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173A -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173A
KR20120129173A KR1020110047273A KR20110047273A KR20120129173A KR 20120129173 A KR20120129173 A KR 20120129173A KR 1020110047273 A KR1020110047273 A KR 1020110047273A KR 20110047273 A KR20110047273 A KR 20110047273A KR 20120129173 A KR20120129173 A KR 20120129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ireless
location
module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현
김태연
송호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4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173A/ko
Publication of KR2012012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에서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할당 방법 및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할당 방법은 AP(Access Point)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AP 주변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AP가 사용하는 채널을 고려하여 상기 AP가 사용할 동작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채널을 상기 AP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ALLOC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술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WLAN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초기의 WLAN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한 이래, 최근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적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QoS(Quality for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제정된 기술 규격으로써 IEEE 802.11n이 있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사본을 여러 개 전송하는 코딩 방식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랜 시스템은 허가가 필요없는 무선대역(e.g.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누구나 자유롭게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무선랜 기술을 활용하는 모바일 기기들의 보급이 늘어나고 무선랜 기술의 이점이 부각되면서 무선랜 기술이 통신사업자 망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향후 더욱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무선랜 기술은 정해진 수의 채널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많은 수의 AP가 일정한 구역내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면 채널간섭과 경쟁으로 인해 통신효율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더 많은 채널이나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하여 AP를 많은 설치할수록 더욱 심화되는 현상으로서 위치에 따른 적절한 채널설계 및 할당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통신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다.
제한된 영역내에서 다수의 AP가 설치되어 각 AP의 커버리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겹치는 OBSS(Overlapping Basic Service Set) 환경에서 채널간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채널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P 설치시에 AP간의 채널을 적절히 설계하여 통신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무선랜 시스템의 채널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랜 시스템에서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할당 방법은 AP(Access Point)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AP 주변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AP가 사용하는 채널을 고려하여 상기 AP가 사용할 동작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채널을 상기 AP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동작채널에 대한 상기 AP의 무선출력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출력 제어정보는 상기 AP의 전송 전력의 상한값이며, 상기 전송전력의 상한값은 상기 AP와 상기 제3 AP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AP는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된 AP일 수 있으며, 상기 인증절차는 상기 AP로부터 인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AP의 설치 또는 관리 주체의 인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 또는 관리 주체의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요청은 상기 AP가 사용할 채널을 할당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채널할당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무선랜 시스템에서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재할당 방법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가용 채널 각각에 할당된 AP(Access Point)의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재할당 대상 AP로부터 상기 재할당 대상 AP의 위치 및 사용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재할당 대상 AP의 위치변경 또는 사용 채널의 부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재할당 대상 AP가 사용할 재할당 채널을 결정하는 재설정 단계, 상기 재설정 단계에서 결정된 재할당 채널을 상기 재할당 대상 AP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재할당 채널 및 상기 재할당 대상 AP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재할당 대상 AP의 상기 재할당 채널에 대한 전송전력을 결정하여 무선출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출력 제어정보는 상기 동작채널 할당과 함께 상기 AP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일 양태에 무선랜 시스템에서 AP에게 동작채널을 할당하는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은 상기 AP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식별 모듈, 상기 위치식별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AP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AP의 동작채널을 결정하는 무선채널 설계/계산 모듈 및 상기 AP에게 결정된 동작채널을 할당하는 무선채널 할당 및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은 상기 동작채널을 검증하는 무선채널 검증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AP들의 위치정보 및 동작채널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식별 모듈은 상기 AP로부터 상기 AP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AP의 관리주체로부터 상기 AP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BSA(basic service area)가 겹치는 다수의 AP가 공존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간섭으로 인한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와이파이존 관리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AP의 위치 이동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고, 무선랜 시스템간의 채널 관리 방법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간 채널 관리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무선랜 시스템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 통신 시스템과의 관계에서의 채널 할당 및 관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이하에서 무선랜 시스템 관련 용어는 그에 해당하는 이종 시스템의 명칭으로 대체되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STA의 집합으로서,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개념은 아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BSS와 독립(Independent) BSS(IBSS)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 1에는 인프라스트럭쳐 BSS가 도시되어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BSS(BSS1, BSS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TA(STA1, STA3, STA4),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STA인 AP 및 다수의 AP(AP1, AP2)를 연결시키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한다. 반면, IBSS는 AP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STA이 이동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DS에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STA은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와 비AP 스테이션(Non-AP Station)을 모두 포함한다.
STA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단말은 Non-AP STA(STA1, STA3, STA4, STA6, STA7, STA8)으로써, 단순히 STA이라고 할 때는 Non-AP STA을 가리키기도 한다. Non-AP STA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AP(AP1, AP2)는 자신에게 결합된 STA(Associated Station)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AP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비AP STA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STA들 사이에서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AP는 엑세스 포인트라는 명칭 외에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복수의 infrastructure BSS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STA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비AP STA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DS는 하나의 AP가 다른 AP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이에 의하면 AP가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STA들을 위해 무선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STA이 다른 BSS로 이동한 경우에 무선 프레임을 전달하거나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무선 프레임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러한 DS는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DS는 메쉬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AP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BSS의 무선랜 서비스 제공의 지역적 범위는 BSA(basic service area) 또는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요자 입장에서 와이파이 존(wi-fi zone)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울 수 있다. 이하에서 와이파이 존이라 함은 무선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지역적 범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BSA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AP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 AP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 BSA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겹칠 수 있다.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는 BSS의 BSA 전부 또는 일부가 겹치는 환경을 OBSS(Overlapping BSS) 환경이라 한다. OBSS 환경에서 인접 BSS의 AP와 STA간의 무선 프레임 전송/수신은 인접 BSS의 AP 또는 STA의 무선 프레임 전송/수신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존에서는 무작위로 설치된 AP들이 무선상태를 파악하고 임의로 채널을 할당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AP의 위치를 고려한 채널설계나 할당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경쟁적으로 AP가 구축된 곳에서는 데이터 전송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특히, 일정수준의 전송품질을 유지해야 하는 통신사업자인 경우에 이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쟁적으로 와이파이가 설치되거나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을 두고 AP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은 와이파이존에 설치된 AP와 별개로 설치되거나 설치된 AP들 중 어느 하나가 관리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한된 지역적 범위내에 다수의 AP가 설치된 무선랜 환경에서 다수의 AP 각각이 사용하는 채널을 관리 시스템에서 결정/할당하여 간섭을 최소화하고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존 관리시스템은 관리 대상 지역에 설치된 AP와의 연결을 통하여 AP의 통신사업자 인증, 채널설계 및 할당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AP위치 인증, 무선채널의 검증작업을 수행하여 AP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와이파이존 관리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난 블록도이다.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은 AP 연동 인터페이스와 AP에 대한 통신사 인증을 위한 통신사 연동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장비의 조작 및 수동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AP 위치식별 모듈은 AP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능으로서 AP의 기능과 연동하여 AP의 위치를 파악한다. AP로부터 해당 AP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만일 AP가 위치식별기능이 없는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동으로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AP의 위치식별 모듈은 AP의 설치/관리 주체(e.g. AP를 설치/관리/운용하는 통신 사업자의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AP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P 무선채널 할당 및 관리모듈은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총괄적으로 수행하는 모듈로서 다른 블록의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AP/채널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와이파이존에 설치되고 인증된 AP와 채널할당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무선채널 설계/계산 모듈은 각 AP에 할당하는 무선채널을 설계하고 최적 채널을 계산한다.
이외에도 AP의 위치나 수량에 따라서 개별 AP의 무선출력을 제어하고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P의 무선출력 제어 정보는 AP의 채널 할당 정보와 함께 전송되거나 채널 할당 정보와 별개로 관리메시지를 통해 AP에게 전송될 수 있다. 무선출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 정기적으로(e.g. 이후 설명할 재설정 절차의 결과로) AP에게 전송될 수 있다.
관리 시스템은 AP의 설치 위치가 변하는 상황을 고려하여(e.g. 이동성을 갖는 AP 또는 AP 관리자에 의한 이동 설치) 주기적으로 무선채널을 검증함과 동시에 AP의 위치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사업자가 설치하는 AP인 경우에 이를 통신사 연동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확인하고 통신사 공인 AP로 인증하는 절차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무허가 무선 대역뿐만 아니라 향후 통신사업자용 대역이 따라 정의될 경우에 공인 인증 절차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인증되지 아니한 AP가 동작을 시작할 때, AP는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으로 인증을 요청한다. 이때 인증 요청과 더불어 해당 AP가 사용할 채널을 할당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은 AP의 인증요청을 받은 경우 AP의 관리주체(e.g. AP를 관리하는 통신사)에게 AP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칠 수 있다. 관리 시스템은 관리주체(e.g. 통신사의 관리 서버)에 연동하여 해당 AP가 통신사에서 설치한 AP인지 확인하여 공인 AP로 인증할 수 있다.
AP가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해당 AP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시도하며, 만일 자동으로 위치가 식별되지 않으면 AP의 위치를 수동을 추가할 수 있다.
식별된 위치와 기존의 AP/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무선채널을 계산하여 AP에서 사용할 무선채널을 할당한다. AP가 무선출력 조정을 지원하는 경우 무선채널 계산시에 무선출력 수준을 동시에 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계산된 채널은 무조건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AP에 무선채널을 임시 할당하고 무선채널을 검증한 후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임시 할당된 채널을 사용하였을 때의 간섭 수준 등의 채널 정보를 피드백 받아 그 결과에 따라 채널을 재할당하거나 임시 할당된 채널을 해당 AP가 사용할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예는 AP의 초기 설치시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치후 AP 위치의 이동이나 변화가 있을 경우에 이를 조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AP의 위치 이동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의 절차(이하에서 ‘재확인 절차’라 함)는 사용자의 임의적인 요청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재확인 절차는 먼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존에 할당된 AP와 채널 내역을 조회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AP로부터 정보를 조회하여 AP 위치 및 무선채널 할당 정보를 대조하여 확인한다. AP에 관련기능이 있고 필요한 경우에 무선채널 검증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위치변경, 임의의 채널변경이 있거나 현재 할당된 채널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적의 무선채널을 재계산하여 재할당하게 된다. 검증된 내역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무선랜 시스템에서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AP(Access Point)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AP 주변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AP가 사용하는 채널을 고려하여 상기 AP가 사용할 동작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채널을 상기 AP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채널에 대한 상기 AP의 무선출력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출력 제어정보는 상기 AP의 전송 전력의 상한값이며, 상기 전송전력의 상한값은 상기 AP와 상기 제3 AP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된 AP이며,
    상기 인증절차는 상기 AP로부터 인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AP의 설치 또는 관리 주체의 인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 또는 관리 주체의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요청은 상기 AP가 사용할 채널을 할당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채널할당 요청을 포함하는 방법.
  6. 무선랜 시스템에서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재할당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가용 채널 각각에 할당된 AP(Access Point)의 내역을 획득하는 단계;
    재할당 대상 AP로부터 상기 재할당 대상 AP의 위치 및 사용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재할당 대상 AP의 위치변경 또는 사용 채널의 부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재할당 대상 AP가 사용할 재할당 채널을 결정하는 재설정 단계;
    상기 재설정 단계에서 결정된 재할당 채널을 상기 재할당 대상 AP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재할당 채널 및 상기 재할당 대상 AP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할당 대상 AP의 상기 재할당 채널에 대한 전송전력을 결정하여 무선출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출력 제어정보는 상기 동작채널 할당과 함께 상기 AP에게 전송되는 방법.
  8. 무선랜 시스템에서 AP에게 동작채널을 할당하는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은,
    상기 AP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식별 모듈;
    상기 위치식별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AP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AP의 동작채널을 결정하는 무선채널 설계/계산 모듈; 및
    상기 AP에게 결정된 동작채널을 할당하는 무선채널 할당 및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채널을 검증하는 무선채널 검증 모듈; 및
    상기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AP들의 위치정보 및 동작채널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모듈은 상기 AP로부터 상기 AP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AP의 관리주체로부터 상기 AP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존 관리 시스템.
KR1020110047273A 2011-05-19 2011-05-19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29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73A KR20120129173A (ko) 2011-05-19 2011-05-19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73A KR20120129173A (ko) 2011-05-19 2011-05-19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173A true KR20120129173A (ko) 2012-11-28

Family

ID=4751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273A KR20120129173A (ko) 2011-05-19 2011-05-19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1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5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unlicensed frequency bands
JP5710617B2 (ja) ミリ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vbr干渉軽減
US9668299B2 (en) Multi-mode WLAN/PAN MAC
US9066283B2 (en) Procedure for basic service set (BSS) load management in WLAN system
US8982846B2 (en) Proactive scheduling methods and apparatus to enable peer-to-peer communication links in a wireless OFDMA system
KR20200007996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캐닝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5827372B (zh) 响应移动电子设备共址并存请求的方法及通信装置
US1145750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ccess point and station
US20130044735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 system based on virtual access point service
KR20100105308A (ko) 무선자원 할당 방법
TW202127923A (zh) 經協調的設備到設備通訊
US202102429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rigger inform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1164748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CN109923920A (zh) 用于资源管理装置、数据库和对象的电子设备和方法
US2017023100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20180092078A1 (en) Multiple access point channel coding transmission technique for cell-edge throughput enhancement
WO2015081718A1 (zh) 无线网络的通信处理方法及装置
WO2017080380A1 (zh) 一种数据传输控制方法,及网络设备
US201600506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multi-band based link in wireless lan system
JP201300534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20129173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102068281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캐닝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230247549A1 (en) Standalone and supplemental spectrum operations
US202302548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delink Transmission Resource
WO2023155586A1 (zh) 侧行链路信道接入方法及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