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473A -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473A
KR20120128473A KR1020110046456A KR20110046456A KR20120128473A KR 20120128473 A KR20120128473 A KR 20120128473A KR 1020110046456 A KR1020110046456 A KR 1020110046456A KR 20110046456 A KR20110046456 A KR 20110046456A KR 20120128473 A KR20120128473 A KR 20120128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valve
opening
storage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수
배준희
정창렬
김배균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473A/ko
Priority to US13/455,894 priority patent/US20120295140A1/en
Publication of KR2012012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20Reformation or processes for removal of impurities, e.g. scaven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에 통공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밸브; 상기 하부밸브의 상부면에 그 하부면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밸브와 대칭되게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통기구가 구비되며,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상기 통기구로부터 상기 상부면의 개방된 부분으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밸브;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접하고, 상기 하부밸브와 상부밸브가 삽입되는 개폐구가 중앙에 구비되는 개폐부재; 상기 상부밸브의 상부면에 접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배기구가 구비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면과 상기 개폐부재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하방향의 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DEVICE FOR EXHAUSTING AN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기술발전에 힘입어 각종 모바일 전자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차전지 등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또한, 환경문제 및 자원문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활용하는 자동차나, 태양열 발전 등의 친환경 에너지 생산 관련 기술개발을 위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충방전을 통하여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이다. 상기 이차전지는 비교적 장시간동안 일정한 전압으로 출력이 유지되며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소형 모바일 기기들의 전원저장장치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이차전지의 경우 충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고, 출력전압이 3V 내외로 낮은 편이며, 수명이 짧고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는 단점들이 있었기 때문에 활용분야에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로써 전기화학적 메커니즘에 의하여 충방전 동작이 수행되는 슈퍼커패시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슈퍼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의사 커패시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순간적인 충전이 가능하고, 출력특성이 이차전지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으며, 수명 또한 이차전지보다 월등하게 길다는 장점들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들에 착안하여, 자동차의 회생 재동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 되고 있다.
한편, 이차전지와 슈퍼커패시터 등의 에너지 저장장치들은 전극 사이에 전해액(또는 전해질)을 구비하고 전기화학적 메커니즘에 의하여 충전 및 방전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때 각종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를 적절하게 배출하지 못할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의 케이스가 파열되어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해 지거나,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도 존재한다.
상기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아직까지 에너지밀도 및 저항 등의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하여 상용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지만, 근시일 내에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가스발생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 및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한편, 도 1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제안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47556호에 따른 에어밸브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에어 밸브의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압력이 높아지면 얇은 금속박막(1)이 파열되면서 가스가 배출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경우, 금속박막(1)이 파열될 때마다 이를 교체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압을 일정한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에 통공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밸브; 상기 하부밸브의 상부면에 그 하부면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밸브와 대칭되게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통기구가 구비되며,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상기 통기구로부터 상기 상부면의 개방된 부분으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밸브;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접하고, 상기 하부밸브와 상부밸브가 삽입되는 개폐구가 중앙에 구비되는 개폐부재; 상기 상부밸브의 상부면에 접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배기구가 구비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면과 상기 개폐부재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하방향의 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밸브는 원뿔대, 타원뿔대 및 다각뿔대 중 선택되는 한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밸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여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덮개의 배기구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계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400mesh 이하의 그물망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전술한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음극단자, 양극단자 및 홀이 구비되며, 그 하부면에 상기 배기장치의 덮개가 결합되는 뚜껑; 및 에너지 저장체가 내재되며, 상기 뚜껑과 밀폐되게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장치의 하부면이 뚜껑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한 내압 상승을 적절하게 해소하여, 에너지 저장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동시에,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가스 배출용 에어 밸브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에서 상부밸브와 하부밸브가 결합된 상태를 예기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0)에서 상부밸브(21)와 하부밸브(22)가 결합된 상태를 예기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0)는,
하우징(12), 하부밸브(22), 상부밸브(21), 개폐부재(40), 덮개(11) 및 탄성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상부면이 개방된 육각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2)의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통공(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밸브(22)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밸브(21)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부밸브(22)와 상부밸브(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밸브(22)는 원뿔대, 타원뿔대 및 다각뿔대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밸브(21)는 상기 하부밸브(22)의 형상에 따라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밸브(21)는 내부가 비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밸브(21)의 상부면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밸브(21)의 측면에는 한 개 이상의 통기구(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밸브(21) 외측의 유체가 상기 통기구(23)를 통해 상부밸브(21) 내부로 이동하고, 상부밸브(2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개방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0)는 그 측면이 상기 하우징(12)의 내벽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0)의 측면과 하우징(12)의 내벽은 밀폐되게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0)의 상부면 중앙에는 개폐부재(4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개폐구(41)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구(41) 내부로 상기 상부밸브(21)와 하부밸브(22)의 결합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0)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부밸브(22)의 하부면과 상부밸브(21)의 상부면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덮개(11)는 상기 상부밸브(21)의 상방에서 상기 하우징(12)과 결합되며 상부밸브(21), 하부밸브(22)를 하우징(12)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11)의 중앙부에는 배기구(14)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밸브(21)를 통과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덮개(11)의 하부면과 상기 개폐부재(40)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부재(40)에 하방향의 압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탄성부재(50)가 스프링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3에서는 상기 상부밸브(21)와 하부밸브(22) 사이에 개폐부재(40)를 위치시키고 상기 개폐구(41)로 상부밸브(21)의 하부 및 하부밸브(22)의 상부가 삽입되면서 상부밸브(21)와 하부밸브(22)가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개폐부재(40)가 둘 이상의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밸브(21)와 하부밸브(22)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상부밸브(21)와 하부밸브(22)의 중심 부분인 오목한 영역이 상기 개폐부재(40)의 개폐구(41)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기구(14) 또는 상부밸브(21) 상부면의 개방부에는 여과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30)는 외부의 이물질이 배기장치(100) 내부로 투입되어 배기장치(100)가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여과부재(30)는 내부식성이 큰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계 금속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가스 배출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400메쉬(mesh) 이하의 그물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100)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로써, 도 4a는 에너지 저장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압력이 탄성부재(50)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제공되는 압력보다 작아서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4b는 에너지 저장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압력이 탄성부재(50)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제공되는 압력보다 커서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의 통공(13)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이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40)는 탄성부재(50)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눌려지고 있으므로, 상기 개폐구(41)의 내측면과 하부밸브(22)의 외측면이 밀폐되게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2)의 통공(13)으로 유입되는 가스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의 통공(13)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이 탄성부재(50)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재(4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개폐구(41)와 하부밸브(22) 사이가 이격되므로 가스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이동된 가스는 상부밸브(21)의 측면에 구비된 통공(13)으로 유입되며, 상부밸브(21)의 상부면에 구비된 개방부와 여과부재(30) 및 덮개(11)의 배기구(14)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200, 300)는 뚜껑(210, 310), 에너지 저장체(도시 않음) 및 케이스(22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210, 310)에는 음극단자(211, 311)와 양극단자(212, 312)가 필요한 수 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10, 3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전술한 배기장치(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장치(100) 하부면에 구비되는 통공(13)이나 배기장치(10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배기구(14)와 대응되는 홀이 상기 뚜껑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00, 3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로 인하여 내압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보다 높아지게 되면 상기 배기장치(1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덮개
12 : 하우징
13 : 통공
14 : 배기구
21 : 상부밸브
22 : 하부밸브
23 : 통기구
30 : 여과부재
40 : 개폐부재
41 : 개폐구
50 : 탄성부재
100 : 배기장치
210, 310 : 뚜껑
211, 311 : 음극단자
212, 312 : 양극단자
220, 320 : 케이스
200, 300 : 에너지 저장장치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에 통공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밸브;
    상기 하부밸브의 상부면에 그 하부면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밸브와 대칭되게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통기구가 구비되며,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상기 통기구로부터 상기 상부면의 개방된 부분으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밸브;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접하고, 상기 하부밸브와 상부밸브가 삽입되는 개폐구가 중앙에 구비되는 개폐부재;
    상기 상부밸브의 상부면에 접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배기구가 구비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하부면과 상기 개폐부재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에 하방향의 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밸브는 원뿔대, 타원뿔대 및 다각뿔대 중 선택되는 한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배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밸브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여과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배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배기구에 구비되는 여과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배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계 금속재질인
    배기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400mesh 이하의 그물망체로 이루어지는 것인
    배기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음극단자, 양극단자 및 홀이 구비되며, 그 하부면에 상기 배기장치의 덮개가 결합되는 뚜껑; 및
    에너지 저장체가 내재되며, 상기 뚜껑과 밀폐되게 결합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음극단자, 양극단자 및 홀이 구비되며, 그 상부면에 상기 배기장치의 하부면이 결합되는 뚜껑; 및
    에너지 저장체가 내재되며, 상기 뚜껑과 밀폐되게 결합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KR1020110046456A 2011-05-17 2011-05-17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KR20120128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56A KR20120128473A (ko) 2011-05-17 2011-05-17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US13/455,894 US20120295140A1 (en) 2011-05-17 2012-04-25 Exhausting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56A KR20120128473A (ko) 2011-05-17 2011-05-17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73A true KR20120128473A (ko) 2012-11-27

Family

ID=4717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456A KR20120128473A (ko) 2011-05-17 2011-05-17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95140A1 (ko)
KR (1) KR201201284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77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일체형 필터 메쉬를 벤팅홀에 적용한 팩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127074A (ko) * 2021-03-10 2022-09-19 에프디씨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의 고압가스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9657B2 (en) * 2011-08-31 2013-09-10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Porous vent breather
WO2015125163A1 (en) * 2014-02-20 2015-08-27 Donadon Safety Discs And Devices S.R.L. Solid particulate capturing device
TWI555261B (zh) * 2015-08-10 2016-10-21 有量科技股份有限公司 鋰電池模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77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일체형 필터 메쉬를 벤팅홀에 적용한 팩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127074A (ko) * 2021-03-10 2022-09-19 에프디씨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의 고압가스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95140A1 (en)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656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5806262B2 (ja) 電流遮断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2006128091A (ja) 二次電池
US20130052497A1 (en) Air valve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346839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20128473A (ko)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KR102384308B1 (ko) 벤팅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09224228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JP2023511865A (ja) エンドカバーユニット、電池セル及び排気方法、電池及び電力消費機器
KR101310435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에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US20150236316A1 (en) Sealed type battery
JP4806936B2 (ja) 密閉型電池
JP4048031B2 (ja) 密閉式蓄電デバイス
KR101593532B1 (ko) 내부 터미널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내부 터미널 구조
KR101121205B1 (ko) 이차전지
JP3987862B2 (ja) 蓄電装置
KR20090042608A (ko)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KR20120083681A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가스 배출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CN114981907B (zh) 蓄电装置
KR101130097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
KR102383163B1 (ko) 이차전지
KR102135629B1 (ko) 소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20160087696A (ko) 이차 전지
JP6669863B2 (ja) 空気−亜鉛電池モジュール
KR101872280B1 (ko) 안전 벤트를 갖는 나트륨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