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477A -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477A
KR20120134477A KR1020110053393A KR20110053393A KR20120134477A KR 20120134477 A KR20120134477 A KR 20120134477A KR 1020110053393 A KR1020110053393 A KR 1020110053393A KR 20110053393 A KR20110053393 A KR 20110053393A KR 20120134477 A KR20120134477 A KR 20120134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ulse
pulsation
layer
p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390B1 (ko
Inventor
김지현
정운상
조남현
정효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39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은, 생체의 소정 부위의 맥동을 촬영하는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과;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에서 촬영된 맥동 이미지를 추출 및 분석하여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동 추출 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은 광생체 단층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요골 동맥부를 촬영하고 신호처리를 통해 맥의 빠르기, 맥력, 맥박수 등의 맥진 데이터를 추출 및 정량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PULSE ANALYZING SYSTEM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ORIENTAL MEDICAL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생체 단층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요골 동맥부를 촬영하고 신호처리를 통해 맥의 빠르기, 맥력, 맥박수 등의 맥진 데이터를 추출 및 정량화하는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한의학에서 맥진기 시장이 웰빙이라는 사회적 분위기에 의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한의사들 역시 맥진 의료기기의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므로 시장성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에는 압력 센서, 광센서, 컨덴서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맥동부위의 동맥암, 국소혈류용적, 체표면의 요동을 측정하는 기구들이 사용되어 왔다. 압력센서의 경우 가장 널리 개발되고 있으나 전통맥진방법과의 차이로 큰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광센서나 임피던스 센서의 경우 심전도 측정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심혈관계 모니터링 용도로 쓰이고 있으나 측정위치, 측정방법 등에 의해 재현성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생체 단층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요골 동맥부를 촬영하고 신호처리를 통해 맥의 빠르기, 맥력, 맥박수 등의 맥진 데이터를 추출 및 정량화하는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은, 생체의 소정 부위의 맥동을 촬영하는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과;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에서 촬영된 맥동 이미지를 추출 및 분석하여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동 추출 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은 시간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 수단(Time domain-OCT) 또는 주파수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 수단(Frequency domain-OCT)를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맥동 추출 수단은, 상기 촬영된 맥동 이미지를 단층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단층 이미지에서 선택적으로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출력 크기에 따른 정규화 및 노이즈를 제거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정규화 및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를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하는 층 분리부와; 상기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된 이미지에서 피크치를 검출하여 맥 신호를 추출하는 피크 검출부와; 상기 피크 검출부에서 추출된 맥 신호를 정제하여 평균 맥 파형을 생성하는 맥파 생성부와; 상기 맥파 생성부에서 생성된 맥 파형에서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맥동 데이터는 맥파의 폭, 높이, 면적, 조직 밀도, 맥력 및 맥박의 수 등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층 분리부는 피크 깊이에 따라 부, 중, 침 맥 신호로 분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시간에 따른 M - 모드 또는 2차원 영상에 따른 B-모드 이미지인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방법은, 생체의 소정 부위의 맥동을 촬영하여 단층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단층 이미지에서 선택적으로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출력 크기에 따른 정규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이미지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를 피크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각 층별로 분리된 이미지에서 피크치를 검출하여 맥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맥 신호를 미분화하여 평균 맥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맥 파형에서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된 단층 이미지는 시간에 따른 M - 모드 또는 2차원 영상에 따른 B-모드 이미지인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하는 단계에서 피크 깊이에 따라 부, 중 및 침 맥 신호로 분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층별로 분리하는 단계에서 각 층 분리 후 각 층의 최대치를 검출하여 필터링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맥 파형에서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맥동 데이터는 맥파의 폭, 높이, 면적, 조직 밀도, 맥력 및 맥박의 수 등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은 광생체 단층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요골 동맥부를 촬영하고 신호처리를 통해 맥의 빠르기, 맥력, 맥박수 등의 맥진 데이터를 추출 및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광생체 단층 촬영 장치의 경우 샘플단의 렌즈에 따라 횡방향 해상도를 가변할 수 있어 최대 1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M-모드 촬영 맥 동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B-모드 촬영 맥동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에 대한 순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의 소정 부위의 맥동을 촬영하는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100)과,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100)에서 촬영된 맥동 이미지를 추출 및 분석하여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동 추출 수단(2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100)은 비접촉식으로 요골동맥부를 촬영하고 샘플단의 렌즈에 따라 횡방향 해상도를 가변할 수 있어 최대 1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맥동을 촬영할 경우 1차원, 2차원 및 3차원 실시간 촬영이 가능하여 고분해능으로 맥동표현이 가능하다. 즉,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1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시간에 따른 M - 모드 또는 2차원 영상에 따른 B-모드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해상도 공간 분해능을 가지는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100)은 시간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 수단(Time domain-OCT) 또는 주파수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 수단(Frequency domain-OCT)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100)은 광대역 광원과 점 주사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1개 이상의 스캐너가 필요하다.
상기 도 2의 시간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 수단(a)은,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광분배기에 의해 분기되어 기준 거울과 검사 대상으로 입사하게 된다. 기준 거울과 검사 대상으로 입사된 빛은 반사되어 다시 광분배기로 돌아왔을 때 두 빛이 경로가 같게 되면 간섭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포토 다이오드로 검출한 후 A/D 변환과 복조 과정을 거쳐 깊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2차원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기준 거울과 스캐너에 기계적인 움직임을 사용하여 x-z 스캐닝을 동시에 진행해야한다.
상기 도 2의 주파수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 수단(b)은, 시간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장치와 마찬가지로 광대역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광분배기에 의해 분기되어 기준 거울과 검사 대상으로 입사하게 된다. 기준 거울과 검사 대상으로 입사된 빛은 반사되어 다시 광분배기에서 합쳐지며, 합쳐진 빛을 분광기를 통하여 검출하고 이를 푸리에 변환을 시켜줌으로써 깊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한다. 주파수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장치는 z 방향의 스캐너 없이 x 방향의 스캐너를 사용하여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맥동 추출 수단(200)은 이미지 처리부(201), 층 분리부(202), 피크 검출부(203), 맥파 생성부(204) 및 맥동 데이터 생성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M-모드 촬영 맥 동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골동맥부의 1차원 이미지(M-모드 스캔) 결과이고 그래프는 깊이별 광량 분포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201)는 상기 촬영된 맥동 이미지를 단층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단층 이미지에서 선택적으로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출력 크기에 따른 정규화 및 노이즈를 제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요골동맥부의 1차원 이미지(M-모드)를 단층 이미지로 변환한 후 불필요한 이미지 영역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단층 이미지에서 출력 크기(intensity)의 정규화(normalization)를 진행하고, 피크 검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줄이기 위해 미디언 필터(Median filter)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층 분리부(202)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201)에서 정규화 및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를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한다. 여기서, 각 층은 깊이에 따라 부, 중, 침으로 분류된다. 즉, 깊이별 생체 조직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어 깊이에 따른 맥파의 변화 측정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깊이에 따른 분리는 각 층에 대해 낮은 피크들의 위치를 검출하고 낮은 피크들의 위치들의 사이의 영역이 각 층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분리된 각 층들의 영역에 대해 최대 크기들의 위치들이 맥파를 따르게 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그 검출부(203)는 상기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된 이미지에서 밴드 패스 필터 등을 통해 대역 필터링하여 피크를 검출하여 맥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맥파 생성부(204)는 상기 피크 검출부(203)에서 추출된 맥 신호를 미분화하여 평균 맥 파형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된 맥 신호에서 부, 중, 침 각 깊이별 평균 맥 파형을 얻게 된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맥동 데이터 생성부(205)는 상기 맥파 생성부(204)에서 생성된 맥 파형에서 맥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맥동 데이터는 맥파의 폭, 높이, 면적, 조직 밀도, 맥력 및 맥박의 수 등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맥동 데이터는 동양 의학의 전통맥진법에 의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맥의 빠르기, 부정맥, 맥의 크기, 맥력, 맥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맥의 빠르기는 느린것부터 지, 미지, 완, 미삭, 삭으로 구분되며, 맥의 크기는 약한 것부터 미, 세, 약, 완, 대(홍)으로 구분, 맥력은 그 힘의 약한 것부터 허, 정상, 실의 3가지로 구분, 부정맥의 경우 촉, 결, 대 세가지 맥의 상태 유무로 구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B-모드 촬영 맥동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2차원 이미지(B-모드)를 시간에 따른 신호를 획득하고, (b)는 맥동이 일어나는 부분과 최대 맥동의 위치 이미지, (c)는 시간축에서 본 맥동의 변화, (d)는 깊이에 따른 맥동을 볼 수 있는 이미지, (e)는 상부에서 바라본 맥동이미지 맥동의 횟수, (f)는 2차원의 스캔 거리에 따른 맥동의 높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상기 B-모드 촬영 맥동 결과는 3 mm 근처에서 최대 맥동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의 B-모드 촬영 맥동 데이터는 상기 도 3의 M-모드 촬영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과 동일하게 생성된다. 여기서, B-모드의 맥동 데이터 생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로 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에 대한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방법은, 생체의 소정 부위의 맥동을 촬영하여 단층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01). 여기서, 상기 촬영된 단층 이미지는 시간에 따른 M - 모드 또는 2차원 영상에 따른 B-모드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층 이미지에서 선택적으로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출력 크기에 따른 정규화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02).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요골동맥부의 1차원 이미지(M-모드) 또는 2차원 이미지(B-모드)를 단층 이미지로 변환한 후 불필요한 이미지 영역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단층 이미지에서 출력 크기(intensity)의 정규화(normalization)를 진행한다.
그 다음, 상기 정규화된 이미지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03). 즉, 피크 검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줄이기 위해 미디언 필터(Median filter)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를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04). 여기서, 각 층은 깊이에 따라 부, 중, 침으로 분류된다. 즉, 깊이별 생체 조직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어 깊이에 따른 맥파의 변화 측정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깊이에 따른 분리는 각 층에 대해 낮은 피크들의 위치를 검출하고 낮은 피크들의 위치들의 사이의 영역이 각 층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분리된 각 층들의 영역에 대해 최대 크기들의 위치들이 맥파를 따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층별로 분리된 이미지에서 피크치를 검출하여 맥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05). 여기서,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된 이미지에서 밴드 패스 필터 등을 통해 대역 필터링하여 피크를 검출하여 맥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이어, 상기 추출된 맥 신호를 미분화하여 평균 맥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06). 여기서, 상기 추출된 맥 신호에서 부, 중, 침 각 깊이별 평균 맥 파형을 얻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맥 파형에서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07). 즉, 상기 맥 파형에서 에러 펄스를 제거, 펄스 피크 및 폭 분석, 펄스 추출 및 영역 분석, 펄스 카운트 등의 과정을 진행하여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맥동 데이터는 맥파의 폭, 높이, 면적, 조직 밀도, 맥력 및 맥박의 수 등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맥동 데이터는 동양 의학의 전통맥진법에 의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맥의 빠르기, 부정맥, 맥의 크기, 맥력, 맥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맥의 빠르기는 느린것부터 지, 미지, 완, 미삭, 삭으로 구분되며, 맥의 크기는 약한 것부터 미, 세, 약, 완, 대(홍)으로 구분, 맥력은 그 힘의 약한 것부터 허, 정상, 실의 3가지로 구분, 부정맥의 경우 촉, 결, 대 세가지 맥의 상태 유무로 구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
200 --- 맥동 추출 수단
201 --- 이미지 처리부
202 --- 층 분리부
203 --- 피크 검출부
204 --- 맥파 생성부
205 --- 맥동 데이터 생성부

Claims (11)

  1. 생체의 소정 부위의 맥동을 촬영하는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과;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에서 촬영된 맥동 이미지를 추출 및 분석하여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동 추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 추출 수단은
    상기 촬영된 맥동 이미지를 단층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단층 이미지에서 선택적으로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출력 크기에 따른 정규화 및 노이즈를 제거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정규화 및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를 피크의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하는 층 분리부와;
    상기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된 이미지에서 피크치를 검출하여 맥 신호를 추출하는 피크 검출부와;
    상기 피크 검출부에서 추출된 맥 신호를 정제하여 평균 맥 파형을 생성하는 맥파 생성부와;
    상기 맥파 생성부에서 생성된 맥 파형에서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동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 데이터는 맥파의 폭, 높이, 면적, 조직 밀도, 맥력 및 맥박의 수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층 분리부는 피크 깊이에 따라 부, 중, 침 맥 신호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은
    시간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 수단(Time domain-OCT) 또는 주파수 영역 광간섭 결맞음 단층촬영 수단(Frequency domain-OCT)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생체 단층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시간에 따른 M - 모드 또는 2차원 영상에 따른 B-모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
  7. 생체의 소정 부위의 맥동을 촬영하여 단층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단층 이미지에서 선택적으로 이미지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의 출력 크기에 따른 정규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화된 이미지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를 피크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각 층별로 분리된 이미지에서 피크치를 검출하여 맥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맥 신호를 미분화하여 평균 맥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맥 파형에서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단층 이미지는 시간에 따른 M - 모드 또는 2차원 영상에 따른 B-모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에 따라 각 층별로 분리하는 단계에서 피크 깊이에 따라 부, 중 및 침 맥 신호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층별로 분리하는 단계에서 각 층 분리 후 각 층의 최대치를 검출하여 필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맥 파형에서 맥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맥동 데이터는 맥파의 폭, 높이, 면적, 조직 밀도, 맥력 및 맥박의 수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 시스템을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KR1020110053393A 2011-06-02 2011-06-02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KR10122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393A KR101225390B1 (ko) 2011-06-02 2011-06-02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393A KR101225390B1 (ko) 2011-06-02 2011-06-02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477A true KR20120134477A (ko) 2012-12-12
KR101225390B1 KR101225390B1 (ko) 2013-01-22

Family

ID=4790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393A KR101225390B1 (ko) 2011-06-02 2011-06-02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0897A (zh) * 2018-07-16 2020-01-24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脉波影像量测仪及脉象量测方法
CN111297342A (zh) * 2019-11-21 2020-06-1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基于鸡蛋胚胎血流信息的心律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090A (ja) * 1998-11-20 2000-06-06 Fuji Photo Film Co Ltd 血管の画像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0897A (zh) * 2018-07-16 2020-01-24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脉波影像量测仪及脉象量测方法
CN111297342A (zh) * 2019-11-21 2020-06-1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基于鸡蛋胚胎血流信息的心律测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390B1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0594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及び被検体情報取得方法
JP650482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3844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 vital vascular fingerprint
JP6146955B2 (ja) 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38550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被検体情報取得装置の制御方法
JP6362301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被検体情報取得装置の作動方法
CN111387959A (zh) 一种基于ippg的非接触式生理参数检测方法
WO2018087984A1 (ja) 光音響画像評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光音響画像生成装置
JP2014128321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被検体情報取得方法
JP201909759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82619B1 (ko) 과수질병의 비침습적 조기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225390B1 (ko) 맥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맥동 추출 방법
JP2013126510A (ja) 測定装置、測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238549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被検体情報取得装置の制御方法
US20150182126A1 (en) Photoacoustic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5249933A (zh) 光声分子三维成像仪
US20170055843A1 (en) O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JP6425438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Zhang et al. Precise detection of wrist pulse using digital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US20190142277A1 (en) Photoacoustic apparatus and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JP6486056B2 (ja) 光音響装置および光音響装置の処理方法
KR101576846B1 (ko) 심혈관 이미징 장치 및 그 혈관 분석 방법
JP201906351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7042603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
JP2018001013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