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413A -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413A
KR20120131413A KR1020110049562A KR20110049562A KR20120131413A KR 20120131413 A KR20120131413 A KR 20120131413A KR 1020110049562 A KR1020110049562 A KR 1020110049562A KR 20110049562 A KR20110049562 A KR 20110049562A KR 20120131413 A KR20120131413 A KR 2012013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hopping mall
products
social network
mini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그앤브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그앤브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그앤브레이스
Priority to KR102011004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1413A/ko
Priority to PCT/KR2012/004033 priority patent/WO2012161498A2/ko
Publication of KR2012013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은,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등록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독립쇼핑몰; 상기 하나 이상의 독립쇼핑몰에 등록된 상품 정보가 저장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 중 상기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선택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대표쇼핑몰; 및 상기 대표쇼핑몰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상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품 중 미니스토어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미니스토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GING PRODUCT INFORMATION}
본 발명은 인터넷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정보 유통 및 전자상거래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들어,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전자상거래가 일상화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상에서 전자상거래를 통해 물건 등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은 기본적으로 유료광고를 통해 사이트를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쇼핑을 하는 소비자들은 쇼핑몰이 아닌 개별 상품의 정보를 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쇼핑몰 운영자는 독립적으로 쇼핑몰을 운영하면서도 상품의 홍보 또는 사이트 유입을 위하여 대규모 오픈마켓 등의 입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HTML 등을 이용한 웹사이트의 경우 페이지(문서, 도큐먼트) 단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큐먼트 내에서 특정 데이터만을 분리해 내기는 어려웠다. 이에 따라 쇼핑몰 페이지 전체가 아닌 쇼핑몰에 게시된 특정 상품만을 선택하여 이를 독립적으로 유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쇼핑몰에 게시된 상품을 상품 단위별로 선택하여 이를 미니스토어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유통하고, 이에 따른 수익을 유통자와 원활하게 분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은,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등록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독립쇼핑몰; 상기 하나 이상의 독립쇼핑몰에 등록된 상품 정보가 저장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 중 상기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선택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대표쇼핑몰; 및 상기 대표쇼핑몰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상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품 중 미니스토어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미니스토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표쇼핑몰은,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독립쇼핑몰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상품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상품 정보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 상기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상품 리스트를 대표쇼핑몰 웹사이트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상품 리스트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대표쇼핑몰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또는 상기 미니스토어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중 구매자에 의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 및 상기 미니스토어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에 대하여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미니스토어 운영자와 대표쇼핑몰 운영자간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하는 정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상품 정보 수신 모듈에서 수신한 각각의 상품 정보들이 HTML의 <section> 태그에 의하여 구분되며, 각각의 <section> 태그들은 해당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도록 상기 상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미니스토어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section>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section> 태그 내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상품 정보에 해당 미니스토어의 고유 식별번호를 부가하여 미니스토어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니스토어는, 상기 미니스토어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 및 해당 미니스토어의 고유 식별번호를 상기 대표쇼핑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모듈은, 수신된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정산 모듈은, 수신된 상기 미니스토어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요청을 송신한 미니스토어를 식별하고, 식별된 미니스토어 운영자와 상기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은, 상기 대표쇼핑몰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또는 상기 미니스토어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상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품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게시하는 하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section>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section> 태그 내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상품 정보에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아이디 정보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하여 생성된 콘텐츠를 부가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상에 게시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 및 상기 상품을 게시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아이디를 상기 대표쇼핑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모듈은, 수신된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정산 모듈은, 수신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게시한 이용자 아이디를 식별하고, 식별된 소셜 네트워크 이용자와 상기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쇼핑몰에 게시된 상품을 상품 단위별로 선택하여 이를 미니스토어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유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의 독립적 유통에 따른 수익을 미니스토어 운영자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 등 이를 유통한 사람들과 원활하게 분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상품의 유통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쇼핑몰(106)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독립쇼핑몰(102), 상품 데이터베이스(104), 대표쇼핑몰(106) 및 하나 이상의 미니스토어(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등 패킷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독립쇼핑몰(102)은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운영하는 쇼핑몰로서, 상기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등록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의 웹 페이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독립적인 운영자가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독립쇼핑몰(102)을 포함한다. 이러한 독립쇼핑몰(102)들은 일반적으로 웹 상에 존재하는 온라인 쇼핑몰과 마찬가지로, 상품의 등록 및 판매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상품 데이터베이스(104)는 독립쇼핑몰(102)에 등록된 상품의 상품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품 데이터베이스(104)는 일종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로서, 각각의 독립쇼핑몰(102)들에 등록된 상품의 정보가 통합적으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독립쇼핑몰(102)은 각각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갖추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정보 중 독립쇼핑몰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만이 상품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어느 경우이든, 각각의 독립쇼핑몰(102)에 등록된 상품 중 적어도 일부는 상품 데이터베이스(104)에 통합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상기 상품 정보는 일반적으로 쇼핑몰 등에서 상품을 소개하고 판매하기 위하여 기재하는 정보들로서, 상품의 이름, 설명, 가격, 상품과 관련된 사진 또는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독립쇼핑몰(102) 외에 외부쇼핑몰(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쇼핑몰(110)은 독립된 운영자에 의하여 상품이 등록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된다는 점에 있어서는 독립쇼핑몰(102)과 동일하다. 그러나 독립쇼핑몰(102)은 후술할 대표쇼핑몰(106)과 동일한 데이터 저장 구조를 사용하는 반면, 외부쇼핑몰(110)은 대표쇼핑몰(106)과 상이한 데이터 저장 구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외부쇼핑몰(110)과 독립쇼핑몰(102)은 서로 구별된다. 예를 들어, 독립쇼핑몰(102)은 대표쇼핑몰(106)을 운영하는 업체에서 제공한 API 등을 이용한 쇼핑몰이며, 외부쇼핑몰(110)은 이와는 별개의 업체에서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API를 이용한 쇼핑몰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쇼핑몰(110)에 등록된 상품이 상품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데이터 변환기(112)가 필요하게 된다. 데이터 변환기(112)는 외부쇼핑몰(110)에 등록된 상품 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104)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품 데이터베이스(104)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기(112)는 외부쇼핑몰(110)에 등록된 상품 정보를 XML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품 데이터베이스(104)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품 데이터베이스(104)는 XML 데이터 형식으로 수신된 상품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 저장 형식에 맞도록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변환기(112)는 외부쇼핑몰(110) 또는 상품 데이터베이스(104) 내부의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네트워크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독립쇼핑몰(102)과 외부쇼핑몰(110)은 별도의 데이터 변환기(112)의 필요 여부만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독립쇼핑몰(102)과 관련된 사항은 외부쇼핑몰(1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대표쇼핑몰(106)은 상품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된 상품 중 상기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선택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상의 웹 페이지이다. 본 발명에서 대표쇼핑몰(106)은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독립쇼핑몰(102) (또는 외부쇼핑몰(110))에서 유통되는 상품 중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선택한 상품들이 진열 및 판매되는 일종의 쇼핑 포털 내지는 오픈 마켓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각 독립쇼핑몰(102) 또는 외부쇼핑몰(110)의 운영자는 자신의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 중 일부를 대표쇼핑몰(106)에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다. 대표쇼핑몰(106)은 이와 같이 독립쇼핑몰(102) 또는 외부쇼핑몰(110)에 등록된 상품 뿐만 아니라, 대표쇼핑몰(106)의 운영자가 직접 등록한 상품 또한 디스플레이되고 판매될 수 있다. 즉, 대표쇼핑몰(106)은 일종의 쇼핑 포털인 동시에 그 자체로 독립적인 쇼핑몰로서 기능하게 된다.
미니스토어(108)는 대표쇼핑몰(106)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상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품 중 미니스토어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넷상의 웹 페이지이다. 즉, 미니스토어(108)는 대표쇼핑몰(106)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중 일부의 상품만이 디스플레이되고 판매되는 공간이다. 미니스토어(108)의 운영자는 대표쇼핑몰(106)에 등록된 상품 중 선택한 일부만을 자신의 미니스토어(108)에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니스토어(108)의 운영자가 컴퓨터 조립 등에 관한 전문가일 경우, 상기 운영자는 대표쇼핑몰(106)에서 판매되는 컴퓨터 부품 중 자신이 추천하는 부품만을 모아 미니스토어(108)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대표쇼핑몰(106)에 등록된 의류 중 운영자가 추천하는 조합의 의류만을 모아 미니스토어(108)를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대표쇼핑몰(106)의 경우 다수의 독립쇼핑몰(102) 또는 외부쇼핑몰(110)로부터 등록된 상품들이 나열되므로 상품의 종류가 매우 많고 원하는 상품을 고르기 쉽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대표쇼핑몰(106)의 사용자들이 별도로 미니스토어(108)를 운영할 경우, 해당 사용자(즉, 미니스토어의 운영자)를 신뢰하는 타인들이 개설된 미니스토어(108)에서 추천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므로, 대표쇼핑몰(102)만을 이용할 때 보다 관심있는 상품을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는 동시에, 미니스토어를 이용한 상품의 자연스러운 홍보 및 판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쇼핑몰(106)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쇼핑몰(106)은 상품 정보 수신 모듈(200),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202), 상품 리스트 디스플레이 모듈(204), 결제 모듈(206) 및 정산 모듈(208)을 포함한다.
상품 정보 수신 모듈(200)은 상품 데이터베이스(104)로부터 독립쇼핑몰(102) 또는 외부쇼핑몰(110)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운영자에 의한 선택 정보는 상품 데이터베이스(104)에 상품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으며, 상품 정보 수신 모듈(200)은 상품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상품 정보 중 대표쇼핑몰(106) 공개 여부가 선택된 상품만을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10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202)은 상품 정보 수신 모듈(200)에서 수신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상기 상품 리스트는 HTML 도큐먼트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품 정보들이 HTML의 <section> 태그에 의하여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section> 태그들은 해당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품 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section id="상품식별번호 #1">
상품 정보 1
</section>
<section id="상품식별번호 #2">
상품 정보 2
</section>
...
<section id="상품식별번호 #n">
상품 정보 n
</section>
즉, 각각의 상품 정보들은 HTML5의 <section> 태그 및 </section>태그에 의하여 감싸지며, 각각의 <section> 태그로 감싸진 상품 정보들을 고유한 상품 식별번호에 의하여 식별된다. 이와 같이 섹션 단위로 묶여진 상품 정보들은 미니스토어(108)에서의 상품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품 리스트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202)에서 생성된 상품 리스트를 대표쇼핑몰 웹사이트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결제 모듈(206)은 대표쇼핑몰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또는 미니스토어(108)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중 구매자에 의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한다.
정산 모듈(208)은 미니스토어(108)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에 대하여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미니스토어(108) 운영자와 대표쇼핑몰 운영자간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대표쇼핑몰(106)에 상품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면, 다음으로 미니스토어(108)의 운영자는 디스플레이된 상품 중 자신의 미니스토어(108)에 게재할 상품을 선택하여 해당 상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된 상기 상품 리스트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미니스토어(108)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상품 정보의 수신은 상기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section>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미니스토어(108)는 대표쇼핑몰(106)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 중 미니스토어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section>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section> 태그 내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품 정보에 해당 미니스토어(108)의 고유 식별번호를 부가하여 미니스토어(108)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된 문서(document)는 문서 단위로 네트워크상에서 유통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서를 section 단위로 구분함으로써 섹션 단위로 데이터를 유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품 정보에 미니스토어(108)의 고유 식별번호를 부가하는 이유는 후술할 결제 및 정산 과정에서 상품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구매되었는지의 여부를 추적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미니스토어(108)의 고유 식별번호는 화면상에 출력되지 않는 메타 태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에 부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리스트가 <section> 태그에 의하여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경우, 미니스토어(108) 운영자는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전체를 불러들이는 것이 아니라, 이 중 자신이 선택한 상품 정보가 포함된 섹션만을 자신의 미니스토어(108)로 불러들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대표쇼핑몰(106)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도큐먼트 단위가 아닌 섹션 단위로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미니스토어(108)에 선택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면, 구매자(114)는 미니스토어(108)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을 보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매자(114)는 대표쇼핑몰(106), 미니스토어(108)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114)에 게시된 상품을 보고 해당 상품을 구매하려는 사람이다.
구매자(114)에 의해 결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상품을 디스플레이한 미니스토어(108)는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 및 해당 미니스토어(108)의 고유 식별번호를 대표쇼핑몰(106)로 송신한다. 이후 결제 모듈(206)은, 수신된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 미니스토어(108)에서 상품의 구매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실제 상품의 결제는 대표쇼핑몰(106)에서 이루어진다.
결제 모듈(206)을 통한 결제가 완료되면 정산 모듈(208)은, 수신된 미니스토어(108)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구매 요청을 송신한 미니스토어(108)를 식별하고, 식별된 미니스토어(108) 운영자와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한다. 이러한 정산 모듈(208)을 통하여 미니스토어(108)의 운영자는 자신이 게시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질 경우 해당 판매에 따른 수익의 일부를 분배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 이외에 대표쇼핑몰(106) 또는 미니스토어(108)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을 게시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116, SN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SNS는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페이스북, 싸이월드 등의 서비스 또는 블로그 등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공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SNS의 이용자는 대표쇼핑몰(106)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 또는 미니스토어(108)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상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품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116)에 게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표쇼핑몰(106) 또는 미니스토어(108)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은 <section> 태그에 의해 구분되므로, SNS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의 섹션만을 추출하여 이를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116)에 게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NS 사용자는 단순히 상품 정보만을 게시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자신이 생성한 콘텐츠를 부가하여 게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예를 들어 자신이 해당 사품을 사용한 소감 또는 리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에는 미니스토어(108)의 식별 정보와 마찬가지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방문한 구매자(114)가 해당 상품을 클릭하여 구매할 경우, 대표쇼핑몰(106)은 해당 수익을 상기 SNS 이용자와 분배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116)의 이용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section>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section> 태그 내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품 정보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아이디 정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하여 생성된 콘텐츠를 부가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116)에 게시한다. 이후,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116)를 방문한 구매자(114)에 의해 게시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소셔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116)는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 및 상품을 게시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아이디를 대표쇼핑몰로 송신한다. 이후 결제 모듈(206)은, 수신된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며, 정산 모듈(208)은, 수신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품을 게시한 이용자 아이디를 식별하고, 식별된 소셜 네트워크 이용자와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102: 독립쇼핑몰 104: 상품 데이터베이스
106: 대표쇼핑몰 108: 미니스토어
110: 외부쇼핑몰 112: 데이터 변환기
114: 구매자 11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Claims (10)

  1.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등록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독립쇼핑몰;
    상기 하나 이상의 독립쇼핑몰에 등록된 상품 정보가 저장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 중 상기 독립쇼핑몰 운영자가 선택한 상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대표쇼핑몰; 및
    상기 대표쇼핑몰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상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품 중 미니스토어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미니스토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쇼핑몰은,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독립쇼핑몰 운영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상품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상품 정보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
    상기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상품 리스트를 대표쇼핑몰 웹사이트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상품 리스트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대표쇼핑몰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또는 상기 미니스토어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중 구매자에 의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 및
    상기 미니스토어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에 대하여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미니스토어 운영자와 대표쇼핑몰 운영자간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하는 정산 모듈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리스트 생성 모듈은, 상기 상품 정보 수신 모듈에서 수신한 각각의 상품 정보들이 HTML의 <section> 태그에 의하여 구분되며, 각각의 <section> 태그들은 해당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도록 상기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는, 상품 리스트 디스플레이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니스토어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section>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section> 태그 내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상품 정보에 해당 미니스토어의 고유 식별번호를 부가하여 미니스토어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니스토어는, 상기 미니스토어 웹사이트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 및 해당 미니스토어의 고유 식별번호를 상기 대표쇼핑몰로 송신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모듈은, 수신된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정산 모듈은, 수신된 상기 미니스토어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요청을 송신한 미니스토어를 식별하고, 식별된 미니스토어 운영자와 상기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은,
    상기 대표쇼핑몰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또는 상기 미니스토어에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를 상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상품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게시하는 하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를 더 포함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8. 상기 하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section>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section> 태그 내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상품 정보에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아이디 정보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하여 생성된 콘텐츠를 부가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에 게시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이트상에 게시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 및 상기 상품을 게시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아이디를 상기 대표쇼핑몰로 송신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모듈은, 수신된 상기 구매 요청된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구매 요청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정산 모듈은, 수신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게시한 이용자 아이디를 식별하고, 식별된 소셜 네트워크 이용자와 상기 상품 판매 수익을 분배하는,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KR1020110049562A 2011-05-25 2011-05-25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KR20120131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562A KR20120131413A (ko) 2011-05-25 2011-05-25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PCT/KR2012/004033 WO2012161498A2 (ko) 2011-05-25 2012-05-22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562A KR20120131413A (ko) 2011-05-25 2011-05-25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13A true KR20120131413A (ko) 2012-12-05

Family

ID=4721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562A KR20120131413A (ko) 2011-05-25 2011-05-25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31413A (ko)
WO (1) WO2012161498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538B1 (ko) * 2000-12-01 2006-06-23 주식회사 아이쓰리샵 웹 사이트 분양을 통한 쇼핑몰 운영방법
KR100790945B1 (ko) * 2007-03-30 2008-01-03 권영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100942733B1 (ko) * 2007-06-29 2010-02-16 양봉우 상품공유가 가능한 독립형 프랜차이즈 쇼핑몰의 운영방법및 운영시스템
KR20110049017A (ko) * 2009-11-04 2011-05-12 박병권 쇼핑몰의 파생몰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1498A3 (ko) 2013-03-14
WO2012161498A2 (ko)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7620A1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commodity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KR101893568B1 (ko)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JP6671425B2 (ja) 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電子レシートの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Kamari et al. Trust in electronic commerce: A new model for building online trust in B2C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45745A (ko) Sns상의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온라인 마케팅 방법
KR102276162B1 (ko) 매출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Hanafizadeh et al. Analyzing value creation in electronic retailing: The case of Digikala–Part A
KR102206041B1 (ko) 온라인 쇼핑몰 임대 및 유무형 가치 거래를 위한 쇼핑몰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79537B1 (ko) 온라인 중계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131413A (ko) 상품 정보 단위 데이터 유통 시스템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JP2016177539A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Singh et al. Digitizing the street vending market
Datsko Successful factors and barriers for e-commerce business within fashion industry
JP2019075154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Reddy et al.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in Digital Marketing on During the Pandemic Period In Telangana State
Hawlader Establishing a Dropshipping E-commerce Store
KR20190059141A (ko) 통합 장바구니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공유 및 선물하기 제공 방법
Albattat et al. The Role of Mobile Applications in Jordanian Hospitality Operations, Businesses and Service Perception
KR20180064895A (ko) 컨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