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884A -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 Google Patents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884A
KR20120133884A KR1020110052788A KR20110052788A KR20120133884A KR 20120133884 A KR20120133884 A KR 20120133884A KR 1020110052788 A KR1020110052788 A KR 1020110052788A KR 20110052788 A KR20110052788 A KR 20110052788A KR 20120133884 A KR20120133884 A KR 20120133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knee joint
wearer
r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679B1 (ko
Inventor
서민지
Original Assignee
서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지 filed Critical 서민지
Priority to KR1020110052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6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orthogonal 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대퇴부 전방 부위에 착용되는 상부프레임; 착용자의 정강이 후방 부위에 착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양측의 연결 부위를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제한부재; 상기 회동제한부재에 결합된 상/하부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프레임이 상호간 일정범위 내에서 굽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착용자의 슬관절의 내측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관절의 내측을 외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Degenerative the knee joint supporter}
본 발명은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절 연골의 마모로 인해 다리가 O형(내반슬)으로 변형되며 무릎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환자에게 착용시켜 슬관절의 내측을 외측으로 견인시켜 내반슬을 교정하고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퇴행성 슬관절 관절염은 무릎 관절 내측의 관절 연골이 마모되면서 얇아짐에 따라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 경우에 대부분 외측의 관절 연골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무릎 관절은 연골이 얇은 안쪽으로 기울게 되고 이에, 다리의 모양은 점차 O형으로 변화하게 된다. 다리가 O형의 구조로 변형되면서 관절염은 더욱 악화되고 무릎 관절 주위의 인대들도 변형된 다리 모양에 의해 약해져 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며 이에 따라, 통증이 심해지고 보행이 어렵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무릎의 관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는,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프레임(10), 정강이에 착용되는 하부프레임(20), 상기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의 양측의 연결부위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32) 및 상기 힌지축(32)이 결합된 상/하부프레임(10,20)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프레임(10,20)의 운동각도를 제한하도록 된 한 쌍의 각도조절부재(3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대퇴골의 안쪽(A)과 경골의 안쪽(B) 사이에 존재하는 연골(D)이 마모되며 얇아짐에 따라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이다. 이때, 반대쪽 즉, 외측의 연골(C)은 원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수록 D 부분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마찰이 심해지며 다리는 O형 구조로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를 통하여, 수술에 의한 인공 연골을 D 부분에 삽입하지 않고도 상기와 같은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D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마찰되지 않도록 힘을 F와 같은 방향으로 주어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는, 단순히 착용자의 대퇴부와 정강이 부분을 지지할 뿐 D 부분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F와 같은 힘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30)의 내측에 착용자의 무릎 즉, 슬관절 내측 부분을 가압하는 압박부재(5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압박부재(50)가 착용자의 무릎 즉, 슬관절 내측 부분을 직접 가압하므로 오히려, 무릎에 물리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 연골의 마모로 인해 다리가 O형(내반슬)으로 변형되며 무릎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환자에게 착용시 슬관절의 내측을 외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수단을 통하여 내반슬을 교정하고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대퇴부 전방 부위에 착용되는 상부프레임; 착용자의 정강이 후방 부위에 착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양측의 연결 부위를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제한부재; 상기 회동제한부재에 결합된 상/하부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프레임이 상호간 일정범위 내에서 굽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착용자의 슬관절의 내측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관절의 내측을 외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착용자의 대퇴부의 전방 부위가 지지되는 곡선프레임과 상기 곡선프레임의 양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2직선프레임을 가지는 바디와, 대퇴부의 후방 부위가 곡선프레임에 밀접되도록 곡선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로부터 타측의 연결고리로 잡아당겨져 연결되는 상부연결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은, 착용자의 정강이의 후방 부위가 지지되는 곡선프레임과 상기 곡선프레임이 양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2직선프레임을 가지는 바디와, 정강이의 전방 부위가 곡선프레임에 밀접되도록 곡선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로부터 타측의 연결고리로 잡아 당겨져 연결되는 하부연결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제한부재는, 상기 각 상부프레임의 직선프레임인 제1/2직선프레임 일단과 하부프레임의 직선프레임인 제1/2직선프레임 일단이 각각 회동핀에 의해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동제한부재의 회동링크 일면에 연결된 각각의 직선프레임 단부 타면에 위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회동제한부재의 타면에 위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로부터 각각의 직선프레임 단부 타면을 경유하여 제2플레이트까지 관통되어 상기 각각의 직선프레임이 일정범위 내로 굽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슬관절의 내측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1직선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견인고리와 하측견인고리, 상기 상측견인고리와 하측견인고리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1직선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고정고리와 하측고정고리, 상기 연결고리와 상/하측견인고리를 관통하는 견인용 와이어, 상기 상측견인고리측의 와이어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제2직선프레임의 내측을 경유하여 착용자의 대퇴부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한번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상측고정고리에 연결되어 슬관절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견인되도록 하는 상측견인벨트 및 상기 하측견인고리측의 와이어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제2직선프레임의 내측을 경유하여 착용자의 정강이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한번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하측고정고리에 연결되어 슬관절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견인되도록 하는 하측견인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재가 슬관절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착용자의 대퇴부에 상측프레임이 착용되고 정강이에 하측프레임이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슬관절의 내측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일측에 슬관절의 내측을 외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내반슬을 교정하고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부재가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슬관절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자의 슬관절 견인시 가압에 따른 통증 유발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무릎의 관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3의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3의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100)는, 관절 연골의 마모로 인해 다리가 O형(내반슬)으로 변형되며 무릎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환자에게 착용되어 슬관절(J)의 내측(I)을 외측(O)으로 견인시켜 내반슬을 교정하고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착용자의 대퇴부(H) 전방 부위에 착용되는 상부프레임(110), 착용자의 정강이(S) 후방 부위에 착용되는 하부프레임(120),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양측의 연결 부위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일정각도 범위 외로 굽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제한부재(130), 상기 회동제한부재(130)에 결합된 상/하부프레임(110,120)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프레임(110,120)이 상호간 일정각도 범위 내로 굽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부재(140) 및 착용자의 슬관절(J)의 내측(I)에 대응되는 연결부재(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관절(J)의 내측(I)을 외측(O)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100)는, 상기 연결부재(140)의 양측에 설치되는 연결고리(16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결되며 착용자의 슬관절(J)의 후방부위를 지지하는 보조벨트(162)를 가지는 슬관절연결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착용자의 대퇴부(H) 전방 부위에 착용될 수 있도록 대퇴부(H)의 전방 부위가 지지되는 곡선프레임(111)과 상기 곡선프레임(111)의 양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2직선프레임(112a,112b)을 가지는 바디(113)와, 상기 바디(113)의 곡선프레임(111)과 제1/2직선프레임(112a,112b)에 수용된 대퇴부(H)의 안정적인 수용 상태를 지지하기 위하여 대퇴부(H)의 후방 부위가 곡선프레임(111)에 밀접되도록 곡선프레임(111)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114a)로부터 타측의 연결고리(114b)로 잡아당겨져 연결되는 상부연결벨트(115)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3)는, 금속 부재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게가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대퇴부(H)에 접촉되는 접촉부위에는 밀착도와 착용감 및 충격이나 고통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부재(C)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113)의 곡선프레임(111) 양측에 설치되는 제1/2직선프레임(112a,112b)로 구분되는 직선프레임(112)은, 대퇴부(H)의 형상에 대응되는 상광하협의 이격 간격을 가져 대퇴부(H)의 수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벨트(115)는, 상기 바디(113)의 곡선프레임(111) 양측에 설치되는 연결고리(114)를 상호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벨크로 테잎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의하면, 착용자의 대퇴부(H)가 안정적으로 바디(113)에 수용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착용자의 정강이(S) 후방 부위에 착용될수 있도록 정강이(S)의 후방 부위가 지지되는 곡선프레임(121)과 상기 곡선프레임(121)이 양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2직선프레임(122a,122b)을 가지는 바디(123)와, 상기 바디(123)의 곡선프레임(121)과 제1/2직선프레임(122a,122b)에 수용된 정강이(S)의 안정적인 수용 상태를 지지하기 위하여 정강이(S)의 전방 부위가 곡선프레임(121)에 밀접되도록 곡선프레임(121)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124a)로부터 타측의 연결고리(124b)로 잡아 당겨져 연결되는 하부연결벨트(125)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23)는, 금속 부재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게가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정강이(S)에 접촉되는 접촉부위에는 밀착도와 착용감 및 충격이나 고통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부재(C)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123)의 곡선프레임(121) 양측에 설치되는 제1/2직선프레임(122a,122b)으로 구분되는 직선프레임(122)은, 정강이(H)의 형상에 대응되는 상협하광의 이격 간격을 가져 정강이(S)의 수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벨트(125)는, 상기 바디(123)의 곡선프레임(121) 양측에 설치되는 연결고리(124)를 상호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벨크로 테잎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의하면, 착용자의 정강이(S)가 안정적으로 바디(123)에 수용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동제한부재(13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각 직선프레임(112,122)의 단부를 상호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일정각도 범위 외로 굽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제한 회동부재로, 상기 각 상부프레임(110)의 직선프레임(112) 일단과 하부프레임(120)의 직선프레임(122) 일단이 각각 회동핀에 의해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링크(13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40)는, 상기 회동제한부재(130)에 결합된 상/하부프레임(110,120)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프레임(110,120)이 상호간 일정범위 내로 굽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링크로, 상기 회동제한부재(130)의 회동링크(131) 일면에 연결된 각각의 직선프레임(112,122) 단부 일면에 위치되는 제1플레이트(141), 상기 회동제한부재(130)의 타면에 위치되는 제2플레이트(142) 및 상기 제1플레이트(141)로부터 각각의 직선프레임(112,122) 단부 타면을 경유하여 제2플레이트(142)까지 관통되어 상기 각각의 직선프레임(112,122)이 일정범위 내로 굽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핀(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착용자의 슬관절(J)의 내측(I)과 외측(O)에 접촉되는 제2플레이트(142)의 일면에는 밀착도와 착용감 및 충격이나 고통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부재(C)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재(130)와 연결부재(140)에 의하면, 착용자의 대퇴부(H)와 정강이(S)에 착용된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이 슬관절(J)의 펼침 또는 굽힘 운동시 각각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슬관절(J)의 운동에 따른 대퇴부(H)와 정강이(S)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회동되어 착용자의 슬관절(J)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펼침 각도와 굽힘 각도는 0° 내지 150°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도의 범위는 회동제한부재(130)의 회동링크(131)와 연결부재(140)의 연결핀(143)과의 간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펼침 각도나 굽힘 각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회동제한부재(130)가 회동링크(131)가 연결부재(140)의 연결핀(143)에 걸림 동작되어 상기 범위의 각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재(150)는, 착용자의 슬관절(J)의 내측(I)에 대응되는 연결부재(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관절(J)의 내측(I)을 외측(O)으로 견인시키는 견인수단으로, 상기 슬관절(J)의 내측(I)에 대응되는 연결부재(140)의 제1플레이트(141)와 제2플레이트(142)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고리(151), 상기 연결고리(151)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1직선프레임(112a,122a)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견인고리(152)와 하측견인고리(153), 상기 상측견인고리(152)와 하측견인고리(153)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1직선프레임(112a,122a)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고정고리(154)와 하측고정고리(155), 상기 연결고리(151)와 상/하측견인고리(152,153)를 관통하는 견인용 와이어(156), 상기 상측견인고리(152)측의 와이어(156)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제2직선프레임(112b)의 내측을 경유하여 착용자의 대퇴부(H)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한번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상측고정고리(154)에 연결되어 슬관절(J)이 내측(I)으로부터 외측(O)을 향하여 견인되도록(슬관절(J)의 내측 연골(D)부위가 상호간 이격되도록) 하는 상측견인벨트(157) 및 상기 하측견인고리(153)측의 와이어(156)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제2직선프레임(122b)의 내측을 경유하여 착용자의 정강이(S)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한번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하측고정고리(155)에 연결되어 슬관절(J)이 내측(I)으로부터 외측(O)을 향하여 견인되도록 하는 하측견인벨트(15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견인부재(150)에 의하면, 착용시 또는 무릎을 굽히거나 펼치거나 하는 동작시, 착용자의 슬관절(J)의 내측(I)이 외측(O)으로 견인됨으로써, 내반슬을 교정하고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연결부재(140)가 슬관절(J)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착용자의 대퇴부(H)에 상측프레임(110)이 착용되고 정강이(S)에 하측프레임(120)이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슬관절(J) 부위로부터 대퇴부(H)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감싸며 상측으로 당겨주는 상측견인벨트(157)에 의해 슬관절(J)의 내측(I)은 외측(O)으로 견인되게 된다. 즉, 상기 상측견인벨트(157)에 의해 대퇴부(H)가 슬관절(J)의 외측(O)을 향하여 견인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슬관절(J)의 상측부에는 내측(I)으로부터 외측(O)을 향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상기 슬관절(J)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F의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슬관절(J)의 내측 연골(D)부위가 상호간 이격된다.
또한, 동시에, 상기 슬관절(J) 부위로부터 정강이(S)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감싸며 하측으로 당겨주는 하측견인벨트(158)에 의해 슬관절(J)의 내측(I)은 외측(O)으로 견인되게 된다. 즉, 상기 정강이(S)의 하측부가 슬관절(J)의 외측(O)을 향하여 견인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슬관절(J)의 하측부에는 내측(I)으로부터 외측(O)을 향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상기 슬관절(J)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F의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슬관절(J)의 내측 연골(D)부위가 상호간 이격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40)가 슬관절(J)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착용자의 대퇴부(H)에 상측프레임(110)이 착용되고 정강이(S)에 하측프레임(120)이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펼치거나 하는 등의 운동을 하는 경우 또는 걷는 경우에 있어서, 먼저,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는 경우에는, 상기 상측견인벨트(157)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56)가 대퇴부(H)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때, 상기 와이어(156)의 타단에 연결된 하측견인벨트(158)가 대퇴부(H)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정강이(S)가 슬관절(J)의 내측(I)을 향하여 견인됨에 따라 슬관절(J)의 하측부에는 내측(I)으로부터 외측(O)을 향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슬관절(J)의 하측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F의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착용자가 무릎을 펼치는 경우에는, 상기 하측견인벨트(158)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56)가 정강이(S)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때, 상기 와이어(156)의 타단에 연결된 상측견인벨트(157)가 정강이(S)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대퇴부(H)가 슬관절(J)의 외측(O)을 향하여 견인됨에 따라 슬관절(J)의 상측부에는 내측(I)으로부터 외측(O)을 향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슬관절(J)의 상측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F의 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재(140)가 슬관절(J)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착용자의 대퇴부(H)에 상측프레임(110)이 착용되고 정강이(S)에 하측프레임(120)이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슬관절(J)의 내측(I)에 대응되는 연결부재(140)의 일측에 슬관절(J)의 내측(I)을 외측(O)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재(150)가 구비됨으로써, 내반슬을 교정하고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부재(150)가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슬관절(J)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자의 슬관절(J) 견인시 가압에 따른 통증 유발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그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상측프레임 120 : 하측프레임
130 : 회동제한부재 140 : 연결부재
150 : 견인부재 160 : 슬관절연결부재

Claims (7)

  1. 착용자의 대퇴부(H) 전방 부위에 착용되는 상부프레임(110);
    착용자의 정강이(S) 후방 부위에 착용되는 하부프레임(120);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양측의 연결 부위를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제한부재(130);
    상기 회동제한부재(130)에 결합된 상/하부프레임(110,120)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프레임(110,120)이 상호간 일정 범위 내에서 굽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부재(140); 및
    착용자의 슬관절(J)의 내측(I)에 대응되는 연결부재(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슬관절(J)의 내측(I)을 외측(O)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40)의 양측에 설치되는 연결고리(15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결되며 착용자의 슬관절(J)의 후방부위를 지지하는 보조벨트(152)를 가지는 슬관절연결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착용자의 대퇴부(H)의 전방 부위가 지지되는 곡선프레임(111)과 상기 곡선프레임(111)의 양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2직선프레임(112a,112b)을 가지는 바디(113)와,
    대퇴부(H)의 후방 부위가 곡선프레임(111)에 밀접되도록 곡선프레임(111)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114a)로부터 타측의 연결고리(114b)로 잡아당겨져 연결되는 상부연결벨트(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착용자의 정강이(S)의 후방 부위가 지지되는 곡선프레임(121)과 상기 곡선프레임(121)이 양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2직선프레임(122a,122b)을 가지는 바디(123)와,
    정강이(S)의 전방 부위가 곡선프레임(121)에 밀접되도록 곡선프레임(121)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124a)로부터 타측의 연결고리(124b)로 잡아 당겨져 연결되는 하부연결벨트(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부재(130)는,
    상기 각 상부프레임(110)의 직선프레임(112)인 제1/2직선프레임(112a,112b) 일단과 하부프레임(120)의 직선프레임(122)인 제1/2직선프레임(122a,122b) 일단이 각각 회동핀에 의해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링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40)는,
    상기 회동제한부재(130)의 회동링크(131) 일면에 연결된 각각의 직선프레임(112,122) 단부 타면에 위치되는 제1플레이트(141),
    상기 회동제한부재(130)의 타면에 위치되는 제2플레이트(142) 및
    상기 제1플레이트(141)로부터 각각의 직선프레임(112,122) 단부 타면을 경유하여 제2플레이트(142)까지 관통되어 상기 각각의 직선프레임(112,122)이 일정범위 내로 굽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핀(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150)는,
    상기 슬관절(J)의 내측(I)에 대응되는 연결부재(140)의 제1플레이트(141)와 제2플레이트(142)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고리(151),
    상기 연결고리(151)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1직선프레임(112a,122a)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견인고리(152)와 하측견인고리(153),
    상기 상측견인고리(152)와 하측견인고리(153)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1직선프레임(112a,122a)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고정고리(154)와 하측고정고리(155),
    상기 연결고리(151)와 상/하측견인고리(152,153)를 관통하는 견인용 와이어(156),
    상기 상측견인고리(152)측의 와이어(156)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제2직선프레임(112b)의 내측을 경유하여 착용자의 대퇴부(H)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한번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상측고정고리(154)에 연결되어 슬관절(J)이 내측(I)으로부터 외측(O)을 향하여 견인되도록(슬관절(J)의 내측 연골(D)부위가 상호간 이격되도록) 하는 상측견인벨트(157) 및
    상기 하측견인고리(153)측의 와이어(156)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제2직선프레임(122b)의 내측을 경유하여 착용자의 정강이(S)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한번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하측고정고리(155)에 연결되어 슬관절(J)이 내측(I)으로부터 외측(O)을 향하여 견인되도록 하는 하측견인벨트(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KR1020110052788A 2011-06-01 2011-06-01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KR10125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88A KR101257679B1 (ko) 2011-06-01 2011-06-01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88A KR101257679B1 (ko) 2011-06-01 2011-06-01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84A true KR20120133884A (ko) 2012-12-11
KR101257679B1 KR101257679B1 (ko) 2013-04-29

Family

ID=4751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788A KR101257679B1 (ko) 2011-06-01 2011-06-01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560B1 (ko) 2016-08-26 2018-09-20 선동윤 이중 커프 구조를 갖는 무릎 보조기
KR200483045Y1 (ko) * 2016-09-28 2017-03-28 정은희 각도 조절 무릎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0138A (en) * 1999-02-01 2000-08-29 Tagg Industries, L.L.C. Stance-correcting knee brace
KR101097925B1 (ko) * 2009-04-02 2011-12-23 유실근 무릎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679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3821B2 (en) Orthopedic device for dynamically treating the knee
KR100834074B1 (ko)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US4986264A (en) Knee brace
US8480602B1 (en)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ambulation
US8529484B2 (en) Orthotic foot brace
TW201507717A (zh) 便攜式人體支架系統
US20100292805A1 (en) Artificial knee joint including a flection in a bearing member
KR20150112592A (ko)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CN104334124A (zh) 髌股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00298946A1 (en) Artificial knee joint including plural flexions in a femur joint member
JP2002011027A (ja) モジュール式かつ調整可能な股関節保護装着具ならびに内転/外転継ぎ手
JP5908983B2 (ja) 下肢用外骨格
KR100831145B1 (ko) 무릎관절 견인장치
US20190133807A1 (en) Orthosis
KR20160020004A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1352837B1 (ko) 휜 다리 교정장치
JP7386316B2 (ja) 曲がった脚変形に対する下部体形及び歩行矯正用圧迫衣類
KR101257679B1 (ko)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KR20100089013A (ko)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KR102071611B1 (ko) 발목 근력 보조기
KR101848639B1 (ko)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무릎 교정 장치
JP2002535082A (ja) 膝の補助装置または代替装置
KR101182719B1 (ko) 무릎관절 교정기
US8956316B2 (en) Knee orthosis for torn anterior cruciate ligament
JP2010119646A (ja) 膝関節保持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