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701A -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701A
KR20120131701A KR1020110050059A KR20110050059A KR20120131701A KR 20120131701 A KR20120131701 A KR 20120131701A KR 1020110050059 A KR1020110050059 A KR 1020110050059A KR 20110050059 A KR20110050059 A KR 20110050059A KR 20120131701 A KR20120131701 A KR 20120131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r
radio wave
disaster
portable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룡
Original Assignee
(주)한아이티
한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아이티, 한승룡 filed Critical (주)한아이티
Priority to KR102011005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1701A/ko
Publication of KR2012013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7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청각장애인 보호시스템은 재난 상황별로 신호화 된 전파를 발신하는 제1송수신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화된 전파를 수신하여 청각 장애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수신기에 신호를 보내주는 제2송수신기, 청각 장애인 가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신호화 된 전파를 수신하여 청각 장애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수신기에 신호를 보내주는 제3송수신기, 상기 재난 신호를 받고 제1송수신기로 확인신호를 다시 보내주는 상기 휴대용 송수신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Care system for a hearing-impaired person }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 보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등의 갑작스런 문제가 발생시 청각 장애인에게 재난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고, 청국장애인의 수신을 송신자가 확인하도록 하여 청각장애인의 구조를 돕는 보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인들은 주로 시각에 의존하여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여 행동하게 되는데 주변에서 갑작스런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시각에만 의존하는 정보취득은 문제를 인식하는데에 한계가 있어 위험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의 해결책이 필요하다.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한것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디지털신호문자로 컨버팅하여 청각장애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청각장애인이 확인하면, 확인했음을 다시 신호로써 송신하여 재난을 대비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은 재난 상황별로 신호화 된 전파를 발신하는 제1송수신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화된 전파를 수신하여 청각 장애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수신기에 신호를 보내주는 제2송수신기, 청각 장애인 가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신호화 된 전파를 수신하여 청각 장애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수신기에 신호를 보내주는 제3송수신기, 상기 재난 신호를 받고 제1송수신기로 확인신호를 다시 보내주는 상기 휴대용 송수신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장소에 상관없이 청각 장애인에게 긴급한 상황을 신속히 알려서 대피할 수 있게 해주고 청각 장애인이 대피 신호를 확인했다는 사실을 재송부함으로써 청각 장애인이 미처 대피하지 못한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면 재난 발생 시 재난을 확인하는 곳(재난 본부 등)에 설치된 제1송수신기(1)가 청각 장애인 가정 내에 설치된 제3송수신기(3)로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3송수신기(3)
는 신호를 인식하여 각 상황별로 신호화 된 신호를 휴대용 송수신기(4)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용 송수신기(4)는 제3송수신기(3)에서 전달한 긴급 정보를 수신하여 진동, 경광등, 디지털 문자 등으로 전환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알려준다.
상기 신호를 받은 청각 장애인은 휴대용 송수신기(4)에 장착된 버튼을 눌러서 자신이 신호를 받았다는 것을 상기 재난 본부에 장착된 제1송수신기(1)에 알린다. 만일 상기 청각 장애인이 가정이 아닌 외부 예를 들어, 극장이나 기차역 같은 공공건물에 있다면 공공건물에 장착된 제2송수신기(2)가 상기 재난 본부에 장착된 제1송수신기(1)를 받아서 상기 신호를 인식하여 각 상황별로 신호화 된 신호를 휴대용 송수신기(4)로 전달하고 휴대용 송수신기(4)는 제3송수신기(3)에서 전달한 긴급 정보를 수신하여 진동, 경광등, 디지털 문자 등으로 전환하여 청각 장애인에게 알려준다.
상기 상황별로 신호화 된 신호란 화재경보는 A-2, 민방위는 B-1, 홍수는 B-2, 지진은 B-3등으로 상호간에 미리 지정해 놓은 것을 말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재난 본부에 장착된 제1송수신기(1)는 긴급을 요하는 민방위, 대형화재, 홍수, 지진 등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수동으로 작동하여 상황별로 신호화 된 신호를 공공건물, 가정 내, 송수신기(2,3,4)에 발신하는 것으로 동일한 주파수를 신호별로 선정하되 각 발신부별 즉 재난 본부 장착된 제1송수신기(1)는 송출 강도를 강으로 하고 공공건물, 가정 내 수신 및 발신기는 송출 강도를 약으로 조절한다.
또한 공공건물 내에 장착된 제2송수신기(2)는 건물 화재 경보에 자동 연동되고 민방위와 재난 통제 차량에서 발령하는 제1송수신기(1)의 상황별 외부 경보에도 자동 연동 되도록 하고 관리자가 상황에 맞게 수동으로 가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제1송수신기(1), 제2송수신기(2), 제3송수신기(3), 휴대용 송수신기(4)

Claims (2)

  1. 재난 상황별로 신호화 된 전파를 발신하는 제1송수신기 ;
    건물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화된 전파를 수신하여 청각 장애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수신기에 신호를 보내주는 제2송수신기;
    청각 장애인 가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신호화 된 전파를 수신하여 청각 장애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수신기에 신호를 보내주는 제3송수신기;
    상기 재난 신호를 받고 제1송수신기로 확인신호를 다시 보내주는 상기 휴대용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 보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위험 상황별로 신호화 된 전파를 미리 지정해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 보호 시스템.
KR1020110050059A 2011-05-26 2011-05-26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 KR20120131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059A KR20120131701A (ko) 2011-05-26 2011-05-26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059A KR20120131701A (ko) 2011-05-26 2011-05-26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01A true KR20120131701A (ko) 2012-12-05

Family

ID=4751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059A KR20120131701A (ko) 2011-05-26 2011-05-26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1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16A (ko) 2018-12-03 2020-06-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을 위한 후방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16A (ko) 2018-12-03 2020-06-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을 위한 후방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2907B1 (en) A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n alerting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JP6178467B2 (ja) 防災警報連携システム
WO2014164065A1 (en) Whole home emergency alert system
KR20180066700A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JP2007026342A (ja) 学校等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WO2007062124A3 (en) Security system status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JP5993269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警報器
US9508240B2 (en) Sound receiving apparatus, sound receiving method, sound receiving system, and wireless microphone
KR20120131701A (ko) 청각장애인 보호 시스템
JP2006195872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JP5798827B2 (ja) 防災警報連携システム及び警報器
KR20170091327A (ko) 노약자 및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화재 경보 및 대피 시스템
CN103241381A (zh) 消防救援直升机
JP2013029944A5 (ko)
KR20190069890A (ko) 안드로이드 기반의 재난방송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방송 시스템
KR20180111100A (ko)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JP2010130286A (ja) 防災用通信システム及び拡声子局
KR200208664Y1 (ko) 청각 장애인 보호를 위한 시스템
KR20130002101U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공동 주택 무선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635013B1 (ko) 소방감시반 화재신호 연동의 비상 통화시스템 및 그 방법
JP4680053B2 (ja) 防災情報広域報知システム
US10277316B1 (en) Free space optical headset
CN205070997U (zh) 船舶消防现场数字指挥系统
US20080238696A1 (en) Warning device and method
JP2014086893A (ja) 防災放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