동작의 정확성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전자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는 전기기기에 대한 충전 혹은 양 기기사이에 개재되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일반적인 전기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휴대폰 등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기기에도 사용되는 것이므로 동작의 정확성은 물론 내구성도 함께 지녀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커넥터는 전기회로가 구성된 기판을 내부에 내장하고 기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에 커버되는 케이스(하우징)를 황동 등의 재질로 제조함으로서 전자파 차폐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동작의 정확성을 위한 수단인 기판으로부터 인출된 접지선을 황동 재질의 하우징에 납땜 접지하는 것이 어려운 일은 아니나 황동 재질의 하우징의 강도가 만족스럽지 않아 커넥터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구체적인 실드 케이블의 전기 커넥터의 예로써, 도전성을 갖는 관형상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의 내부에 수용된 절연성을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구비하고, 신호단자에 실드케이블의 신호선을, 접지단자에 실드케이블의 접지선을 각각 접지하도록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모두 외부도체에 절연부를 몰드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유지하고 있는바, 이 전기커넥터에서는 접지단자의 외부도체에의 접속은 하우징에 있어서 접지단자를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형성한 홈에 외부도체를 노출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여기서 접지단자를 외부도체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전기커넥터는 모두 접지단자를 외부도체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양자를 접속하므로 진동이나 그 외의 요인으로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면 임피던스 특성이 변동하고, 예를 들어 신호의 고속전송을 안정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하우징을 SUS 재질로 제조하여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강도 및 내마모성을 증진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US 재질이 납땜이 불가능한 재질임을 감안하여 납땜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된 부재가 하우징의 극히 일부분에 한해 결합되도록 하우징 구조를 개선하여 접지단자의 납땜이 용이하도록 한 개선된 접지구조를 갖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는, 상하부 하우징이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구조가 형성되고, 측면에 홈이 형성된 SUS 재질의 하우징; 및 통신기기간의 신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홈은 회로기판에 구성된 접지단자의 납땜이 가능한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재는 하부 하우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며, 하부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하부 하우징의 다른 홈에 삽입되어 회로기판의 접지단자가 납땜되는 삽입부와, 상기 홈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재는 하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 결합되며, 하부 하우징의 홈을 통해 외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하부 하우징의 다른 홈을 통해 외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홈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돌기와, 회로기판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단자가 납땜되는 납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첫째, 커넥터 하우징의 재질을 SUS로 하여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강도 및 내마모성을 증진시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둘째, 납땜이 불가능한 SUS 재질로 제조된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하여 접지단자의 하우징에 대한 접지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임피던스 특성을 얻을 수 있어 신호의 고속전송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등 회로동작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도.
도 3은 결합부재의 예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부재에 납땜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에서 하우징의 폭이 다른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하부 하우징의 홈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도, 도 3은 결합부재의 예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부재에 납땜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에서 하우징의 폭이 다른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도전성을 가지고 분리 제조된 상하부 하우징(11)(12)이 서로 맞물려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되는 하우징(10)과,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사출성형이 가능한 형태로 상부 하우징(11)이 하부 하우징(12)을 커버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부 하우징(11)에 형성된 홈(11a)(11b)을 통해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된 돌기(12a)(12b)가 외측으로 결합되어 돌출됨으로써 맞물려 고정되는 형태로 SUS 재질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하부 하우징(11)(12)이 서로 맞물려 통신기기(도시 생략)의 접속단자가 연결접속되도록 하는 홀(13)이 형성되며, 타측은 다른 통신기기(도시 생략) 또는 전원기기와 연결되도록 상하부 하우징(11)(12)이 서로 맞물려 일정형상의 홀(15)(1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통신기기들은 접속단자를 통해 본 발명의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회로기판(20)을 통한 전원충전 혹은 신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2)의 측면에 일정형상의 홈(30)(3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된 홈(30)(31)은 후술하는 결합부재의 양단부가 삽입될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그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10)이 강도 및 내마모성 증진을 위해 SUS 재질로 제조되는 반면에, 이러한 SUS 재질은 납땜이 불가능함을 고려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납땜이 가능한 재질로 제도된 부재(40)를 삽입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결합부재(40)는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된 홈(30)(31)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부분(41)(42)과, 하부 하우징(12)에 대한 결합 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돌기(43)와, 하부 하우징(12)에 대한 결합부재(40)의 결합방법을 달리할 경우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단자의 납땜부분으로 제공되는 납땜부(44)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40)의 하부 하우징(12)에 대한 결합은 부재(40)의 삽입부(42)를 하부 하우징(12)의 홈(31)에 삽입하고, 부재(40)의 삽입부(41)를 하부하우징(12)의 홈(30)에 삽입하면 된다. 이때 부재(40)의 삽입부(41)의 홈(30)에 대한 결합은 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돌기(43)가 홈(30)에 삽입된 후 원상태로 복귀됨으로써 돌기(43)가 홈(30)의 인접면(하부하우징(12)의 내측면)에 걸려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부(42) 역시 홈(31)에 삽입된 후 홈(31)의 인접면(하부하우징(12)의 내측면)에 길게 연장 배치되어 상기 돌기(43)와 함께 부재(40)의 하부 하우징(1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상태는 부재(40)의 삽입부(41)(42) 및 돌기(43)는 하부 하우징(1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부분(4)은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고장이 나서 납땜을 다시 해야 할 경우 부분(44)을 잡고 부재(40)를 하부 하우징(12)으로부터 떼어내듯이 분리하면 된다. 이러한 결합의 경우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단자(50)는 하부 하우징(12)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부(42)에 납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부재(40)의 하부 하우징(12)의 홈(30)(31)에 대한 결합이 상기에서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에서 외측으로, 즉 부재(40)의 삽입부(42)를 하부 하우징(12)의 내측에서 홈(31)을 통해 외측으로 삽입하고 삽입부(41)를 홈(30)을 통해 외측으로 삽입하는 방법으로 하여도 된다. 이때 부재(40)의 삽입부(41)의 홈(30)에 대한 결합은 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돌기(43)가 홈(30)을 통해 하부 하우징(12)의 외측으로 삽입된 후 원상태로 복귀됨으로써 돌기(43)가 홈(30)의 인접면(하부하우징(12)의 외측면)에 걸려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부(42) 역시 홈(31)에 삽입된 후 홈(31)의 인접면(하부하우징(12)의 외측면)에 길게 연장 배치되므로 상기 돌기(43)와 함께 부재(40)의 하부 하우징(1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의 경우 하우징의 내측에는 부재(40)의 부분(납땜부)(44)가 위치하게 되므로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단자(50)가 이 납땜부(44)에 납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20)은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를 구비한 전기회로로 구성되는바, 신호의 정확한 전송 및 고속전송을 위해서는 접지가 필수적인바 종래에는 황동재질의 하우징을 사용하여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단자를 하우징의 임의부분에 납땜하였으나, 본 발명은 황동재질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SUS 재질의 하우징을 제조하되, 납땜이 불가능한 점을 고려하여 극히 일부분에만 납땜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된 부재를 결합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하우징(10)에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12)의 홈(30)은 하우징의 재질을 SUS 재질로 바꾸어 강도 및 내마모성 증진을 위한 목적을 감안하여 최소한의 면적에 대해서만 형성하며, 형상의 종류에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부 하우징(11)(12)은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길이방향 혹은 폭방향으로 크기가 달리 설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하부 하우징의 홈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하부 하우징(12)의 측면부위에 근접하도록 두 개의 홈(30)(31)을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40)의 삽입부(41)(42)를 상기 홈(30)(31)에 삽입하면 상기 삽입부(41)(42)가 하부 하우징(12)의 내측에 위치되어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단자(50)의 납땜부위로 제공되며, 이때 부재(40)의 결합부(45)는 하부 하우징(12)에 대한 조립시 대응되는 하부 하우징(12)의 위치가 약간 파이듯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 끼워지듯이 결합되어 하부 하우징(12)과 부재(40)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상부 하우징
11a, 11b : 홈 12 : 하부 하우징
12a, 12b : 돌기 20 : 회로기판
30, 31 : 홈 40 : 결합부재
41, 42 : 삽입부 43 : 돌기
44 : 납땜부 50 : 접지단자

Claims (4)

  1. 상하부 하우징(11)(12)이 각각에 형성된 홈(11a)(11b)과 돌기(12a)(12b)가 서로 맞물려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측면에 홈(30)(31)이 형성된 SUS 재질의 하우징(10); 및
    통신기기간의 신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된 홈(30)(31)은 회로기판(20)에 구성된 접지단자(50)의 납땜이 가능한 재질의 결합부재(4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접지구조를 갖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는 하부하우징(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결합되며, 하부하우징(12)의 홈(30)에 삽입되는 삽입부(41)와, 하부하우징(12)의 홈(31)에 삽입되어 회로기판(20)의 접지단자(21)가 납땜되는 삽입부(42)와, 상기 홈(30)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돌기(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는 하부하우징(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결합되며, 하부하우징(12)의 홈(30)을 통해 외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41)와, 하부하우징(12)의 홈(31)을 통해 외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42)와, 상기 홈(30)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돌기(43)와,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인출되는 접지단자(50)가 납땜되는 납땜부(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KR1020110053724A 2011-06-03 2011-06-03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KR20120134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24A KR20120134652A (ko) 2011-06-03 2011-06-03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24A KR20120134652A (ko) 2011-06-03 2011-06-03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652A true KR20120134652A (ko) 2012-12-12

Family

ID=4790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724A KR20120134652A (ko) 2011-06-03 2011-06-03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46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411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JP3153260U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170015126A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JP4825071B2 (ja) 同軸ケーブルのシールド処理構造及び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CN103427238A (zh) 连接器装置
JP7324038B2 (ja) コネクタ
US2013033768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 function
TWM484822U (zh) 高密度纜線終端連接器
US1174994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terminals and shielding ground terminals around signal terminals
US20190190208A1 (en) Electric connector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KR101958096B1 (ko) 클램핑력을 인가하고 임피던스 불연속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두 세트의 클램핑 판을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
US9553412B2 (en) Electronic connector
US20150031246A1 (en) C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sulative enclosing body with an opening
KR20110041980A (ko) 실드 커버, 실드 케이스 및 기판 모듈
KR20100068002A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TWM517932U (zh) 連續接地改善串音的高頻連接器
JP200731755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111082242A (zh) 一种连接器、电路板及通信设备
JP2008097875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5018714A (ja) コネクタ
CN113725664A (zh) 可滑动地插入插座连接器的插头连接器
US11239611B2 (en) Cable assembly with dielectric clamshell connector for impedance control
US11075488B2 (en) Impedance control connector with dielectric seperator rib
KR20120134652A (ko)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