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999A -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999A
KR20120128999A KR1020110046989A KR20110046989A KR20120128999A KR 20120128999 A KR20120128999 A KR 20120128999A KR 1020110046989 A KR1020110046989 A KR 1020110046989A KR 20110046989 A KR20110046989 A KR 20110046989A KR 20120128999 A KR20120128999 A KR 20120128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iosk
smartphone
received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우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이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우 filed Critical 이연우
Priority to KR102011004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999A/ko
Publication of KR20120128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정보를 저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스마트폰의 위치 및 고유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브로드캐스팅 하는, 정보 제공 서버; 상기 브로드캐스팅 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파악해서 해당 스마트폰으로 접속 여부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파악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여부 메시지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응답 메시지를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전송하며,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반응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VING SYSTEM AND METHOD BETWEEN SMART PHONE AND KIOSK}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마트폰 이용자가 직접 개인정보 및 인증정보를 키오스크에 입력하지 않고서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키오스크(KIOSK)는 공공기관 또는 특정한 공공정사의 옥내 외에 설치되어 모니터 상에 나타나는 스틸과 텍스트, 그래픽,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이용자가 얻고자 하는 각종 광고정보, 생활안내정보 등을 간단한 버튼조작 또는 스크린 터치 등에 의하여 제공하는 종합 정보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키오스크는, Rawn Shah가 그의 보고서 Web을 이용한 Information KIOSK system에 대한 제안에서 "Information KIOSK는 이용자에게 지역 정보나 지역 집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키오스크는 컴퓨터나 정보시스템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대다수의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키오스크를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정보는 무궁무진하므로, 키오스크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는, 안내 데스크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길거리에서 해당 위치의 볼거리와 즐길 거리 등을 제공하기도 하고, 프린터, 리더기 등을 부가 장치를 부착하여, 무인으로 교통카드를 충전하거나, 증명서를 발급해주는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아도 컴퓨터에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스마트폰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이용자는 이동상태에서도 인터넷에 항상 연결될 수 있는 환경에 놓여져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마트폰은 유비쿼터스 시대에서의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사물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키오스크도 인터넷에 연결된 PC 즉 또 하나의 사물로 볼 수 있는데, 미래의 시대인 유비쿼터스 시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키오스크는 서로 연결되는 상황이 더 이상 낯설게 느껴지면 안될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간에는, 스마트폰에서 키오스크로 정보가 직접 전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오스크에서 스마트폰에 정보가 전송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이용자가 키오스크에 개인정보, 예를 들어 스마트폰 전화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을 직접 입력하고 이를 인증하기 위해서 키오스크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이에 스마트폰 이용자가 스마트폰에 수신된 인증번호를 다시 키오스크에 입력하고, 키오스크는 입력된 인증번호와 스마트폰에 전송한 인증번호의 일치 여부로서 스마트폰 이용자가 키오스크를 통해서 정보획득에 대한 정당 권한 여부를 확인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스마트폰 이용자는, 키오스크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스마트폰 내로 획득하기 위해서, 키오스크에 개인정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과, 또한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된 인증번호를 다시 키오스크에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키오스크에 RFID 태그나 QR 코드를 부착하고 스마트폰에 구비된 태그 리더기를 통해 RFID 태그 내 키오스크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에 접속하거나, 카메라를 통하여 QR코드를 촬영 및 분석하여 얻어진 QR 코드 내 키오스크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에 접속함으로써, 스마트폰 이용자가 키오스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키오스크에 직접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없이 키오스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속 과정을 거쳐서 키오스크에는 다수의 스마트폰이 접속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 키오스크 화면에 소정의 터치가 발생한 경우 어느 스마트폰 이용자에 의해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파악할 수 없었다.
스마트폰에서 키오스크로 정보가 직접 전송되며, 키오스크에서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스마트폰 이용자의 키오스크로의 개인정보 입력과 인증번호에 대한 키오스크로의 입력과정 없이,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에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된다.
또한 키오스크에 다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키오스크의 화면에 소정의 터치가 발생한 경우 어느 스마트폰 이용자에 의해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은,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정보를 저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스마트폰의 위치 및 고유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브로드캐스팅 하는, 정보 제공 서버; 상기 브로드캐스팅 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파악해서 해당 스마트폰으로 접속 여부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파악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여부 메시지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응답 메시지를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전송하며,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반응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파악기술은, GPS 기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은, 상기 화면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구비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자신의 위치 변화가 감지된 경우,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수신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수신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수신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제공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제공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제공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스마트폰의 키오스크와의 정보 송수신 방법은,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파악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된 접속 여부 메시지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응답 메시지를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반응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화면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스마트폰의 위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가 수신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키오스크의 스마트폰과의 정보 송수신 방법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접속 여부 메시지를 전송해서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의 입력 여부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수신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수신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수신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의 입력 여부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제공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제공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제공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자신의 위치 및 고유정보를 파악해서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하고 정보 제공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 및 고유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브로드캐스팅 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파악해서 해당 스마트폰으로 접속 여부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함으로써, 키오스크에서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스마트폰 이용자의 키오스크로의 개인정보 입력과 인증번호에 대한 키오스크로의 입력과정 없이,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에 정보가 송수신 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에 다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키오스크의 화면에 소정의 터치가 발생한 경우 어느 스마트폰 이용자에 의해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키오스크와의 정보 송수신 방법에 대한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스마트폰과의 정보 송수신 방법에 대한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정보 제공 서버(1),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2)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3)을 포함한다.
정보 제공 서버(1)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정보를 저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3)으로부터 수신된 스마트폰의 위치 및 고유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2)로 브로드캐스팅 한다.
키오스크(2)는, 정보 제공 서버(1)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파악해서 해당 스마트폰으로 접속 여부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한다. 키오스크(2)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키오스크(2)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한다.
이때, 키오스크(2)는,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수신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수신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수신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2)는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제공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제공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제공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3)은,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파악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에 제공한다. 이때, 위치파악기술은, GPS 기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일 수 있다.
이 SSID는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각 헤더에 덧붙여지는 32 바이트 길이의 고유 식별자로서, 무선 장치들이 BSS(basic service set)에 접속할 때 마치 암호처럼 사용된다. SSID는 하나의 무선 랜을 다른 무선 랜으로부터 구분해 주므로, 특정 무선 랜에 접속하려는 모든 액세스 포인트(AP)나 무선 장치들은 반드시 동일한 SSID를 사용해야만 한다. 특정 BSS의 고유한 SSID를 알지 못하는 그 어떠한 장치도 그 BSS에 접속할 수 없다.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에 대해서 살펴보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WiFi, 블루투스 관련 표준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WAP는 일반적으로 유선망을 거치는 라우터에 연결되며 컴퓨터, 프린터와 같은 무선 장치와 네트워크상의 유선 장치 간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다시 스마트폰(3)은,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된 접속 여부 메시지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응답 메시지를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접속한다. 이후 스마트폰(3)은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반응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폰은, 화면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구비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자신의 위치 변화가 감지된 경우,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며,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 각종 센서와 고도계, 자이로 등의 기능이 하나의 칩에 들어가 있는 복합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나침반, 만보기, 내비게이션 기능은 물론, 화재나 노약자 등 인명 사고 시 위치 추적이나, 휴대폰의 움직임대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3차원 입체 게임 기능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고유정보는, 스마트폰 전화번호, 스마트폰에 저장된 스마트폰 이용자의 아이디(ID), 스마트폰 이용자의 메일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키오스크와의 정보 송수신 방법에 대한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파악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한다(S1). 이때 GPS 기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이용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일 수 있다.
스마트폰은,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된 접속 여부 메시지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응답 메시지를 발생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접속한다(S2).
스마트폰은,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반응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한다(S3). 이때,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은, 스마트폰에 구비된 화면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스마트폰에 구비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스마트폰의 위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스마트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가 수신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스마트폰과의 정보 송수신 방법에 대한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는,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파악한다(S10).
키오스크는, 파악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으로 접속 여부 메시지를 전송해서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한다(S11).
키오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한다(S12). 이때,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의 입력 여부는,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수신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수신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수신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의 입력 여부는,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제공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제공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제공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정보를 저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스마트폰의 위치 및 고유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브로드캐스팅 하는, 정보 제공 서버;
    상기 브로드캐스팅 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파악해서 해당 스마트폰으로 접속 여부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파악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된 접속 여부 메시지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응답 메시지를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전송하며,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반응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기술은,
    GPS 기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인,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은,
    상기 화면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구비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자신의 위치 변화가 감지된 경우,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수신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수신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수신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제공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제공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제공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6.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파악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수신된 접속 여부 메시지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접속 응답 메시지를 발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반응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해당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스마트폰의 키오스크와의 정보 송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기술은,
    GPS 기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이용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인, 스마트폰의 키오스크와의 정보 송수신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로부터 각각 수신된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대한 반응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화면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스마트폰의 위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가 수신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폰의 키오스크와의 정보 송수신 방법.
  9.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접속 여부 메시지를 전송해서 접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상기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오스크의 스마트폰과의 정보 송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의 입력 여부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수신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수신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수신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판단되는, 키오스크의 스마트폰과의 정보 송수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의 입력 여부는,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중 소정의 정보 제공 버튼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에 연결된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 제공 이벤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정보 제공을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판단되는, 키오스크의 스마트폰과의 정보 송수신 방법.
KR1020110046989A 2011-05-18 2011-05-18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8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989A KR20120128999A (ko) 2011-05-18 2011-05-18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989A KR20120128999A (ko) 2011-05-18 2011-05-18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999A true KR20120128999A (ko) 2012-11-28

Family

ID=4751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989A KR20120128999A (ko) 2011-05-18 2011-05-18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9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09952B (zh) 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237991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head wearable devices
JP5846565B1 (ja) 駐車管理装置および駐車場システム
EP2391109A1 (en) Visual pairing and data exchange between devices using barcodes for data exchange with mobile navigation systems
US9215311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N111182610A (zh) 电子装置和用于由电子装置操作接入点信息的方法
KR20130033485A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들간에 관계를 설정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 설정 방법
JP5589505B2 (ja) 移動配信端末装置、参加者端末装置、特定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参加者端末プログラム
EP4096256A1 (en) Method for invoking nfc applications, electronic device, and nfc apparatus
KR102407228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58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icket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150021391A (ko) 교통카드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노선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994841B1 (ko) 위치기반 복지 포인트 가맹점에 대한 정보 제공과 복지 포인트 결제를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16048301A (ja) 電子機器
KR20120064437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KR20120128899A (ko)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587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KR101516998B1 (ko) 모바일 기기간 위치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JP466356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携帯電話
US201501633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06371B1 (ko) 라이프로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KR20120128999A (ko)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521515B1 (ko)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
JP6026703B2 (ja) ルータアクセス制御方法、装置、ル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70039463A (ko) 사용자 장치,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