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406A -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406A
KR20120057406A KR1020100119115A KR20100119115A KR20120057406A KR 20120057406 A KR20120057406 A KR 20120057406A KR 1020100119115 A KR1020100119115 A KR 1020100119115A KR 20100119115 A KR20100119115 A KR 20100119115A KR 20120057406 A KR20120057406 A KR 2012005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cattering dust
watering
yard
scat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국
황대용
권민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1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406A/ko
Publication of KR2012005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계국,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의 비산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먼지측정기,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풍속 측정값을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풍속계,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풍향 측정값을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풍향계,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상기 야드를 향해 물을 살포하는 복수의 살수장치, 상기 복수의 중계국을 통해 상기 복수의 먼지측정기에서 측정된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상기 풍속 측정값, 상기 풍향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중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가 존재할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지상국, 상기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제1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2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살수장치 중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에서 가장 가까운 제1 살수장치의 살수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injecting to prevent dust dispersing}
본 발명은 원료가 다량 적재된 야드(yard)에서 비산먼지가 발생할 때 비산먼지에 따라 살수를 제어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원료처리설비는 노천설비로서 외국 및 국내에서 생산되는 철광석, 코크스등과 같은 주, 부원료를 선박으로 수송한 다음, 수입설비의 벨트콘베어를 이용하여 제철소에 근접한 노천 야드내에 적치하고, 소결, 고로, 코크스공장에서의 필요 시 불출설비를 이용하여 필요개소로 불출해 간다.
한편, 이러한 원료처리설비에서는 주, 부원료가 항상 야드내에 적정재고가 항상 적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한 기후나 바람이 불면 비산먼지가 발생되어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야드에서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현장작업자가 확인하거나 환경감시탑에서 확인하여 운전실로 연락을 하고, 운전실에서 근무하는 선탄작업 운전자가 야드에 설치된 살수장치를 제어하여 야드에 물을 살포하여 비산먼지를 방지하였다.
이때 살수장치를 조정하는 선탁작업 운전자는 현장작업자 또는 환경감시탑의 의견에 의존하여 비산먼지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으며, 비산먼지의 정도에 비해 원료에 물을 과다하게 살포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비산먼지 발생 시 즉각적으로 적당량의 물을 야드에 살포할 수 있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계국,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의 비산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먼지측정기,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풍속 측정값을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풍속계,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풍향 측정값을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풍향계,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상기 야드를 향해 물을 살포하는 복수의 살수장치, 상기 복수의 중계국을 통해 상기 복수의 먼지측정기에서 측정된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상기 풍속 측정값, 상기 풍향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중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가 존재할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지상국, 상기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제1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2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살수장치 중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에서 가장 가까운 제1 살수장치의 살수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된 복수의 중계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를무선 통신하는 지상국을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야드에 설치된 복수의 먼지측정기 각각에서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야드에 설치된 풍속 측정기에서 풍속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야드에 설치된 풍향 측정기에서 풍향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계기를 통해 상기 지상국은 상기 복수의 먼지측정기의 위치값, 상기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상기 풍속 측정값, 상기 풍향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중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가 존재할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제1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2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야드에 설치되는 복수의 살수장치 중 상기 제1 먼지측정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값을 갖는 제1 살수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단말기의 경고 알림 신호를 통해 이동단말기 사용자가 비산먼지 발생 여부 및 비산먼지 발생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비산먼지 농도 및 풍속을 이용하여 비산먼지가 발생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제어함으로써, 비산먼지가 발생한 위치에 정확하게 물을 살포할 수 있으며, 비산먼지의 농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물의 양을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풍향계를 이용하여 살포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바람이 부는 방향(풍향)으로 물을 살포하여 바람을 따라 살포되는 물이 골고루 분사되어 비산먼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산먼지의 농도에 따라 살수되는 물의 양을 결정함으로써, 야드 원료에 수분이 과도하게 분사되어 원료의 수분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코크스 크랙킹(cracking)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철광석, 코크스등과 같은 원료가 적재되어 있는 야드(yard)에서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살포하는 살수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먼지측정기(10: 10a~10n), 복수의 살수장치(20: 20a~20n), 풍속계(30), 풍향계(40), 복수의 중계국(50: 50a~50n), 지상국(60) 및 이동단말기(1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중계국(50)은 복수의 먼지측정기(10), 풍속계(30), 풍향계(4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지상국(60)으로 전송한다.
지상국(60)은 복수의 중계국(50a~50n)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이동단말기(100)는 지상국(6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복수의 중계국(50a~50n)을 통해 복수의 살수장치(20a~20n)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먼지측정기(10)은 야드(yard)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있으며, 복수의 먼지측정기(10) 각각은 서로 다른 영역의 비산먼지 농도를 센싱하고, 자신의 위치값과 센싱한 비산먼지 농도를 무선으로 복수의 중계국(50)로 전송한다.
복수의 살수장치(20)은 야드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살수장치(20)의 살수 노즐(도시하지 않음)은 회전형으로 물을 360도 어느 방향으로든 분사할 수 있다.
풍속계(30)는 야드의 부지경계선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위치에서의 풍속을 측정하고, 무선으로 복수의 중계국(50)에 풍속 측정값을 전송한다.
풍향계(40)는 야드의 부지경계선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위치에서의 풍향을 측정하고, 무선으로 복수의 중계국(50)에 풍향 측정값을 전송한다.
복수의 중계국(50)은 복수의 먼지측정기(10), 풍속계(30) 및 풍향계(40)로부터 복수의 먼지측정기(10)의 각각의 위치값과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풍속 측정값, 풍향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먼지측정기(10)의 위치값과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풍속 측정값, 풍향 측정값을 지상국(60)으로 전송한다.
지상국(60)은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각각을 설정된 기준 비산먼지 농도와 비교하여, 센싱한 비산먼지 농도가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가 발생할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지상국(60)은 제1 경고 신호는 비산먼지 농도가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임을 알리는 경고 신호뿐만 아니라 비산먼지 농도가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과 제1 먼지 측정기의 비산먼지 농도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비산먼지 농도는 비산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먼지농도로서, 1m3에 따른 먼지의 ㎍이다.
또한, 지상국(60)은 풍속 측정값을 설정된 기준 풍속값과 비교하여,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인 경우 제2 경고 신호를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경고 신호는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임을 알리는 경고 신호뿐만 아니라 풍속 측정값 및 풍향 측정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풍속값은 원료가 바람에 의해 비산먼지를 유출할 수 있는 풍속 임계값으로, 이는 원료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제1 경고 신호 또는 제2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비산먼지 발생을 알리는 경고 알림 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살수장치(20) 중 제1 먼지측정기에서 가장 가까운 제1 살수장치를 검색하고, 풍향 측정값을 이용하여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을 결정하고, 제1 먼지측정기의 비산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제1 살수장치의 살수량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이동단말기(100)는 제1 살수장치,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제1 살수장치의 살수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지시 신호를 대기한다.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0)를 통해 제1 살수장치,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제1 살수장치의 살수량을 확인하고, 이를 실시하라는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이동단말기(100)는 복수의 중계국(50a~50n)로 제1 살수장치,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살수량을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100)는 변경된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복수의 중계국(50a~50n)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국(50a~50n)은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제1 살수장치로 전송하고, 제1 살수장치는 복수의 중계국(50a~50n)에서 수신한 살수 방향으로 수신한 살수량에 대응하는 물을 살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기(100)의 경고 알림 신호를 통해 이동단말기(100) 사용자가 비산먼지 발생 여부 및 비산먼지 발생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비산먼지 농도 및 풍속을 이용하여 비산먼지가 발생한 위치에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제어함으로써, 비산먼지가 발생한 위치에 정확하게 물을 살포할 수 있으며, 비산먼지의 농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물의 양을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풍향계를 이용하여 살포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바람이 부는 방향(풍향)으로 물을 살포하여 바람을 따라 살포되는 물이 골고루 분사되어 비산먼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산먼지의 농도에 따라 살수되는 물의 양을 결정함으로써, 야드 원료에 수분이 과도하게 분사되어 원료의 수분이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코크스 크랙킹(cracking)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표시부(110)와 입력부(12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지상국(6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버튼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비산먼지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살수장치의 살수량 및 살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제1 살수장치의 살수를 개시하라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비산먼지가 발생한 지역의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된 복수의 먼지측정기(10)는 비산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자신의 위치값과 비산먼지 농도를 무선으로 복수의 중계국(50)로 전송한다(S601).
풍속계(30)는 해당 위치에서의 풍속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복수의 중계국(50)에 풍속 측정값을 전송한다(S602).
풍향계(40)는 해당 위치에서의 풍향을 측정하고 무선으로 복수의 중계국(50)로 풍향 측정값을 전송한다(S603).
복수의 중계국(50)은 복수의 먼지측정기(10), 풍속계(30) 및 풍향계(4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먼지측정기(10) 각각의 위치값과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풍속 측정값, 풍향값를 지상국(60)으로 전송한다(S604).
지상국(60)은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각각을 설정된 기준 비산 먼지 농도와 비교하여, 센싱한 비산먼지 농도가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가 발생할 경우(S605), 제1 경고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06).
이때, 제1 경고 신호는 비산먼지 농도가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임을 알리는 경고 신호뿐만 아니라 비산먼지 농도가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과 제1 먼지 측정기의 비산먼지 농도를 포함한다.
또한, 지상국(60)은 풍속 측정값과 기준 풍속값ㅇ르 비교하여,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인 경우(S607), 제2 경고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08).
이때, 제2 경고 신호는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임을 알리는 경고 신호뿐만 아니라 풍속 측정값 및 풍향 측정값을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제1 경고 신호 또는 제2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비산먼지 발생을 알리는 경고 알림 신호를 표시한다(S609).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살수장치(20) 중 제1 먼지측정기에서 가장 가까운 제1 살수장치를 검색하고(S610), 풍향 측정값을 이용하여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을 결정하고(S611), 제1 먼지측정기의 비산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제1 살수장치의 살수량을 결정한다(S612).
다음으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제1 살수장치,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제1 살수장치의 살수량을 확인하고, 이를 실시하라는 제어신호를 입력한다(S613).
그러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복수의 중계국(50)로 제1 살수장치,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전송한다(S614).
복수의 중계국(50)은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제1 살수장치로 전송하고, 제1 살수장치는 복수의 중계국(50)으로부터 수신한 살수 방향으로 수신한 살수량에 대응하는 물을 살포한다(S615).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기(100)의 경고 알림 신호를 통해 이동단말기(100) 사용자가 비산먼지 발생 여부 및 비산먼지 발생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비산먼지 농도 및 풍속을 이용하여 비산먼지가 발생한 위치에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제어함으로써, 비산먼지가 발생한 위치에 정확하게 물을 살포할 수 있으며, 비산먼지의 농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물의 양을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풍향계를 이용하여 살포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바람이 부는 방향(풍향)으로 물을 살포하여 바람을 따라 살포되는 물이 골고루 분사되어 비산먼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산먼지의 농도에 따라 살수되는 물의 양을 결정함으로써, 야드 원료에 수분이 과도하게 분사되어 원료의 수분이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코크스 크랙킹(cracking)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10a~10n): 복수의 먼지측정기
20(20a~20n): 복수의 살수장치
30: 풍속계
40: 풍향계
50(50a~50n): 중계국
60: 지상국
100: 이동단말기

Claims (12)

  1.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계국,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의 비산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먼지측정기,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풍속 측정값을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풍속계,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풍향 측정값을 상기 복수의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풍향계,
    상기 야드에 설치되어 상기 야드를 향해 물을 살포하는 복수의 살수장치,
    상기 복수의 중계국을 통해 상기 복수의 먼지측정기에서 측정된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상기 풍속 측정값, 상기 풍향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중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가 존재할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지상국, 및
    상기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제1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2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살수장치 중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에서 가장 가까운 제1 살수장치의 살수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고 신호는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과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비산먼지 농도를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고 신호는 상기 풍속 측정값 및 상기 풍향 측정값을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지상국을 통해 수신된 상기 풍향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을 결정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은 상기 풍향 측정값의 풍향과 일치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지상국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비상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량을 결정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7.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야드에 설치된 복수의 중계국과 이동통신단말기 사이를무선 통신하는 지상국을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야드에 설치된 복수의 먼지측정기 각각에서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야드에 설치된 풍속 측정기에서 풍속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야드에 설치된 풍향 측정기에서 풍향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계기를 통해 상기 지상국은 상기 복수의 먼지측정기의 위치값, 상기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상기 풍속 측정값, 상기 풍향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비산먼지 농도 중 기준 비산먼지 농도 이상인 제1 먼지측정기가 존재할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풍속 측정값이 기준 풍속값 이상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제1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2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야드에 설치되는 복수의 살수장치 중 상기 제1 먼지측정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값을 갖는 제1 살수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풍향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비산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살수장치,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 및 살수량을 상기 복수의 중계국을 통해 상기 제1 살수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살수 장치는 수신한 상기 살수 방향으로 수신한 상기 살수량에 대응되는 물을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수장치의 살수 방향은 상기 풍향 측정값의 풍향과 일치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고 신호는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위치값과 상기 제1 먼지측정기의 비산먼지 농도를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고 신호는 상기 풍속 측정값 및 상기 풍향 측정값을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방법.
KR1020100119115A 2010-11-26 2010-11-26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7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115A KR20120057406A (ko) 2010-11-26 2010-11-26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115A KR20120057406A (ko) 2010-11-26 2010-11-26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406A true KR20120057406A (ko) 2012-06-05

Family

ID=4660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115A KR20120057406A (ko) 2010-11-26 2010-11-26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40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81B1 (ko) * 2012-08-10 2013-03-25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저탄장 살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202733A (zh) * 2016-07-13 2016-12-07 天津大学 一种堆场物料颗粒起尘量控制方法
CN108820941A (zh) * 2018-06-04 2018-11-16 百色百矿集团有限公司 一种露天煤场扬尘监控系统
CN109213062A (zh) * 2018-09-18 2019-01-15 山推建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沥青搅拌站除尘自动控制系统及方法
KR20190136805A (ko) 2018-05-31 2019-12-10 허인순 중국발 대기유해물질 저감방법
CN111366509A (zh) * 2020-02-26 2020-07-03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基于全场监测的散货堆场粉尘精细化控制方法及控制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81B1 (ko) * 2012-08-10 2013-03-25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저탄장 살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202733A (zh) * 2016-07-13 2016-12-07 天津大学 一种堆场物料颗粒起尘量控制方法
KR20190136805A (ko) 2018-05-31 2019-12-10 허인순 중국발 대기유해물질 저감방법
CN108820941A (zh) * 2018-06-04 2018-11-16 百色百矿集团有限公司 一种露天煤场扬尘监控系统
CN109213062A (zh) * 2018-09-18 2019-01-15 山推建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沥青搅拌站除尘自动控制系统及方法
CN111366509A (zh) * 2020-02-26 2020-07-03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基于全场监测的散货堆场粉尘精细化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1366509B (zh) * 2020-02-26 2022-09-02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基于全场监测的散货堆场粉尘精细化控制方法及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7406A (ko)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2443300U (zh) 沥青混合料摊铺碾压动态质量远程监控系统
US201101375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ollers for conveyors
CN105045314B (zh) 一种堆场环保监测及洒水降尘预控系统
US20110133927A1 (en)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5352710A (zh) 一种喷嘴实际冲击域范围测试系统
CN104391302A (zh) 一种矿山深孔溜井空高及料位的测量装置及方法
CN108597191A (zh) 一种便携式气体检测报警仪
CN106768219A (zh) 一种入炉煤称量系统及其称量方法、校验方法
CN101086801A (zh) 远程无线监测系统
CN113090960A (zh) 一种充填料浆管道泄漏监测系统及方法
KR20120132201A (ko) 비산 먼지 방지 시스템 및 비산 먼지 발생 방지 방법
CN108318634A (zh) 污染气体的源头监测系统
KR101917805B1 (ko) 변전설비 시공 현장의 실시간 안전 관리 시스템
CN206671361U (zh) 矿井巷道风速风压监测系统
CN209327003U (zh) 起重机综合性能检测系统
CN110374634B (zh) 一种城市轨道交通的隧道混凝土自动喷水养护装置及方法
CN115855210A (zh) 一种用于加料管道系统的加料实时监控方法及装置
CN106428120A (zh) 基于分布式光纤人员列车靠近预警实时监控系统与方法
CN205644267U (zh) 散物料智能含水率在线监测与降尘装置
RU2526033C1 (ru) Способ аэрогазового контроля (агк) атмосферы угольных шахт
CN114792225A (zh) 一种机场工程地基处理溶洞施工数字化管控系统及方法
CN209589259U (zh) 一种混凝土机口温度自助测量系统
CN207148607U (zh) 一种电缆沟危险环境监测预警装置
CN114166326A (zh) 一种铲车自动计量系统在溜井倒矿防作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