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770A -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770A
KR20120132770A KR1020110051102A KR20110051102A KR20120132770A KR 20120132770 A KR20120132770 A KR 20120132770A KR 1020110051102 A KR1020110051102 A KR 1020110051102A KR 20110051102 A KR20110051102 A KR 20110051102A KR 20120132770 A KR20120132770 A KR 20120132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detection
substance
neutron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787B1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7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5/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 G01V5/20Detecting prohibited goods, e.g. weapons, explosives, hazardous substances, contraband or smuggled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3/00Measuring neutron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는 중성자 조사부,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 및 물질 위치 산출부를 포함한다. 중성자 조사부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중성자를 조사하고 제 1 방사선 검출부는 중성자 조사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검출하고, 제 2 방사선 검출부는 제 1 검출부에서 산란된 방사선을 검출하며, 물질 위치 산출부는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방사선의 에너지와 위치를 이용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한다. 중성자를 조사한 후 중성자와 특정 물질과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영역에 매설되거나 은닉되어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물품들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ATERIAL USING RADIO ACTIVE RAYS}
본 발명은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물이나 금지물 등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물질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쟁을 치른 많은 나라들에서는 전쟁 중 지하에 매설된 폭발물로 인해 전쟁 이후 상당 기간 동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폭발물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숨겨진 폭발물들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폭발물이 매설된 위치를 정확히 탐지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매설된 위치가 워낙 광범위하기 때문에 탐지 비용이나 안전 사고 등의 이유로 거의 손을 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범죄 등에 사용되는 마약이나 범죄 도구와 같은 물품들이 범죄자에 의해 은닉되었다고 추정되는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물품들의 위치 탐지가 어려워 증거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매설되거나 은닉되어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물품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는 중성자 조사부,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 및 물질 위치 산출부를 포함한다.
중성자 조사부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중성자를 조사하고 제 1 방사선 검출부는 중성자 조사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검출하고, 제 2 방사선 검출부는 제 1 검출부에서 산란된 방사선을 검출하며, 물질 위치 산출부는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방사선의 에너지와 위치를 이용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한다.
중성자를 조사한 후 중성자와 특정 물질과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영역에 매설되거나 은닉되어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물품들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검출되는 방사선은 감마선일 수 있다. 감마선은 에너지가 크므로 물체 자체 차폐에 의한 감약이 적어 물질 탐지에 유리하다.
또한, 물질 탐지 장치는 물질 위치 산출부에서 산출된 물질의 위치를 이용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 영상을 생성하는 위치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위치의 산출 결과가 아니라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탐지 물체의 위치를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장치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더욱더 광범위한 영역에서도 용이하게 물품 탐지를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중성자 조사부로부터 방출된 중성자로부터 상기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를 차단하는 중성자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방사선 검출 과정에서 중성자로부터의 영향을 배제시킴으로써 더욱 신뢰성 있는 물질 탐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장치를 방법의 형태로 구현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성자를 조사한 후 중성자와 특정 물질과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영역에 매설되거나 은닉되어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물품들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마선은 에너지가 크므로 물체 자체 차폐에 의한 감약이 적어 물질 탐지에 유리하다.
또한, 단순한 위치의 산출이 아니라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탐지 물체의 위치를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어 더욱더 광범위한 영역에서도 용이하게 물품탐지를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방사선 검출 과정에서 중성자로부터의 영향을 배제시킴으로써 더욱 신뢰성 있는 물질 탐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방사선 검출부(120, 130), 및 물질 위치 산출부(140), 위치 영상 생성부(150)의 실제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도 1의 물질 탐지 장치의 실제 사용 상태를 개략적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100)는 중성자 조사부(110),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120, 130), 물질 위치 산출부(140), 위치 영상 생성부(150), 장치 이동부(160), 및 중성자 차폐부(170)를 포함한다.
중성자 조사부(110)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중성자를 조사하고, 제 1 방사선 검출부(120)는 중성자 조사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검출하며, 제 2 방사선 검출부(130)는 제 1 방사선 검출부(120)에서 산란된 방사선을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방사선은 감마선일 수 있다. 감마선은 에너지가 크므로 물체 자체 차폐에 의한 감약이 적어 물질 탐지에 유리하다. 그런데 감마선은 고에너지이기 때문에 영상화하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에너지의 감마선을 복수의 방사선 검출부(120, 130)를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한다. 감마선의 에너지가 고에너지이므로 종래의 기계적인 컬리메이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는 효율과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반면 복수의 방사선 검출부(120, 130)를 채용하는 카메라는 고에너지에서 더욱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성자의 물질 조사후 나오는 감마선의 영상화에 크게 유리하다.
물질 위치 산출부(140)는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방사선의 에너지와 위치를 이용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중성자를 조사한 후 중성자와 특정 물질과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영역에 매설되거나 은닉되어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물품들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위치 영상 생성부(150)는 물질 위치 산출부(140)에서 산출된 물질의 위치를 이용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 영상을 생성한다. 임의의 물체에 중성자를 조사하여 여기서 나오는 감마선을 방사선 검출부(120, 130)로 측정하여 3D공간상의 영상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 영상 생성부(150)는 단순한 위치의 산출 결과가 아니라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탐지 물체의 위치를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원자로나 가속기에서 나오는 고에너지 중성자를 물체에 조사할 때 중성자와 물체내의 전자와의 반응에서 수MeV 이상의 고에너지 감마선이 나오는데 이를 영상화하여 찾아내야 하는 물체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물체 내의 성분 및 성분의 분포를 알아낼 수 있는 기술로서, 탐지 물질(C, N, O)의 위치를 비파괴방법으로 이동하며 알아낼 수 있다. 해당 물질의 양뿐 아니라 물질의 분포도 또한 알아낼 수 있어 수십미터 바깥에 있는 지표면에 묻혀있는 폭발물이나 밀수품 등의 위치 또한 파악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엑스선이나 감마선의 투과 후 영상을 보는 감마선 이용 방법과는 달리 중성자를 물체에 조사하여 중성자와 특정 물질과의 반응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영상화하는 기술로 보다 능동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방출되는 감마선의 에너지가 크므로 물체 내 자체 차폐에 의한 감약이 적어 물질 탐지에 크게 유리하다.
도 2는 도 1의 방사선 검출부(120, 130), 및 물질 위치 산출부(140), 위치 영상 생성부(150)의 실제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탐지 물질(200)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방사선인 감마선이 제 1 방사선 검출부(120), 및 제 2 방사선 검출부(130)에서 각각 검출되고,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질 위치 산출부(140), 및 위치 영상 생성부(150)에서 각각 물질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장치 이동부(160)는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120, 13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더욱 광범위한 영역에서도 용이하게 물품탐지를 가능하게 해 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동 차량 등에 중성자 발생장치, 차폐물 그리고 전방위 특수 카메라를 싣고 이동하며 중성자를 조사하고, 지표면 아래, 항공기나 선박 내부의 폭발물이나 밀수품에서 방출되는 특정 감사선 신호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중성자 차폐부(170)는 중성자 조사부(110)로부터 방출된 중성자로부터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120, 130)를 차단한다. 이러한 구성은 방사선 검출 과정에서 중성자로부터의 영향을 배제시킴으로써 더욱 신뢰성 있는 물질 탐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3은 도 1의 물질 탐지 장치의 실제 사용 상태를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에서, 중성자 조사부(110)에서 조사된 중성자에 의해 지중에 매설된 폭발물(200)이 방출한 감마선을 방사선 검출부(120, 130)가 검출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방사선 검출부(120, 130)는 특정하게 정해진 방향이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전송되는 감마선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성자 차폐부(170)에 의해 중성자 조사부(110)와 차단되고, 장치 이동부(160)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110: 중성자 조사부
120: 제 1 방사선 검출부
130: 제 2 방사선 검출부
140: 물질 위치 산출부
150: 위치 영상 생성부
160: 장치 이동부
170: 중성자 차폐부
200: 탐지 물질

Claims (10)

  1.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중성자를 조사하는 중성자 조사부;
    상기 중성자 조사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1 방사선 검출부;
    상기 제 1 방사선 검출부에서 산란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2 방사선 검출부; 및
    상기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방사선의 에너지와 위치를 이용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하는 물질 위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위치 산출부에서 산출된 물질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탐지 물질의 위치 영상을 생성하는 위치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를 이동시키는 장치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자 조사부로부터 방출된 중성자로부터 상기 제 1 및 2 방사선 검출부를 차단하는 중성자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6.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중성자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중성자 조사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1 방사선 검출 단계;
    상기 제 1 검출 단계에서 산란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제 2 방사선 검출 단계; 및
    상기 제 1 및 2 방사선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방사선의 에너지와 위치를 이용하여 탐지 물질의 위치를 산출하는 물질 위치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탐지 단계에서 산출된 물질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탐지 물질의 위치 영상을 생성하는 위치 영상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검출 단계에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검출 장치를 이동시키는 장치 이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자 조사 단계에서 방출된 중성자로부터 상기 방사선 검출 장치를 차단하는 중성자 차폐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KR1020110051102A 2011-05-30 2011-05-30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131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02A KR101311787B1 (ko) 2011-05-30 2011-05-30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02A KR101311787B1 (ko) 2011-05-30 2011-05-30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70A true KR20120132770A (ko) 2012-12-10
KR101311787B1 KR101311787B1 (ko) 2013-09-25

Family

ID=4751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102A KR101311787B1 (ko) 2011-05-30 2011-05-30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732A (ko) * 2012-08-21 2017-02-24 디시젼 사이언시스 인터내셔날 코퍼레이션 뮤온 단층촬영 검사에서의 1차 및 2차 스캐닝
KR20190017962A (ko) * 2016-06-13 2019-02-20 디시젼 사이언시스 인터내셔날 코퍼레이션 항구에서의 화물 컨테이너들의 효율적인 프로세싱 및 스캐닝을 위한 검사 스캐너들의 통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572B1 (ko) * 2019-01-24 2020-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하여 위험물의 검출 및 위치 탐지가 가능한 보안 검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066B1 (ko) * 2004-12-21 2007-08-16 한국원자력연구원 위해 화합물 선별을 위한 탐지시스템
JP2009236635A (ja) * 2008-03-26 2009-10-15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窒素含有物質の検知方法およびその検知装置
KR20100078626A (ko) * 2008-12-30 2010-07-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검출장치 및 방사선 검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732A (ko) * 2012-08-21 2017-02-24 디시젼 사이언시스 인터내셔날 코퍼레이션 뮤온 단층촬영 검사에서의 1차 및 2차 스캐닝
KR20190017962A (ko) * 2016-06-13 2019-02-20 디시젼 사이언시스 인터내셔날 코퍼레이션 항구에서의 화물 컨테이너들의 효율적인 프로세싱 및 스캐닝을 위한 검사 스캐너들의 통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787B1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5067B2 (ja) セキュリティ及びポータル監視における粒子検出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
US10228486B2 (en) Inspection of objects based on primary and secondary scanning
RU230582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материалов с помощью быстрых нейтронов и непрерывного спектрального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излучения
US9268043B2 (en) Radiation-monitoring system with correlated hodoscopes
CA2735546C (en) Imaging based on cosmic-ray produced charged particles
KR20150022899A (ko) 물체식별을 위한 비행시간 중성자심문방법과 장치
CN105612416B (zh) 对象内物品的衍射特征的生成
Morris et al. Horizontal cosmic ray muon radiography for imaging nuclear threats
Aleksandrov et al. Application of neutron generators for high explosives, toxic agents and fissile material detection
US11152190B2 (en) Charged particle scanners
US20230161059A1 (en) Charged particle scanners
Guardincerri et al. Detecting special nuclear material using muon-induced neutron emission
US9423361B2 (en) Inner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311787B1 (ko) 방사선을 이용한 물질 탐지 장치, 및 방법
Udod et al. State-of-the art and development prospects of digital radiography systems for nondestructive testing, evaluation, and inspection of objects: a review
Brennan et al. Applying the neutron scatter camera to treaty verification and warhead monitoring
Ling-Ling et al. Muon radiography technology for detecting high-Z materials
Park et al. Feasibility study of a prototype muon tomography system based on a plastic scintillator and WLS fibers
CN108549112A (zh) 一种高速实时x射线计算机断层扫描安检系统
Lee et al. Development of Fast-Neutron Imaging Techniques in Korea
Takahashi et al. Active neutron-based interrogation system with DD neutron source for detection of special nuclear materials
Kin et al. Measurement of Zenith and Azimuth Angular Differential Flux of Cosmic-ray Muons Using a Prototype Portable Muography Detector
Schwellenbach et al. Passive imaging of warhead-like configurations with cosmic-ray muon tracking scanners
Checchia Principle of Cosmic Muography—Techniques and Review
Smith Beam Dump Experiments with Photon and Electron B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