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201A -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201A
KR20120132201A KR1020110050885A KR20110050885A KR20120132201A KR 20120132201 A KR20120132201 A KR 20120132201A KR 1020110050885 A KR1020110050885 A KR 1020110050885A KR 20110050885 A KR20110050885 A KR 20110050885A KR 20120132201 A KR20120132201 A KR 2012013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ncentration
wind speed
raw material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국
박용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5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2201A/ko
Publication of KR2012013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2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8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spra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가 발생되는 작업장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장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기, 작업장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측정기, 작업장에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분사 원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및 먼지 농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기에서 측정된 풍속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분사 원료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하면 작업장에 먼지 농도 측정기, 풍속 측정기 및 풍향 검출기를 설치하여, 측정된 먼지 농도 및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준값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분사 원료를 분사한다. 이때 분사된 분사 원료는 비산된 먼지를 씻어 내려, 비산된 먼지가 작업장 또는 원료 파일에 내려 앉도록 하고, 상기 비산된 먼지가 더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작업장의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에 의해 자동으로 분사 원료가 분사됨에 따라, 비산 먼지 발생 방지 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업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System for preventing dust dispers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작업장의 비산 먼지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서 사용되는 철광석과 같은 원료탄은 야드(yard)에 적재된 후, 후 공정을 위한 공간으로 이송된다. 원료탄이 야드에 적제되면, 상기 원료탄으로부터 미세 먼지가 발생되고, 상기 먼지는 비산하여 대기 중으로 흩어지고, 이는 대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별도의 살수 장치를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살수 장치를 동작시켜 야드 주위 및 원료 파일(pile) 주위에 살수 작업을 실시하여, 비산 먼지 발생을 억제한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주위의 환경 즉, 바람의 세기 및 먼지 발생 정도와 상관 없이 살수를 하기 때문에, 먼지의 비산 방지가 용이하지 않다. 예컨데, 먼지 발생량에 비해 분사량이 적어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지 못하거나, 먼지 발생량에 비해 분사량이 많아 적재된 원료가 분사 원료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먼지 발생량에 비해 분사량이 많거나, 먼지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도 살수 작업이 실시되어, 분사 원료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바람의 방향과 상관없이 살수 작업이 진행되어 먼지가 비산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살수됨에 따라, 먼지의 비산을 방지할 수 없거나, 분사 원료가 낭비되거나 적재된 원료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작업장의 비산 먼지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먼지의 농도 및 풍속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에 따라 분사 원료를 자동으로 분사하여 작업장의 비산 먼지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먼지가 발생되는 작업장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업장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기, 상기 작업장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측정기, 상기 작업장에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분사 원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및 상기 먼지 농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기에서 측정된 풍속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분사 원료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먼지 농도 기준값이 저장되며, 상기 먼지 농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과 상기 먼지 농도 기준값을 비교하는 먼지 농도 비교부 및 속 기준값이 저장되며, 상기 풍속 측정기에서 측정된 풍속 측정값과 상기 풍속 기준값을 비교하는 풍속 비교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장의 풍향을 검출하는 풍향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 검출기에서 검출된 풍향에 따라 상기 분사 원료의 분사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농도 비교부 및 풍속 비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분사기에 분사 작업을 명령하고, 상기 풍향 검출기에서 검출된 풍향에 따라 상기 분사기에 분사 방향을 지시하는 명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농도 측정기, 풍속 측정기 및 분사기와 연결되어, 상기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분사될 분사량을 상기 분사기에 전달하여,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은 작업장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작업장의 풍속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과 먼지 농도 기준값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풍속 측정값과 풍속 기준값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먼지 농도값이 상기 먼지 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및 상기 풍속 측정값이 상기 풍속 기준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분사 원료를 자동으로 상기 작업장에 분사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장의 바람의 진행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바람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분사 원료를 분사한다.
상기 작업장에 분사 원료를 분사하는 데 있어서, 상기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분사 원료의 분사량이 가변된다.
상기 작업장에는 원료가 적재된 원료 파일(pile)이 위치한다.
상기 분사 원료로 재활용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서는 작업장에 먼지 농도 측정기, 풍속 측정기 및 풍향 검출기를 설치하여, 측정된 먼지 농도 및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준값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분사 원료를 분사한다. 이때 분사된 분사 원료는 비산된 먼지를 씻어 내려, 비산된 먼지가 작업장 또는 원료 파일에 내려 앉도록 하고, 상기 비산된 먼지가 더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작업장의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에 의해 자동으로 분사 원료가 분사됨에 따라, 비산 먼지 발생 방지 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업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먼지 농도 및 풍속에 따라 분사 원료의 동작 여부 및 분사량을 제어하고, 풍향에 따라 분사 원료의 분사 방향을 조절한다. 따라서, 먼지 비산 방지 효과를 종래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사 원료가 과도하게 분사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분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상기 분사 원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은 미세 먼지 또는 분진을 발생시키는 원료 예컨데, 제철소에 사용되는 원료탄이 적재되는 작업장(100)에 설치되어, 먼지가 비산하여 흩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기에서는 원료탄이 적재된 것을 원료 파일(pile)(200)이라 명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은 작업장(100) 및 원료 파일(200) 주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기(300),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측정기(400), 바람의 진행 방향 즉, 풍향을 검출하는 풍향 검출기(700) 및 원료 파일(200) 주변에 분사 원료 예컨데, 물을 분사하는 분사기(60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는 분사 원료로 사용되는 물 중에서도 재활용수를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산된 먼지와 반응하지 않고, 상기 비산된 먼지를 씻어 내려 하측으로 내려 앉힐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분사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농도 측정기(300), 풍속 측정기(400) 및 풍향 검출기(700) 각각으로부터 먼지 농도 측정값, 풍속 측정값 및 풍향 데이타를 전달 받아, 분사기(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작업장(100)은 복수의 구간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영역에 원료 파일(20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농도 측정기(300), 풍속 측정기(400) 및 풍향 검출기(700) 각각을 복수개로 마련되고, 원료 파일(200)이 위치한 각 구간의 주위에 먼지 농도 측정기(300), 풍속 측정기(400) 및 풍향 검출기(700)를 설치한다. 예컨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먼지 농도 측정기(300)와 4개의 풍속 측정기(400) 및 4개의 풍향 검출기(700)를 마련하고, 1개의 먼지 농도 측정기(300)와 1개의 풍속 측정기(400)와 1개의 풍향 검출기(700)가 짝을 지어, 한 쌍이 되도록 한다. 이에, 한 쌍의 먼지 농도 측정기(300)-풍속 측정기(400)-풍향 검출기(700)가 4개가 마련되는데, 각각 한 쌍의 먼지 농도 측정기(300)-풍속 측정기(400)-풍향 검출기(700)를 원료 파일(200)이 위치한 각 구간의 동, 서, 남, 북 방향에 설치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먼지 농도 측정기(300) 및 풍향 검출기(700)를 복수의 원료 파일(200)의 주위에 골고루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먼지 농도 측정기(300)는 작업장(100) 및 원료 파일(200) 주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며, 제어부(500)에 전달한다. 먼지의 농도는 원료 파일(200)이 위치하는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컨데, 바람의 속도, 방향, 기후 등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에 따라 분사기(600)의 동작 여부가 조절된다. 즉, 먼지 농도 측정기(300)에서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이 먼지 농도 기준값 이상일 경우 분사기(600)를 이용하여 분사 원료를 분사하고, 먼지 농도 측정값이 기준 먼지 농도값 미만일 경우 분사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다.
풍속 측정기(400)는 작업장(100) 및 원료 파일(200) 주위의 바람의 속도(풍속)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풍속 측정기(400)에서 측정된 풍속 측정값에 따라 분사기(600)의 동작 여부가 제어된다. 즉, 풍속 측정기(400)에서 측정된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이상일 경우 분사기(600)를 이용하여 분사를 실시하고,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미만일 경우 분사를 하지 않는다.
풍향 검출기(700)는 작업장(100) 및 원료 파일(200) 주위의 바람이 부는 방향(풍향)을 검출하여, 이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풍향 검출기(700)에서 검출된 풍향에 따라 상기 분사기(600)로부터 분사 원료가 분사되는 방향이 결정된다. 즉, 풍향 검출기(700)에서 검출된 풍향에 따라 분사기(600)로부터 분사 원료가 분사되는 방향이 결정되는데, 풍향에 따라 분사 부재(미도시)를 회전시켜, 상기 분사기(600)로부터 분사된 분사 원료가 바람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분사한다. 예를 들어, 풍향이 서남풍(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부는 바람) 일 경우, 분사기(600)의 분사 부재(미도시)를 회전시켜, 분사 원료가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분사기(600)는 분사 원료를 분사하여, 원료 파일(200)로부터 발생된 먼지 또는 그 주변의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분사기(6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사 원료 예컨데 재활용수가 저장된 분사 원료 저장부(미도시), 일단이 분사 원료 저장부(미도시)에 연결된 공급관(미도시) 및 일단이 공급관(미도시)과 연결되어 분사 원료를 분사하며, 360°회전 가능한 분사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분사기(600)에 한정되지 않고, 분사 원료를 작업장(100) 및 원료 파일(200) 주위에 분사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의 분사기(60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분사기(600)로부터 분사되는 분사 원료는 원료 파일(200)의 상측으로 분사되며, 상기 원료 파일(200) 상측으로 분사된 분사 원료는 비산된 먼지를 씻어 내린다. 이에, 분사 원료와 함께 비산된 먼지가 작업장 또는 원료 파일 상으로 낙하된다. 이로 인해 비산 먼지는 대기중에 흩어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기(60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복수의 원료 파일(200)의 주위에 골고루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분사기(600)를 복수의 원료 파일(200)의 주위에 골고루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에서는 분사기(600)의 분사 부재(미도시)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사기(600) 전체가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풍속 측정기(400), 풍향 검출기(700) 및 분사기(600)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풍속 측정기(400)와 풍향 검출기(700)가 일체형이거나, 풍속 측정기(400)와 분사기(600)가 일체형이거나, 풍향 검출기(700)와 분사기(600)가 일체형이거나, 풍속 측정기(400), 풍향 검출기(700), 분사기(600)가 일체형이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 풍속 측정값 및 풍향에 따라 분사기(600)의 동작 여부와 분사 원료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고, 분사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제어부(500)는 먼지 농도 측정기(300)로부터 먼지 농도 측정값을 제공받아 이를 먼지 농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먼지 농도 비교부(510), 풍속 측정기(400)로부터 풍속 측정값을 전달 받아 이를 풍속 기준값과 비교하는 풍속 비교부(520), 먼지 농도 측정기(300) 및 풍속 측정기(400) 각각으로부터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을 전달받아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부(530), 먼지 농도 측정값과 먼지 농도 기준값의 비교 결과 및 풍속 측정값과 풍속 기준값의 비교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교 결과에 따라 분사기(600)의 동작 여부를 명령하고, 분사 원료의 분사 방향을 명령하며, 분사량 조절부(530)로부터 데이타를 전달받아 분사기(600)에 분사량을 지시하는 명령부(540)를 포함한다. 먼지 농도 비교부(510)에는 먼지 농도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고, 풍속 비교부(520)에는 풍속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먼지 농도 기준값 및 풍속 기준값 각각은 작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 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는 먼지 농도 기준값을 100㎍/m3로 하여, 먼지 농도 측정값이 먼지 농도 기준값 100㎍/m3 이상인 경우, 먼지 농도 비교부(510)에서는 명령부(540)로 경보 신호를 전달하고, 명령부(540)에서는 분사기(600)를 동작시켜 분사 원료를 분사한다. 이때 분사량 조절부(530)에서는 먼지 농도 측정값에 따라 분사 원료가 분사될 분사량을 명령부(540)에 전달하고, 상기 명령부(540)는 분사기(600)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기(600)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량을 제어한다. 분사량 조절부(530)에서 명령부로 입력되는 분사량은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비산 먼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양으로 설정된다. 이는, 작업자가 다수번의 반복 실험을 통해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에 따라 적당한 양의 분사량 기준값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각각의 상황에서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해당하는 분사량 기준값을 분사한다. 명령부(540)에서는 풍향 검출기(700)에서 검출된 풍향 데이타를 전달받아, 풍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사 원료가 분사되도록 분사기(600)의 분사 부재(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즉, 바람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사 원료의 이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분사기(600)의 분사 부재(미도시)를 회전시킨다. 또한, 풍속 기준값을 4m/s 으로 하여,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4m/s 이상일 경우, 풍속 비교부(520)에서는 명령부(540)로 경보 신호를 전달하고, 명령부(540)에서는 분사기(600)를 동작시켜 분사 원료를 분사한다. 이때 분사량 조절부(530)에서는 먼지 농도 측정값에 따라 분사 원료가 분사될 분사량을 명령부(540)에 전달하고, 상기 명령부(540)는 분사기(600)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기(600)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량을 제어한다. 명령부(540)에서는 풍향 검출기에서 측정된 풍향 데이타를 전달받아, 풍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사 원료가 분사되도록 분사기(600)의 분사 부재(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작업장에 먼지 농도 측정기, 풍속 측정기 및 풍향 검출기를 설치하여, 측정된 먼지 농도 및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준값 이상이 되면 분사 작업을 실시한다. 이에, 먼지가 장거리로 비산되기 전에 분사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비산 먼지에 의해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먼지 농도 및 풍속에 따라 분사 원료의 동작 여부 및 분사량을 제어하고, 풍향에 따라 분사 원료의 분사 방향을 조절한다. 이로 인해, 먼지 비산 방지 효과를 종래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사 원료가 과도하게 분사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분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상기 분사 원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의 도작을 설명한다.
먼저, 먼지 농도 측정기(300)를 이용하여 작업장(100) 및 원료 파일(200) 주위의 먼지 농도를 측정한다(S110). 또한, 풍속 측정기(400)로 작업장(100) 및 원료 파일(200) 주위의 풍속을 측정하고(S120), 풍향 검출기(700)로 풍향을 검출한다(S130). 먼지 농도 측정기(300)에서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은 먼지 농도 비교부(510)로 전달되고, 풍속 측정기(400)에서 측정된 풍속 측정값은 풍속 비교부(520)로 전달되며, 검출된 풍향은 명령부(540)로 전달되어 입력된다.
먼지 농도 비교부(510)에서는 먼지 농도 측정값과 먼지 농도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먼지 농도 측정값이 먼지 농도 기준값 이상 또는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210). 예컨데, 먼지 농도 측정값이 먼지 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 경보 신호를 명령부(540)에 전달한다. 이후, 명령부(540)에서는 분사기(600)에 분사 명령을 지시하고, 분사기(600)는 분사 작업을 실시한다(S300). 이때, 분사량 조절부(530)에서는 먼지 농도 측정기(300)로부터 먼지 농도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먼지 농도 측정값에 따라 분사 원료가 분사될 분사량을 명령부(540)에 전달한다. 그리고 명령부(540)는 분사기(600)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기(600)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량을 제어한다. 분사 원료 예컨데 재활용수는 분사기(600)로부터 원료 파일(200)의 상측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분사 원료는 비산 먼지와 함께 작업장(100) 또는 원료 파일(200) 상으로 낙하한다. 이로 인해 비산 먼지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료 파일(200)로부터 비산 먼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량 조절부(530)로 분사량을 조절함으로써, 비산 먼지를 방지하기 위한 용이한 양의 분사 원료가 분사되어, 비산 먼지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분사 원료가 부족하거나 낭비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명령부(540)에는 전달 받은 풍향 데이타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상기 명령부(540)에서는 분사기(600)에 분사 원료의 분사 방향을 명령한다. 즉, 바람이 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사 원료의 이동이 진행되도록 분사 한다. 예컨데, 풍향이 서남풍(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부는 바람) 일 경우, 분사기(600)의 분사 부재(미도시)를 회전시켜, 분사 원료가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바람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사 원료가 이동 함에 따라 비산 먼지의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먼지 농도 측정값이 먼지 농도 기준값 미만인 경우, 경보 신호가 명령부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분사 작업이 실시되지 않는다.
또한, 풍속 비교부(520)에서는 풍속 측정값과 풍속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이상 또는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530). 예컨데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이상인 경우, 경보 신호를 명령부(540)에 전달한다. 이후, 명령부(540)에서는 분사기(600)에 분사 명령을 지시하고, 분사기(600)에서는 분사 작업을 실시 한다(S300). 이때, 분사량 조절부(530)에서는 풍속 측정기(400)로부터 풍속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먼지 풍속 측정값에 따라 분사 원료가 분사될 분사량을 명령부(540)에 전달한다. 그리고 명령부(540)는 분사기(600)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기(600)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량을 제어한다. 이때, 분사량 조절부(530)에서는 풍속 측정값에 따라 분사 원료가 분사될 분사량을 명령부(540)에 전달하고, 상기 명령부(540)는 분사기(600)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기(600)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량을 제어한다. 또한, 명령부(540)에서는 전달 받은 풍향 데이타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상기 명령부(540)에서는 분사기(600)에 분사 원료의 분사 방향을 명령한다. 반대로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미만인 경우, 경보 신호가 명령부(540)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분사 작업이 실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먼지 농도 측정값이 먼지 농도 기준값 이상일 경우와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이상인 각각의 경우에서 분사 작업을 실시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먼지 농도 측정값이 먼지 농도 기준값 이상이고,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이상일 때, 즉 상기 두 경우를 모두 만족할 때 분사 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먼지 농도 측정값이 먼지 농도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만 분사 작업을 실시하거나, 풍속 측정값이 풍속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만 분사 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철소의 작업장에 실시예에 따른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먼지가 발생되는 다양한 작업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200: 원료 파일 300: 먼지 농도 측정기
400: 풍속 측정기 500: 제어부
600: 분사 원료 700: 풍향 검출기

Claims (10)

  1. 먼지가 발생되는 작업장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농도 측정기;
    상기 작업장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측정기;
    상기 작업장에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분사 원료를 분사하는 분사기; 및
    상기 먼지 농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기에서 측정된 풍속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분사 원료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먼지 농도 기준값이 저장되며, 상기 먼지 농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과 상기 먼지 농도 기준값을 비교하는 먼지 농도 비교부;
    풍속 기준값이 저장되며, 상기 풍속 측정기에서 측정된 풍속 측정값과 상기 풍속 기준값을 비교하는 풍속 비교부를 포함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풍향을 검출하는 풍향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 검출기에서 검출된 풍향에 따라 상기 분사 원료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농도 비교부 및 풍속 비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분사기에 분사 작업을 명령하고, 상기 풍향 검출기에서 검출된 풍향에 따라 상기 분사기에 분사 방향을 지시하는 명령부를 포함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농도 측정기, 풍속 측정기 및 분사기와 연결되어, 상기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값에 따라 분사될 분사량을 상기 분사기에 전달하여,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6. 작업장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작업장의 풍속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먼지 농도 측정값과 먼지 농도 기준값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풍속 측정값과 풍속 기준값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먼지 농도값이 상기 먼지 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및 상기 풍속 측정값이 상기 풍속 기준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분사 원료를 자동으로 상기 작업장에 분사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바람의 진행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바람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분사 원료를 분사하는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에 분사 원료를 분사하는 데 있어서,
    상기 먼지 농도 측정값 및 풍속 측정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분사 원료의 분사량이 가변되는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에는 원료가 적재된 원료 파일(pile)이 위치하는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사 원료로 재활용수를 사용하는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KR1020110050885A 2011-05-27 2011-05-27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KR20120132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885A KR20120132201A (ko) 2011-05-27 2011-05-27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885A KR20120132201A (ko) 2011-05-27 2011-05-27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201A true KR20120132201A (ko) 2012-12-05

Family

ID=4751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885A KR20120132201A (ko) 2011-05-27 2011-05-27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220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941A (zh) * 2018-06-04 2018-11-16 百色百矿集团有限公司 一种露天煤场扬尘监控系统
CN109213062A (zh) * 2018-09-18 2019-01-15 山推建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沥青搅拌站除尘自动控制系统及方法
KR102034980B1 (ko) * 2019-02-21 2019-10-21 최성목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종이용기
KR102022824B1 (ko) * 2019-02-21 2019-11-04 최성목 종이용기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종이용기
KR102114822B1 (ko) * 2020-02-11 2020-05-25 이은석 분진 저감용 미립자 분무장치 및 상기 분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00075346A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포스코 비산 먼지 발생 영향 인자 실시간 측정 자료를 이용한 살수 시스템
KR102254072B1 (ko) * 2020-06-11 2021-05-20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물입자 분무형 분진 저감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941A (zh) * 2018-06-04 2018-11-16 百色百矿集团有限公司 一种露天煤场扬尘监控系统
CN109213062A (zh) * 2018-09-18 2019-01-15 山推建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沥青搅拌站除尘自动控制系统及方法
KR20200075346A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포스코 비산 먼지 발생 영향 인자 실시간 측정 자료를 이용한 살수 시스템
KR102034980B1 (ko) * 2019-02-21 2019-10-21 최성목 종이용기 제조 시스템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종이용기
KR102022824B1 (ko) * 2019-02-21 2019-11-04 최성목 종이용기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종이용기
KR102114822B1 (ko) * 2020-02-11 2020-05-25 이은석 분진 저감용 미립자 분무장치 및 상기 분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254072B1 (ko) * 2020-06-11 2021-05-20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물입자 분무형 분진 저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2201A (ko)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US20210010373A1 (en) Hydraulic support monitoring support pose in real time based on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US10018986B2 (en) Mass flow control for a conveyor system
CN109132592B (zh) 基于plc数据分区域存储的斗轮机无人值守的控制方法
CN103787052B (zh) 一种匀供料装置及其匀供料方法
CN105045314B (zh) 一种堆场环保监测及洒水降尘预控系统
EA017942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в камеру
CN102929290A (zh) 应用于隧道混凝土喷射的喷射机控制系统、方法及装置
CN102505853A (zh) 喷射机械及其机械臂、喷射控制方法和喷射控制装置
CN102322497A (zh) 臂架振动抑制方法、系统及臂架式工程机械
CN103556832B (zh) 一种臂架状态控制设备、方法、系统及工程机械
JPH07180107A (ja) 建設機械の3次元位置自動制御方法
CN102566582A (zh) 一种定位方法、装置及系统
CN215996053U (zh) 一种用于建筑施工场地的降尘装置
KR20110066368A (ko) 언로더 호퍼의 살수 제어가 가능한 원료 하역기
KR20120057406A (ko)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3743225B (zh) 一种竖炉返矿炉炉顶矿仓自动循环布料控制装置及方法
WO2021027130A1 (zh) 井筒巡检系统轨道同步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209009688U (zh) 半干污泥无人值守出料系统
CN203682515U (zh) 一种匀供料装置
KR20100005230U (ko) 분진 비산 방지가 가능한 굴착기
CN105388856A (zh) 一种新型大棚智能运输平台控制系统
KR102302420B1 (ko) 인공 강우 시험 설비
CN204523342U (zh) 用于幕墙水密性能检测的外喷淋系统
CN115198739A (zh) 一种高压旋喷桩的施工方法及使用的高压旋喷参数监测系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