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043A -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043A
KR20120133043A KR1020110051521A KR20110051521A KR20120133043A KR 20120133043 A KR20120133043 A KR 20120133043A KR 1020110051521 A KR1020110051521 A KR 1020110051521A KR 20110051521 A KR20110051521 A KR 20110051521A KR 20120133043 A KR20120133043 A KR 20120133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asing
rod body
ground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672B1 (ko
Inventor
정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원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원중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원중기계
Priority to KR102011005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67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2/00Accessories for drill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3/022Top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03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E21B7/005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helical conve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완충장치는, 지반굴착장치 중 오거장치의 출력축에 끼움 결합되며, 오거장치 구동에 따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양방향 회전하는 육각형태의 로드몸체와; 상기 로드몸체의 외주면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삽착되며, 상하 양단에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는 로드몸체와 동일형태를 이루고 외부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로드안내케이싱과; 상기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로드몸체의 하단 중앙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에 암반천공비트가 결착되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과;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과 로드몸체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며, 로드몸체, 로드안내케이싱, 천공비트결합케이싱 및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에 암반천공비트가 결합된 상태로 오거장치의 출력축에 연결 시 로드몸체를 지지하여 충격감쇄공간부의 초기 유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1차 완화시키는 충격감쇄스프링과; 상기 로드몸체의 하부 외측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해 로드안내케이싱이 로드몸체를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공간부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상기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여 충격감쇄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키는 충격감쇄공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 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충격감쇄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시킴과 동시에 로드안내케이싱이 로드몸체를 따라 상승하면서 충격감쇄공간부의 크기를 줄여 상기 충격감쇄공간부 내에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면서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킴과 아울러, 상기 오거장치와 스크류로드 또는 암반천공비트 사이에 완충장치를 연결 설치 시 상기 충격감쇄스프링을 통해 로드몸체가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낙하되는 로드몸체에 의해 암반천공비트 역시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이를 통해 작업자가 큰부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되는 현장사고 또한 방지하고, 더욱이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로 낙하 시 지반굴착장치를 비롯해 상기 지반굴착장치가 설치된 크레인에 충격력이 작용되면서 이를 통해 크레인이 전복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이와 더불어 종래와 같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 시 충격감쇄공간부 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들어가 차면서 상기 충격감쇄공간부의 완충역할이 폐쇄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The shock-absorbing device for using a ground excavation device}
본 발명은 지반굴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굴착장치 중 오거장치의 출력축과 스크류로드 또는 암반천공비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에 대하여, 상기 완충장치를 이루는 로드몸체의 하부 외측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는 충격감쇄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로드몸체의 하단 중앙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과 로드몸체의 하단 사이에 충격감쇄스프링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 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충격감쇄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시킴과 동시에 로드안내케이싱이 로드몸체를 따라 상승하면서 충격감쇄공간부의 크기를 줄여 상기 충격감쇄공간부 내에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면서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킴과 아울러, 상기 오거장치와 스크류로드 또는 암반천공비트 사이에 완충장치를 연결 설치 시 상기 충격감쇄스프링을 통해 로드몸체가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낙하되는 로드몸체에 의해 암반천공비트 역시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이를 통해 작업자가 큰부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되는 현장사고 또한 방지하고, 더욱이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로 낙하 시 지반굴착장치를 비롯해 상기 지반굴착장치가 설치된 크레인에 충격력이 작용되면서 이를 통해 크레인이 전복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이와 더불어 종래와 같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 시 충격감쇄공간부 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들어가 차면서 상기 충격감쇄공간부의 완충역할이 폐쇄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에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건축물의 지주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고강도의 원주형이나 직사각형태의 말뚝체 또는 물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벽 등의 보강체를 시공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하였다.
이와 같은 연약지반 내에 보강체를 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반굴착장치가 사용되는데, 상기한 지반굴착장치(1)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기동력을 갖춘 크롤러 크레인(5)의 선단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프레임(10)과; 상기 포스트프레임(10)의 가이드(11) 상측에 와이어 및 도르레로서 모터(미도시)와 함께 현가된 오거장치(20)와; 상기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로드(25)와; 상기 스크류로드(25)가 내장된 상태로 오거장치(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오거케이싱(50)과; 상기 스크류로드(25)의 하단에 타격해머(61)와 함께 결착되어 모터 구동에 따른 회전작용과 타격해머(61)의 타격작용을 통해 암반을 천공하는 암반천공비트(60)와; 오거장치(20)의 출력축과 스크류로드(25) 또는 암반천공비트(6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7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롤러 크레인(5), 포스트프레임(10), 오거장치(20), 스크류로드(25), 오거케이싱(50) 및 암반천공비트(60)의 경우 이 기술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지반굴착장치(1)를 이용해 지반 내의 암석이나 암반층을 천공할 경우 암반층의 굴착이 토사층에 형성된 굴착공과 같은 직경으로 암반천공비트(60)로 한 번에 천공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암반천공비트(60)를 통해 암반층을 천공 굴착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진동이 크게 발생됨과 아울러, 상기 암반 천공 굴착과정에서 발생된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주변 구조물의 피해가 유발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지반굴착장치(1)에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2-12223호의 "굴삭기의 헤드 파워 완충장치(이하, 완충장치(70)라 함)" 가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 완충장치(70)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71)의 일측에는 양분된 지지판(71')이 체결되고 타측에는 고정관(72)의 후렌지부(72')가 제작되어 있으되, 고정관(72)의 내부단입부(72''')에는 고정간(74)이 끼움되어 걸림링(75)에 의해 걸림되게 하고 고정간(74)에 끼움되는 유동관(73)에는 몸체(71)의 공실 길이보다 짧은 확관부(73')를 형성하여 공간부(A,A')가 형성되게 하되, 이에 돌설된 안내돌조(73'')는 몸체(1)의 공실내에 요설된 안내홈(71'')에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완충장치(70)의 경우 몸체(71) 내에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유동관(73)의 확관부(73') 좌우 양측으로 2개의 공간부(A,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반굴착장치(1) 중 오거장치(20)와 스크류로드(25)나 또는 암반천공비트(60) 사이에 종래 완충장치(70)를 연결 설치하여 도르레를 이용해 포스트프레임(10)의 가이드(11)에 현가된 오거장치(20)를 상기 가이드(11)의 상부로 수직 이송시킬 경우 암반천공비트(60)의 무게에 의해 오거장치(20)와 나사 결합되도록 전방(前方)에 안내돌조(78)를 구비한 유동관(73)을 따라 암반천공비트(60)와 나사 결합되도록 후방(後方)에 안내돌조(78')를 구비한 고정관(72)의 후렌지부(72')와 볼트 결합된 몸체(71)가 하방(下方)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암반천공비트(60)와 함께 낙하되는 몸체(71)에 의해 암반천공비트(60) 역시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이를 통해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되는 등의 현장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완충장치(70)의 경우 상기와 같이 암반천공비트(60)의 무게에 의해 오거장치(20)와 나사 결합되도록 전방(前方)에 안내돌조(78)를 구비한 유동관(73)을 따라 암반천공비트(60)와 나사 결합되도록 후방(後方)에 안내돌조(78')를 구비한 고정관(72)의 후렌지부(72')와 볼트 결합된 몸체(71)가 하방(下方)으로 낙하 시 지반굴착장치(1)를 비롯해 상기 지반굴착장치(1)가 설치된 크레인에 충격력이 작용되면서 이를 통해 크레인이 전복되는 사고 역시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 완충장치(70)의 경우 상기와 같이 지반굴착장치(1) 중 오거장치(20)와 스크류로드(25)나 또는 암반천공비트(60) 사이에 연결 설치 시 암반천공비트(60)의 무게에 의해 오거장치(20)와 나사 결합되도록 전방(前方)에 안내돌조(78)를 구비한 유동관(73)을 따라 암반천공비트(60)와 나사 결합되도록 후방(後方)에 안내돌조(78')를 구비한 고정관(72)의 후렌지부(72')와 볼트 결합된 몸체(71)가 하방(下方)으로 낙하함으로써, 상기 몸체(71) 내에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유동관(73)의 확관부(73')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2개의 공간부(A,A')를 항시 유지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장치(70)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2개의 공간부(A,A')가 확관부(73')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었는지 몸체(71)에 가려져 작업자가 상기 공간부(A,A')를 확인하기가 불가능함과 아울러,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에 따른 완충장치(70)의 작동 시 공간부(A,A') 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들어가 차면서 상기 공간부(A,A')의 완충역할이 폐쇄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 또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지반굴착장치 중 오거장치의 출력축과 스크류로드 또는 암반천공비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에 대하여, 상기 완충장치를 이루는 로드몸체의 하부 외측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는 충격감쇄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로드몸체의 하단 중앙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과 로드몸체의 하단 사이에 충격감쇄공간부를 유지토록 함과 함께 상기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1차 완화시키기 위한 충격감쇄스프링을 설치 구성함에 따라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 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충격감쇄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시킴과 동시에 로드안내케이싱이 로드몸체를 따라 상승하면서 충격감쇄공간부의 크기를 줄여 상기 충격감쇄공간부 내에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면서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켜 보다 안정적인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충장치를 오거장치와 스크류로드 또는 암반천공비트 사이에 연결 설치 할 경우 상기 충격감쇄스프링을 통해 충격감쇄공간부를 유지하면서 로드몸체 자체가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낙하되는 로드몸체에 의해 암반천공비트 역시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이를 통해 작업자가 큰부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되는 현장사고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로드몸체의 하단과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에 용접 고정되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충격감쇄스프링을 통해 로드몸체의 하부 외측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에 형성된 충격감쇄공간부를 유지하면서 로드몸체 자체가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로 낙하 시 지반굴착장치를 비롯해 상기 지반굴착장치가 설치된 크레인에 충격력이 작용되면서 이를 통해 크레인이 전복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완충장치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감쇄스프링을 통해 충격감쇄공간부를 유지하면서 로드몸체 자체가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 시 충격감쇄공간부 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들어가 차면서 상기 충격감쇄공간부의 완충역할이 폐쇄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는, 지반굴착장치 중 오거장치의 출력축에 끼움 결합되며, 오거장치 구동에 따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양방향 회전하는 육각형태의 로드몸체와; 상기 로드몸체의 외주면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삽착되며, 상하 양단에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는 로드몸체와 동일형태를 이루고 외부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로드안내케이싱과; 상기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로드몸체의 하단 중앙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에 암반천공비트가 결착되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과;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과 로드몸체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며, 로드몸체, 로드안내케이싱, 천공비트결합케이싱 및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에 암반천공비트가 결합된 상태로 오거장치의 출력축에 연결 시 로드몸체를 지지하여 충격감쇄공간부의 초기 유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1차 완화시키는 충격감쇄스프링과; 상기 로드몸체의 하부 외측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해 로드안내케이싱이 로드몸체를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공간부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상기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여 충격감쇄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키는 충격감쇄공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 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과 로드몸체의 하단 사이에 설치된 충격감쇄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시킴과 동시에 로드안내케이싱이 로드몸체를 따라 상승하면서 로드몸체의 하부 외측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에 형성된 충격감쇄공간부의 크기를 줄여 상기 충격감쇄공간부 내에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면서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켜 보다 안정적인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을 이룰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충장치를 오거장치와 스크류로드 또는 암반천공비트 사이에 연결 설치 할 경우 상기 충격감쇄스프링을 통해 충격감쇄공간부를 유지하면서 로드몸체 자체가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낙하되는 로드몸체에 의해 암반천공비트 역시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이를 통해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되는 현장사고 또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로 낙하 시 지반굴착장치를 비롯해 상기 지반굴착장치가 설치된 크레인에 충격력이 작용되면서 이를 통해 크레인이 전복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이와 더불어, 종래와 같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 시 충격감쇄공간부 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들어가 차면서 상기 충격감쇄공간부의 완충역할이 폐쇄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종래 지반굴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지반굴착장치 중 완충장치에 대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반굴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에 대한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가 적용된 지반굴착장치에 대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의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이하, 완충장치라 함)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반굴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에 대한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완충장치(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완충장치(30)가 적용된 지반굴착장치(1a)를 종래 지반굴착장치(1)가 도시된 도 1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며, 종래 지반굴착장치(1)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장치(30)가 적용된 지반굴착장치(1a)는, 통상적 구조의 지반굴착장치(1)와 동일한 구조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기동력을 갖춘 크롤러 크레인(5)의 선단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프레임(10)과; 상기 포스트프레임(10)의 가이드(11) 상측에 와이어 및 도르레로서 모터(미도시)와 함께 현가된 오거장치(20)와; 상기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로드(25)와; 상기 스크류로드(25)가 내장된 상태로 오거장치(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오거케이싱(50)과; 상기 스크류로드(25)의 하단에 타격해머(61)와 함께 결착되어 모터 구동에 따른 회전작용과 타격해머(61)의 타격작용을 통해 암반을 천공하는 암반천공비트(60)와; 상기 오거장치(20)의 출력축과 스크류로드(25) 또는 암반천공비트(6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3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반굴착장치(1a) 중 크롤러 크레인(5), 포스트프레임(10), 오거장치(20), 스크류로드(25), 오거케이싱(50) 및 암반천공비트(60)의 경우 종래기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기술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도 1의 지반굴착장치(1) 중 크롤러 크레인(5), 포스트프레임(10), 오거장치(20), 스크류로드(25), 오거케이싱(50) 및 암반천공비트(60)와 동일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완충장치(3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완충장치(30)는,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 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상단과 로드몸체(31)의 하단 사이 즉,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로드몸체(31)의 하단 중앙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상단과 로드몸체(31)의 하단 사이에 설치된 충격감쇄스프링(39)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시킴과 동시에 로드안내케이싱(36)이 로드몸체(31)를 따라 상승하면서 로드몸체(31)의 하부 최외각단부(33b)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 내측단부(36a)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는 충격감쇄공간부(38)의 크기를 줄여 상기 충격감쇄공간부(38) 내에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면서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킴과 아울러, 지반굴착장치(1a) 중 오거장치(20)와 스크류로드(25) 또는 암반천공비트(60) 사이에 완충장치(30)를 연결 설치 시 상기 충격감쇄스프링(39)을 통해 로드몸체(31)가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60)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31)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낙하되는 로드몸체(31)에 의해 암반천공비트(60) 역시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이를 통해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되는 현장사고를 비롯해, 상기 암반천공비트(60)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31)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로 낙하할 경우 지반굴착장치(1a) 및 상기 지반굴착장치(1a)가 설치된 크레인에 충격력 및 하중이 작용되면서 이를 통해 발생되는 크레인의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에 따른 완충장치(30)의 작동 중 충격감쇄공간부(38) 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들어가 차면서 상기 충격감쇄공간부(38)의 완충역할이 폐쇄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기술적 특징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한 완충장치(30)의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굴착장치(1a) 중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오거장치(20) 구동에 따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양방향 회전하는 육각형태의 로드몸체(31)와; 상기 로드몸체(31)의 외주면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삽착되며, 상하 양단에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37a,37b)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는 로드몸체(31)와 동일형태를 이루고 외부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로드안내케이싱(36)과; 상기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로드몸체(31)의 하단 중앙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에 암반천공비트(60)가 결착되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과;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상단과 로드몸체(31)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며, 로드몸체(31), 로드안내케이싱(36),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 및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에 암반천공비트(60)가 결합된 상태로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연결 시 로드몸체(31)를 지지하여 충격감쇄공간부(38)의 초기 유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1차 완화시키는 충격감쇄스프링(39)과; 상기 로드몸체(31)의 하부 최외각단부(33b)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 내측단부(36a)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해 로드안내케이싱(36)이 로드몸체(31)를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공간부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상기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여 충격감쇄스프링(39)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키는 충격감쇄공간부(3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안내케이싱(36)의 상,하단에는 로드몸체(31)가 로드안내케이싱(36)의 상부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로드몸체결합홀(41a)이 관통된 로드이탈방지플랜지(40)와,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을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단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중앙에 스프링작동홀(42a)이 관통된 로드결합케이싱고정플랜지(42)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드안내케이싱(36)의 상하 양단에 형성된 상단 플랜지(37a) 및 하단 플랜지(37b)에 각각 볼트 체결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로드결합케이싱고정플랜지(42)의 경우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상단에 용접 고정된 상태로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단 플랜지(37b)와 볼트 체결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로드이탈방지플랜지(40)의 내주면에는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을 통해 로드몸체(31)를 따라 로드안내케이싱(36)의 승하강 작동 시 상기 로드몸체(31)의 하부 최외각단부(33b)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 내측단부(36a)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41)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드몸체(31)의 경우 전체형상이 상호 직경차를 갖는 중공의 다단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로드몸체(31)의 상단에는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끼움 결합되는 육각형태의 자루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드몸체(31)의 중앙 상,하측에는 로드이탈방지플랜지(40)의 로드몸체결합홀(41a)에 걸림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로드몸체(31)의 하부 최외각단부(33b)와 대응되어 공기가 충진되는 충격감쇄공간부(38)를 형성하기 위한 최외각단부(33a,33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몸체(31)의 하단 중앙 및 그 둘레에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슬라이드봉(44)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드홈(34)과,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슬라이드봉(44)과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 내측단부(36a) 사이를 충격감쇄스프링(39)과 대응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육각형태의 슬라이드림부(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로드몸체(31)의 슬라이드림부(35) 외주면에는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해 로드안내케이싱(36)이 로드몸체(31)를 따라 승,하강작용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몸체(31)의 하부 최외각단부(33b)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 내측단부(36a) 사이의 충격감쇄공간부(38)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역할을 하는 실링부재(35a)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경우 상단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로드몸체(31) 하단 중앙의 슬라이드홈(34)에 삽착되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해 상기 로드몸체(31)의 슬라이드홈(34)을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충격감쇄스프링(39)의 탄성작용을 통해 원위치로 하강 복귀되는 중공의 슬라이드봉(44)과; 상기 슬라이드봉(44)과 연통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봉(4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에 암반천공비트(60)가 결착되도록 비트결합홈(47)이 형성된 비트결합케이싱(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슬라이드봉(44) 외주면에는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한 로드몸체(31)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4)을 따라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슬라이드봉(44)의 승,하강작용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몸체(31)의 하부 최외각단부(33b)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 내측단부(36a)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역할을 하는 실링부재(45)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완충장치(30) 및 상기 완충장치(30)가 적용된 지반굴착장치(1a)에 대한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가 적용된 지반굴착장치에 대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완충장치(30)를 오거장치(20)의 출력축과 스크류로드(25) 또는 타격해머(61)가 구비된 암반천공비트(60) 사이에 연결 설치하기에 앞서, 지반굴착장치(1a)를 이용해 지반 내에 말뚝체나 차수벽 등의 보강체를 시공하기 위해 상기 지반을 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지반천공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굴착교반로드(55)를 지반굴착장치(1a) 중 포스트프레임(10)의 가이드(11) 상에 와이어 및 도르레에 의해 현가되어진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연결된 스크류로드(25)의 하단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반굴착장치(1a)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오거장치(20)의 회전력을 통해 스크류로드(25)와 함께 굴착교반로드(5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의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굴착교반로드(55)를 가압하여 지반을 천공 굴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반의 굴착은 굴착교반로드(55)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된 교반날개(56) 및 상기 굴착교반로드(55)의 하단에 핀결합된 굴착비트(57)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목적한 깊이로서 천공 굴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굴착교반로드(55)를 통해 목적한 깊이로 지반 내의 천공이 완료되게 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거장치(2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서 도르레를 이용해 포스트프레임(10)의 가이드(11)에 현가된 오거장치(20)를 상기 가이드(11)의 상부로 수직 이송시켜 이의 작용을 통해 상기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결합된 스크류로드(25) 및 이의 하단에 결합된 굴착교반로드(55) 역시 지반 위치로 상승됨으로써, 지반 굴착을 위한 지반굴착장치(1a)의 작동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굴착교반로드(55)를 통해 지반 내의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암석이나 암반층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6b와 같이 오거장치(20)의 상승작용을 통해 스크류로드(25) 및 굴착교반로드(55)를 지면 위로 상승시킨 다음 본 발명의 완충장치(30)를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연결시키고, 상기 완충장치(30)의 하단 즉, 상기 완충장치(30)의 구성요소 중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비트결합케이싱(46) 내에 스크류로드(25) 및 상기 스크류로드(25)의 하단에 타격해머(61)가 구비된 암반천공비트(6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이를 지반 내의 천공홀에 진입시킨 후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거장치(20)의 회전작용과 함께 타격해머(61)의 작동을 통해 상기 암반천공비트(60)가 암석이나 암반층을 천공 굴착하게 되는데, 이때 지반굴착장치(1a) 중 오거장치(20)와 스크류로드(25) 또는 암반천공비트(60) 사이에 완충장치(30)를 연결 설치 시 본 발명의 완충장치(30) 중 충격감쇄스프링(39)을 통해 로드몸체(31)가 지지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암반천공비트(60)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31)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낙하되는 로드몸체(31)에 의해 암반천공비트(60) 역시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이를 통해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게 되는 현장사고를 비롯해, 상기 암반천공비트(60)의 무게에 의해 로드몸체(31)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로 낙하 시 지반굴착장치(1a) 및 상기 지반굴착장치(1a)가 설치된 크레인에 충격력 및 하중이 작용되면서 이를 통해 발생되는 크레인의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암반 굴착 작업에 따른 완충장치(30)의 작동 중 충격감쇄공간부(38) 내에 흙이나 이물질이 들어가 차면서 상기 충격감쇄공간부(38)의 완충역할이 폐쇄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거장치(20)의 회전작용과 함께 타격해머(61)의 작동을 통해 상기 암반천공비트(60)가 암석이나 암반층을 천공 굴착하는 암반천공 작업 시 상기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본 발명의 완충장치(30) 중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상단과 로드몸체(31)의 하단 사이 즉,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로드몸체(31)의 하단 중앙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천공비트결합케이싱(43)의 상단과 로드몸체(31)의 하단 사이에 설치된 충격감쇄스프링(39)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시킴과 동시에 로드안내케이싱(36)이 로드몸체(31)를 따라 상승하면서 로드몸체(31)의 하부 최외각단부(33b)와 로드안내케이싱(36)의 하부 내측단부(36a)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는 충격감쇄공간부(38)의 크기를 감소시켜 상기 충격감쇄공간부(38) 내에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면서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키는 등 본 발명의 완충장치(30)를 통해 암반천공 작업 시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장치(30)를 통해 암반천공비트(6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면서 목적한 지반 내 설계심도까지 굴착이 완료되면, 이 역시 도 6b와 같이 상기 오거장치(2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서 도르레를 이용해 포스트프레임(10)의 가이드(11)에 현가된 오거장치(20)를 상기 가이드(11)의 상부로 수직 이송시켜 이의 작용을 통해 상기 오거장치(20)의 출력축에 결합된 스크류로드(25) 및 이의 하단에 결합된 암반천공비트(60)를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 위치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이를 통한 암반 천공작업이 종료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1a. 지반굴착장치 5. 크롤러 크레인
10. 포스트프레임 11. 가이드
20. 오거장치 25. 스크류로드
30. 완충장치 31. 로드몸체
33a, 33b. 최외각단부 34. 슬라이드홈
35. 슬라이드림부 35a, 41, 45. 실링부재
36. 로드안내케이싱 36a. 내측단부
37a, 37b. 플랜지 38. 충격감쇄공간부
39. 충격감쇄스프링 40. 로드이탈방지플랜지
41a. 로드몸체결합홀 42. 로드결합케이싱고정플랜지
42a. 스프링작동홀 43. 천공비트결합케이싱
44. 슬라이드봉 46. 비트결합케이싱
47. 비트결합홈 50. 오거케이싱
55. 굴착교반로드 56. 교반날개
57. 굴착비트 60. 암반천공비트
61. 타격해머

Claims (6)

  1. 크롤러 크레인의 선단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포스트프레임과,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가이드에 모터와 함께 현가 연결된 오거장치와, 상기 오거장치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로드와, 상기 스크류로드가 내장된 상태로 오거장치의 하단에 설치되는 오거케이싱과, 상기 스크류로드의 하단에 타격해머와 함께 결착되어 모터 구동에 따른 회전작용과 타격해머의 타격작용을 통해 암반을 천공하는 암반천공비트로 이루어진 지반굴착장치 중 상기 오거장치의 출력축과 스크류로드 또는 암반천공비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거장치의 출력축에 끼움 결합되며, 오거장치의 구동에 따른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양방향 회전하는 육각형태의 로드몸체와;
    상기 로드몸체의 외주면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삽착되며, 상하 양단에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플랜지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는 로드몸체와 동일형태를 이루고 외부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로드안내케이싱과;
    상기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로드몸체의 하단 중앙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에 암반천공비트가 결착되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과;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과 로드몸체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며, 로드몸체, 로드안내케이싱, 천공비트결합케이싱 및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에 암반천공비트가 결합된 상태로 오거장치의 출력축에 연결 시 로드몸체를 지지하여 충격감쇄공간부의 초기 유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1차 완화시키는 충격감쇄스프링과;
    상기 로드몸체의 하부 최외각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에 공기가 충진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해 로드안내케이싱이 로드몸체를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충진된 공기를 가압하여 충격감쇄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 완화된 충격력을 2차로 완화 감쇄시키는 충격감쇄공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안내케이싱의 상단에는 로드몸체가 로드안내케이싱의 상부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앙에 로드몸체결합홀이 관통된 로드이탈방지플랜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로드이탈방지플랜지는 로드안내케이싱의 상단 플랜지와 볼트 체결되고,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을 통해 로드몸체를 따라 로드안내케이싱의 승하강 작동 시 상기 로드몸체의 하부 최외각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의 충격감쇄공간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로드이탈방지플랜지의 내주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에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을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에 고정시키도록 중앙에 스프링작동홀이 관통된 로드결합케이싱고정플랜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로드결합케이싱고정플랜지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에 용접 고정된 상태로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단 플랜지와 볼트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몸체는 전체형상이 상호 직경차를 갖는 중공의 다단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단에는 오거장치의 출력축에 끼움 결합되는 육각형태의 자루부가 형성되고, 그 중앙 상,하측에는 로드이탈방지플랜지의 로드몸체결합홀에 걸림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로드몸체의 하부 최외각단부와 대응되어 공기가 충진되는 충격감쇄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최외각단부가 각각 형성되며, 그 하단 중앙 및 그 둘레에는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슬라이드봉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드홈, 및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슬라이드봉과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를 충격감쇄스프링과 대응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육각형태의 슬라이드림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은 상단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로드몸체 하단 중앙의 슬라이드홈에 삽착되어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해 상기 로드몸체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충격감쇄스프링의 탄성작용을 통해 원위치로 하강 복귀되는 중공의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과 연통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봉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에 암반천공비트가 결착되도록 비트결합홈이 형성된 비트결합케이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몸체의 슬라이드림부 외주면과 상기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슬라이드봉 외주면에는 지반 내의 암반굴착 작업과정에서 암반천공비트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에 의한 로드몸체를 따라 로드안내케이싱의 승,하강작용 및 로드몸체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따라 천공비트결합케이싱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슬라이드봉의 승,하강작용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드몸체의 하부 최외각단부와 로드안내케이싱의 하부 내측단부 사이의 충격감쇄공간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역할을 하는 실링부재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KR1020110051521A 2011-05-30 2011-05-30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KR10123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521A KR101235672B1 (ko) 2011-05-30 2011-05-30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521A KR101235672B1 (ko) 2011-05-30 2011-05-30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043A true KR20120133043A (ko) 2012-12-10
KR101235672B1 KR101235672B1 (ko) 2013-02-25

Family

ID=4751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521A KR101235672B1 (ko) 2011-05-30 2011-05-30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67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6465A (zh) * 2014-08-07 2014-12-10 北京恒坤伟业工贸有限公司 旋挖钻机通用钻杆与潜孔锤的连接方式及其应用
CN104653100A (zh) * 2015-01-12 2015-05-27 覃炳德 一种水钻旋挖机
KR20180111112A (ko) * 2017-03-31 2018-10-11 최병진 지하수 개발용 시추기의 시추로드 연결용 완충장치
CN109372422A (zh) * 2018-12-14 2019-02-22 贵州大学 一种具有减震功能的煤矿开采用钻杆
CN109915526A (zh) * 2017-12-13 2019-06-21 株洲飞马橡胶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多囊式橡胶空气弹簧
CN112922535A (zh) * 2021-03-02 2021-06-08 太原理工大学 一种便于更换钻杆的钻机
KR102285952B1 (ko) * 2021-05-25 2021-08-04 정광모 소음, 진동 및 먼지 비산 방지를 위한 해머를 이용한 지반 굴착 장치
CN116677316A (zh) * 2023-08-04 2023-09-01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山东省地矿工程勘察院) 一种物质勘探用冲击式岩层钻进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482U (ko) * 1996-07-31 1998-04-30 김종목 천공기용 완충장치
KR200245083Y1 (ko) 1999-03-27 2001-09-13 노승관 파일 드라이버용 완충기
KR20090118524A (ko) * 2008-05-14 2009-11-18 (주)삼오기초건설 항타기용 댐퍼 조인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6465A (zh) * 2014-08-07 2014-12-10 北京恒坤伟业工贸有限公司 旋挖钻机通用钻杆与潜孔锤的连接方式及其应用
CN104653100A (zh) * 2015-01-12 2015-05-27 覃炳德 一种水钻旋挖机
KR20180111112A (ko) * 2017-03-31 2018-10-11 최병진 지하수 개발용 시추기의 시추로드 연결용 완충장치
CN109915526A (zh) * 2017-12-13 2019-06-21 株洲飞马橡胶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多囊式橡胶空气弹簧
CN109915526B (zh) * 2017-12-13 2024-04-12 株洲飞马橡胶实业有限公司 一种多囊式橡胶空气弹簧
CN109372422A (zh) * 2018-12-14 2019-02-22 贵州大学 一种具有减震功能的煤矿开采用钻杆
CN112922535A (zh) * 2021-03-02 2021-06-08 太原理工大学 一种便于更换钻杆的钻机
KR102285952B1 (ko) * 2021-05-25 2021-08-04 정광모 소음, 진동 및 먼지 비산 방지를 위한 해머를 이용한 지반 굴착 장치
CN116677316A (zh) * 2023-08-04 2023-09-01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山东省地矿工程勘察院) 一种物质勘探用冲击式岩层钻进机构
CN116677316B (zh) * 2023-08-04 2023-10-31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山东省地矿工程勘察院) 一种物质勘探用冲击式岩层钻进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672B1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672B1 (ko) 지반굴착장치용 완충장치
KR200478234Y1 (ko) 굴삭기 장착용 코어 드릴 장치
KR102245741B1 (ko) 오거 스크류용 토사 제거장치
KR101379831B1 (ko) 진동리퍼용 완충장치
JP6655170B2 (ja) 穿孔機
CN107842312A (zh) 一种井下掏槽施工装置
KR102178546B1 (ko) 케이싱 일체형 드롭해머장치
US9566702B2 (en) Hydraulic rotator converter for a hydraulic impact hammer and method
CN202055748U (zh) 旋挖钻机
CN214836096U (zh) 一种适用于密实砂层环境的深层搅拌桩机
KR102131767B1 (ko) 굴삭기용 진동감쇠장치
KR101015548B1 (ko) 수직터널 굴착장치
JP2021175874A (ja) 打設装置、打設機および打設方法
KR20230116255A (ko) 크레인천공장치
KR100950089B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용 댐핑장치
CN208502655U (zh) 一种能够减震便于移动的浅孔钻机
CN205857180U (zh) 一种桩工机械及其卷扬辅助装置
CN215979173U (zh) 动力头驱动结构及旋挖钻机
CN219158912U (zh) 桩机施工辅助降噪装置
CN211623350U (zh) 一种矿场机械用钻头减震结构
CN217681551U (zh) 一种简易重力式引孔机
KR20090118524A (ko) 항타기용 댐퍼 조인트
CN211202025U (zh) 能够加强锚固作用的减震定位复合式注浆锚杆
KR200436931Y1 (ko) 굴삭기용 브레이카의 프론트해드 저소음구조
KR102433095B1 (ko) 소음방지가 가능한 항타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