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308A - 무선자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자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308A
KR20100105308A KR1020090074818A KR20090074818A KR20100105308A KR 20100105308 A KR20100105308 A KR 20100105308A KR 1020090074818 A KR1020090074818 A KR 1020090074818A KR 20090074818 A KR20090074818 A KR 20090074818A KR 20100105308 A KR20100105308 A KR 20100105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rame
radio resource
data stream
s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093B1 (ko
Inventor
석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256,8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02634A1/en
Priority to PCT/KR2009/005423 priority patent/WO2010107165A1/en
Priority to JP2012500704A priority patent/JP5679539B2/ja
Priority to CA2760393A priority patent/CA2760393A1/en
Priority to EP09841949.2A priority patent/EP2409537A4/en
Priority to CN200980159283.1A priority patent/CN102422690B/zh
Priority to RU2011141758/07A priority patent/RU2489811C2/ru
Publication of KR2010010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 방법은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 과정에서, AP로 상향링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와 상기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중 적은 값에 따른 무선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테이션들의 무선자원 요청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74818
무선 자원, 안테나, 자원 할당.

Description

무선자원 할당 방법{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본 발명은 무선 근거리 접속 네트워크(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고수율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무선자원을 할당 받는 방법에 관련된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WLAN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초기의 WLAN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한 이래, 최근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적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QoS(Quality for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
IEEE 802.11 중에서 IEEE 802.11b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면서 최고 11Mb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한다. IEEE 802.11b 이후에 상용화된 IEEE 802.11a는 2.4GHz 대역이 아닌 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혼잡한 2.4GHz 대역의 주파수에 비해 간섭에 대한 영향을 줄였으며, OFDM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 속도를 최대 54Mbps까지 향상시켰다. 그러나 IEEE 802.11a는 IEEE 802.11b에 비해 통신 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IEEE 802.11g는 IEEE 802.11b와 마찬가지로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대 54Mbps의 통신속도를 구현하며, 후방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만족하고 있어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는데, 통신 거리에 있어서도 IEEE 802.11a보다 우위에 있다.
그리고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제정된 기술 규격으로써 IEEE 802.11n이 있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규격은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사본을 여러 개 전송하는 코딩 방식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을 사용할 수도 있다.
WLAN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또한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WLAN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시스템은 1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최근에 새롭게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VHT 무선랜 시스템이란 명칭은 임의적인 것이며, 현재는 1Gbps 이상의 쓰루풋을 제공하기 위하여 4X4 MIMO 및 80MHz 또는 그 이상의 채널 밴드폭을 사용하는 것과 함께 채널 접속 기법으로서 공간분할 다중접속(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기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실현 가능성 테스트(feasibility test)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IEEE 802.11n 무선랜 시스템이나 다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채널 접속 메커니즘은 1Gbps 이상의 쓰루풋을 제공하고자 하는 무선랜 시스템(이하,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시스템'이라 한다) 의 채널 접속 메커니즘으로 그대로 적용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기존의 무선랜 시스템은 20MHz 또는 40MHz의 채널 밴드폭을 전제로 한 것인데, 이러한 좁은 채널 밴드폭으로는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ervice Access Point, SAP)에서 1Gbps 이상의 쓰루풋을 달성할 수가 없어서,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소 80MHz의 채널 밴드폭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VHT BSS의 1Gbps 이상의 총 쓰루풋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여러 VHT STA 들이 효율적으로 동시에 채널(channel)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여러 VHT STA 들이 효율적으로 동시에 채널을 사용하기 위해, VHT AP 는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을 사용한다. 즉, 여러 VHT STA 들이 VHT AP 와 데이터 송수신을 동시에 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를 위해, VHT AP는 VHT STA 에 비해 더 많은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즉 VHT AP는 VHT STA 보다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VHT STA 들이 4 개의 물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고, VHT AP 이 8개의 물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 하나의 VHT STA이 4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VHT AP으로 전송하는 경우, 최대 2개의 VHT STA 들이 동시에 VHT AP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VHT STA 이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VHT AP으로 송수신한다 가정하면, 최대 4개의 VHT STA 들이 동시에 VHT AP와 데이터 스트림을 송수신 할 수 있다.
VHT system 에서 무선자원 이용(utilization)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물리 인터페이스를 각각의 VHT STA들에게 동적으로 분배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VHT AP STA 이 8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을 가지고 있고, VHT non-AP STA 이 4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VHT non-AP STA 4개가 동시에 VHT AP STA 은 송수신 하기 위해서는, VHT AP STA 은 VHT STA 들에게 물리 인터페이스를 2개까지만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VHT AP 는 최대 8개의 스트림(stream)만을 SDMA을 통해 지원하기 때문이다.
이때, VHT AP는 각각의 VHT STA들 이 보내려 하는 데이터의 액션 카테고리(AC Category)의 수, 경쟁하는 VHT STA의 개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랜 환경에서 다중 안테나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시,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 또는 인터페이스의 수에 맞는 무선자원 할당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무선자원을 요청하고, 무선자원을 할당받는 데에 있어서 경쟁하는 다른 스테이션들의 전송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 과정에서, AP로 상향링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와 상기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중 적은 값에 따른 무선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액세스 시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량 또는 필요로 하는 무선자원의 양에 대한 정보를 미리 공유함으로써 시스템 내의 스테이션들의 무선자원 이용 또는 요청 상황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남아있는 무선자원의 양에 대한 정보를 스테이션들이 미리 획득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쟁이나 제어 신호의 전송을 방지할 수 있고 오버헤드나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VHT 무선랜 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HT 무선랜 시스템과 같은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 STA)의 집합으로써,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개념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랜 시스템과 같이, MAC SAP에서 1GHz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BSS를 VHT(Very High Throughput) BSS라고 한다.
VHT BSS도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 1에는 인프라스트럭쳐 BSS가 도시되어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BSS(BSS1, BSS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AP 스테이션(Non-AP STA1, Non-AP STA3, Non-AP STA4), 분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스테이션인 액세스 포인트(AP STA1, AP STA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P STA1, AP STA2)를 연결시키는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는 AP 스테이션이 BSS의 Non-AP 스테이션들을 관리한다.
반면, 독립 BSS는 애드-혹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AP VHT STA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에서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없다. 즉, IBSS에서는 비AP 스테이션들이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는 모든 스테이션이 이동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DS에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스테이션은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와 비AP 스테이션(Non-AP Station)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중 채널 환경에서 1GHz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을 VHT 스테이션(VHT STA)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상기 BSS에 포함되는 스테이션은 모두 VHT STA이거나 또는 VHT STA과 레거시 스테이션 (예컨대, IEEE 802.11n에 따른 HT STA)이 공존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스테이션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서와 디스플레이 수단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기능 유닛으로써, 스테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이다.
스테이션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단말은 비AP 스테이션(Non-AP STA; STA1, STA3, STA4, STA5)으로써, 특별한 수식어 없이 단순히 ‘스테이션’이라고 할 때는 비AP 스테이션을 가리키기도 한다. 비AP 스테이션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중 채널 환경에서 1GHz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비AP STA을 Non-AP VHT STA 또는 간단히 VHT STA이라고 한다.
그리고 AP(AP1, AP2)는 해당 AP에게 결합된(Associated)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AP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비AP 스테이션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STA들 사이에서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AP는 엑세스 포인트라는 명칭 외에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중 채널 환경에서 1GHz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AP를 VHT AP라고 한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스테이션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비AP 스테이션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DS는 하나의 AP가 다른 AP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이에 의하면 AP가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스테이션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스테이션이 다른 BSS로 이동한 경우에 프레임을 전달하거나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러한 DS는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에 규정된 소정의 분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DS는 메쉬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AP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항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 방법에서, 스테이션은 AP로부터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정보를 수신한다(S210). SDMA 정보에는 몇 개의 PHY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 즉 전송될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SDMA 정보에는 데이터 스트림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될 채널 대역폭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DMA 정보를 수신한 스테이션은 하항링크 전송될 데이터 스트림들에 상응하는 채널들에 대한 채널 평가 결과를 전송한다(S220). 다만 채널 평가 및 채널 평가의 결과 전송은 SDMA 정보 전송 이전이 미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AP는 채널 평가 결과에 따라 각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S230). 만약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동시에 전송되는 채널들 간에 채널 상관도가 높거나, 서로 간섭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는 채널들이 존재하는 경우 AP는 채널 상관도가 낮은 채 널로 변경하거나 전송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SDMA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SDMA 정보는 SDMA 정보 프레임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SDMA 정보 프레임은 데스티네이션 스테이션 어드레스 필드(310),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필드(320), 채널 대역폭 필드(330), SDMA TXOP 지속시간 필드(340) 등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스티네이션 스테이션 어드레스 필드(310)는 SDMA 정보 프레임을 수신하고, 또한 하향링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게 될 스테이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그리고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필드(320)는 AP가 스테이션으로 동시에 하향링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낸다. 즉 전송 인터페이스(TX interface)들의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스테이션은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필드를 통해 AP가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위해 사용하게 될 무선자원, 즉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의 개수를 알 수 있다. 채널 대역폭 필드(330)는 AP가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에 사용할 채널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DMA TXOP 지속시간 필드(340)는 하향링크 전송기회의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 방 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스테이션이 AP로부터 무선자원을 할당 받는 과정을 AP와 스테이션이 1대 1의 관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 과정을 전제로 한다. 우선 스테이션은 AP로 상향링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는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를 위해 스테이션이 AP로 전송하는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S410). 이를 통해 스테이션은 AP로 전송할 데이터 스트림이 얼마나 있는지를 알리거나, 또는 필요한 양의 무선자원 특히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션은 AP로부터 할당받는 무선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스테이션이 수신하는 무선자원 할당 정보에는 AP가 해당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정보가 포함된다. 이를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할당 정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자원 할당 정보에는 AP가 앞으로 할당할 수 있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수도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 (available PHY interface)의 개수로 표현될 수 있는데,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는 AP가 할당할 수 있었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수에서 해당 스테이션에게 할당한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수를 뺀 수가 된다.
스테이션은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와 AP가 할당하고자 하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중 적은 값에 따른 무선자원을 할당 받는다. 즉, 스테이션이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수와 AP가 할당할 수 있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수 중에서 작은 수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가 스테이션에 할당된다.
여기서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할당 정보나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정보는 CTS(Clear to Send)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S420). CTS 프레임은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데, RTS /CTS 프레임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 과정에서 AP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에 앞서 스테이션들과 RTS(Request To Send) 프레임과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교환하거나 또는 CTS-to-self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한다. 특히 데이터 프레임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AP는 RTS 프레임/CTS 프레임의 교환이나 CTS-to-self 프레임의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멀티캐스트 프레임의 전송 방식을 알려주고 또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다른 단말 또는 레거시 단말들에게는, 멀티캐스트 프레임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 NAV)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RTS 프레임의 전송에 따라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 과정이 개시되고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모드(예컨대, 전방향 모드 또는 방향성 모드 등)를 알려줄 수 있으며, AP는 CTS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영역이 깨끗함을 알려줄 수 있다.
이후, 스테이션은 할당 받은 무선자원을 이용해서 AP로 데이터 스트림을 상 향링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AP는 스테이션으로 앞으로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이 있는지 여부, 남아있는 무선자원이 있는 경우 얼만큼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다음번 전송 기회의 지속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된 SDMA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DMA 정보에 관하여서는 이후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RTS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TS 프레임은 경쟁 기반 채널 액세스를 위해 스테이션이 AP로 전송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는 이제 설명할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RTS 프레임은 소스 스테이션 어드레스 (Source STA Address) 필드(510),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 (Destination Address) 필드(520),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Number of Data Stream) 필드 (530),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 필드(540), SDMA 전송기회 지속시간(SDMA TXOP Duration) 필드(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스테이션 어드레스 필드(510)는 해당 RTS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 스테이션의 MAC 어드레스(MAC address)를 나타낸다. 즉 RTS 프레임 전송측(RTS frame transmitter)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 필드(520)는 해당 RTS 프레임을 수신하게 될 AP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필드(530)에는 스테이션이 상향링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를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다.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는 해당 스테이션이 할당 받고자 하는 무선자원, 특히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가 몇 개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채널 대역폭 필드(540)는 해당 스테이션이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또는 할당받고자 하는 채널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DMA 전송기회 지속시간 필드(550)는 스테이션이 AP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전송 기회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즉 스테이션들은 SDMA 전송 기회의 지속시간 내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 필드는 예시적인 것이며 RTS 프레임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필드에 나타난 SDMA 전송기회 지속시간이 0으로 설정되는 경우, 스테이션은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재설정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CTS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테이션으로부터 RTS 프레임을 수신한 AP는 그에 대하여 CTS 프레임으로 응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CTS 프레임은 소스 스테이션 어드레스(Source STA Address) 필드(610),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 필드(620), 할당 물리 인터페이스의 개수(Number of Allocating PHY Interface) 필드(630), 남아있는 데이터 스트림(Number of Available PHY Interface) 필드(640),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 필드(650), SDMA TXOP Duration (660) 필드를 포함한다.
Source STA Address 필드(610)는 해당 CTS 프레임의 송신측(CTS frame transmitter)인 AP의 MAC address 을 나타낸다. 또한 Destination Address 필드(620)는 해당 CTS 프레임을 수신할 스테이션의 MAC address를 나타낸다.
할당 물리 인터페이스의 개수(Number of Allocating PHY Interface) 필드(630)는 AP가 동시에 수신하려고 하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수를 나타내며 이는 곧 AP가 스테이션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해 할당하고자 하는 RX interface들의 수를 나타내기도 한다. 참고로 이는 할당 가능한 총 무선자원과는 다른 개념이다.
RTS 프레임에 포함된 Number of Stream 와 RTS 프레임에 포함된 Number of Stream 중에 작은 값이 해당 스테이션에게 최종적으로 할당되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가 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션이 RTS 프레임의 Number of Data Stream 필드의 값을 4로 설정하여 AP로 전송한 경우를 가정한다. 만약 총 8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을 가지고 있는 AP에게 아직 할당하지 않고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가 2개라면, CTS 프레임에 할당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Allocating PHY Interface) 필드의 값은 2로 하여 해당 스테이션에 응답한다. 이것은, AP가 실제 가지고 있었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에 비해, 할당 가능한 물리 인터페이스가 2개뿐이어서 스테이션이 요청한 만큼의 물리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Available PHY interface) 필드(640)는 AP가 동시에 수신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의 수, 즉 할당되지 않고 남아있는(remained) RX interface 들의 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 필드는 AP가 상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에 사용할 채널 대역폭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CTS 프레임에 포함된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가 그 값이 0 인 경우, 이는 AP는 가지고 있는 모든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를 스테이션들에게 할당하였다는 의미이므로, RTS 프레임과 CTS 프레임을 통한 무선자원 할당 과정은 중단된다. 그리고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Available PHY Interface) 필드의 값이 0으로 설정된 CTS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은 NAV를 재설정하고, 다음번 전송 기회에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CTS 프레임에 포함된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 (Number of Available PHY interface)가 0 이 아닌 경우, VHT non-AP STA 은 계속해서 RTS 프레임을 VHT AP STA 에게 보낼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들 간에 경쟁 기반 채널 액세스(contention based channel access) 방식이 적용된다. 여기서의 경쟁 기반 채널 액세스 방식은 EDCA 백오프 메커니즘(EDCA Backoff mechanism)을 의미한다.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기법은 경쟁 기반 채널 접근 방식의 하나로서, 사용자간 우선 순위를 가지는 프레임에 대해서 차별화된 매체 접근을 허용하여, 특정 스테이션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일정 시간을 부여하고 이를 보장하는 전송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 TXOP)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Available PHY Interface)는 VHT AP STA 이 VHT non-AP STA 에게 할당 가능한 물리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여유 자원의 양을 나타낸다. 여유 자원을 최소로 하면 시스템의 처리율(system throughput)은 극대화될 수 있다.
SDMA TXOP Duration 은 uplink TXOP 의 duration 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 및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DMA 방식으로 여러 스테이션들이 동시에 상향링크 전송을 진행 하기 위해서, 스테이션들은 경쟁 기반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들은 AP에게 RTS 프레임을 전송하고, CTS 프레임을 수신한다. AP와 스테이션은 RTS 프레임, CTS 프레임 등을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RTS 프레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TS 프레임을 전송하는 소스 스테이션의 어드레스 정보, RTS 프레임을 수신하는 데스티네이션 스테이션인 AP의 어드레스 정보, 스테이션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 시 사용하고자 하는 채널 대역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P로부터 CTS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은, CTS 프레임에 포함된 할당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Allocating PHY Interface)에 해당하는 값의 개수만큼의 Data Stream를 AP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AP는 8 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을 가지고 있으며, 총 4개의 스테이션이 AP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경쟁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스테이션은 STA 1, STA 2, STA 3 및 STA 4로 표시하도록 한다.
STA 1 은 4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을 가지고 있으며 4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상향링크 전송하려고 한다. STA 2 는 2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을 가지고 있으며,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려고 한다. STA 3 은 4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을 가지고 있으며,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려고 하며, STA 4 는 4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을 가지고 있다.
백오프 타임이 경과 후에 STA 1 이 RTS 프레임 1을 전송한다(S710). 여기서 RTS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 스트림 개수는 4로 설정된다. 이는 전술하였듯이 STA 1 이 4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AP로 동시에 전송하겠다는 것을 알리며 이에 상응하는 무선자원 할당을 요구하는 것이다.
AP는 STA 1 의 요청을 받아 들여, CTS 프레임 1를 전송하는데(S720), 에 포함된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PHY Interface) 필드의 필드값을 4로 설정한다. 이것은, AP 이 가지고 있는 8개의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중에 4개를 STA 1에 할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TS 프레임 1에 포함된 Number of Available Stream field 는 4가 된다. 이것은, 앞으로 할당 가능한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 가 4개라는 것을 알리는 목적이다.
그리고 STA 2가 RTS 프레임 2를 전송한다(S730). STA 2가 전송하는 RTS 프레 임 2에 데이터 프레임 개수 필드의 필드값은 2로 설정된다. 즉 STA 2는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고자 한다. AP는 RTS 프레임 2에 대한 응답으로 CTS 프레임 2를 전송한다(S740). CTS 프레임 2의 무선자원 할당 정보에 따른 할당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Allocating PHY Interface)는 2로 설정된다. 그리고 STA 2에게 할당하고 AP에 남아있는 PHY Interface 의 수는 2개이므로, CTS 프레임 2의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Available PHY Interface)는 2로 설정된다.
그리고 STA 3 역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AP로 RTS 프레임 3을 전송한다(S750). STA 3은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고자 하므로, RTS 프레임 3의 데이터 프레임 개수는 2로 설정된다. AP는 STA 3에게 RTS 프레임 3에 대한 응답으로 CTS 프레임 3을 전송한다(S760). AP에 현재 남아있는 CTS 프레임 3의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Available PHY Interface)의 수는 2개이다. AP는 STA 3에게 2개의 PHY Interface를 모두 할당한다. 즉 CTS 프레임 3에 포함되어 전달되는 무선자원 할당 정보에 따른 할당 물리 인터페이스(Number of Allocating PHY Interface)의 수는 2이다. 이에 따라,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의 수(Number of Available PHY Interface)의 값은 0이 된다.
이어서, VHT AP STA 은 SDMA 정보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위해 각각의 VHT non-AP STA 들에게 할당한 물리 인터페이스,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 정보를 다시 한번 전달할 수 있다(S770). SDMA 정보 프레임의 전송은, 시스템의 성능 또는 무선자원의 이용 현황(utilization)을 최적화 하기 위한 선택적인 사항(optional feature)이다.
여기서 CTS 프레임 3이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됨에 따라 STA 4 역시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Number of Available PHY Interface)의 값이 0으로 설정된 CTS 프레임 3을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STA 4는 전송을 희망하는 데이터 스트림이 있음에도, RTS 프레임을 전송하는 대신에, NAV를 재설정한다(S790).
도 8은 도 4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전송되는 SDMA 정보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SDMA 정보는 SDMA 정보 프레임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SDMA 정보 프레임은 소스 스테이션 어드레스 필드(810),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필드(820), 채널 대역폭 필드(830), SDMA TXOP 지속시간 필드(840) 데이터 트래픽 유형 필드(8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스테이션 어드레스 필드(810)는 SDMA 정보 프레임을 수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게 될 스테이션의 MAC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그리고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필드(820)는 스테이션이 AP로 동시에 상향링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낸다. 즉 전송 인터페이스(TX interface)들의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스테이션은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필드를 통해 AP로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위해 사용할 무선자원, 즉 PHY interface 의 개수를 알 수 있다. 채널 대역폭 필드(830)는 AP로 데이터 스트림을 상향링크 전송하는 데에 사용할 채널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DMA TXOP 지속시간 필드(840)는 상향 링크 전송기회의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데이터 트래픽 유형 필드(850)는 상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의 트래픽 유형 혹은 TID(Traffic Identification) 값을 포함한다. 만약 데이터 트래픽 유형 필드가 AC_VO(Action Category_Voice)를 나타내는 경우, 스테이션은 트래픽 유형이 AC_VO 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상향링크 전송을 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 방법이 수행되는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스테이션들이 도 9에 도시된 단말의 일 예일 수 있다.
단말은 프로세서(processor)(910)와 RF (radio frequency) 부(unit)(920)을 포함한다. 메모리(93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93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무선통신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으며,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9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다른 스테이션 또는 AP로 전송할 데이터나 제어 신호, 특히 RTS 프레임이나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한다. 전송할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나 할당받고자 하는 무선자원의 양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를 RTS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에 해당한다.
RF 부(92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10)에서 생성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다른 무선통신 장치가 보낸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RF 부(920)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송 방식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 방법과 그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은 다중 안테나를 지원한다고 가정한다. RF 부(920)는 여러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각 스테이션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RF 부(920)는 AP로부터 CTS 프레임이나 SDMA 정보 등을 수신한다.
RF 부(920)를 통해 AP로부터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프로세서가 이에 상응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제어하거나, NAV를 재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방법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 또는 도 3에 도시된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VHT 무선랜 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항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SDMA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RTS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CTS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 및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 방법이 수행되는 단말을 나타낸 도면.

Claims (12)

  1.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DMA 정보에 따라 하항링크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들에 상응하는 채널들에 대한 채널 평가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평가 결과에 따라 각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DMA 정보는 전송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DMA 정보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채널 대역폭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4.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 과정에서, AP(Access Point)로 상향링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와 상기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중 적은 값에 따른 무선자원을 할당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는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되는 CTS(Clear to Send)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AP가 더 할당할 수 있는 남아있는(available)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남아있는 물리 인터페이스(PHY interface)의 개수가 0으로 설정된 상기 R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전송 기회의 지속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DMA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기회의 지속시간이 만료된 경우, NAV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자원 할당 방법.
  12. 무선랜 시스템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RF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RF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가 생성한 상향링크 전송할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를 상기 AP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정보를 전송하고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할당받은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
KR1020090074818A 2009-03-16 2009-08-13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101591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56,871 US20120002634A1 (en) 2009-03-16 2009-09-23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PCT/KR2009/005423 WO2010107165A1 (en) 2009-03-16 2009-09-23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JP2012500704A JP5679539B2 (ja) 2009-03-16 2009-09-23 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
CA2760393A CA2760393A1 (en) 2009-03-16 2009-09-23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EP09841949.2A EP2409537A4 (en) 2009-03-16 2009-09-23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CN200980159283.1A CN102422690B (zh) 2009-03-16 2009-09-23 分配无线电资源的方法
RU2011141758/07A RU2489811C2 (ru) 2009-03-16 2009-09-23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35109P 2009-03-16 2009-03-16
US61/160,351 2009-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08A true KR20100105308A (ko) 2010-09-29
KR101591093B1 KR101591093B1 (ko) 2016-02-19

Family

ID=4300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818A KR101591093B1 (ko) 2009-03-16 2009-08-13 무선자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02634A1 (ko)
EP (1) EP2409537A4 (ko)
JP (1) JP5679539B2 (ko)
KR (1) KR101591093B1 (ko)
CN (1) CN102422690B (ko)
CA (1) CA2760393A1 (ko)
RU (1) RU2489811C2 (ko)
WO (1) WO201010716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600A (ko)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쟁 기반 하향링크 신호 전송 스케줄링 방법
KR20120033601A (ko)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선순위를 고려한 경쟁 기반으로 스케줄링 방법
WO2012169751A2 (ko) * 2011-06-08 2012-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다중 물리계층을 이용한 프레임 전송방법 및 장치
WO2013058512A1 (ko) * 2011-10-17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225176B2 (en) 2011-02-15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variable power transmission
KR20180113561A (ko) * 2016-02-15 2018-10-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768A2 (en) * 2009-05-22 2010-1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8665767B2 (en) * 2009-08-25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user communication in a client initiated communication transmission scheme
US10383141B2 (en) * 2009-09-23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DMA transmit opportunity scheduling
US20150049727A1 (en) * 2009-09-23 2015-02-1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dma transmit opportunity scheduling
WO2011053026A2 (ko) * 2009-10-28 2011-05-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빙 방법
US8434336B2 (en) * 2009-11-14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lient initiated transmissions in multiple-user communication schemes
KR101948082B1 (ko) * 2009-11-24 2019-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호 방법
JP5645953B2 (ja) 2009-11-24 2014-12-24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マルチユーザベースの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失敗フレームの修復方法
US8730993B2 (en) * 2010-07-12 2014-05-20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MU MIMO scheduling
WO2012043930A1 (en) * 2010-09-30 2012-04-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ention-based scheduling of downlink signal transmissions
US20120113971A1 (en) * 2010-11-08 2012-05-10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wlan discovery and association
ES2736898T3 (es) 2011-01-03 2020-01-08 Aegis 11 S A Procedimiento de sondeo de canales en un sistema de red de área local inalámbrica y aparato para ello
KR101760333B1 (ko) * 2011-03-02 2017-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전송에서 그룹 아이디 관리를 위한 타겟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KR101866975B1 (ko) * 2011-03-03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채널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들의 통신 방법
CN104488347B (zh) * 2012-06-18 2018-11-06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lan系统中控制信道接入的方法和设备
US9467379B2 (en) 2013-08-28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user uplink
WO2015064943A1 (en) * 2013-10-29 2015-05-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and device using the same
US9236919B2 (en) * 2013-12-11 2016-01-12 Realtek Semiconductor Corporatio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5517118A (zh) * 2014-09-24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下行多用户数据传输方法、系统及接入点
WO2016201624A1 (zh) * 2015-06-16 2016-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lan块应答建立的方法、ac和ap
GB2559884B (en) 2015-07-10 2020-01-29 Canon Kk Trigger frames adapted to packet-based policies in an 802.11 network
EP3675589B1 (en) * 2015-11-02 2021-10-2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n access point and device for a terminal
CN110278060A (zh) 2018-03-14 2019-09-2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0966216B2 (en) * 2019-08-29 2021-03-30 Cisco Technology, Inc.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for media streams over wireless
CN113904700B (zh) * 2020-07-07 2023-02-07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Wi-Fi多链路设备及其采用的无线通信方法
US11658768B2 (en) 2020-07-07 2023-05-23 Mediatek Inc. Wireless fidelity multi-link device with dynamic operation mode switch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522A (ja) * 2006-01-31 2007-08-16 Toshiba Corp 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2024B2 (en) * 2001-05-16 2003-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ownlink resources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AU2003217370A1 (en) * 2002-02-08 2003-09-02 Bermai, Inc. Medium access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WO2004093416A1 (en) * 2003-04-07 2004-10-28 Yoram Ofek Multi-sector antenna apparatus
US20050165946A1 (en) * 2003-12-22 2005-07-28 Intel Corporation Bi-directional wireless LAN channel access
KR20050064267A (ko) * 2003-12-23 200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RU2339186C1 (ru) * 2004-11-04 2008-11-20 Моторола,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нальной обратной связи
WO2006109786A1 (ja) * 2005-04-1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705496B2 (en) * 2006-01-19 2014-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edicated pilots according to MCS lev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8001421A1 (fr) * 2006-06-26 2008-01-03 Panasonic Corporation Procédé de mesure de la qualité de réception
US7852826B2 (en) * 2006-09-29 2010-12-1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mmunication MAP information elements in a wireless network
US9942883B2 (en) * 2006-11-13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of wireless network where both wide-band and narrow-band signals are transmitte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network
US20080316955A1 (en) * 2007-06-19 2008-12-25 Xiaoming Yu Method and Apparatus for SDMA in a Wireless Network
PL2198664T3 (pl) 2007-08-31 2013-03-29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Wzmocniona transmisja wielodostępn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522A (ja) * 2006-01-31 2007-08-16 Toshiba Corp 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600A (ko)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쟁 기반 하향링크 신호 전송 스케줄링 방법
KR20120033601A (ko) * 2010-09-30 2012-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우선순위를 고려한 경쟁 기반으로 스케줄링 방법
US9787105B2 (en) 2011-02-15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variable power transmission
US9225176B2 (en) 2011-02-15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variable power transmission
WO2012169751A3 (ko) * 2011-06-08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다중 물리계층을 이용한 프레임 전송방법 및 장치
US9414413B2 (en) 2011-06-08 2016-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frame using a multiple physical layer in a wireless LAN system
WO2012169751A2 (ko) * 2011-06-08 2012-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다중 물리계층을 이용한 프레임 전송방법 및 장치
WO2013058512A1 (ko) * 2011-10-17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5059A (ko) * 2011-10-17 2014-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306785B2 (en) 2011-10-17 2016-04-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apratus for transmitting a frame in a wireless LAN system
KR20180113561A (ko) * 2016-02-15 2018-10-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US11116003B2 (en) 2016-02-15 2021-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ccess point, and station for improving bandwidth utilization
US11683832B2 (en) 2016-02-15 2023-06-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ccess point, and station for bandwidth uti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02634A1 (en) 2012-01-05
KR101591093B1 (ko) 2016-02-19
EP2409537A1 (en) 2012-01-25
WO2010107165A1 (en) 2010-09-23
CN102422690B (zh) 2015-02-18
JP2012521137A (ja) 2012-09-10
CA2760393A1 (en) 2010-09-23
CN102422690A (zh) 2012-04-18
JP5679539B2 (ja) 2015-03-04
RU2489811C2 (ru) 2013-08-10
EP2409537A4 (en) 2016-10-19
RU2011141758A (ru) 201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093B1 (ko) 무선자원 할당 방법
US10206070B2 (en)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AN, and channel estimation for the same
US118387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buffer status
US20110255401A1 (en) Procedure for basic service set (bss) load management in wlan system
US1180051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12507945A (ja) 動的帯域幅管理方法及び装置
US2023024759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for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
US1152339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use network allocation vector
WO2015081718A1 (zh) 无线网络的通信处理方法及装置
KR20220121924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