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414A -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 Google Patents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414A
KR20150131414A KR1020140057509A KR20140057509A KR20150131414A KR 20150131414 A KR20150131414 A KR 20150131414A KR 1020140057509 A KR1020140057509 A KR 1020140057509A KR 20140057509 A KR20140057509 A KR 20140057509A KR 20150131414 A KR20150131414 A KR 2015013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hydraulic
integrally formed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558B1 (ko
Inventor
임재홍
Original Assignee
오거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거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거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5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08Drop drivers with free-falling ham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더와 직각으로 구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지지브라켓과 사선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지지실린더와, 지지실린더에 삽입 인출 가능하고 끝단이 항타리더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지지로드와, 지지실린더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유압장치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지지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지지장치의 사선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삽입 인출 가능한 유압로드로 구성되는 유압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와 유압장치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더마스터와 평행하게 구성되고 하부오거의 측후면의 위치에 구성되고 지지로드 및 유압로드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성되는 가이드와, 가이드가 삽입 관통되고 항타기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항타브라켓으로 구성는 항타리더와; 상기 항타리더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항타리더와 평행하게 구성되는 항타기로 구성되어; 항타기가 전후 이동되어 파일 작업 시에 리더의 간섭이 없고, 항타기가 지반까지 이동이 되어 파일을 지반까지 항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pile driver for ground reinforcement pipe}
본 발명은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크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에 고정되고 전후 이동이 가능한 항타기를 구성하여 파일 작업에 간섭을 하지 아니하면서 파일을 지반까지 항타할 수 있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건축물은 날로 고층화 및 대형화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층의 건축물은 자중에 의한 수직하중이나 풍력을 크게 작용받게 되며 이와 같은 건축물은 지층을 관통하여서 지반층에 받쳐지는 지지파일로 지지되는 구조로서 시공되며 파일공사는 항타기 등으로 타격하여 지중에 파일을 직접적으로 박아넣는 충격식과, 오거(auger)를 회전시켜 굴착공을 천공한 후 그 굴착공 내에 말뚝을 근입하는 천공식이 있다.
상기 항타기는 주행장치가 구비된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의 리더마스터(leader master)에 지지되어 지상에 수직상으로 높게 고정되는 리더(leader)의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기술의 항타기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19281호 항타기용 유압 해머(실용출원 제1994-025439호)는 내부에 납이 채워지는 강철제 외부 원통 부재와 외부 원통 부재 하단에 끼워 장착된 앤빌로 구성되며 외부 원통 부재 외부 측면에는 램을 상승시키기 위한 돌기가 램을 지지하는 짧은 파이프 형태의 램가이드가 복수개 부착된 램과, 단면 사각형의 램지지 타워의 두 귀를 파지하는 형태로 고정되고 램 가이드의 내부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항타 시에 램 가이드가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안내 봉의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지지봉에 의해 일정 거리 격리되어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를 가지고 프레임과 램 본체의 돌기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 장치를 구비하고 상부 및 하부프레임이 타워를 파지함으로써 타워에 지지되는 형식의 항타기용 유압 해머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장치의 기부를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하향 설치하고 피스톤이 실린더 반대쪽 단부를 램의 외면에 돌출된 돌기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크롤러 크레인의 구조상 리더마스터가 무관궤도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되고 리더마스터에 타워가 설치되어 지반까지 타워를 구성할 수가 없으므로 램이 지반에 가까이에 있는 파일을 타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램가이드 및 타워가 크롤러 크레인의 케이싱로드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어 크롤러 크레인이 파일 작업을 할 때 램가이드가 파일을 간섭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램 및 램가이드를 지지하는 타워로 인하여 항타기의 전체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유압장치의 피스톤의 길이에 의하여 램의 상승 높이가 한정되어 램의 충격에너지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에 고정되는 유압장치에 의하여 전후 이동이 가능한 항타기를 구성하여 파일 작업에 간섭을 하지 아니하게 하고 항타리더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파일을 지반까지 항타할 수 있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일측이 크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부오거가 승강되는 리더와 직각 방향으로 구성되는 지지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지지장치의 사선 방향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한 유압로드로 구성되는 유압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와 유압장치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더마스터와 평행하게 구성되고 하부오거의 측후면의 위치에 구성되는 항타리더와; 상기 항타리더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항타리더와 평행하게 구성되는 항타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장치가 크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더의 직각 방향으로 구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지지브라켓과 사선 방향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지지실린더와, 지지실린더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고 끝단이 항타리더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지지로드와, 지지실린더와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이 유압장치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타리더가 일측이 지지로드 및 유압로드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성되는 가이드와, 가이드가 삽입 관통되고 타측이 항타기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항타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가 일측이 지지로드 및 유압로드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성되는 판형의 가이드편과, 가이드편과 평행하게 구성되고 가이드편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봉으로 구성되되 가이드편과 가이드봉이 동시에 항타브라켓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타기가 가이드와 평행하게 구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중간에 내외경이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확인공이 구성되고, 일측이 항타브라켓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램하우징과, 램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케이블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어 자유 낙하되는 원주형의 램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하우징의 상부 내경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단이 구성되고, 램의 하부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램돌기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는 항타기가 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에 고정되고 유압장치에 의하여 전후 이동되어 파일 작업 시에 리더의 간섭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타기가 항타리더에 의하여 지반까지 이동이 되어 파일을 지반까지 항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타기가 유압장치 등의 간단한 장치에 의하여 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를 연결하는 고 중량의 타워가 불필요하여 전체 중량이 경량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장치가 크롤러 크레인의 유압장치의 유압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램의 상승 높이가 한정되지 아니하여 램의 충격에너지를 크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이 크롤러 크레인에 설치된 상태으 사시도.
도 2: 본 발명이 크롤러 크레인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 본 발명 하우징의 단면 상태도.
도 5: 본 발명 램의 사시도.
도 6: 본 발명 유압로드가 축소된 상태의 평면 상태도.
도 7: 본 발명 유압로드가 신장된 상태의 평면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기초파일 즉 지반굴착공사에 있어서 DRA(Double Rod Auger)공법은 내부 오거와 외부 케이싱 오거(Casing Auger) 즉 상부오거와 하부오거(2)를 병용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하부오거(2)로 파일(c)을 건입 후 파일(c)이 안착하면 항타기로 항타하여 파일(c)이 지지층에 완전히 안착하게 한다.
상기 기초 파일 공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오거와 하부오거(2)는 하나의 리더(3: leader)에 상하로 결합되고, 상부오거에는 스크류 로드(4)를 하부오거(2)에는 케이싱로드(5)를 장착하며, 스크류 로드(4)는 케이싱로드(5)의 내부로 들어가며 지반을 천공을 하고 케이싱로드(5)는 토사가 무너지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오거와 하부오거(2)는 서로 힘의 바란스를 잡아주기 위해 스크류 로드(4)는 시계방향으로 케이싱로드(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천공하며 이때 슬라임 배토는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하부오거(2)의 상부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스크류 로드(4)와 케이싱로드(5)가 지지층에 도달하면 상부오거가 스크류 로드(4)를 역회전시켜 스크류 로드(4)를 뽑아 올려 제거하며, 하부오거(2)의 구동부와 케이싱로드(5)를 분리한 후 케이싱로드(5)의 내부로 파일(c)을 삽입한 후 하부오거(2)의 구동부를 다시 케이싱로드(5)에 결합하여 하부오거(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싱로드(5)를 뽑아 올리면 파일(c)이 지반에 설치되고 지반에 설치된 파일(c)을 항타기로 수차 항타하여 파일(c)이 지지층에 완전히 안착되면 파일(c)의 설치가 완료된다.
일반적으로 지반굴착장치는 주행장치가 구비된 크롤러 크레인(a: crawler crane)의 지지대와 백스테이에 지지되어 지상에 수직상으로 높게 고정되는 리더 마스터(1: leader master)에 리더(3)가 구성되고 리더(3)의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거(auger)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크롤러 크레인(a)의 리드 마스터(1)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부오거(2)가 승강되는 리더(3)의 직각 방향으로 구성되는 지지장치(3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장치(30)는 지지브라켓(31)과 지지실린더(32)와 지지로드(33)와 연결브라켓(34)으로 세부 구성으로 이루어 지며, 지지브라켓(31)은 크롤러 크레인(a)의 리드 마스터(1)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더(3)와 직각 방향으로 구성되면서 크롤러 크레인(a)의 리드 마스터(1)의 측면 즉 리더(3)가 구성되는 방향과 직각방향 다시 말하면 하부오거(2)가 구성되는 직각의 측면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1)은 휨강도를 위하여 복수개의 일정 길이의 수평 판형이 리드 마스터(1)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수평 판형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수평 판형과 직각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1)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지지브라켓(31)과 사선 방향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지지실린더(32)가 구성되며 지지실린더(32)는 일측면이 개방되거나 양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일측이 지지브라켓(31)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강도 및 안전성을 위하여 지지브라켓(31)의 수직 판형에 관통공을 구성하여 수직 판형의 관통공에 삽입 구성되어 지지브라켓(31) 즉 수직 판형이 지지실린더(32)를 지지 고정한다.
상기 지지실린더(32)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고 끝단이 항타리더(70)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지지로드(33)가 구성되며 유압로드(22)의 작동에 의하여 지지로드(33)가 지지실린더(32)에서 전후 이동되어 지지실린더(32)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항타기(40)가 전후 이동된다.
상기 원축으로 구성되어 지지로드(33)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지지로드(33)의 외내부로 삽입 인출되며 지지로드(33)는 스스로 삽입 인출하지 못하고 다음에 설명하는 유압장치(20) 즉 유압로드(22)의 작동에 따라 유압로드(22)와 같은 방향으로 같은 량으로 인출하게 된다.
상기 지지실린더(32)와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이 유압장치(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연결브라켓(34)이 구성되며 지지장치(3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지지장치(30)의 사선 방향으로 구성되는 유압실린더(21)와 유압로드(22)로 구성되는 유압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4)은 판형으로 구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전후 면이 관통된 2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나의 관통공에는 지지실린더(32)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관통공에는 유압장치(20)의 유압실린더(21)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지지실린더(32)와 유압실린더(21)는 평행하게 구성되면서 지지실린더(32)와 유압실린더(21)는 상하로 평행하게 구성되어 지지실린더(32)와 유압실린더(21)의 신축되는 길이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일측이 지지장치(30)와 유압장치(20)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드 마스터(1)와 평행하게 구성되고 하부오거(2)의 측후면의 위치에 구성되는 항타리더(70)를 구성하고, 일측이 항타리더(70)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항타리더(70)와 평행하게 구성되는 항타기(40)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장치(20)는 일측이 지지장치(3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지지장치(30)의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유압실린더(21)와 유압실린더(21)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고 끝단이 항타리더(70)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유압로드(22)로 구성되며, 항타기(40)는 유압장치(20)의 유압로드(22)의 작동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후방으로 이동 즉 왕복 운동한다.
상기 유압장치(20)는 별도로 구성되는 유압장치의 유압력에 의하여 작동하게 할 수 있으나 크롤러 크레인(a)의 유압장치의 유압력에 의하여 작동되게 하면 별도의 유압장치가 추가 구성되지 아니하면서 크롤러 크레인(a)의 유압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 유압장치(20)는 크롤러 크레인(a)의 유압장치와 유압호스로 연결되어 크롤러 크레인(a)의 유압장치의 유압 작동에 의하여 작동되게 크롤러 크레인(a)의 유압장치와 연결된 유압호스가 유압장치(20)의 유압실린더(21)의 전후에 각각 연결 구성되어 크롤러 크레인(a)의 유압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크롤러 크레인(a)의 유압 오일이 유압장치(20)의 유압실린더(21) 내에 출입하여 유압실린더(21)의 전후 이동되고 유압실린더(21)에 결합된 유압로드(22)가 유압실린더(21)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신축된다.
상기 지반굴착장치는 리드 마스터(1)가 크롤러 크레인(a)의 정면에 구성되고, 리더(3)가 리드 마스터(1)에 구성되어 크롤러 크레인(a)의 정면에 구성되고, 리더(3)의 가이드봉을 따라 승강되는 상부오거 및 하부오거(2)도 크롤러 크레인(a)의 정면에 구성되어 크롤러 크레인(a)에서 크롤러 크레인(a)의 정면을 보면 리드 마스터(1), 리더(3), 하부오거(2)의 순으로 순차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지반굴착장치는 하부오거(2)의 측면이나 정면에 파일(c)을 항타하는 항타기(40)가 구성되어 있어서 케이싱로드(5)를 분리한 후 케이싱로드(5)의 내부로 파일(c)이 삽입되어 항타기(40)가 파일(c)을 항타할 때 리더(3)가 파일(c)을 간섭하여 파일(c)의 항타 작업에 방해를 일으키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오거(2)가 구성된 리더(3)를 일정 각도로 선회를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리드 마스터(1)를 중심으로 지지장치(30)를 리더(3)와 직각 방향으로 구성하고, 유압장치(20)를 지지장치(30)와 사선 방향으로 구성하고, 항타기(40)를 유압장치의 정면에 구성하여 항타기(40)가 하부오거(2)의 후방 측면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압장치(20)의 유압로드(22)가 축소되어 있을 경우에는 항타기(40)가 하부오거(2)의 후방 측면에 위치되어 케이싱로드(5)의 내부로 파일(c)이 삽입하는 경우에도 항타기(40)가 파일 삽입 작업에 간섭을 일으키지 아니하게 되며, 유압로드(22)가 신연되어 항타기(40)가 전진되면 항타기(40)는 하부오거(2) 즉 리더(3)의 측면에 위치되어 항타기(40)가 파일을 항타할 때에도 리더(3)가 항타 작업에 간섭을 일으키지 아니하게 되어 유압로드(22)의 작동 즉 유압로드(22)의 신축에 의하여 항타기(40)가 전후 이동되어 파일 작업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상기 항타리더(70)는 일측이 지지로드(33) 및 유압로드(22)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가이드(72)와 항타브라켓(71)으로 구성되며, 가이드(72)는 수직으로 길게 구성되고, 항타브라켓(71)은 가이드(72)가 삽입 관통되고 타측이 항타기(40)에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항타리더(70)의 가이드(72)는 리드 마스터(1) 즉 케이싱로드(5)와 같은 방향으로 구성 다시말하면 가이드(72)는 리드 마스터(1) 및 케이싱로드(5)와 평행하게 구성되며 항타기(40)의 승강 시에 항타기(40)를 안내하여 항타기(40)가 항타리더(70) 내에서 가이드(72)의 안내에 의하여 지반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파일(c)을 지반까지 항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72)는 일측이 지지로드(33) 및 유압로드(22)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성되는 판형 띠로 구성되는 가이드편(72-1)이 구성되며, 가이드편(72-1)은 지지로드(33) 의 끝단과 유압로드(22)의 끝단이 일정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어 동시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장치(30)의 지지로드(33)와 유압장치(20)의 유압로드(22)가 상하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므로 지지로드(33)와 유압로드(22)의 각각의 끝단은 상하 이격되어 가이드편(72-1)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편(72-1)과 평행하게 구성되고 가이드편(72-1)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봉(72-2)으로 구성되되 가이드편(72-1)과 가이드봉(72-2)이 동시에 항타브라켓(71)에 관통 삽입되어 항타기(40)가 가이드편(72-1)에 의하여 가이드봉(72-2)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가이드편(72-1)이 판형 띠로 구성되면서 좁은 면적이 가이드봉(72-2)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가이드봉(72-2)의 길이방향의 외주면에 구성되어 가이드편(72-1)이 가이드봉(72-2)의 외부면에 돌출되는 형상이 되어 가이드편(72-1)과 가이드봉(72-2)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단면은 원형의 외주면에 수직의 꼭지가 구성된 것과 같은 형상이 된다.
상기 항타브라켓(71)이 원형의 가이드봉(72-2)과 수직 꼭지의 가이드편(72-1)을 동시에 외면을 감싸면서 포용하여 즉 항타브라켓(71)의 일측면에 관통된 관통공이 구성되어 항타브라켓(71)의 관통공에 가이드봉(72-2)과 가이드편(72-1)이 동시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봉(72-2)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항타브라켓(71)이 가이드봉(72-2)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나 가이드봉(72-2)에 돌출된 가이드편(72-1)에 의하여 회전이 정지되게 되어 항타브라켓(71)이 항타리더(70) 즉 가이드편(72-1)에서 회전이 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상기 항타브라켓(71)이 회전되지 아니하고 고정됨으로써 항타브라켓(71)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램하우징(50)도 회전되지 아니하고 고정되어 램하우징(50)은 유압장치(20)의 유압로드(22)에 신축에 의해서만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봉(72-2)을 사각 또는 삼각 파이프로 구성할 경우에는 가이드편(72-1)을 구성되지 아니하여도 되나 램하우징(50)이 승강 즉 항타브라켓(71)이 승강될 때 가이드봉(72-2)에 결합되는 사각 또는 삼각에 의해 가이드봉(72-2)의 외주면 각에 의하여 항타브라켓(71)의 내면이 사각 또는 삼각면에 끼이게 되어 승강이 원활하지 못하지 못하게 되므로 원형 파이프의 가이드봉(72-2)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타기(40)는 램하우징(50)과 램(60)으로 구성되며 램하우징(50)은 가이드(72)와 평행하게 구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일측이 항타브라켓(71)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램(60)은 램하우징(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케이블(b)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고 자유 낙하되는 원주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램하우징(50)은 일정 길이를 갖고 상하 관통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항타브라켓(71)에 외주면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항타리더(70)와 수직으로 평행하게 구성되며 램(60)을 내측에서 안내하므로 램하우징(50)의 내부에서 램(60)의 유동이 어느 정도 방지되게 램하우징(50)의 내경과 램(60)의 외경은 적절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하우징(50)은 항타리더(70), 리더(3) 및 리드 마스터와 평행하게 구성되어 항타 작업 시에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램하우징(50)에는 원통형의 중간에 램하우징(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고 내외경이 관통된 확인공(51)이 구성되어 램(60)이 와이어 케이블(b)에 의하여 램하우징(50)의 내부에서 상승되었을 때 확인공(51)으로 램(60)의 상승 높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램(60)은 램하우징(50)의 내부에서 와이어 케이블(b)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로 들 올렸다가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램(60)의 위치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바꾸고 다시 이를 충격 에너지로 전달하여 파일(c)을 지지층 즉 지반에 박아 넣는다.
상기 파일(c)의 지지층 즉 지반 침투 깊이는 램(60)의 자중과 램(60)의 항타 행정에 의해 정해지고 파일(c)의 항타 작업은 파일(c)의 직경에 따라 타격력 즉 톤수가 규정되어 파일(c)의 직경에 따라 상승 높이가 규정되어 있으므로 확인공(51)이 램하우징(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확인공(51)의 간격을 50cm 또는 100cm 등으로 일정하게 하여 구성하면 램(60)을 램하우징(50)에서 어느 높이로 상승하였는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램하우징(50)의 상부 내경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단(52)이 구성되고 램(60)의 하부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램돌기(61)가 구성되어 램(60)을 와이어 케이블(b)에 의하여 램하우징(50)의 상부 외부로 상승시키면 램돌기(61)가 걸림단(52)에 걸리게 되어 램(60)과 램하우징(50)이 동시에 상승된다.
상기 램하우징(50)의 걸림단(52)은 상부 내경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하되 걸림단(52)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경이 램(60)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램(60)이 걸림단(5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구성하여 램(60)이 완전히 상승되었을 때 램하우징(5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게 구성하고 램(60)의 하부 외경에 구성되는 램돌기(61)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경보다 작게 구성하여 램돌기(61)가 걸림단(52)에 의하여 램하우징(5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게 구성하여 램(60)이 램하우징(50)의 상부를 통하여 인출되지 않게 구성한다.
상기 램(60)의 램돌기(61)의 직경이 램하우징(50)의 걸림단(52)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램(60)을 램하우징(50)의 상부 외부로 인출하면 램돌기(61)가 걸림단(52)에 걸리게 되어 램(60)과 램하우징(50)이 동시에 상승되어 램(60)과 램하우징(5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항타 등을 위하여 이동 시에 램하우징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램하우징(50)의 하부 내경은 램돌기(61)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램(60)이 램하우징(50)의 하부 내경으로 인출될 수 있게 구성하여 램(60)과 램하우징(50)의 분리보관 및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램돌기(61)는 램(60)의 길이 방향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로 구성하되 램(6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하여 램하우징(50)의 내부에서 램(60)을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램하우징(50)은 항타리더(70)의 가이드에 승강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램(60)은 램하우징(50)의 내부에는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중량의 중량체로서 상부에 크롤러 크레인(a)의 리드 마스터(1) 상부와 연결된 와이어 케이블(b)이 상부에 결합되어 와이어 케이블(b)의 권선에 의하여 상승되어 일정한 높이에서 자체의 하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하부에 배치된 파일(c)을 타격 즉 항타한다.
상기 램하우징(50)의 하부에는 파일캡(53)이 연결되고 파일캡(53)의 내부에 지반에 노출된 파일(c)의 상부가 위치되어 파일(c)에 파일캡(53)이 쓰워진 현상이 되며 파일(c)과 램(6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하면서 파일캡의 상부에 램(60)의 타격력 즉 항타력을 흡수하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의 완충재(54)가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 케이블(b)에 의하여 램(60)을 램하우징(50) 내부에서 상승시킨 후 상승된 고중량의 램(60)을 자유 낙하시키면 램(60)은 램하우징(50)의 내부에 자유 낙하되어 파일(c)을 타격하여 파일(c)은 램(60)의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지지층에 박히게 된다.
상기 램(60)이 파일(P)을 타격할 때 큰 타격소음이 발생하므로 이 소음을 감소하기 위하여 파일(c)의 타격점에 상부에 대응되게 완충재(54)가 구성되며 완충재(54)는 램(60)이 자유 낙하하여 파일(c)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타격소음 즉 항타소음을 흡수하여 차폐함으로써 타격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재(54)는 항타소음을 흡수하여 차폐 가능한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며 램하우징(50)의 원할한 슬라이드 이동을 위하여 지지장치(30) 및 유압장치(2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하 각각 1개 구성하고 항타브라켓(71)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하 각각 1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항타기가 전후 이동되어 파일 작업 시에 리더의 간섭이 없고, 항타기가 지반까지 이동이 되어 파일을 지반까지 항타할 수 있고, 항타기가 유압장치 등의 간단한 장치에 의하여 리더 마스터를 연결되어 전체 중량이 경량화되고, 유압장치가 크롤러 크레인의 유압장치의 유압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이 양호하고,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어서 램의 상승 높이가 한정되지 아니하여 램의 충격에너지를 크게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 해져야 한다.
1: 리드 마스터 2: 하부오거
3: 리더 4: 스크류 로드
5: 케이싱 로드 20: 유압장치
21: 유압실린더 22: 유압로드
30: 지지장치 31: 지지브라켓
32: 지지실린더 33: 지지로드
34: 연결브라켓 40: 항타기
50: 램하우징 51: 확인공
52: 걸림단 53: 파일캡
54: 완충재 60: 램
61: 램돌기 70: 항타리더
71: 항타브라켓 72: 가이드
72-1: 가이드편 72-2: 가이드봉
a: 크롤러 크레인 b: 와이어 케이블
c: 파일

Claims (6)

  1. 일측이 크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부오거가 승강되는 리더와 직각 방향으로 구성되는 지지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지지장치의 사선 방향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한 유압로드로 구성되는 유압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와 유압장치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더마스터와 평행하게 구성되고 하부오거의 측후면의 위치에 구성되는 항타리더와;
    상기 항타리더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항타리더와 평행하게 구성되는 항타기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로드의 작동에 의하여 항타기가 전후 이동되어 파일 작업을 간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크롤러 크레인의 리더 마스터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더의 직각 방향으로 구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지지브라켓과 사선 방향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지지실린더와, 지지실린더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고 끝단이 항타리더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지지로드와, 지지실린더와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이 유압장치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압로드의 작동에 의하여 지지로드가 지지실린더에서 전후 이동되어 항타기도 전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타리더는 일측이 지지로드 및 유압로드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성되는 가이드와, 가이드가 삽입 관통되고 타측이 항타기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항타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항타기가 가이드의 안내를 받으면서 지반까지 슬라이드 이동되어 파일을 지반까지 항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일측이 지지로드 및 유압로드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길게 구성되는 판형의 가이드편과, 가이드편과 평행하게 구성되고 가이드편의 타측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봉으로 구성되되 가이드편과 가이드봉이 동시에 항타브라켓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항타기가 가이드편에 의하여 가이드봉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타기는 가이드와 평행하게 구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중간에 내외경이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확인공이 구성되고, 일측이 항타브라켓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램하우징과, 램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케이블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어 자유 낙하되는 원주형의 램으로 구성되어;
    상기 램이 상승되었을 때 관통공으로 램의 상승 높이의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램하우징의 상부 내경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단이 구성되고, 램의 하부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램돌기가 구성되어;
    상기 램을 와이어 케이블에 의하여 램하우징의 상부 외부로 상승시키면 램돌기가 걸림단에 걸리게 되어 램과 램하우징이 동시에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1020140057509A 2014-05-14 2014-05-14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10162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09A KR101622558B1 (ko) 2014-05-14 2014-05-14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09A KR101622558B1 (ko) 2014-05-14 2014-05-14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414A true KR20150131414A (ko) 2015-11-25
KR101622558B1 KR101622558B1 (ko) 2016-05-20

Family

ID=5484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09A KR101622558B1 (ko) 2014-05-14 2014-05-14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5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801A (ko) * 2017-03-06 2017-03-29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20200068124A (ko) * 2018-12-04 2020-06-15 동명중기계 (주) 케이싱 일체형 드롭해머장치
KR102163768B1 (ko) * 2020-05-13 2020-10-08 (주)영풍씨앤디 정밀도가 향상된 케이싱 일체형 드롭해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449B1 (ko) 2021-10-20 2022-07-11 지이산업 주식회사 리더 신축형 파일 항타기
KR102578277B1 (ko) * 2023-03-30 2023-09-13 (주)보성이엔씨 마그네틱형 항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801A (ko) * 2017-03-06 2017-03-29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20200068124A (ko) * 2018-12-04 2020-06-15 동명중기계 (주) 케이싱 일체형 드롭해머장치
KR102163768B1 (ko) * 2020-05-13 2020-10-08 (주)영풍씨앤디 정밀도가 향상된 케이싱 일체형 드롭해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558B1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558B1 (ko)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101219299B1 (ko) 항타기
CA2823796C (en) Post driver with limited movement floating post anvil
CN102747951A (zh) 潜孔锤套管跟进钻机
CN209741839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振动打桩机
CN203855967U (zh) 斜坡廊道钻灌台车
CN205917698U (zh) 一种小型打桩机
CN107461145A (zh) 一种建筑施工用打桩装置
CN210289811U (zh) 一种吊车外挂式锚杆钻机
CN210031798U (zh) 一种地基工程打桩装置
CN202131986U (zh) 打桩机
KR100474184B1 (ko) 시트파일 오거 항타기
CN210216388U (zh) 履带式排水板卡固密封防堵螺旋插板机
CN213926256U (zh) 一种建筑施工用打桩机
CN210888785U (zh) 一种矩形孔冲击成槽装置
CN211421122U (zh) 一种施工方形孔打桩基础的冲孔打桩机
CN107447761A (zh) 一种移动式旋转打桩机
CN210975799U (zh) 双喷双轴斜向水泥土搅拌及插入型钢一体设备
CN214363467U (zh) 一种工程建筑用打桩装置
CN210033275U (zh) 一种车载回转式打桩钻孔机
KR101444916B1 (ko) 파일드라이버용 균형유지형 백텐션 탑시브
CN206170359U (zh) 硬岩承台绳锯切割设备
CN206844113U (zh) 挖掘机打桩机
CN207110958U (zh) 一种建筑施工用的高效打桩机
CN102134961B (zh) 具有防自翻功能的冲孔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