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837B1 - 휜 다리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휜 다리 교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2837B1 KR101352837B1 KR1020120058484A KR20120058484A KR101352837B1 KR 101352837 B1 KR101352837 B1 KR 101352837B1 KR 1020120058484 A KR1020120058484 A KR 1020120058484A KR 20120058484 A KR20120058484 A KR 20120058484A KR 101352837 B1 KR101352837 B1 KR 101352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oot
- leg
- spring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고관절의 비정상적인 위치에 의해 발생하는 휜 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휜 다리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교정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결합된 발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을 지지하고, 상기 발이나 신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회동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휜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관절의 비정상적인 위치에 의해 발생하는 휜 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휜 다리 교정장치에 관련한다.
휜 다리(Bow-legs, Knock-knees)라 함은, 오다리('O'자형 다리) 또는 안짱다리로 흔히 알려져 있으며 무릎 사이가 벌어져 보이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신체적 변형은 무릎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무릎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엉덩이관절(Coxa, 고관절)을 비롯하여 골반(Pelvis)과 발목관절에서도 변형이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골반과 하체를 연결해 주고 있는 고관절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면, 허벅지를 이루고 있는 대퇴골(Femur)이 틀어지는 원래의 정렬상태가 깨지게 되어 이와 연결된 무릎관절(Knee joint, 슬관절)에도 변화가 일어나 결국에는 두 슬관절이 활처럼 휘어 다리가 벌어져 보이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발목에도 영향을 주어 발끝이 안쪽을 향해 틀어져 안짱 걸음을 걷게 된다.
이러한 휜 다리를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보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382803호에서는, 관절 연골의 마모로 인해 다리 구조가 O형(내반슬)으로 변형되며 무릎 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착용시켜 O형 변형을 교정하고, 다리 내측을 보조장치에 밀착되게 지지하여 하중의 전달을 무릎관절에서 보조기로 전이시켜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슬관절의 안정성을 주며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무릎 소정거리 상측을 지지하는 상프레임과, 착용자의 무릎 소정거리 하측을 지지하는 하프레임, 그리고 상프레임 또는 하프레임에 연결되어 무릎의 상측 또는 하측을 상프레임 또는 하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131808호는 양 무릎을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발휘하도록 정형화를 착용한 상태로 보행을 하면서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 정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 정형화는, 상기 정형화의 저면부에 설치되며, 전족부와 후족부로 분리되어 서로 면접되는 중앙에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족부와 후족부 일체가 상부와 하부로 겹쳐지도록 한쌍이 구비되는 본창과, 상기 본창 테두리와 연결되어 양측부에 신축부재가 형성된 발을 커버하도록 하는 발커버와, 상기 본창의 삽입홈에 내속되어 전족부의 내전 또는 외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각도조절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휜 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고관절이 일정한 전염각을 이루면서 골반에 삽입되어야 하는데, 가령 고관절 자체가 내회전되면 전염각이 없어지고 이에 따라 대퇴가 멀어지고 결과적으로 슬관절 사이가 멀어져서 휜 다리가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기술은 이러한 원인을 간과하고 있어 그 결과에 따른 휜 다리를 효율적으로 교정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하기 위해 착용하는 과정이 복잡하며, 특히 개방된 환경에서는 타인의 이목이 집중될 수 있어 사용이 꺼려지거나 교정 동작에 집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만큼 재료비가 많이 들어 결과적으로 제조원가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외회전근의 근력을 충분하게 하여 고관절이 교정상태로 골반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휜 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휜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이 간단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정에 집중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휜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휜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결합된 발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 지지유닛은,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을 지지하고, 상기 발이나 신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회동하는 휜 다리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부의 후방에 한 쌍의 지지 포스트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체의 후방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상기 지지 포스트가 끼워져 상기 지지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상기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에 대응하는 형상의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상기 지지체의 회동시 상기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이 걸리는 걸림 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위에 상기 지지체의 회동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 슬롯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체의 하면에 볼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은, 표면에 수납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수납부의 대향하는 양 내측벽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안내 바;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을 지지하고, 상기 발이나 신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며, 상기 안내 바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수평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양 내측벽 사이에서 상기 안내 바가 끼워지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회동하는 휜 다리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 위에 발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의 뒷꿈치 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발의 앞부분을 외측으로 반복하여 운동시킴으로써 발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고관절을 둘러싼 외회전근의 근육을 발달시켜 결과적으로 대퇴가 외회전되어 양대퇴간의 거리가 좁아지며 더불어 양슬관절의 사이가 좁아지는 효과를 얻어 휜 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휜 다리로 인한 빠른 퇴행성관절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보행에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휜 다리 교정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휜 다리 교정장치에 의한 교정 효과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휜 다리 교정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휜 다리 교정장치에 의한 교정 효과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휜 다리 교정장치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발 지지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부분에 대해 구별하여 설명한 후, 이들의 동작에 대해 기술한다.
베이스(100)
베이스(100)는 본 발명의 교정장치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소 중량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중량이 확보되는 한, 재질은 철재이든 플라스틱 재질이든 무방하다.
베이스(100)는 단일의 몸체(110)로 이루어지며, 몸체(110)의 표면에는 일정한 넓이와 깊이로 파여 후술하는 발 지지유닛(200)을 수용하는 수납부(112)가 형성된다.
수납부(112)의 크기와 형상은 발 지지유닛(200)이 수납되어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는 한 어떤 크기와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수납부(112) 내부에서 후방에는 한 쌍의 지지 포스트(114, 115)가 바닥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 지지유닛(200)이 회동하는 회동 축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수납부(112)의 바닥 전방에는 발 지지유닛(200)의 회동 궤적을 따라 안내 슬롯(120)이 설치되는데, 이 실시 예에서는 원호상의 안내 슬롯(12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부채 형상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또한, 안내 슬롯(120)에 대응하여 발 지지유닛(200)의 지지체(210, 212)의 하면에는 안내 슬롯(120)에 끼워지는 볼 베어링 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안내 슬롯(120)을 지지체(210, 212)가 매끄럽고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내 슬롯(120)의 길이를 제한하여 지지체(210, 212)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발 지지유닛(200)
발 지지유닛(200)은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가령 사용자는 신발을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 지지유닛(200)에 올라설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체(210, 212)로 이루어지는데, 각 지지체(210, 212)의 표면 위에는 사용자의 발의 외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턱(216, 217)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체(210, 212)가 벌어질 때 사용자의 발이 지지체(210, 212)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걸림 턱(216, 217) 대신에 지지체(210, 212)의 표면에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이 수납되는 지지 홈을 형성하거나, 걸림 턱(216, 217)을 없애고 지지체(210, 212) 재질 자체의 표면 마찰력을 이용하여 지지체(210, 212)가 벌어질 때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걸림 턱(216, 217)을 적용하는 경우, 벌어질 때 사용자의 신발이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반대로 작용하는 힘이 사용자의 발에 확실하게 인가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 쌍의 지지체(210, 212)의 마주하는 측면에서 전방 측에는 안내 로드(220)가 돌출되고 각 안내 로드(220)에 양단이 고정되는 스프링(230)이 그 사이에 개재된다. 스프링(230)이 개재되는 위치는 특정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걸림 턱(216, 217)이 형성되는 위치와 높이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는데, 가령 지지체(210, 212) 위에 안내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걸림 턱(216, 217)이 안내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걸림 턱(216, 217)이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체(210, 212)의 후방 중앙에는 관통구멍(214, 215)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214, 215)에 베이스(100)의 지지 포스트(114, 115)가 끼워진다. 관통구멍(214, 215) 내부에는 지지체(210, 212)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축 베어링이 끼워질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구조를 갖는 휜 다리 교정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휜 다리 교정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휜 다리 교정장치에 의한 교정 효과를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최초 위치에서 지지체(210, 212)의 관통구멍(214, 215)에 베이스(100)의 지지 포스트(114)가 끼워지고, 지지체(210, 212)의 하면에 부착된 볼 베어링 모듈은 베이스(100)의 안내 슬롯(120)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각 지지체(210, 212)는 그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당겨지기 때문에 나란히 정렬된다.
사용자가 발을 각 지지체(210, 212) 위에 올려 놓고 양발에 힘을 가하여 부채 형상으로 벌리면 스프링(230)이 늘어나면서, 도 2(b)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각 지지체(210, 212)는 뒷 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앞쪽만 회동하여 벌어지게 된다.
이를 뼈와 근육 운동으로 설명하면, 도 3(a)과 같이, 사용자의 발이 수납된 지지체(210, 212)가 화살표 A로 나타낸 것처럼 회동하면 이에 따라 족근골(60)이 회동한다. 이때, 스프링(230)의 탄성 복원력이 족근골(60)에 인가되면서, 탄성 복원력에 대항하는 저항력이 사용자에 의해 족근골(60)에 가해진다.
족근골(60)의 회동에 따라, 경골(50)과 비골(52)을 통하여 대퇴골(20)이 순차로 회전하면서 최종적으로 대퇴골(20)과 연결된 고관절(40)이 화살표 B로 나타낸 것처럼 회동하게 된다(도 3(a)과 (b) 참조).
그 결과, 도 3(b)과 같이, 골반(10)에 고관절(40)이 비정상적으로 삽입하여 형성된 전염각 a1이, 도 3(c)과 같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전염각 a2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고관절(40)의 위치가 변경되기 위해서는 대퇴골(20)을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외회전근(30)이 근육 운동을 하게 되는데,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근육으로 나타냈지만, 실제로 다수의 외회전근(30)이 관여하는바, 가령 이상근, 내폐쇄근, 외폐쇄근, 대퇴방형근, 대둔근 및 중둔근 등이 근육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외회전근(30)의 근육이 발달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대퇴골(20)이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결과 고관절(40)이 골반(10)에 끼워지는 전염각이 정상적으로 교정되어 고관절(40)의 비정상적인 삽입에 의한 휜 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장치를 나타낸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베이스(100)의 수납부(112)의 대향하는 양 내측벽(112a, 112b)에 양단이 고정되는 원호 형상의 안내 바(320)가 설치되고, 발 지지유닛(200)의 각 지지체(210, 212)에는 안내 바(3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각 지지체(210, 212)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각 지지체(210, 212)와 수납부(112)의 양 내측벽(112a, 112b) 사이에서 안내 바(320)를 감싸도록 스프링(330)이 설치된다.
따라서, 이 실시 예에 의하면, 각 지지체(210, 212)를 회동하려면 스프링(330)을 압축시킬 정도의 힘을 가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힘이 고관절로 전달되는 과정은 상기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각 지지체(210, 212)가 안내 바(3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운동 효율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스프링(230, 3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을 회동시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에 걸리는 저항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
110: 몸체
112: 수납부
114, 115: 지지 포스트
120: 안내 슬롯
200: 발 지지유닛
210, 212: 지지체
214, 215: 관통구멍
216, 217: 걸림 턱
230, 330: 스프링
110: 몸체
112: 수납부
114, 115: 지지 포스트
120: 안내 슬롯
200: 발 지지유닛
210, 212: 지지체
214, 215: 관통구멍
216, 217: 걸림 턱
230, 330: 스프링
Claims (6)
-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에 원호 형상의 안내 슬롯이 형성된 베이스; 및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전방 부분이 상기 안내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후방 부분이 상기 수납부의 바닥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발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기 안내 슬롯을 따라 부채 형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 다리 교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바닥에 한 쌍의 지지 포스트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체의 후방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상기 지지 포스트가 끼워져 상기 지지체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 다리 교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체의 표면에 상기 사용자의 발에 대응하는 형상의 지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 다리 교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체의 표면 외측에 상기 지지체가 벌어질 때 상기 사용자의 발이 걸리는 걸림 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 다리 교정장치. - 삭제
- 표면에 수납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수납부의 대향하는 양 내측벽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원호 형상의 안내 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전방 부분에서 상기 안내 바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상기 원호 형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고, 후방에서 상기 수납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양 내측벽 사이에서 상기 안내 바가 끼워지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기 안내 바를 따라 부채 형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 다리 교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484A KR101352837B1 (ko) | 2012-05-31 | 2012-05-31 | 휜 다리 교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484A KR101352837B1 (ko) | 2012-05-31 | 2012-05-31 | 휜 다리 교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4749A KR20130134749A (ko) | 2013-12-10 |
KR101352837B1 true KR101352837B1 (ko) | 2014-01-20 |
Family
ID=4998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8484A KR101352837B1 (ko) | 2012-05-31 | 2012-05-31 | 휜 다리 교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83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64247B1 (ja) * | 2014-10-17 | 2015-08-19 | 株式会社オスモティックジャパン | O脚矯正器具 |
KR102236342B1 (ko) * | 2019-01-23 | 2021-04-02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킥보드를 활용한 휜다리 교정기구 |
KR102229029B1 (ko) * | 2019-04-17 | 2021-03-18 | 전북대학교병원 | 대퇴비구 충돌증후군 진단을 위한 mri 검사시 고관절 내전을 위한 보조기구 |
CN111166548A (zh) * | 2020-02-07 | 2020-05-19 | 王锦霞 | 一种骨科康复护理用膝关节多向牵引装置 |
KR102567849B1 (ko) | 2021-02-17 | 2023-08-1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하지 제어능력의 향상을 위한 훈련 장치 |
KR102691804B1 (ko) * | 2022-09-16 | 2024-08-05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동식 안짱다리 교정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6024A (ja) * | 1996-09-03 | 1998-03-24 | Keisuke Fuchigami | 脚の捻転運動具 |
KR20030015433A (ko) * | 2001-08-14 | 2003-02-25 | 김세웅 | 다목적 헬스기구 |
KR20080099405A (ko) * | 2007-05-09 | 2008-11-13 | 정용문 | 골반 운동기구 |
KR20110015781A (ko) * | 2009-08-10 | 2011-02-17 | 김국준 | 휜 다리 교정용 기구 |
-
2012
- 2012-05-31 KR KR1020120058484A patent/KR1013528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6024A (ja) * | 1996-09-03 | 1998-03-24 | Keisuke Fuchigami | 脚の捻転運動具 |
KR20030015433A (ko) * | 2001-08-14 | 2003-02-25 | 김세웅 | 다목적 헬스기구 |
KR20080099405A (ko) * | 2007-05-09 | 2008-11-13 | 정용문 | 골반 운동기구 |
KR20110015781A (ko) * | 2009-08-10 | 2011-02-17 | 김국준 | 휜 다리 교정용 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4749A (ko) | 2013-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2837B1 (ko) | 휜 다리 교정장치 | |
US7553289B2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racing a knee | |
US8945035B2 (en) | Knee brace with improved gait swing assist | |
US8308671B2 (en) | Knee orthosis | |
US10765548B2 (en) | Knee joint orthosis | |
US20020188238A1 (en) | Tension assisted ankle joint and orthotic limb braces incorporating same | |
US20090137935A1 (en) | Osteoarthritis knee orthosis | |
JP6739625B2 (ja) | 内外反膝矯正装置 | |
KR101521270B1 (ko) | 무릎변형 방지기구 | |
KR101500297B1 (ko) | 휜 다리 교정용 하의 | |
EP2056776B1 (en) | Exercising apparatus for calf muscle stretching | |
JP6792087B2 (ja) | 脚矯正装置 | |
KR20160020004A (ko) | 무릎관절 보조기구 | |
EP1302184A1 (en) | Joint brace for the control and the regulation of the knee joint bending | |
EP2364131B1 (en) | Brace for dynamically correcting the bending of the joints of the lower limb | |
KR102071611B1 (ko) | 발목 근력 보조기 | |
CN104970908A (zh) | 一种膝关节助伸矫形器 | |
KR102100146B1 (ko) |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 |
JP2018064832A (ja) | 歩行支援装具 | |
KR102209135B1 (ko) | 레이저 포인터가 구비된 휴대용 스쿼트 가이드 장치 | |
WO2010032476A1 (ja) | 膝装具および膝装具用ジョイント部材セット | |
KR20190046369A (ko) | 관절 보조장치 | |
JP6856431B2 (ja) | 動作補助装置の膝関節機構 | |
EP3747419B1 (en) | Passive-dynamic correction device for hallux valgus and associated static foot deformities | |
US20210137765A1 (en) | Passive-dynamic correction device for hallux valgus and associated deformit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