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204A -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204A
KR20120133204A KR1020110051752A KR20110051752A KR20120133204A KR 20120133204 A KR20120133204 A KR 20120133204A KR 1020110051752 A KR1020110051752 A KR 1020110051752A KR 20110051752 A KR20110051752 A KR 20110051752A KR 20120133204 A KR20120133204 A KR 20120133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ater pump
engine
magnetic flux
field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859B1 (ko
Inventor
이상민
정석제
서은영
오성택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8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21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60Operating parameters
    • F01P2025/64Number of revolu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의 온도 및 엔진의 회전수(RPM)에 따라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동작 제어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가 높더라도 원활한 워터펌프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각수의 온도를 센싱하여 이 센싱된 냉각수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해 미리 설정된 온도에의 도달 여부를 확인하는 온도 센싱단계; 엔진의 회전수가 저부하 작동 구간에 속할 경우 필드코일 어셈블리로의 전압 인가를 차단하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고부하 작동 구간에 속할 경우에는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자속방향이 영구자석의 자속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순방향 전압을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인가하는 동작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동작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electromagnetic clutch and oerating method of a electromagnetic clutch}
본 발명은 필드코일 어셈블리와 영구자석을 이용한 디스크와 풀리 간의 자기흡착 및 이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냉각수의 상태 및 엔진의 부하 상태에 따라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대한 제어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워터펌프는 냉각수를 가압하여 엔진으로 전달함으로써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일련의 장치이며, 상기한 워터펌프는 전자 클러치를 통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상기 전자 클러치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풀리 조립체(10)와, 디스크(20) 및 허브 조립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풀리 조립체(10)로부터 제공받은 흡인자속에 의해 상기 디스크(20)가 상기 풀리 조립체(10)와 접촉된 상태로 풀리 조립체(10)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허브 조립체(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풀리 조립체(10)는 엔진의 구동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받는 구성으로써, 외주면으로 벨트가 연결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제공받는 풀리(11)와, 전원 인가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어셈블리(12) 및 상시적으로 자속을 발생하는 영구자석(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풀리(11)는 워터펌프를 이루는 하우징(4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풀리(11)와 하우징(40)의 끝단 사이에는 베어링(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2)는 상기 풀리(11)의 배면에 형성된 장착홈(11a) 내에 삽입되는 코어(12a) 및 상기 코어(12a) 내에 수용되는 여자코일(12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여자코일(12b)로의 전류 인가에 의해 상기 코어(12a)의 형상에 따른 자기 회로를 형성하면서 자속을 발생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영구자석(13)은 상기 풀리(11)의 배면에 형성된 장착홈(11a) 내의 전방측 벽면(디스크가 위치된 방향측의 벽면)과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12)의 선단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흡인자속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크(20)가 상기 풀리(11)와의 대향면에 자기(磁氣)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여자코일로의 통전이 끊긴 무여자 상태에서는 상기 영구자석(13)의 흡인자속에 의해 상기 풀리(11)와 디스크(20) 간이 서로 자기 흡착됨에 따라 상기 풀리(11)를 통해 제공되는 엔진의 구동력이 상기 디스크(20)를 통해 허브 조립체(30)로 전달되어 상기 허브 조립체(30)에 조립된 워터펌프의 구동축(60)이 회전되고, 상기 여자코일(12b)로의 통전이 이루어진 여자 상태에서는 상기 여자코일(12b)로 상기 영구자석(13)이 제공하는 자속과는 반대 방향의 자속이 발생되어 상기 영구자석(13)의 흡인자속을 상계시킴으로써 풀리(11)와 디스크(20) 간의 자기 흡착이 해제됨에 따라 워터펌프의 구동축(60)이 동작 중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워터펌프를 구동하는 구조임을 고려할 때 상기 엔진의 RPM이 높을 수록 상기 워터펌프의 구동력은 선형적으로 전달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 클러치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RPM)에 상관없이 영구자석의 고유 흡인자속에 의해서만 디스크(20)와 풀리(11) 간의 자기흡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수가 높은 상황에서는 상기 디스크(20)와 풀리(11) 간의 자기흡착력이 낮아서 과도한 슬립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워터펌프의 구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냉각수의 온도 저감을 이루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엔진의 회전수가 높은 상황에서 원활하지 못한 워터펌프의 구동으로 인해 냉각수의 온도는 점차 상승되고, 이러한 냉각수의 온도 상승에 따라 엔진의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엔진 손상이 야기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의 온도 및 엔진의 회전수(RPM)에 따라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동작 제어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가 높더라도 원활한 워터펌프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에 따르면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풀리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워터펌프를 구동시키는 허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풀리에 설치되면서 흡인자속을 제공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풀리에 설치되면서 엔진의 구동속도(RPM) 및 냉각수의 온도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상기 영구자석의 흡인자속과 동일한 방향 혹은, 반대 방향의 흡인자속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동작 제어방법에 따르면, 냉각수의 온도를 센싱하여 이 센싱된 냉각수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해 미리 설정된 온도에의 도달 여부를 확인하는 온도 센싱단계;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한 온도에 도달되었음으로 확인될 경우 엔진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회전수가 고부하 작동 구간에 속하는지 혹은, 저부하 작동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속도 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엔진의 회전수가 저부하 작동 구간에 속할 경우 필드코일 어셈블리로의 전압 인가를 차단하고, 상기 확인된 엔진의 회전수가 고부하 작동 구간에 속할 경우에는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자속방향이 영구자석의 자속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순방향 전압을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인가하는 동작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제어단계 중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한 온도에 도달되지 않았음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자속방향이 영구자석의 자속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역방향 전압을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인가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도 확인단계에서 고부하 작동 구간은 엔진의 회전수가 6000RPM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저부하 작동 구간은 엔진의 회전수가 6000RPM 이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은 냉각수의 온도 조건 및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전압 인가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부하 상황에서도 워터펌프로의 정확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구조 중 여자코일로의 전원 인가가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구조 중 여자코일로의 전원 인가가 차단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동작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전반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는 크게 풀리 조립체(10)와, 디스크(20) 및 허브 조립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풀리 조립체(10)는 엔진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풀리(100)와, 전원 인가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어셈블리(200) 및 전원 인가의 유무에 상관없이 자속(磁束)을 제공하는 영구자석(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풀리(100)는 워터펌프를 이루는 하우징(4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풀리(100)와 하우징(40)의 끝단 사이에는 베어링(50)이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풀리(100)의 배면에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홈(11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 및 영구자석(300)은 상기 풀리(100)의 장착홈(110) 내에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가 상기 장착홈(110) 내의 전방측 공간(도면상 좌측 공간)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영구자석(300)은 상기 장착홈(110)의 내부 중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의 후방측(도면상 우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한 영구자석(300)의 배치 구조는 상기 영구자석(300)을 슬립열이나 마찰 열 및 접촉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즉, 영구자석(300)을 상기 장착홈(110) 내의 필드코일 어셈블리(200) 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풀리(100)의 전면과 후술될 디스크(20) 간의 슬립이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상기 영구자석(300)으로 직접 전도됨을 방지하여 상기 영구자석(300)의 열화로 인한 자기 성능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풀리(100)의 전면과 디스크(20) 간의 접촉에 따른 충격력이 상기 영구자석(300)으로 직접 전달됨을 방지하여 상기 영구자석(3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리 조립체(10)의 각 구성 중 필드코일 어셈블리(200)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 자속을 발생하는 여자코일(210)과, 상기 여자코일(210)이 설치되면서 자속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코어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가 영구자석(300)의 흡인자속과 동일한 방향으로 흡인자속을 제공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상기 영구자석(300)의 흡인자속과 반대 방향으로 흡인자속을 제공할 수도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는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가 영구자석(300)의 흡인자속과 반대 방향으로 흡인자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는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가 영구자석(300)의 흡인자속과 동일한 방향으로 흡인자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흡인자속의 방향은 엔진의 회전수(RPM) 및 냉각수의 온도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결정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코어가 내측 코어(220) 및 외측 코어(230)로 구성되면서 상기한 각 코어(220,230)의 하단 사이에 영구자석(300)이 개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내측 코어(220)는 상기 여자코일(210)의 어느 한 측편을 감싸는 제1측부단(221) 및 상기 여자코일(210)의 저부를 감싸는 제1저부단(222)으로 구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코어(230)는 상기 여자코일(210)의 다른 한 측편을 감싸는 제2측부단(231) 및 상기 내측 코어(220)를 이루는 제1저부단(222)의 저부를 감싸는 제2저부단(232)으로 구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영구자석(300)은 상기 내측 코어(220)의 제1저부단(222)과 상기 외측 코어의 제2저부단(232)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300)은 열적 충격 및 접촉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뿐 아니라 상기 영구자석(300)을 풀리(100)의 장착홈(110) 내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자코일(210)과 내측 코어(220)와 외측 코어(230) 및 영구자석(300)이 에폭시(240)로 일체화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한 에폭시(240)에 의해 영구자석(300)이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에폭시(240)는 상기 영구자석(300)뿐만 아니라 여자코일(210)로의 수분 침투 및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크(20)는 상기 풀리 조립체(10)의 풀리(10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풀리 조립체(10)와 함께 회전하면서 허브 조립체(30)를 회전시키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디스크(20)는 풀리 조립체(10)의 풀리(100)와 허브 조립체(30) 사이에 개재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허브 조립체(30)에 결합 고정되면서 상기 풀리 조립체(10)의 여자코일(210)이 흡인자속을 발생시킬 경우 상기 풀리 조립체(10)를 이루는 풀리(100)의 외표면(허브 조립체와 대향되는 면)에 접촉되면서 서로 간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풀리 조립체(1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며, 이를 통해 허브 조립체(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허브 조립체(30)는 상기 디스크(2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구동축(60)을 회전시키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허브 조립체(30)는 구동축(60)과 결합되는 허브(31)와, 상기 디스크(20)와 풀리(100) 간의 자기흡착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디스크(20)를 상기 풀리(100)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원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60)의 타측 끝단에는 냉각수를 유동시키는 임펠러(도시는 생략됨)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축(60)의 구동에 의한 임펠러의 동작으로 냉각수가 펌핑되면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하여 각 제어 과정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워터펌프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그 구동이 제어되며, 이를 위해 워터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냉각수의 온도를 센싱하여 이 센싱된 냉각수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해 미리 설정된 온도에의 도달 여부를 확인(S100)한다.
이때, 상기 냉각수의 온도에 대한 센싱은 통상의 워터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해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로 사용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는 85℃임을 그 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온도 센싱 과정을 통해 냉각수의 온도가 85℃를 초과하게 될 경우 상기 컨트롤러(워터펌프 제어용 컨트롤러)는 엔진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엔진의 회전수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이후,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공받은 정보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엔진의 회전수를 확인(S200)하며, 계속해서 상기 확인된 회전수가 고부하 작동 구간에 속하는지 혹은, 저부하 작동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부하 작동 구간이라 함은 엔진의 회전수가 6000RPM 이상인 경우의 작동 구간이고, 상기 저부하 작동 구간이라 함은 엔진의 회전수가 6000RPM 이하인 경우의 작동 구간으로써, 상기한 엔진의 회전수는 디스크(20)와 풀리(100) 간의 슬립 가능성이 있는 회전수이며, 반드시 상기한 회전수로만 설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계절이나 사용 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엔진의 회전수에 대한 확인 및 작동 구간의 확인이 완료되면 이렇게 확인된 정보에 따라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의 서로 다른 동작 제어가 수행된다.
예컨대, 상기 확인된 엔진의 회전수가 저부하 작동 구간에 속할 경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로의 전압 인가를 차단(S310)함으로써, 영구자석(300)의 흡인자속으로만 디스크(20)와 풀리(100) 간의 자기흡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된다.
반면, 상기 확인된 엔진의 회전수가 고부하 작동 구간에 속할 경우에는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의 자속방향이 영구자석(300)의 자속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순방향 전압을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에 인가(S320)한다.
즉,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의 자속방향이 영구자석(300)의 자속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영구자석(300)만의 자기흡착력에 비해 더욱 강한 자기흡착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엔진의 회전수가 고부하 작동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디스크(20)와 풀리(100) 간의 자기 흡착력이 배가되어 상기 디스크(20)와 풀리(100) 간의 면압이 증가될 수 있고, 더욱 안정적인 자기흡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크(20)와 풀리(100) 간의 슬립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만일, 전술한 일련의 과정 중 엔진의 회전수 확인을 수행하기 전에 냉각수의 온도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한 온도에 도달되지 않았음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의 자속방향이 영구자석(300)의 자속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역방향 전압을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에 인가(S400)하며,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한 온도에 도달되었음으로 확인될 때까지 상기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영구자석(300)이 제공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20)가 상기 풀리(100)와 접촉되려고 하지만, 상기한 필드코일 어셈블리(200)로 역방향 전압이 인가됨에 따른 자속이 상기 영구자석(300)이 제공하는 자속과는 반대 방향을 이룸에 따라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로부터 발생된 자속이 상기 영구자석(300)의 흡인자속을 상계시킴으로써 풀리(100)와 디스크(20) 간의 자기 흡착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20)는 복원부재(3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풀리(10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워터펌프의 구동축(60)은 동작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한 상태에서는 차량의 엔진 구동에 의해 풀리 조립체(1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풀리 조립체(1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디스크(20)는 상기 풀리 조립체(10)의 풀리(100)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로 인해 허브 조립체(30)의 회전 및 구동축(60)의 구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엔진의 회전수에 따른 디스크(20)와 풀리(100) 간의 자기흡착력이 달리 제어됨으로써 부하 조건에 상관없이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10. 풀리 조립체 20. 디스크
30. 허브 조립체 31. 허브
32. 복원부재 40. 전방 하우징
50. 베어링 60. 구동축
100. 풀리 110. 장착홈
200. 필드코일 어셈블리 210. 여자코일
220. 내측 코어 221. 제1측부단
222. 제1저부단 230. 외측 코어
231. 제2측부단 232. 제2저부단
240. 에폭시 300. 영구자석

Claims (4)

  1.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풀리(100)와, 상기 풀리(10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풀리(100)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디스크(20)와, 상기 디스크(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워터펌프를 구동시키는 허브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전자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풀리(100)에 설치되면서 흡인자속을 제공하는 영구자석(300)과,
    상기 풀리(100)에 설치되면서 엔진의 회전수(RPM) 및 냉각수의 온도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상기 영구자석(300)의 흡인자속과 동일한 방향 혹은, 반대 방향의 흡인자속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2. 냉각수의 온도를 센싱하여 이 센싱된 냉각수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해 미리 설정된 온도에의 도달 여부를 확인하는 온도 센싱단계;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한 온도에 도달되었음으로 확인될 경우 엔진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회전수가 고부하 작동 구간에 속하는지 혹은, 저부하 작동 구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속도 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엔진의 회전수가 저부하 작동 구간에 속할 경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로의 전압 인가를 차단하고, 상기 확인된 엔진의 회전수가 고부하 작동 구간에 속할 경우에는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의 자속방향이 영구자석(300)의 자속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순방향 전압을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에 인가하는 동작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동작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단계 중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워터펌프의 구동을 위한 온도에 도달되지 않았음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의 자속방향이 영구자석(300)의 자속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역방향 전압을 필드코일 어셈블리(200)에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동작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확인단계에서
    고부하 작동 구간은 엔진의 회전수가 6000RPM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저부하 작동 구간은 엔진의 회전수가 6000RPM 이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의 동작 제어방법.
KR1020110051752A 2011-05-31 2011-05-31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KR10134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52A KR101348859B1 (ko) 2011-05-31 2011-05-31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52A KR101348859B1 (ko) 2011-05-31 2011-05-31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204A true KR20120133204A (ko) 2012-12-10
KR101348859B1 KR101348859B1 (ko) 2014-01-07

Family

ID=4751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752A KR101348859B1 (ko) 2011-05-31 2011-05-31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8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5805A (zh) * 2016-08-02 2016-11-02 苏州睿昕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永磁调速水泵电磁离合器
CN108916263A (zh) * 2018-09-21 2018-11-30 富奥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离合变量水泵
CN108952934A (zh) * 2018-06-25 2018-12-07 嘉兴兴涛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水泵离合器通电差速装置
CN109307021A (zh) * 2018-10-23 2019-02-05 江苏睿昕联合汽车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防失效电磁水泵离合器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300A (ja) * 2002-10-29 2004-05-27 Aisin Seiki Co Ltd ウォータポンプ
JP2010265837A (ja) * 2009-05-15 2010-11-25 Toyota Motor Corp ウォーターポンプ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5805A (zh) * 2016-08-02 2016-11-02 苏州睿昕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永磁调速水泵电磁离合器
CN108952934A (zh) * 2018-06-25 2018-12-07 嘉兴兴涛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水泵离合器通电差速装置
CN108952934B (zh) * 2018-06-25 2023-11-24 嘉兴兴涛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水泵离合器通电差速装置
CN108916263A (zh) * 2018-09-21 2018-11-30 富奥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离合变量水泵
CN108916263B (zh) * 2018-09-21 2023-07-04 富奥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离合变量水泵
CN109307021A (zh) * 2018-10-23 2019-02-05 江苏睿昕联合汽车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防失效电磁水泵离合器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859B1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2387B2 (en) Air-cooled electrical machine with automatic clutch
US9238405B2 (en) Motor unit and grill shutter dr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ES2624801T3 (es) Dispositivo de acoplamiento giratorio con estructura de compensación de desgaste
KR101827223B1 (ko) 마그네틱 커플링
KR101348859B1 (ko) 워터펌프용 전자 클러치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JP2006136088A (ja) 電動モータ及び電動圧縮機
WO2016165648A1 (zh) 电磁离合器
WO2014156062A1 (ja) クラッチ機構
JP2007244023A (ja) 回転電機
US20200266682A1 (en) Electric motor brake
KR101842760B1 (ko) 냉각팬이 구비된 모터
US9476464B2 (en) Electromagnetic driving devic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controlling same
KR101459970B1 (ko) 전자식 워터펌프 제어방법
CN101672210B (zh) 三速电磁风扇离合器
JP4045246B2 (ja) 車両用発電電動機
JP5233196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
WO2014024288A1 (ja) 電動機
KR20120131329A (ko) 전자 클러치
JP5030006B2 (ja) モータ装置
JP5898101B2 (ja) 巻上機用の電動機
JP5326415B2 (ja) モータの冷却装置
EP3638916B1 (en) Hybri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a fan for cooling the cooling fluid of a vehicle
JP2009273222A (ja) 電動モータ
JP6645414B2 (ja) 動力伝達装置
EP2599976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to fans for cooling engines with stoppage of the fan in an idle condi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