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734A -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734A
KR20120127734A KR1020127025600A KR20127025600A KR20120127734A KR 20120127734 A KR20120127734 A KR 20120127734A KR 1020127025600 A KR1020127025600 A KR 1020127025600A KR 20127025600 A KR20127025600 A KR 20127025600A KR 20120127734 A KR20120127734 A KR 20120127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outer cylinder
raw material
core rod
outpu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859B1 (ko
Inventor
아끼라 사까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2012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스 출력단부와 마이너스 출력단부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전극 단자로서, 전기 부식을 방지하면서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강도에도 우수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극 단자(1)는, 한쌍의 출력단부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되는 배터리(2)에 대하여 사용하는 전력 출력용의 전극 단자(1)로서, 한쪽의 출력단부에 연결하는 동시에 한쪽의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중실 원기둥 형상의 심봉부(10)와, 심봉부(10)에 연접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외통부(11)를 갖고, 심봉부(10)와 외통부(11)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ELECTRODE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TERMINAL}
본 발명은 플러스 출력단부와 마이너스 출력단부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극 단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카 등에 탑재하는 배터리로서, 복수의 배터리 셀을, 서로의 정?부극 사이가 직렬 접속이 되도록 버스 바로 연결해서 조전지로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조전지는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인 것이 특징이며, 배터리 셀에는 대부분의 경우 리튬 이온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는 플러스 출력단부가 알루미늄(Al)을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마이너스 출력단부가 구리(Cu)를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셀의 단자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버스 바(busbar, 전기 에너지의 분배에 사용되는 부품이며, 버스 바라고도 부름)가 있다. 이러한 버스 바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스 바를 구성하는 부재끼리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7363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63039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끼리를 직렬로 접속할 경우, 플러스 출력단부(알루미늄)와, 마이너스 출력단부(구리)를 버스 바로 연결하게 된다. 그로 인해, 버스 바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도록 하거나 구리로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반드시 버스 바와 한쪽의 단자 사이는 이종 금속에 의한 접속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종의 금속끼리를 접속했을 때에 공기중의 수분에 의한 전기 부식(전기 화학적 부식)이 일어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전기 부식의 진행에 수반하여, 버스 바와 단자 사이가 통전하지 않게 되거나 버스 바 자체 또는 단자 자체가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생기고, 최종적으로는 전기 자동차를 시동할 수 없다는 중대 문제에 이른다.
또한, 이 문제의 대책으로서, 특허문헌 2와 같이, 알루미늄편과 구리편을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해서 버스 바를 제작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 방법으로 시험제작된 버스 바에서는, 레이저 용접 부분에서 2종의 금속에 의한 공정이 발생하고, 이것이 원인으로 전기 저항이 과대하게 되거나 기계적 강도(특히 취성이나 인장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거나 하는 결점이 있어서, 매우 실용적이지 않았다.
즉, 상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버스 바의 개량에 머물지 않고, 다른 부재, 예를 들어 배터리 셀에 구비된 전극 단자의 개량?개발이 불가결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플러스 출력단부와 마이너스 출력단부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전극 단자에 있어서, 전기 부식을 방지하면서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강도에도 우수한 고성능?고신뢰성을 갖는 전극 단자와, 이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전극 단자는, 한쌍의 출력단부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되는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전력 출력용의 전극 단자이며, 한쪽의 출력단부에 연결하는 동시에 이 한쪽의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에 연접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속부는 중실 원기둥 형상의 심봉부이며, 상기 제2 접속부는 심봉부에 외부 끼움되는 원통 형상의 외통부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금속적 결합"은, 결합하려는 이종 금속 사이가 금속 조직 레벨로 밀착된 결합 계면을 형성시켜, 그 결과로써 도전성 및 기계적 결합 강도를 "전극 단자로서 실용에 적합한 값"으로까지 높인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통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외통부는 상기 심봉부의 돌출측과는 역방향을 향해 당해 심봉부의 길이를 초과해서 연장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전극 단자를 리튬 이온 전지의 플러스 출력단부에 채용할 때에는 상기 심봉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전극 단자를 리튬 이온 전지의 마이너스 출력단부에 채용할 때에는, 상기 심봉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좋다.
한편, 상술한 전극 단자를 제조할 때는, 상기 심봉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통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가 권취된 상태로 되어 있는 대면 원재를 준비하고, 고압의 정수압 환경 하에서, 상기 대면 원재를 다이에 의해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이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심봉부를 형성하는 금속재와 외통부를 형성하는 금속재가 금속적 결합해서 일체화되어, 전기 부식 등이 일어나지 않는 전극 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전극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외관으로 볼 때, 배터리의 플러스 출력단부와 마이너스 출력단부는 동일 금속으로 되고, 단자와 동일 금속의 배선이나 버스 바를 사용한 접속을 행함으로써, 단자 접합부에서의 전기 부식, 이에 수반하는 전기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고, 조전지로서의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예의 경우, 전극 단자의 심봉부와 외통부는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결합 부분에 있어서도 전기 부식, 그에 따른 전기 저항의 증가가 발생할 일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스 출력단부와 마이너스 출력단부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된 배터리에 대하여 적합하여, 전기 부식을 방지하면서 전기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계적 강도도 우수한 고성능?고 신뢰성을 갖는 전극 단자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제1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와 버스 바의 접속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전극 단자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제2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제2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와 버스 바의 접속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전극 단자(1)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극 단자(1)는, 복수의 배터리 셀(2)을 버스 바(3)에 의해 직렬 접속함으로써 구성되는 조전지(4) 등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 배터리 셀(2)의 마이너스 출력단부(마이너스 출력측)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2)은 리튬 이온 전지이며, 마이너스 출력단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마이너스 출력단부에 전지 내부에서 연결되는 부극측 담체(7)(전자나 이온을 고정하는 베이스체)가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극측 담체와의 관계에서, 플러스 출력단부(플러스 출력측)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너스 출력단부에 채용되는 본 발명의 전극 단자(1)는 심봉부(10)(제1 접속부)와, 이 심봉부(10)를 외부 끼움 피복하는 외통부(11)(제2 접속부)에 의해 내외 이중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심봉부(10)의 하단부측은 외통부(11)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심봉부(10)의 상단부측과 외통부(11)의 상단부는 동일 높이 위치로 정렬시켜져 있다. 심봉부(10)는 환봉으로 되고, 외통부(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들 심봉부(10)와 외통부(11)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동심의 이중 원형을 나타내고 있고, 심봉부(10)를 둘러싸는 외통부(11)의 두께는 거의 일정하다.
외통부(11)의 하단부측에는 기초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초부(12)를 관통하도록 심봉부(10)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11)의 외주면에는 기초부(12)를 제외하고 수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초부(12)는, 이 전극 단자(1)를 배터리 셀(2)에 설치할 때에, 배터리 셀(2)로부터 수나사부(13)가 돌출하는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이나, 이 수나사부(13)에 버스 바(3)를 접속할 때에, 버스 바(3)를 배터리 셀(2)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갖고 있다. 기초부(12)는 반드시 외통부(11)에 대하여 일체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별도의 부재로 해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극 단자(1)의 최대 직경[기초부(12)의 외경에 상당]을 5 내지 25㎜, 최대 길이[심봉부(10)로서의 전체 길이에 상당]를 10 내지 100㎜로 하고 있다. 또한, 외통부(11)에 설치하는 수나사부(13)의 외경은 호칭 지름 4 내지 12㎜로 하고 있다.
심봉부(10)와 외통부(11)는 서로 형성 소재가 다른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심봉부(10)는 배터리 셀(2)의 부극측 담체(7)와 동일 금속, 즉 구리 또는 동합금을 원재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11)는 배터리 셀(2)의 정극측 담체나 플러스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 즉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원재로하여 형성되어 있다.
심봉부(10)의 외주면과 외통부(11)의 내주면 사이는, 심봉부(10)의 금속(Cu)과 외통부(11)의 금속(Al)을 초고압하(예를 들어 1000MPa 정도)에서 또한 변형을 부여하도록 하여, 서로가 금속 조직 레벨로 밀착된 결합 계면을 형성시키고, 그 결과로써 도전성 및 기계적 결합 강도를 "전극 단자로서 실용에 적합한 값"으로까지 높인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극 단자(1)는, 배터리 셀(2)에 설치할 때에, 심봉부(10)에 있어서 외통부(11)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내부 접속부(15)로서 사용한다. 즉, 이 내부 접속부(15)를 배터리 셀(2)의 부극측 담체(7)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외통부(11)에 있어서 수나사부(13)가 설치된 부분을 외부 접속부(16)로서 사용한다. 즉, 이 외부 접속부(16)에, 외통부(11)와 동일 금속인 알루미늄제의 버스 바(3)의 일단부를 접속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바(3)의 양단부에는 접속 구멍(2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 구멍(20)을 전극 단자(1)의 외부 접속부(16)[외통부(11)의 수나사부(13)]에 삽입하고, 관통한 수나사부(13)에, 외통부(11)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알루미늄제의 너트(21)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외부 접속부(16)와 버스 바(3) 및 너트(21)는 동일 금속에 의한 접속으로 되어, 전기 부식이 일어날 일은 없다. 또한, 내부 접속부(15)와 외부 접속부(16) 사이[심봉부(10)와 외통부(11) 사이]는 이종 금속이지만, 금속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부식은 일어나지 않고, 또한 전기 저항이 억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한편, 플러스 출력단부는 형성 소재의 모두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전극 단자를 사용하면 좋다. 그 형상은 전극 단자(1)와 거의 동일하고, 기초부(23)나 수나사부(24)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버스 바(3)에 있어서의 타단부측의 접속 구멍(20)을 플러스측의 전극 단자의 수나사부(24)에 삽입하고, 관통한 수나사부(24)에 너트(21)를 나사 결합시키도록 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플러스 출력단부와 버스 바(3)의 접속 부분도 동일 금속에 의한 접속이므로, 전기 부식이 일어날 일은 없다.
이들의 결과로써, 복수의 배터리 셀(2)을 버스 바(3)에 의해 직렬 접속함으로써 구성되는 조전지(4)에 있어서, 어느 쪽의 접속 부분에서도 전기 부식은 일어나지 않고, 고효율의 도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전극 단자(1)로서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므로, 통상의 사용 상황 하에 있어서 전극 단자(1)가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버스 바(3)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경량이므로, 조전지(4)를 경량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조전지(4)를 배터리로서 탑재하는 전기 자동차의 경량화에 있어서도 유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의 전극 단자(1)를 제조하려면, 초고압의 정수압 하에 있어서의 압출 가공을 행한다. 이 가공에 사용하는 압출 장치(30)는 얻고자 하는 전극 단자(1)의 최대 직경[기초부(12)의 외경에 상당]에 대응한 단일 개구의 다이(31)(다이스)를 구비한 것으로, 초고압(~1000MPa 정도)의 등방압 환경 하에서의 압출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극 단자(1)의 제조 수순으로서는, 우선 배터리 셀(2)의 플러스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정극용 원재(11A)(금속 원재)와, 배터리 셀(2)의 마이너스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의 부극용 원재(10A)(금속 원재)를 준비한다. 즉, 정극용 원재(11A)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부극용 원재(10A)는 구리 또는 동합금제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막대 형상의 부극용 원재(10A)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를 정극용 원재(11A)로 둘러싼 구조의 둥근 막대 형상의 빌렛(대면 원재)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부극용 원재(10A)를 환봉재로 하는 동시에, 정극용 원재(11A)를 중공 파이프재로 해서, 부극용 원재(10A)에 정극용 원재(11A)를 외부 끼움 삽입관통시킴으로써 빌렛을 형성하면 좋다. 또는, 부극용 원재(10A)를 환봉재로 하는 동시에, 정극용 원재(11A)를 띠판 형상재로 해서, 부극용 원재(10A)에 정극용 원재(11A)를 권취함으로써 빌렛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 빌렛을 압출 장치(30)에 장전하고, 이 압출 장치(30)를 초고압(~1000MPa)의 등방압 환경 하에서 작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빌렛은 부극용 원재(10A)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를 정극용 원재(11A)로 둘러싼 구조이기 때문에, 정극용 원재(11A)와 부극용 원재(10A)가 서로 병행해서 압출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장치(30)의 다이(31)의 개구 면적은 빌렛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다이(31)를 통과시킴으로써, 빌렛이 전체 둘레에서 압축을 받아서 소성 변형한다. 양 원재(10A, 11A)의 맞춤면은 다이(31)를 나온 후에 "심봉부(10)의 외주면과 외통부(11)의 내주면의 계면(금속적 결합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압출 가공에 의해, 정극용 원재(11A)와 부극용 원재(10A)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 결합된 내외 이중축의 성형체(1A)를 성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성형체(1A)를 압출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잘라낸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압출 장치(30)의 다이(31)가 전극 단자(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체(1A)의 컷팅 간격은 전극 단자(1)로서의 길이 치수에 맞추도록 했다.
잘라낸 후에 있어서, 정극용 원재(11A)에 선반 가공이나 수나사 컷팅 가공을 실시하고, 수나사부(13)의 형성이나 기초부(12)의 형성 및 심봉부(10)에 의한 돌출부의 형성을 행하고, 전극 단자(1)를 완성시킨다. 필요에 따라서 표면 연마나 표면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5a, 도 5b 및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전극 단자(1)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1)도 배터리 셀(2)의 마이너스 출력단부에 채용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단자(1)의 외통부(11)는 상방측을 향해, 심봉부(10)의 길이를 초과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외통부(11)가 연장된 부분의 내부에는 심봉부(10)가 존재하지 않고, 중공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전극 단자(1)의 심봉부(10)는 하방측을 향해, 외통부(11)의 길이를 초과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11)에는 기초부(12)나 수나사부(13)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스트레이트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심봉부(10)가 배터리 셀(2)의 부극측 담체(7)와 동일 금속(구리 또는 동합금)제이며, 외통부(11)가 배터리 셀(2)의 정극측 담체나 플러스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인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심봉부(10)의 외주면과 외통부(11)의 내주면 사이가 초고압 등방압하에 의한 다이 가공으로 금속적 결합되어 있는 점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1)에서는, 심봉부(10)가 외통부(11)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내부 접속부(15)로서 배터리 셀(2)에 설치한 후, 외통부(11)에 있어서 중공으로 된 부분을 외부 접속부(16)로서 사용한다. 즉, 이 외부 접속부(16)에 버스 바(3)의 일단부를 용접에 의해 접속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바(3)의 접속 구멍(20)을 전극 단자(1)의 외부 접속부(16)(중공 부분에 대응)에 삽입하고, 관통한 외부 접속부(16) 둘레를 용접 등으로 용접하면 된다. 용접 부분은 버스 바(3)도 외부 접속부(16)도 모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동일 금속이기 때문에 공정은 발생하지 않고, 양자간의 전기 저항이 과대하게 될 일도 없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전극 단자(1)를 제조하려면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출 장치(30)를 초고압 등방압하에서 작동시켜서 성형체(1A)를 형성시키고, 그 후 보링 가공을 실시하고, 외통부(11)의 중공화[심봉부(10)를 소정 깊이로 삭제]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 제조 방법은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두의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이너스 출력단부로써 사용하는 전극 단자(1)를 예시했지만, 전극 단자를 플러스 출력단부에 채용해도 좋다. 그 경우, 심봉부(10)를 배터리 셀(2)의 정극측 담체와 동일 금속(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하고, 외통부(11)를 배터리 셀(2)의 부극측 담체(7)와 동일 금속(구리 또는 동합금)제로 하면 좋다. 버스 바(3)는 구리 또는 동합금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버스 바(1)는 자동차 탑재용의 리튬 이온 전지를 접속할 때에 매우 적합하지만, 다른 용도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 전지(배터리)의 접속에 사용해도 전혀 문제는 없다.
본 출원을 상세하게 또는 특정한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10년 3월 29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원 제2010-075916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 : 전극 단자
1A : 성형체
2 : 배터리 셀
3 : 버스 바
4 : 조전지
7 : 부극측 담체
10 : 심봉부
10A : 부극용 원재
11 : 외통부
11A : 정극용 원재
12 : 기초부
13 : 수나사부
15 : 내부 접속부
16 : 외부 접속부
20 : 접속 구멍
21 : 너트
23 : 기초부
24 : 수나사부
30 : 압출 장치
31 : 다이

Claims (7)

  1. 한쌍의 출력단부가 서로 이종 금속으로 형성되는 배터리에 대하여 사용하는 전력 출력용의 전극 단자이며,
    한쪽의 출력단부에 연결하는 동시에 이 한쪽의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에 연접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출력단부와 동일 금속으로 형성된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가 금속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중실 원기둥 형상의 심봉부이며,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심봉부에 외부 끼움되는 원통 형상의 외통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단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는 상기 심봉부의 돌출측과는 역방향을 향해 당해 심봉부의 길이를 초과해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단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단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부는 구리 또는 동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단자.
  7. 제2항에 기재된 전극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심봉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통부를 형성하는 금속 원재가 권취된 상태로 되어 있는 대면 원재를 준비하고,
    고압의 정수압 환경 하에서, 상기 대면 원재를 다이에 의해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
KR1020127025600A 2010-03-29 2011-03-24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 KR101421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5916 2010-03-29
JP2010075916A JP5523164B2 (ja) 2010-03-29 2010-03-29 電極端子、及び電極端子の製造方法
PCT/JP2011/057258 WO2011122455A1 (ja) 2010-03-29 2011-03-24 電極端子、及び電極端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734A true KR20120127734A (ko) 2012-11-23
KR101421859B1 KR101421859B1 (ko) 2014-07-22

Family

ID=4471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600A KR101421859B1 (ko) 2010-03-29 2011-03-24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023515B2 (ko)
EP (1) EP2555281B1 (ko)
JP (1) JP5523164B2 (ko)
KR (1) KR101421859B1 (ko)
CN (1) CN102770987B (ko)
ES (1) ES2656333T3 (ko)
HU (1) HUE038047T2 (ko)
PL (1) PL2555281T3 (ko)
TW (1) TWI482342B (ko)
WO (1) WO2011122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8875B2 (en) 2010-04-16 2014-01-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multi-level connector
JP5570383B2 (ja) 2010-10-15 2014-08-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導電性連結部材、導電性連結部材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連結部材が電極とされたバッテリ
JP5910487B2 (ja) 2012-12-25 2016-04-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用モジュール
US9853276B2 (en) * 2013-01-11 2017-12-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pack
KR20150015153A (ko) * 2013-07-31 2015-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종 금속의 전지모듈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50070522A (ko) * 2013-12-17 2015-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60038582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862437B1 (ko) * 2014-10-02 2018-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10128486B2 (en) 2015-03-13 2018-11-13 Purdue Research Foundation Current interrupt devices, methods thereof, and battery assemblies manufactured therewith
CN104772863B (zh) * 2015-04-22 2017-04-05 泉州华科模具有限公司 一种电池端子注塑模具
US9728345B1 (en) * 2016-02-04 2017-08-08 Ls Mtron Ltd Ultra capacitor module
JPWO2017141694A1 (ja) * 2016-02-19 2018-12-13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7041487B2 (ja) * 2017-10-17 2022-03-2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6215A (en) 1953-11-04 1957-09-10 Aircraft Marine Prod Inc Aluminum ferrule-copper tongue terminal and method of making
JPS5790224A (en) * 1980-11-27 1982-06-04 Hitachi Cable Ltd Composite rigid trolley
CN1121072C (zh) 1997-10-07 2003-09-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4273543B2 (ja) * 1997-10-07 2009-06-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6844110B2 (en) * 2000-05-24 2005-01-18 Ngk Insulators, Ltd. Lithium secondary cell and assembly thereof
JP2001357834A (ja) * 2000-06-16 2001-12-2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4029585B2 (ja) 2001-06-18 2008-0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スバーおよびバスバーを用いた電池
JP2003163039A (ja) 2001-11-27 2003-06-06 Yazaki Corp バスバーの接続構造
KR100684743B1 (ko) 2004-10-28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CN201117707Y (zh) * 2007-08-24 2008-09-17 浙江天地之光电池制造有限公司 一种蓄电池接线端子的连接防护装置
JP2009087721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二次電池の端子構造及び組電池
JP5146065B2 (ja) * 2008-04-11 2013-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組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JP5391452B2 (ja) 2008-08-29 2014-01-15 株式会社明電舎 オゾン分解装置及びプロセスシステム
KR101072954B1 (ko) * 2009-03-30 2011-10-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5281B1 (en) 2018-01-10
US20120315807A1 (en) 2012-12-13
CN102770987A (zh) 2012-11-07
JP2011210481A (ja) 2011-10-20
TWI482342B (zh) 2015-04-21
EP2555281A1 (en) 2013-02-06
JP5523164B2 (ja) 2014-06-18
CN102770987B (zh) 2015-06-10
PL2555281T3 (pl) 2018-05-30
HUE038047T2 (hu) 2018-09-28
ES2656333T3 (es) 2018-02-26
EP2555281A4 (en) 2015-05-27
TW201222943A (en) 2012-06-01
KR101421859B1 (ko) 2014-07-22
US9023515B2 (en) 2015-05-05
WO2011122455A1 (ja)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7734A (ko)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의 제조 방법
TWI469427B (zh) A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and a battery having a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as an electrode
US8801444B2 (en) Busbar and busbar manufacturing method
JP5523165B2 (ja) バスバーの製造方法
US20120100761A1 (en) Battery Cell Connector
JP5483348B2 (ja) バスバーの製造方法
CN103682227A (zh) 用于电连接蓄电池模块的蓄电池单池的ω形的连接元件
CN103413967A (zh) 一种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US981269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ing contact for an electrode of an electrochemical stor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chemical store, and electrochemical store
CN201638881U (zh) 镍氢电池组连接组件
CN213546361U (zh) 一种集流体组件及电池、物体
JP2008288217A (ja) アルカリ蓄電池
WO2019051568A1 (en) CONNECTOR FOR LEAD-ACRYLIC BATTERY PIPES
JP2006286290A (ja) 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