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098A - 산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산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098A
KR20120133098A KR1020110051605A KR20110051605A KR20120133098A KR 20120133098 A KR20120133098 A KR 20120133098A KR 1020110051605 A KR1020110051605 A KR 1020110051605A KR 20110051605 A KR20110051605 A KR 20110051605A KR 20120133098 A KR20120133098 A KR 20120133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xygen
pipe
adsorption tank
pip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634B1 (ko
Inventor
장영원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63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9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 C01B13/0262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characterised by the adsorb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9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 C01B13/0262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characterised by the adsorbent
    • C01B13/027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4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2Oxygen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절기와 같이 대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 필터링된 공기를 공기 압축기로 압축, 열교환기로 냉각시켜 흡착조로 공급하고, 동절기와 같이 대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필터링된 공기를 열교환기로 1차 가열한 후 공기 압축기로 압축시켜 2차 가열한 후 흡착조로 공급시킴으로써, 대기 온도와 관계 없이 산소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산소의 생산량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산소 제조 장치{Oxygen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산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강 공장과 같은 제조 공장에서 사용되는 산소를 동절기에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산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는 철광석을 용광로에서 녹여 철을 생산하며, 생산된 철을 이용하여 철강 제품을 만드는 곳이다.
또 제강 공장은 상기 선철 및 고철(스크랩) 등을 전기로, 전로, 고로 등에 장입해서 녹여 강철을 만드는 곳이다.
제철소 및 제강 공장은 제철, 제강 공정에서 많은 양의 산소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절기에 산소를 효율적으로 제조하여 계절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산소 제조가 가능한 산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대기 중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탑; 상기 공기 흡입탑으로 흡입되어 이송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 필터; 상기 공기 필터로 필터링된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로 압축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 중에서 산소를 제외한 가스를 제거하는 흡착조; 상기 흡착조를 통과한 산소를 압축시키는 산소 압축기; 상기 공기 흡입탑, 상기 공기 필터,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열교환기, 상기 흡착조, 상기 산소 압축기를 연결하여 공기가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 1 공기 이송 배관;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압축기를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로 이송되게 하는 제 2 공기 이송 배관을 포함한 산소 제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제조 장치는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과 상기 제 2 공기 이송 배관의 관 연결 부분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밸브는 대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공기를 상기 공기 필터,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 내로 공급하고, 대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공기를 상기 공기 필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공기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 내로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공기 이송 배관은 상기 공기 필터와 상기 공기 압축기의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서 타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에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의 일단과 상기 공기 압축기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후측에서 타단이 제 2 배관부재와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의 타단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배관부재에서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의 타단 후측에 타단이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제조 장치는 상기 흡착조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조에서 탈착된 질소를 배출하는 질소 배출관; 상기 질소 배출관에 장착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질소 배출관에 장착되며, 상기 진공 펌프로 흡입된 질소를 외부로 재출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착조는 제 1 흡착조와, 제 2 흡착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은 상기 공기 흡입탑, 상기 공기 필터, 상기 에어 블로워, 상기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제 1 배관부재; 및 상기 열교환기, 상기 흡착조, 상기 산소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 2 배관부재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배관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된 베이스 이송관부;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 1 흡착조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이송관부,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 2 흡착조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이송관부; 상기 제 1 흡착조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흡착조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이송시키는 제 1 산소 배출관부; 상기 제 2 흡착조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흡착조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이송시키는 제 2 산소 배출관부; 일단이 상기 제 1 산소 배출관부와 상기 제 2 산소 배출관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산소 압축기에 연결되는 베이스 산소 배출관부;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와 상기 제 2 연결 이송관부에 각각 연결되며, 중간에 상기 질소 배출관이 연결되는 질소 배출 연결관부;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 상기 제 2 연결 이송관부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1 삼방향 밸브; 상기 질소 배출 연결관부와 상기 질소 배출관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2 삼방향 밸브; 상기 제 1 산소 배출관부, 상기 제 2 산소 배출관부, 상기 베이스 산소 배출관부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3 삼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기 온도와 관계 없이 산소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산소의 생산량을 향상시키고, 산소가 필요한 공정 내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된 공기를 산소 제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제조 장치는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제조 장치는 공기 흡입탑(1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흡입탑(10)은 송풍기의 작동으로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 1 공기 이송 배관(100)을 통해 이송한다.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100)에는 상기 공기 흡입탑(10)에서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 필터(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필터(20)는 공기 중의 분진 또는 기타 이물질을 필터링을 통해 제거한다.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100)에는 상기 공기 필터(20)로 필터링된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3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압축기(30)는 공기를 1차 압축하는 것으로 에어 블로워를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공기는 상기 공기 압축기(3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올라간다.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100)에는 상기 공기 압축기(30)를 통과한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열교환기(40)가 장착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일측에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41)이 구비되고, 타측에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관(42)이 연결되어 공기를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킨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공기 압축기(30)로 가열된 공기를 다시 냉각시켜 후술될 흡착조(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질소 제거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질소 제거에 적당한 온도로 냉각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100)에는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한 공기 중 질소를 제거하는 흡착조(50)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 중의 수분과 질소는 상기 흡착조(50) 내의 알루미나(Alumina), 제올라이트(Zeolite) 등에 의해 흡착 제거되고, 상기 공기 중의 산소는 상기 흡착조(50)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간에 장착된 산소 압축기(60)를 통해 압축된다.
상기 산소 압축기(60)로 압축된 산소는 사용처로 직접 공급되거나, 보관 용기에 저장된다.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100)은 상기 공기 흡입탑(10), 상기 공기 필터(20), 상기 에어 블로워, 상기 열교환기(40)를 연결하는 제 1 배관부재(110); 및 상기 열교환기(40), 상기 흡착조(50), 상기 산소 압축기(60)를 연결하는 제 2 배관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제조 장치는 상기 흡착조(50)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조(50)에서 탈착된 질소를 배출하는 질소 배출관(71); 상기 질소 배출관(71)에 장착되는 진공 펌프(70), 상기 질소 배출관(71)에 장착되며, 상기 진공 펌프(70)로 흡입된 질소를 외부로 재출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소 제조 장치는 상기 흡착조(50) 내의 질소를 주기적으로 탈착시켜 제거함으로써, 상기 흡착조(50)의 재정비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착조(50)는 제 1 흡착조(51)와, 제 2 흡착조(5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배관부재(120)는 상기 열교환기(40)에 연결된 베이스 이송관부(121);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121)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 1 흡착조(51)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이송관부(122),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121)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 2 흡착조(52)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이송관부(123), 상기 제 1 흡착조(51)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흡착조(51)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이송시키는 제 1 산소 배출관부(124), 상기 제 2 흡착조(52)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흡착조(52)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이송시키는 제 2 산소 배출관부(125), 일단이 상기 제 1 산소 배출관부(124)와 상기 제 2 산소 배출관부(12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산소 압축기(60)에 연결되는 베이스 산소 배출관부(126);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122)와 제 2 연결 이송관부(123)에 각각 연결되며, 중간에 상기 질소 배출관(71)이 연결되는 질소 배출 연결관부(127);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121),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122), 제 2 연결 이송관부(123)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1 삼방향 밸브(207); 상기 질소 배출 연결관부(127)와 상기 질소 배출관(71)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2 삼방향 밸브(208); 상기 제 1 산소 배출관부(124), 상기 제 2 산소 배출관부(125), 상기 베이스 산소 배출관부(126)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3 삼방향 밸브(209)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조(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흡착조(51) 및 제 2 흡착조(52)를 포함하여 한 측에서 질소가 흡착되고, 다른 한측에서 질소가 탈착되게 교대로 사용한다.
상기 제 1 흡착조(51)에서 공기 중 질소를 흡착하고, 제 2 흡착조(52)에서 흡착된 질소를 탈착시켜 제거하는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제 1 삼방향 밸브(207)는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122)의 관로를 열고, 상기 제 2 연결 이송관부(123)의 관로를 차단하여 공기가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122)를 통해 상기 제 1 흡착조(51)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 3 삼방향 밸브(209)는 상기 제 1 산소 배출관부(124)의 관로를 열어 상기 베이스 산소 배출관부(126)에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산소 배출관부(125)의 관로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 2 삼방향 밸브(208)는 상기 제 2 연결 이송관부(123)의 관로를 열어 상기 질소 배출관(71)에 연통시키고,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122)의 관로를 닫는다.
즉, 상기 공기는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121) 및 제 1 연결 이송관부(122)를 통해 상기 제 1 흡착조(51)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1 흡착조(51)에서 질소가 제거된 산소는 상기 제 1 산소 배출관부(124)를 통해 상기 산소 압축기(60)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 2 흡착조(52)에서 탈착된 질소는 상기 제 2 연결 이송관부(123) 및 상기 질소 배출 연결관부(127), 상기 질소 배출관(71)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 1 흡착조(51)에서 흡착된 질소를 탈착하고, 상기 제 2 흡착조(52)에서 공기 중 질소를 흡착하는 예는 상기한 예와 반대의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흡착조(51)와 상기 제 2 흡착조(52)를 교대로 사용하여 공기 중 질소 및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 상기 흡착조(50)의 탈착 작업으로 인한 작업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산소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제조 장치는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10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필터(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압축기(30)를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50)로 이송되게 하는 제 2 공기 이송 배관(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공기 이송 배관(200)은 대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열교환기(40)를 통해 공기를 1차 가열한 후 공기 압축기(30)를 통과시켜 온도를 높인 후 상기 흡착조(50) 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봄철 또는 여름철과 같이 대기의 온도가 높은 하절기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공기 이송 배관(100)을 통해 공기를 상기 공기 압축기(30)로 압축한 후 압축으로 가열된 공기를 열교환기(40)로 냉각시켜 상기 흡착조(50) 내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가을철 또는 겨울철과 같이 대기의 온도가 매우 낮은 동절기의 경우 상기 공기 압축기(30)로 공기를 압축한 후 상기 열교환기(40)로 열교환시키는 경우 상기 흡착조(50)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너무 낮아 공기 중 질소 제거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산소의 생산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가을철 또는 겨울철등과 같이 대기의 온도가 낮은 동절기에는 공기를 상기 제 2 공기 이송 배관(200)을 통해 상기 공기 필터(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압축기(30)를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50)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공기 이송 배관(200)은 상기 공기 필터(20)와 상기 공기 압축기(30)의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110)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30)와 상기 열교환기(40) 사이에서 타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110)에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의 일단과 상기 공기 압축기(30)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110)와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40)의 후측에서 타단이 상기 제 2 배관부재(120)와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220); 상기 공기 압축기(30)와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의 타단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배관부재(120)에서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220)의 타단 후측에 타단이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230);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220), 상기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230)의 관 연결부분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201, 202, 203, 204, 205, 206)를 포함한다.
복수의 밸브(201, 202, 203, 204, 205, 206)는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220), 상기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230)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여 상기 공기 필터(20)를 통과한 공기가 열교환기(40)를 통과한 후 공기 압축기(30)를 통과하여 상기 흡착조(50)로 공급되게 한다.
즉, 동절기에서는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220), 상기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230)의 관로가 열리고,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의 일단과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220)의 일단 사이의 관로는 차단된다.
또한,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220)의 타단과, 상기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230)의 타단 사이의 관로는 차단된다.
또한, 상기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230)의 일단과,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의 타단 사이의 관로는 차단된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공기 필터(20)를 통과한 후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210)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기(40)의 냉각수와 열교환하면서 1차 가열된다.
이 때, 동절기의 공기온도는 통상 10℃ 이하이므로, 하절기에 냉각수 역할을 하는 상기 냉각수로 1차 가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4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220)를 통해 상기 공기 압축기(30)의 앞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공기 압축기(30)를 통과하여 압축되면서 온도가 올라간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230)를 통해 상기 제 2 배관부재(120)로 공급되고, 상기 제 2 배관부재(120)를 통해 상기 흡착조(50)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절기의 공기의 이송 과정은 도1에서 화살표로 표시되어 참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공기를 상기 공기 필터(20), 상기 공기 압축기(30), 상기 열교환기(40)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50) 내로 공급하고, 대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공기를 상기 공기 필터(20), 상기 열교환기(40), 상기 공기 압축기(30)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50) 내로 공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절기와 동절기에 대기의 온도에 따라 공기 중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적정 온도로 상기 흡착조(50) 내로 공기를 공급시키므로, 계절에 따른 대기온도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산소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공기 흡입탑 20 : 공기 필터
30 : 공기 압축기 40 : 열교환기
50 : 흡착조 60 : 산소 압축기
70 : 진공 펌프 71 : 질소 배출관
80 : 배기 덕트 100 : 제 1 공기 이송 배관
200 : 제 2 공기 이송 배관 210 :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
220 :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 230 :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

Claims (6)

  1. 대기 중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탑;
    상기 공기 흡입탑으로 흡입되어 이송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 필터;
    상기 공기 필터로 필터링된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로 압축된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 중에서 산소를 제외한 가스를 제거하는 흡착조;
    상기 흡착조를 통과한 산소를 압축시키는 산소 압축기;
    상기 공기 흡입탑, 상기 공기 필터,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열교환기, 상기 흡착조, 상기 산소 압축기를 연결하여 공기가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 1 공기 이송 배관;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압축기를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로 이송되게 하는 제 2 공기 이송 배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과 상기 제 2 공기 이송 배관의 관 연결 부분에 장착되어 공기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밸브는 대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공기를 상기 공기 필터, 상기 공기 압축기, 상기 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 내로 공급하고,
    대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공기를 상기 공기 필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공기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흡착조 내로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제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 이송 배관은,
    상기 공기 필터와 상기 공기 압축기의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서 타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에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의 일단과 상기 공기 압축기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후측에서 타단이 상기 제 2 배관부재와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 및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우회 제 1 배관부의 타단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 1 배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배관부재에서 상기 공기 우회 제 2 배관부의 타단 후측에 타단이 연결되는 공기 우회 제 3 배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조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조에서 탈착된 질소를 배출하는 질소 배출관;
    상기 질소 배출관에 장착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질소 배출관에 장착되며, 상기 진공 펌프로 흡입된 질소를 외부로 재출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착조는 제 1 흡착조와, 제 2 흡착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제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이송 배관은 상기 공기 흡입탑, 상기 공기 필터, 상기 에어 블로워, 상기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제 1 배관부재; 및
    상기 열교환기, 상기 흡착조, 상기 산소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 2 배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배관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된 베이스 이송관부;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 1 흡착조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이송관부;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에서 분기되며, 상기 제 2 흡착조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이송관부;
    상기 제 1 흡착조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흡착조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이송시키는 제 1 산소 배출관부;
    상기 제 2 흡착조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흡착조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이송시키는 제 2 산소 배출관부;
    일단이 상기 제 1 산소 배출관부와 상기 제 2 산소 배출관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산소 압축기에 연결되는 베이스 산소 배출관부;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와 상기 제 2 연결 이송관부에 각각 연결되며, 중간에 상기 질소 배출관이 연결되는 질소 배출 연결관부;
    상기 베이스 이송관부, 상기 제 1 연결 이송관부, 상기 제 2 연결 이송관부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1 삼방향 밸브;
    상기 질소 배출 연결관부와 상기 질소 배출관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2 삼방향 밸브;
    상기 제 1 산소 배출관부, 상기 제 2 산소 배출관부, 상기 베이스 산소 배출관부의 연결 지점에 장착되는 제 3 삼방향 밸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제조 장치.
KR1020110051605A 2011-05-30 2011-05-30 산소 제조 장치 KR101267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05A KR101267634B1 (ko) 2011-05-30 2011-05-30 산소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05A KR101267634B1 (ko) 2011-05-30 2011-05-30 산소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098A true KR20120133098A (ko) 2012-12-10
KR101267634B1 KR101267634B1 (ko) 2013-05-27

Family

ID=4751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605A KR101267634B1 (ko) 2011-05-30 2011-05-30 산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6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28B1 (ko) * 2013-11-15 2015-07-2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공정에서 에어나이프의 압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727710A (zh) * 2016-03-02 2016-07-06 郭燕蕾 一种工业油烟处理装置
KR20200070666A (ko) * 2018-12-10 2020-06-18 이승준 산소 발생기
KR102291765B1 (ko) * 2020-05-07 2021-08-24 임정자 균질 흡입공기를 이용한 산소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8338B2 (ja) 1999-05-21 2004-06-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酸素ガスの製造方法
JP2002219176A (ja) 2001-01-25 2002-08-06 Fukuda Sangyo:Kk 医療用酸素濃縮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28B1 (ko) * 2013-11-15 2015-07-2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공정에서 에어나이프의 압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727710A (zh) * 2016-03-02 2016-07-06 郭燕蕾 一种工业油烟处理装置
KR20200070666A (ko) * 2018-12-10 2020-06-18 이승준 산소 발생기
KR102291765B1 (ko) * 2020-05-07 2021-08-24 임정자 균질 흡입공기를 이용한 산소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634B1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634B1 (ko) 산소 제조 장치
KR101687360B1 (ko) 흡착식 드라이어의 재생에어 공급장치
KR101187295B1 (ko) 흡착식 압축공기 건조기
KR102155341B1 (ko) 압축공기 공급시스템
CN202061533U (zh) 一种余热再生式空气干燥装置
CN110180324B (zh) 一种空气净化装置及净化方法
CN203315983U (zh) 空气热能负压再生压缩空气吸附式干燥机
CN102179142A (zh) 一种余热再生式空气干燥装置
CN105126536B (zh) 天然气净化装置、净化系统、处理系统及吸附剂再生方法
CN207356872U (zh) 一种零耗气低露点压缩热吸附式干燥机
CN108893569B (zh) 一种高炉鼓风脱湿装置及其脱湿方法
CN207576094U (zh) 一种热回收型微气耗鼓风加热吸附式干燥机
CN207012777U (zh) 一种吸附式高效节能干燥装置及系统
CN105605721A (zh) 一种热加工车间废气利用装置
CN115193246A (zh) 胺系吸附剂解吸二氧化碳捕集装置
CN111238167B (zh) 用于空分装置的节能加热装置及方法
CN210374300U (zh) 一种空压机余热利用的空分装置
CN210631891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11753413U (zh) 烟气回收处理系统及具有该烟气回收处理系统的辊道窑
CN111318136A (zh) 一种多塔并联式干燥、纯化工艺及装置
CN101240358A (zh) 溶液脱湿高炉鼓风装置及方法
CN217855348U (zh) 一种高炉热风炉烟气脱除二氧化碳的装置及热风炉
CN219860580U (zh) 一种psa制氮尾气回收制氧系统
EP4008423B1 (en) Energy-saving process system for purifying and recycling oxygen from high-temperature oxygen-enriched flue gas and process thereof
CN113877357B (zh) 一种高炉煤气吸附脱硫再生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