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740A -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740A
KR20120128740A KR1020110046556A KR20110046556A KR20120128740A KR 20120128740 A KR20120128740 A KR 20120128740A KR 1020110046556 A KR1020110046556 A KR 1020110046556A KR 20110046556 A KR20110046556 A KR 20110046556A KR 20120128740 A KR20120128740 A KR 2012012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전만
이익희
김창수
최웅조
서철민
염정연
Original Assignee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740A/ko
Publication of KR2012012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영상통화를 위해 탑재되는 하나의 카메라를 배면을 향해서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후 이와 함께 본체의 배면부에 고정 탑재된 다른 카메라와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통화 기능은 물론이며 2D영상 및 3D영상촬영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부에 디스플레이패널이 마련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탑재되어 영상촬영은 물론이며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장치(200)를 갖춘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200)가 상기 본체(100) 후면의 상부 일측에 고정 탑재되어 2D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1카메라(21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카메라-수용홈(120) 내부에 상기 제1카메라(210)의 수평 광축과 동일하도록 마련된 회전축(230)을 통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100)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영상통화 시 활용할 수 있고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100)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카메라(210)와 연동하여 3D영상 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제2카메라(220)와; 상기 제2카메라(220)의 촬영 영역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카메라(220)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2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DEVICE FOR 3D-IMAGE PHOTOGRAPHING}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통화는 물론이며 3D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는『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는 본체 배면부에 영상 또는 사진촬영이 가능한 제1카메라가 탑재되어 있고, 디스플레이패널이 마련된 본체 전면부에 영상통화 또는 셀프 영상촬영을 목적으로 제2카메라가 별도로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고 있는데,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즉, 사용자가 영상통화 또는 셀프 영상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본체 전면부에 탑재된 제2카메라가 구동되고, 셀프영상 촬영이 아닌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본체 배면부에 탑재된 제1카메라가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조상 제1,제2카메라가 동시에 구동하면 프로세서에서 두 개의 영상데이터 처리가 곤란한 것은 물론이며, 상당한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영상을 3D로 디스플레이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3D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양안 카메라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양안 카메라 방식은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D영상을 제작하는 것으로, 두 대의 카메라 광축을 서로 평행하게 맞추면서 일정거리 유지되도록 수직, 수평배열하여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 촬영기능을 휴대가 용이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배면부에 영상촬영용 카메라 2대를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써, 상당한 제조비용이 요구된다. 즉,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에 3D촬영 기능과 함께 영상통화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패널이 마련된 본체의 전면부에 영상통화 및 셀프영상 촬영 용도로 하나의 카메라를 탑재하고, 본체의 배면부에 주변 영상을 3D로 촬영할 수 있는 두대의 카메라를 탑재해야 함으로써, 그 구성이 복잡한 것은 물론이며 제조비용 역시 상당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통화 또는 셀프영상 촬영을 위해 탑재되는 하나의 카메라를 전면 또는 배면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후 이와 함께 본체의 배면부에 고정 탑재된 다른 카메라와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통화 기능은 물론이며 2D영상 및 3D영상촬영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부에 디스플레이패널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영상촬영은 물론이며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장치를 갖춘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가: 상기 본체 후면의 상부 일측에 고정 탑재되어 2D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1카메라와; 상기 본체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카메라-수용홈 내부에 상기 제1카메라의 수평 광축과 동일하도록 마련된 회전축을 통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단독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카메라와 연동하여 3D영상 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제2카메라와;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카메라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상기 카메라-수용홈의 저부에 배치되며 탄성 지지력에 의해 선단부가 상기 카메라-수용홈의 저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톱퍼와; 상기 제2카메라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스톱퍼의 선단이 안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2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의 상면과 밑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부에 디스플레이패널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 후면의 상부 일측에 고정 탑재되어 2D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1카메라와; 상기 본체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카메라-수용홈 내부에 상기 제1카메라의 수평 광축과 동일하도록 마련된 회전축을 통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단독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카메라와 연동하여 3D영상 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제2카메라를 갖춘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1영상이 입력되는 제1입력부와;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2영상이 입력되는 제2입력부와; 상기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이용하여 3D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상기 제1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영상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입력부 및 제2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이용하여 3D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상기 제1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영상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도록 신호가 입력되는 위치조절 입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D촬영을 함으로써 서로 독립적으로만 활용이 가능하던 카메라들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카메라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D영상 및 영상통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3D영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제1,제2카메라의 수평위치가 서로 일치됨과 동시에 그 위치가 셋팅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흔들림 없는 3D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 이외에도, 두 개의 카메라를 통해 얻는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하나의 영상을 기준으로 다른 영상의 위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3D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 제2카메라가 전방 영역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 제2카메라가 후방 영역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2카메라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3D영상촬영에 따른 영상신호처리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면부에 디스플레이패널(110)이 마련된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영상촬영은 물론이며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장치(200)를 갖추고 있다.(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카메라장치 구성이 주된 특징이기 때문에, 통신기능과 같은 다른 기능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타입(일명, 바 타입이라 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전면에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패널(110)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100)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는 음성통화를 위한 스피커(130)와 마이크(140)가 탑재되며, 본체(100)의 내부에는 각종 전기적인 부품이 배치 수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터치 패널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이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카메라장치(2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 후면의 상부 일측에 탑재된 제1카메라(210)와, 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카메라-수용홈(120) 내부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카메라(220)를 갖추고 있다.
제1카메라(210)는 본체(100) 후면의 상부 일측에 고정 탑재된 것으로, 단독으로 구동하는 경우 2D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2카메라(220)는 본체(100)의 상부 타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카메라-수용홈(120) 내부에서 제1카메라(210)의 수평 광축과 동일하도록 마련된 회전축(230)을 통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촬영 영역을 본체(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단독촬영, 즉 영상통화 또는 셀프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촬영 영역을 본체(100)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제1카메라(210)와 연동하여 3D영상 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카메라(220)의 회전축(230)은 제1카메라(210)의 X축과 일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카메라(220)가 전후로 회전하더라도 제1카메라(210)와의 수평축인 X축이 일치하게 되며, 결국 제1, 제2카메라(210)(220)의 광축이 서로 일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장치(200)는 제2카메라(220)의 촬영 영역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제2카메라(220)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재(240)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위치고정부재(240)는 카메라-수용홈(120)의 저부에 배치되며 탄성 지지력에 의해 선단부가 카메라-수용홈(120)의 저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톱퍼(241; 일명, 볼 플런저)와, 제2카메라(2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2카메라(22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221)의 상면과 밑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안착홈(242)(2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제2카메라(2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스톱퍼(241)의 선단은 제2카메라(220)의 케이싱(221) 상면 또는 밑면에 형성된 안착홈(242)(243)에 안착됨으로써 제2카메라(220)를 위치 고정하게 되며,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 이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스톱퍼(241)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볼 형태로 도시하였지만(일명, 볼 플런저), 이에 국한하지 않고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장치(200)에서 제2카메라(220)는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본체(100)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1카메라(210)와 연동하여 3D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양안 카메라로써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후로 회전가능한 제2카메라(220)가 제1카메라(210)의 X축과 일치하는 회전축(23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카메라(210)와 제2카메라(220)의 수평축은 항상 일치하여 3D영상 촬영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위치고정부재(240)에 의해 제2카메라(22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제2카메라(220)와 제1카메라(210)가 촬영하는 방향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3D영상의 촬영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외형적인 구조로써 3D영상을 촬영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도 다시 한번 보정을 함으로써 더욱 품질이 향상된 3D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입력되는 제1입력부(310)와, 제2카메라(2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입력되는 제2입력부(320)와, 제1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기준으로 3D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조절부(330)와, 제2카메라(220)의 통해 촬영되어 입력되는 영상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위치조절 입력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입력부(310)는 제1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이 입력되는 곳이다. 이때의 영상을 제1영상이라 한다. 그리고 제2입력부(320)는 제2카메라(220)에서 촬영된 영상이 입력되는 곳으로, 이때의 영상을 제2영상이라 한다. 또한, 영상 조절부(330)는 제1입력부(310) 및 제2입력부(320)를 통해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각각 입력받아 제2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이때 제2영상의 위치조절은 제1영상을 이용하여 조절한다. 즉, 제2영상의 수평축인 X축이 약간이라도 틀어진 경우에는 제1영상의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2영상의 X축을 조절함으로써, 제1영상과 제2영상의 X축을 일치시킴으로써, 3D영상을 제작함에 있어, 그 품질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위치조절 입력부(340)는 제1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제1영상과 제2카메라(220)에서 촬영된 제2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패널(1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제2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110)에 표시되는 제1영상과 제2영상을 직접 보면서, 제2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어 입력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곳이 위치조절 입력부(340)인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위치조절 입력부(340)를 통해 제2영상의 위치를 직접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3D영상을 직접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본체 110..디스플레이패널 120..카메라-수용홈
130..스피커 140..마이크 200..카메라장치
210..제1카메라 220..제2카메라 221..케이싱
230..회전축 240..위치고정부재 241..스톱퍼
242,243..안착홈 310..제1입력부 320..제2입력부
330..영상 조절부 340..위치조절 입력부

Claims (4)

  1. 전면부에 디스플레이패널이 마련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탑재되어 영상촬영은 물론이며 영상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장치(200)를 갖춘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본체(100) 후면의 상부 일측에 고정 탑재되어 2D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1카메라(21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카메라-수용홈(120) 내부에 상기 제1카메라(210)의 수평 광축과 동일하도록 마련된 회전축(230)을 통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100)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단독 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100)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카메라(210)와 연동하여 3D영상 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제2카메라(220)와;
    상기 제2카메라(220)의 촬영 영역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2카메라(220)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2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240)는;
    상기 카메라-수용홈(120)의 저부에 배치되며 탄성 지지력에 의해 선단부가 상기 카메라-수용홈(120)의 저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톱퍼(241)와;
    상기 제2카메라(2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스톱퍼(241)의 선단이 안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2카메라(22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221)의 상면과 밑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안착홈(242)(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3. 전면부에 디스플레이패널(110)이 마련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후면의 상부 일측에 고정 탑재되어 2D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1카메라(21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카메라-수용홈(120) 내부에 상기 제1카메라(210)의 수평 광축과 동일하도록 마련된 회전축(230)을 통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단독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촬영 영역을 상기 본체(100)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카메라(210)와 연동하여 3D영상 촬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제2카메라(220)를 갖춘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제1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제1영상이 입력되는 제1입력부(310)와;
    상기 제2카메라(220)를 통해 촬영된 제2영상이 입력되는 제2입력부(320)와;
    상기 제1입력부(310) 및 제2입력부(320)로 입력된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이용하여 3D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상기 제1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영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영상 조절부(3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제1입력부(310) 및 제2입력부(320)로 입력된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이용하여 3D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상기 제1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영상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도록 신호가 입력되는 위치조절 입력부(3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20110046556A 2011-05-18 2011-05-18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20128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556A KR20120128740A (ko) 2011-05-18 2011-05-18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556A KR20120128740A (ko) 2011-05-18 2011-05-18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740A true KR20120128740A (ko) 2012-11-28

Family

ID=4751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556A KR20120128740A (ko) 2011-05-18 2011-05-18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74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6665A (zh) * 2018-02-13 2019-08-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19242463A1 (zh) * 2018-06-17 2019-12-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WO2020108274A1 (en) * 2018-11-30 2020-06-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ransmission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WO2020224461A1 (zh) * 2019-05-05 2020-1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20210364898A1 (en) * 2017-09-27 2021-11-25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urveillance device
WO2023226810A1 (zh) * 2022-05-23 2023-11-30 影石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保护装置及影像系统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4898A1 (en) * 2017-09-27 2021-11-25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urveillance device
US11835847B2 (en) * 2017-09-27 2023-12-05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urveillance device
US11860516B2 (en) 2017-09-27 2024-01-02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urveillance device
CN110166665A (zh) * 2018-02-13 2019-08-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166665B (zh) * 2018-02-13 2020-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19242463A1 (zh) * 2018-06-17 2019-12-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1512615A (zh) * 2018-06-17 2020-08-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1512615B (zh) * 2018-06-17 2021-09-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WO2020108274A1 (en) * 2018-11-30 2020-06-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ransmission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US11297173B2 (en) 2018-11-30 2022-04-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ransmission mechanism, driving mechanism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WO2020224461A1 (zh) * 2019-05-05 2020-1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WO2023226810A1 (zh) * 2022-05-23 2023-11-30 影石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保护装置及影像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8740A (ko) 3d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EP2525559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image processing
US7822338B2 (en) Camera for electronic device
US8823769B2 (en) Three-dimensional video conferencing system with eye contact
US20190230283A1 (en) Two-lens spherical camera
EP2290969A1 (en) Telepresence system, method and video capture device
WO2012151889A1 (zh) 一种手机
US20110164188A1 (en) Remote control with integrated position, viewer identification and optical and audio test
WO2013123725A1 (zh) 移动设备
US20110279654A1 (en) Camera body, ima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body,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30343743A1 (en) Panorama photography ptz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O2017166360A1 (zh) 视频通话方法及装置
JP4771671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表示装置
WO2000031974A2 (en) Improved teleconferencing system
JP2008515275A (ja) 立体的イメージ作成機能を有する移動通信装置
WO2022262839A1 (zh) 现场演出的立体显示方法、装置、介质及系统
WO2012124331A1 (ja) 3d撮像装置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CN114007057A (zh) 终端、拍摄方法、拍摄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519520A (zh) 一种后摄自拍的方法及系统
CN206788455U (zh) 具有微调机构的多功能望远镜
JP2012186524A (ja) 3d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12114557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JP3168741U (ja) 3眼式3d立体カメラ
JPH06225298A (ja) テレビ通話用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