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515B1 -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515B1
KR101521515B1 KR1020140147731A KR20140147731A KR101521515B1 KR 101521515 B1 KR101521515 B1 KR 101521515B1 KR 1020140147731 A KR1020140147731 A KR 1020140147731A KR 20140147731 A KR20140147731 A KR 20140147731A KR 101521515 B1 KR101521515 B1 KR 10152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data
terminal
user
dedicate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김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희 filed Critical 김주희
Priority to KR102014014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위치확인장치(B)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13)이 구비되고 내부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15)가 구비된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B)의 정보 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데이터의 송수신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서버(100)와, 상기 전용서버(100)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내용을 표시하는 상대단말기(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장소로 진입하면 위치확인장치(B)와 사용자단말기(UT) 사이의 무선통신에 의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기(UT)와 전용서버(100)가 자동으로 연동되므로, 사용자는 통신연결을 위한 별도의 행동이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교환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between multimedia devices}
본 발명은 데이터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의 멀티미디어 장치 사이에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술발전과 함께 멀티미디어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중에는 텍스트, 사진, 소리 또는 영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내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외부의 서버에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불러와 단말기 내부에 저장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멀티미디어 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이 보다 즉각적이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모든 멀티미디어장치와 사물을 연동하는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과 관련된 기술도 사용되고 있는데, 사물인터넷이란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을 위해서는 여전히 장치 사이가 유/무선으로 직접 연결되어야 하거나, 연결을 위해 특별한 동작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무선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이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기 위하여 장치들을 물리적으로 접촉시키거나, QR코드와 같은 특수한 식별코드를 인식하도록 멀티미디어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다수의 멀티미디어 장치 사이가 연결된 후에도, 기존에는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서 멀티미디어 장치의 버튼을 누르거나 화면을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였다.
KR 10-2014-0015737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진입하면 다른 멀티미디어 장치와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장치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인 조작을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위치확인장치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고 내부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가 구비된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 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서버와, 상기 전용서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내용을 표시하는 상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확인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기술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전용서버는 내부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식별한다.
상기 전용서버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제공부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정보 및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는 센서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는 상기 전용서버에 전달되며, 상기 전용서버는 전달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상기 센서모듈은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를 측정한다.
상기 전용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가 저장가능하고,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는 상기 특정장소에 유입된 제1사용자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특정장소에는 소리인식센서 또는 동작인식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렉션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인터렉션수단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소리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인터렉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소리 또는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위치확인장치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고 내부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가 구비된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기능을 수행하는 상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대단말기에는 상기 상대단말기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내용이 표시된다.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는 센서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는 상기 상대단말기에 전달되며, 상기 상대단말기는 전달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상기 센서모듈은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정장소에 구비된 위치확인장치와 제1사용자단말기의 무선통신모듈 사이의 신호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 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용서버에 전달되는 위치정보전달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센서모듈, 특정장소에 구비된 인터렉션수단 또는 특정장소에 구비된 상대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제1사용자단말기의 움직임,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소리 또는 상대단말기의 조작신호가 인식되는 작동신호검출단계와,
상기 작동신호검출단계를 통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움직임,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소리 또는 상대단말기의 조작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전용서버는 전달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움직임,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소리 또는 상대단말기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데이터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확인장치 및 제1사용자단말기의 무선통신모듈 사이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통신기술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움직임은 제1사용자단말기의 회전, 가속 또는 정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신호검출단계에 앞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이 미설치 상태인 경우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프로그램설치안내단계가 추가된다.
상기 작동신호검출단계에 앞서, 상기 위치확인장치에 의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이동여부가 식별되는 이동감지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이동여부감지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특정장소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고 있는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프로그램설치안내단계 또는 작동신호검출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와 동시에,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에서 상기 전용서버에 의해 제어된 데이터의 내용을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단계가 더 추가된다.
상기 센서모듈은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가 측정된다.
상기 상대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 터치인식이 가능한 테이블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상대단말기는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방식의 터치인식 방식 테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상대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적외선카메라가 설치되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 및 사용자가 상기 상대단말기를 터치하는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에 앞서,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전용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판단하는 사전분석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사전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정보가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송신되거나 상대단말기를 통해 재생된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상대단말기에 놓여지는 상대방향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는 상기 전용서버에 전달되어 사용자단말기를 식별하며,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대단말기 사이의 상대동작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전용서버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상기 통신단계에 앞서,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용서버에 예비데이터가 전송되는 예비데이터전송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에서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달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용서버에 전송된 예비데이터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장소로 진입하면 위치확인장치와 사용자단말기 사이의 무선통신에 의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기와 전용서버가 자동으로 연동되므로, 사용자는 통신연결을 위한 별도의 행동이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교환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용서버는 사용자단말기가 접속된 특정 장소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사용자단말기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상대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능동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특히 전용서버는 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별된 양질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이나 사용자의 동작/음성 등을 센서가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용서버와 사용자단말기가 자동으로 교환하거나 상대단말기에 정보를 표시하게 되므로, 보다 직관적인 정보교환 또는 정보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이동경로를 표시한 구조도.
도 4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의 다른 실시례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사용자단말기와 전용서버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와 상대단말기인 터치인식 방식 테이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대단말기의 일례인 터치인식 방식 테이블을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와 상대단말기인 미디어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와 상대단말기인 미디어월 및 터치인식방식 테이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와 상대단말기인 미디어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제1사용자단말기 및 제2사용자단말기와 상대단말기인 미디어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용어의 설명)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을 설명하기 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위치확인장치(B)는 위치확인센서로서, 사용자단말기(UT)와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UT)의 정확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GPS모듈, WIFI모듈, NFC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이 '위치 등을 알리기 위해 일정한 신호를 전송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블루투스 모듈 중에서는 자신의 신호 도달 거리 내로 스마트폰을 가진 사람이 들어 오면 특정 ID 값을 내보내는 비콘(Beacon) 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UT)는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기능이 있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사용자단말기(UT)에는 스마트폰, PDA, 컴퓨터를 비롯하여, 스마트 시계,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포함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기(UT)를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제1사용자단말기(UT1), 제2사용자단말기(UT2)와 같이 구별한다.
·상대단말기(ST)는 (i) 다른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기능 있는 단말기이거나, (ii) 특정 장소에 고정설치된 통신기능이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일 수 있다. 즉, 스마트TV, 미디어월, 키오스크, 각종 전자패널, 전자칠판, 홀로그램, 프로젝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미디어(미디어 파사드, Media Facade), 터치인식이 가능한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대단말기(ST)가 다른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가 아니라 특정 장소에 고정된 형태의 단말기일 경우에는 서비스단말기로 칭한다.
·전용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UT) 및 상대단말기(ST)와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저장공간(데이터베이스(120))가 구비된 것으로, 상대단말기(ST)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데이터(정보)는 텍스트, 사진, 영상정보, 음성정보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의미하며, 사용자단말기(UT), 상대단말기(ST) 및 전용서버(100)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 뿐 아니라, 즉각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에는 위치확인장치(B)가 포함된다. 상기 위치확인장치(B)는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함으로써, 특정장소에 진입한 사용자단말기(UT)에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위치확인장치(B)는 비콘모듈로 구성되어, 사용자단말기(UT)가 저전력을 소모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확인장치(B)는 건물 내/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건물 내/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단말기(UT)의 위치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우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위치확인장치(B)의 위치정보는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통해 전용서버(100)로 전송되고, 전용서버(100)는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다시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전송하여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13)이 구비되고 내부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15)가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11)와, 상기 프로세서(11)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확인장치(B) 및 전용서버(100)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13)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3)에는 무선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칩, 블루투스칩, NFC칩 등 다양한 무선통신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에는 메모리(15)가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15)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 내부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1)에는 센서모듈(19)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모듈(19)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센서모듈(19)은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물리적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19)에 의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회전상태, 가속상태, 상면이 위로 향하거나 또는 배면이 위로 향한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하여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센서모듈(19)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물리적 상태는 상기 전용서버(100)에 전달되며, 전용서버(100)는 전달된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ST)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프로세서(11)에는 입출력장치(17)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입출력장치(17)는 터치디스플레이나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에는 전용서버(100)가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전용서버(1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UT)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B)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UT)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단말기(UT)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UT)와 데이터의 송수신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용서버(100)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대단말기(ST)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용서버(100)에는 시스템서버부(110)와 데이터베이스(120)가 포함된다. 상기 시스템서버부(110)는 상기 위치확인장치(B) 및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해 전달된 위치확인장치(B)의 ID를 비교하여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접속기록, 이동기록, 서비스제공기록 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와 시스템서버부(110)는 구분없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용서버(100)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제공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앱제공부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앱제공부는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을 직접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설치를 위한 장소로 안내하기 위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용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제2사용자단말기(UT2)로부터 전달된 데이터가 저장가능하다. 즉,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와는 별개물인 제2사용자단말기(UT2)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전용서버(100)는 그 데이터를 상기 특정장소에 유입된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확인장치(B)에 인접한 위치에 상대단말기(ST)가 구비된다. 상기 상대단말기(ST)는 전용서버(100)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확인장치(B)가 설치된 특정장소에는 소리인식센서 또는 동작인식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렉션수단(200)이 설치된다.(도 9b 참조) 상기 인터렉션수단(200)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소지한 사용자의 소리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전용서버(100)는 상기 인터렉션수단(200)으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소리 또는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ST)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소지한 상태로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 장소에 설치된 위치확인장치(B)에 의해 그 위치가 감지된다(S100). 보다 정확하게는 도 3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제1룸(R1)에서 출발하여 제3룸(R3), 제4룸(R4)을 거쳐 제6룸(R6)에 도착한 경우에, 제6룸(R6)의 위치확인장치(B6)와 제1사용자단말기(UT1)가 비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제1사용자단말기(UT1)에는 위치확인장치(B6)의 정보가 수신된다.
이때, 상기 위치확인장치(B6)로부터 전달된 정보에는 위치정보 뿐 아니라, 위치정보를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전용서버(100)에 전송하도록 하는 정보도 포함할 수 있으며, 만약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그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설치를 유도할 수도 있다.(S110, S120)
그리고,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130), 제1사용자단말기(UT1)는 전용서버(100)와 무선통신모듈(13)을 통해 연결되어 인식되고(S140), 상기 위치정보와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가 전용서버(100)에 전달된다.(S150) 여기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는 제1사용자단말기(UT1)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SNS에 저장된 정보, 성별, 연령, 스케쥴, 이메일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가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 상기 위치확인장치(B)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비콘에 의한 연결 상태가 끊어지게 되고, 전용서버(100)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정보교환 역시 더 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S160)
즉,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위치확인장치(B) 사이의 연결이 계속 유지된다면, 전용서버(100)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연결 역시 유지되고,(S160) 전용서버(100)는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여(S170)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상대단말기(ST)인 서비스단말기의 연동이 이루어지게 한다.(S180) 여기서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특정 움직임이란 앞서 설명한 상기 센서모듈(19)에 의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회전상태, 가속상태, 상면이 위로 향하거나 또는 배면이 위로 향한 상태 등을 의미한다. 물론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상대단말기(ST) 사이의 연동이란 실질적으로는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전용서버(100) 사이의 연동을 의미하며, 상기 전용서버(100)는 상기 전용서버(100)에 의해 제어된 데이터의 내용을 상기 상대단말기(ST)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상대단말기(ST)가 서로 연동되는 것과 같이 직관적으로 인지하게 된다.(S185) 구체적인 실시례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앞서 설명한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이동이 감지되는지 여부는 위치확인장치(B)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가 연결된 후에 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사용자단말기(UT1)가 특정 장소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에만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유무를 판단하고, 이하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도 6에는 사용자단말기(UT)와 전용서버(100)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특정 위치인 액세스 포인트에 제1사용자단말기(UT1)가 위치하게 되면, 위치확인장치(B)로부터 위치신호가 송신되고,(S100) 이를 수신한 제1사용자단말기(UT1)는 수신한 위치신호와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를 함께 전용서버(100)에 전달한다.(S101)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전용서버(100)는 그 설치를 유도하고,(S120) 제1사용자단말기(UT1)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다시 그 데이터를 전용서버(100)에 전송한다.(S150)
이를 전달받은 전용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20)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데이터를 상대단말기(ST)인 서비스단말기(ST)에 표시하도록 지시한다.(S155) 이에 따라 상기 상대단말기(ST)의 디스플레이부(STD)에는 전용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단말기(UT)의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수준의 정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단말기(ST)의 디스플레이부(STD)에 표시되는 정보는 전용서버(100)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제1사용자단말기(UT1)가 위치한 장소의 정보, 즉 위치정보, 교통정보, 관광정보 등 위치와 관련된 정보이거나, 회사 건물 내부의 특정 장소라면 해당 장소에 근무하는 사람의 정보, 명함, 브로셔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전용서버(100)는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데이터의 교환 여부 의사를 확인하고,(S158)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통해 교환신호가 발신되면,(S170) 전용서버(100)의 데이터가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송신되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메모리(15)에 저장된다.(S180) 이와 동시에 상기 상대단말기(ST)에는 데이터 교환 결과가 표시된다.(S185)
여기서 전용서버(100)의 데이터 교환 여부 의사 확인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특정 상태로부터 교환 여부 의사를 미리 감지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가 뒤집혀 있는 상태라면 데이터의 교환을 거부하고 있다고 감지하고,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전면이 상부를 향한 상태라면 데이터의 교환을 허용한다고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전 의사 확인은 사용자가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사전에 다양한 방식으로 미리 설정해놓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통해 교환신호가 전용서버(100)로 발신되는 동작 역시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물리적 상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단말기(UT1)가 흔들리거나, 일정 이상의 가속도를 갖거나 또는 사용자가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센서를 통해 특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교환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사례1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UT)와 상대단말기(ST)인 터치인식 방식 테이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진입하면 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기(UT1)와 위치확인장치(B1~B3)가 서로 비콘 기술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도 7(a)에서 보듯이, 상기 위치확인장치(B1~B3)는 한 장소에 구획을 나누어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가 보다 세분화되어 감지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위치확인장치(B)가 상대단말기(ST)를 총 3개 부분으로 나누어 위치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상대단말기(ST2) 위의 디스플레이(STD)에 올려놓은 상태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가 상기 디스플레이(STD) 상의 좌측에 위치되면 상기 다수개의 위치확인장치(B1~B3) 중에서 가장 좌측의 제1확인장치(B1)에 의해 감지되고, 제1사용자단말기(UT1)는 제1확인장치(B1)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신호를 전용서버(10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전용서버(100)는 제1확인장치(B1)의 위치신호로부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상대단말기(ST2)에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를 전달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데이터 교환여부를 확인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는 그 상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므로 이 상태를 데이터 교환 수락상태로 인지하여, 데이터 교환여부의 확인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b)에는 전용서버(100)가 상기 상대단말기(ST2)의 디스플레이(STD)에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화하여 표시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명함, 브로셔, 발표자료, 그림파일, 동영상파일, 음악, 쿠폰, 메뉴 또는 문서파일 등 상대단말기(ST2)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되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기(UT1)으로부터 데이터 교환신호가 전용서버(100)로 발신되면, 상기 전용서버(100)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러한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교환신호 전송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센서모듈(19)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사용자단말기(UT1)를 회전시키거나 일정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교환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며, 또는 사용자가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마이크나 카메라를 통해 교환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상대단말기(ST2)의 조작을 통해 데이터의 교환신호가 전용서버(1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상대단말기(ST2)의 디스플레이(STD)를 터치하여 상기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 방향으로 끌어오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STD)에 표시된 정보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메모리(1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전용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으나, 사용자는 상대단말기(ST2)을 조작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전용서버(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도 7(c)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메모리(15)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전용서버(100)로 전송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8에는 상대단말기(ST2)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상대단말기(ST2)는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방식의 터치인식 방식 테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상대단말기(ST2)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적외선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 및 사용자가 상기 상대단말기(ST2)를 터치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2) 사례2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UT)와 상대단말기(ST)인 미디어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보듯이, 사용자가 상기 특정위치로 진입하면 위치확인장치(B1)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연동에 의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정보 및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가 전용서버(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용서버(100)는 전용서버(100)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상대단말기(ST1)의 디스플레이(STD1)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9(a)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STD1)에 표시된 정보의 수신을 원할 경우에는 그 신호를 전용서버(100)에 전달하면 되는데, 이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센서모듈(19), 특정장소에 구비된 인터렉션수단(200) 또는 특정장소에 구비된 상대단말기(ST1)의 조작을 통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움직임,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소리 또는 상대단말기(ST1)의 조작신호가 인식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신호 없이 디스플레이(STD1)에 표시된 전용서버(100)의 정보가 바로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전용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에 설치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전용서버(100)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으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관심대상인 정보를 상대단말기(ST1)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으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사진, 최근 검색기록, 쇼핑기록, 최근 이동경로 또는 사용자의 최근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이용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관심대상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인지한 사용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센서모듈(19), 특정장소에 구비된 인터렉션수단(200) 또는 특정장소에 구비된 상대단말기(ST1)의 조작을 통해 데이터의 수신의사를 전용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b)에는 인터렉션수단(200)인 키넥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수신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3) 사례3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UT1)와 상대단말기(ST)인 미디어월(ST2) 및 터치인식방식 테이블(ST1)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보듯이, 사용자가 상기 특정위치로 진입하면 위치확인장치(B2)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연동에 의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정보 및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가 전용서버(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용서버(100)는 전용서버(100)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제1상대단말기(ST1)의 디스플레이(STD1)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0(a)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정보는 제1상대단말기(ST1)의 디스플레이(STD1) 뿐 아니라, 제2상대단말기(ST2)의 디스플레이(STD2)에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도 10(b)에서 보듯이, 테이블 구조의 제1상대단말기(ST1)과 미디어월 구조의 제2상대단말기(ST2)에 각각 전용서버(100) 내부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상기 제1상대단말기(ST1) 및 제2상대단말기(ST2)에 모두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메모리(15)에 저장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특정공간에 구비된 모든 통신단말기가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수단을 구비한 음악플레이어나 전기조명 등과 같은 전자장비가 상기 전용서버(100)와 데이터 교환을 나눈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제어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센서모듈(19), 특정장소에 구비된 인터렉션수단(200) 또는 특정장소에 구비된 상대단말기(ST)의 조작을 통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움직임,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소리 또는 상대단말기(ST)의 조작신호가 인식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4) 사례4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UT1)와 상대단말기(ST1~ST4)인 미디어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보듯이, 사용자가 상기 특정위치로 진입하면 제1확인장치(B1)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연동에 의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정보 및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가 전용서버(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용서버(100)는 전용서버(100) 내부에 저장된 정보 또는 제1사용자단말기(UT1)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제1상대단말기(ST1)의 디스플레이(STD1)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1(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하면, 다른 위치의 제3확인장치(B3)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가 다시 연동되고, 상기 전용서버(100)는 상기 제3확인장치(B3)가 설치된 특정위치의 새로운 상대단말기(ST)인 제3상대단말기(ST3)의 디스플레이(STD3)에 전용서버(100)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1(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용서버(100)는 앞서 제1확인장치(B1)가 설치되어 있던 특정위치에서 획득한 정보와, 제3확인장치(B3)가 설치된 특정위치에서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분석할 수 있고,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제3상대단말기(ST3) 또는 사용자의 진행경로에 위치한 제4상대단말기(ST4)에 분석된 내용을 근거로 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서 여성복 매장을 따라 이동하였고, 이동을 멈춘 매장에 공통된 특징이 있다면, 해당 특징에 상응하는 쇼핑 안내 정보를 제4상대단말기(ST4)의 디스플레이(ST4)에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용서버(100)는 해당 데이터를 융합하여 제1사용자단말기(UT1)에 전송할 수도 있다.
(5) 사례5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제1사용자단말기(UT1) 및 제2사용자단말기(UT2)와 상대단말기(ST1,ST2)인 미디어월 사이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제1사용자(U1)가 제1사용자단말기(UT1)으로부터 전용서버(100)에 예비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서 보듯이, 제1사용자(U1)가 특정위치로 진입하여 제1확인장치(B1)와 제1사용자단말기(UT1) 사이의 연동에 의해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위치정보 및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를 전용서버(100)로 전달한다.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정보는 사전에 제1사용자단말기(UT1)의 메모리(15)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사용자(U1)는 상기 예비데이터를 공유할 다른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2사용자(U2)를 지정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사용자(U1)가 예비데이터를 저장한 특정위치에 제2사용자(U2)가 진입하면, 상기 전용서버(100)는 제1사용자(U1)가 지정한 제2사용자(U2)가 특정위치에 진입하였으므로 전용서버(100) 내부에 저장된 예비데이터를 제2사용자(U2)에게 전달한다. 전달방식은 상기 예비데이터를 상기 제2사용자(U2)의 제2사용자단말기(UT2)에 직접 전송하거나, 상기 상대단말기(ST1)의 디스플레이(STD1)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사용자(U1)가 예비데이터를 공유할 제2사용자(U2)를 특정하였으므로, 상기 제2사용자(U2)가 상기 제1사용자(U1)가 예비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였던 제1상대단말기(ST1)이 아니라, 다른 장소에 위치한 제2상대단말기(ST2)에 제2사용자(U2)가 진입하더라도 예비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B: 위치확인장치 ST: 상대단말기
UT: 사용자단말기 100: 전용서버

Claims (23)

  1.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위치확인장치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고 내부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가 구비된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전용서버와,
    상기 전용서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내용을 표시하는 상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용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가 저장가능하고,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기술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서버는 내부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서버에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앱제공부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정보 및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는 센서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는 상기 전용서버에 전달되며, 상기 전용서버는 전달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는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특정장소에 유입된 경우에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장소에는 소리인식센서 또는 동작인식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렉션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인터렉션수단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소리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인터렉션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소리 또는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9.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위치확인장치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고 내부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가 구비된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상대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대단말기에는 상기 상대단말기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내용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는 센서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는 상기 상대단말기에 전달되며, 상기 상대단말기는 전달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12. 특정장소에 구비된 위치확인장치와 제1사용자단말기의 무선통신모듈 사이의 신호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정보가 전용서버에 전달되는 위치정보전달단계와,
    상기 위치확인장치에 의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이동여부가 식별되는 이동감지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센서모듈, 특정장소에 구비된 인터렉션수단 또는 특정장소에 구비된 상대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제1사용자단말기의 움직임,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소리 또는 상대단말기의 조작신호가 인식되는 작동신호검출단계와,
    상기 작동신호검출단계를 통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움직임,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소리 또는 상대단말기의 조작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전용서버는 전달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움직임,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소리 또는 상대단말기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데이터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장치 및 제1사용자단말기의 무선통신모듈 사이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통신기술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움직임은 제1사용자단말기의 회전, 가속, 정지 또는 상면이 위로 향하거나 배면이 위로 향한 상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검출단계에 앞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이 미설치 상태인 경우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용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는 프로그램설치안내단계가 추가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특정장소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고 있는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프로그램설치안내단계 또는 작동신호검출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와 동시에,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에서 상기 전용서버에 의해 제어된 데이터의 내용을 상기 상대단말기를 통해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단계가 더 추가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전자 나침반,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물리적 상태가 측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 터치인식이 가능한 테이블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단말기는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방식의 터치인식 방식 테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상대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적외선카메라가 설치되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위치 및 사용자가 상기 상대단말기를 터치하는 위치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21. 제 12 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에 앞서,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전용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판단하는 사전분석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사전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정보가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송신되거나 상대단말기를 통해 재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상대단말기에 놓여지는 상대방향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는 상기 전용서버에 전달되어 사용자단말기를 식별하며, 상기 전용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대단말기 사이의 상대동작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전용서버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 또는 상대단말기를 통한 특정데이터의 재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 앞서,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용서버에 예비데이터가 전송되는 예비데이터전송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제어단계에서 상기 전용서버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달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용서버에 전송된 예비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방법.



KR1020140147731A 2014-10-28 2014-10-28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 KR10152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31A KR101521515B1 (ko) 2014-10-28 2014-10-28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31A KR101521515B1 (ko) 2014-10-28 2014-10-28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515B1 true KR101521515B1 (ko) 2015-05-19

Family

ID=5339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731A KR101521515B1 (ko) 2014-10-28 2014-10-28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5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9276A (zh) * 2017-12-26 2018-04-06 大连翼方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通讯系统
WO2021137482A1 (ko) * 2020-01-03 2021-07-08 (주)이스톰 근접 센싱을 이용한 단말 간 인증 및 정보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507A (ko) * 2008-02-04 2009-08-07 옴니벡스 코포레이션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KR20090116544A (ko) * 2008-05-07 2009-11-11 전자부품연구원 적외선 카메라 방식의 공간 터치 감지 장치, 방법 및스크린 장치
KR20110133166A (ko) * 2010-06-04 2011-12-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11928B1 (ko) * 2012-04-03 2014-07-04 모젼스랩(주) 모션인식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전시디바이스 간 동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507A (ko) * 2008-02-04 2009-08-07 옴니벡스 코포레이션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KR20090116544A (ko) * 2008-05-07 2009-11-11 전자부품연구원 적외선 카메라 방식의 공간 터치 감지 장치, 방법 및스크린 장치
KR20110133166A (ko) * 2010-06-04 2011-12-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11928B1 (ko) * 2012-04-03 2014-07-04 모젼스랩(주) 모션인식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전시디바이스 간 동기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9276A (zh) * 2017-12-26 2018-04-06 大连翼方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通讯系统
WO2021137482A1 (ko) * 2020-01-03 2021-07-08 (주)이스톰 근접 센싱을 이용한 단말 간 인증 및 정보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07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46210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790017B1 (ko) 제스처 기반의 통신 채널 운용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시스템
KR102447438B1 (ko) 알림 장치 및 알림 장치가 물건의 위치를 알려주는 방법
AU2013306539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18133178A1 (zh) 基于nfc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移动设备
KR101562081B1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들간에 관계를 설정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 설정 방법
CN105120430A (zh) 终端定位方法、装置及终端
KR20140055703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1633A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상황 인지에 따른 추천 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CN107667542A (zh) 使用伙伴设备的位置确定
EP26908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call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6806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EP4270971A1 (en) Image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70937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연동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137426A (zh) 利用服务器和用户终端的基于情境的信息提供系统及其方法
KR2016009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515B1 (ko) 멀티미디어 장치간 데이터 연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방법
KR20140118111A (ko)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US9412090B2 (e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163222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제어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N106484822A (zh) 地图修改方法和终端
KR1016853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4650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490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