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327A -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327A
KR20120127327A KR1020120050660A KR20120050660A KR20120127327A KR 20120127327 A KR20120127327 A KR 20120127327A KR 1020120050660 A KR1020120050660 A KR 1020120050660A KR 20120050660 A KR20120050660 A KR 20120050660A KR 20120127327 A KR20120127327 A KR 20120127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compound
compound synthesis
control unit
synthesis module
temperat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867B1 (ko
Inventor
채종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2/00374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57920A2/ko
Publication of KR2012012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01Recovery of specific isotopes from irradiated targ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93Microreactors, e.g. miniaturised or microfabricated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9/00Introduction of isotopes of elements into organic compounds ; Labelled organic compounds per s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4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 G21G1/12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by electromagnetic irradiation, e.g. with gamma or X-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3/00Magnetic resonance accelerators; Cyclotrons

Abstract

반응효율이 높은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의 반응챔버를 가열 및 냉각하면서도 합성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은, 내부에서 방사성 화합물이 합성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 및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한 유체 또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에 필요한 물질의 이동통로인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유로상에 반응챔버가 형성된 본체; 및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기 위하여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은 방사성 화합물을 1회 합성한 후에 폐기되는 용도로 사용되고, 베이스유닛은 본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RADIOACTIVE COMPOUND SYNTHESIZING SYSTEM HAVING TEMPERATURE REGULATING UNIT}
본 발명은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PET에 사용될 수 있는 방사성 의약품의 합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이클로크론으로부터 십 수 MeV의 양성자 빔이 타겟(표적장치)인 H2 180에 조사되면 방사성 동위원소인 18F 이온이 생성된다. 생성된 18F 이온이 글루코스 분자의 2번 위치에 부착이 되면 FDG가 된다. FDG는 글루코스 유사체(glucose analog)(2- deoxy- 2-(18F) fluoro-D-glucose)이다. FDG는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PET)에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한국등록특허 10-1001300)에 의하면 사이클로트론의 타겟으로부터 나오는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도록 원거리에 설치된 장소 또는 핫셀 내부에서 FDG를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이클로트론의 타겟으로부터 핫셀까지의 거리는 수십 미터에 이른다. 또한, 직경 1 밀리미터 이내의 관로를 따라 18F이 혼합된 H2 180을 이송하게 되며, 이송되는 H2 180는 1~2cc에 불과하다. 그리고, 관로의 연결부 또는 꺾이는 부분에서 18F이 혼합된 H2 180이 유실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1~2cc의 H2 180에는 약 2 Ci 이상의 높은 방사선이 검출되기 때문에 핫셀까지의 이송과정에서 방사능 물질 유출 및 환경 오염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18F은 1.2 MeV의 높은 에너지를 방사하는 핵종이므로 매우 주의가 요구된다.
한편, 18F이 혼합된 H2 180을 먼 거리까지 이송해야 하고 유실의 위험이 컸기 때문에 높은 방사능을 가진 18F을 생산해야만 한다. 그래서, 높은 방사능을 가진 18F을 생산하기 위해서 1 ~ 2 시간 동안 양성자빔을 계속 조사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방사성 화합물의 합성에 있어서 반응효율은 반응챔버 내부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챔버 내부의 온도가 섭씨 105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을 시킨 다음에 신속하게 적정 온도로 냉각하여야 높은 반응효율을 얻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반응챔버의 가열을 위하여 열선에 의한 가열방식 또는 고주파 가열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별도의 냉각수단을 부가하여야 한다. 그렇게 되면, 구성이 더욱 복잡해지게 되고 대형화되며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1300호
반응효율이 높은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의 반응챔버를 가열 및 냉각하면서도 합성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은, 내부에서 방사성 화합물이 합성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 및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한 유체 또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에 필요한 물질의 이동통로인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상에 반응챔버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은 상기 방사성 화합물을 1회 합성한 후에 폐기되는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본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는 18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반응챔버의 내부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제1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반응챔버의 내부를 가열하며,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반응챔버의 내부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이도 가열 및 냉각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유닛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과 상기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에 있어서 상기 반응챔버의 직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의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반응효율이 향성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타겟으로부터 생성된 18F이 FDG합성모듈에 반입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의 FDG합성모듈과 베이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DG합성모듈의 제1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온도조절유닛에 의한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의 온도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FDG는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에 이용될 수 있다.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용 동위원소로는 18F, 11C, 15O 그리고 13N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18F를 대상으로 하는 실시예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용 동위원소를 적용하는 방사능 물질 합성모듈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사이클로트론(100)에 의하여 가속된 양성자 빔(B)이 유도관을 통과하여 타겟(표적장치)에 조사된다. 타겟에는 H2 180이 채워져 있고, 양성자 빔(B)이 타겟에 충돌하여 18F이 생성된다.
18F이 혼합된 H2 180이 별도의 중간 운반체에 의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FDG합성모듈(200)로 반입되며, FDG합성모듈(200) 내부에서 여러 단계의 화학반응을 거쳐서 FDG가 생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18F이 혼합된 H2 180을 가늘고도 긴 관로를 거쳐서 합성장치로 운반하거나 별도의 용기에 저장하여 사람이 직접 운반할 수 밖에 없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18F이 혼합된 H2 180을 생성하는 사이클로트론(100)과 FDG합성모듈(200)이 일체로 된다.
이에 따라, 약 100~ 200mCi의 비교적 약한 방사능을 가지도록 18F이 혼합된 H2 180을 생산해도 되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의 위험성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 만큼 양성자빔을 조사(irradiation)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합물의 운반시간이 절약되기 때문에 방사성 화합물 합성시간도 약 15 분 이내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방사성 화합물 합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 유닛(300)은 FDG합성모듈(2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FDG합성모듈(200)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제어 유닛(400)은 베이스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FDG합성모듈(200)에 설치된 밸브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400)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으로 무선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PC)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타겟으로부터 생성된 18F이 FDG합성모듈에 반입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양성자 빔(B)은 유도관(110) 내부를 통하여 타겟챔버(124)에 수용된 타겟에 조사되어 18F이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타겟은 H2 180일 수 있다. 호일블럭(123)의 양면에는 제1호일(121)과 제2호일(122)이 설치된다. 타겟챔버(124)의 일측에는 냉각을 위한 냉각챔버(125)가 설치된다.
가스유입유로(126)를 통하여 불활성 가스인 헬륨(He)이 투입되어 18F이 혼합된 H2 180을 반출유로(127)를 통하여 밀어낸다. 그리고, 반출유로(127)에 직접 연결된 FDG합성모듈(200) 내부로 18F이 혼합된 H2 180이 반입된다. 반출유로(127)의 단부로부터 FDG합성모듈(200)까지의 거리는 불과 수 밀리미터 또는 수 센티미터에 불과하다. 경우에 따라, 반출유로(127)의 단부와 FDG합성모듈(200) 사이에 연결관로를 설치하더라도 이격 거리는 1미터 미만일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에 별도의 압축공기 펌프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유입유로(126)에 연결되는 헬륨 공급장치(미도시) 하나만으로도 화합물의 합성 및 운반에 있어서 충분하다. 즉, 압축 헬륨가스 봄베와 연결된 합성장치의 마이크로 가스 유량 조절기를 이용하여 가스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화합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시린지 펌프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합성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타겟챔버(124)의 주위에 붕소를 포함한 플라스틱체를 설치하여 고에너지 중성자빔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H2 180과 반응하게 되는 중성자를 최소화하고 H2 180과 양성자 사이의 핵반응 확률을 높일 수 있다.
FDG합성모듈(200)의 제1홀(221a)(도 5 참조)은 반출유로(127)의 단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되는 경우에는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FDG합성모듈(200)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20 센티미터 이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13 센티미터, 세로 11 센티미터로 제작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의 FDG합성모듈과 베이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FDG합성모듈(200)은 베이스 유닛(300)의 베이스(3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320)은 FDG합성모듈(200)의 반응챔버(229,239)를 외부에서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FDG합성모듈(200)의 반응챔버(229,239)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서 온도조절유닛(320)에 의한 가열 또는 냉각의 효과가 직접적으로 반응챔버(229.239) 내부로 미칠 수 있다. 또는 FDG합성모듈(200)의 하면에는 온도조절유닛(320)과 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온도조절유닛(320)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베이스(310)의 상면에는 방사선 검출 유닛(330)이 설치될 수 있다. 방사선 검출 유닛(330)에는 온도조절유닛(320)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방사선 검출 유닛(330) 상면에는 FDG합성모듈(20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FDG합성모듈(200)은 하부커버(210), 제1모듈(220), 제2모듈(230), 상부커버(240), 제1필터(251), 제1~7밸브(261~267)를 포함한다.
하부커버(210)에는 온도조절유닛(320)이 제1모듈(220)의 반응챔버(229,239) 하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관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모듈(220)에는 18F이 혼합된 H2 180 및 기타 FDG생성에 필요한 시료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가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유로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에 필요한 물질의 이동통로이다.
제2모듈(230)의 하면은 오목홈이 없는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모듈(220)에 형성된 유로에 대응되는 형태로 오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모듈(230)에는 제1~7밸브(261~267)(열 용융 밸브)가 설치되도록 제1~7밸브 설치홈(231~23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모듈(220)과 제2모듈(230)은 테플론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프레임에 테플론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240)에는 제1필터(251)가 설치되도록 제1필터설치홈(248a,248b), 제1~7밸브(261~267)가 설치되도록 제1~7밸브 설치홈(241~24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7밸브(261~267)(열 용융 밸브)는 제어유닛(400)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전자식 밸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7밸브는 내부에 열에 약한 수지 재질의 충진부와, 충진부를 둘러싸거나 충진부 내부에 삽입된 히터코일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형 밸브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히터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충진부가 녹아내리면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밸브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개방형 밸브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류가 인가되기 전에는 충진부가 유로를 폐쇄하고 있으며, 전류가 히터코일에 인가되면 충진부가 녹아내리면서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DG생성모듈의 제1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18F이 혼합된 H2 180이 투입되도록 일측면에 제1홀(221a)이 형성된다. 18F이 혼합된 H2 180는 대략 1 밀리리터가 대략 10~15초 동안 제1홀(221a)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18F이 혼합된 H2 180은 제1모듈(220)에 형성된 제1 유로(222a)의 끝단까지 흐른 다음에 제2모듈(230)에 형성된 제1홀(238a)(도 4 참조)을 통하여 제1필터(251)로 진입하게 된다.
제1필터(251)는 18F는 고정하는 반면, H2 180는 통과시킨다. 제1필터(251)로서 AG1-X8 또는 음이온 교환수지 카트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필터는 제2모듈에 일체로 삽입설치될 수도 있다.
18F이 필터링된 H2 180는 제2모듈(230)의 제2홀(238b) 내부로 반입되고, 제1모듈(220)에 형성된 제3유로(222c)로 흐르게 된다. 제3유로(222c)로 흘러들어간 H2 180는 제1밸브설치홈(223a)에 삽입된 제1밸브(261)를 관통하여 제4유로(222d)로 흐르게 되며 제3홀(221c)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유닛(400)은 제1밸브(261)를 제어하여 닫힘상태(close)로 전환되도록 함에 따라 제3유로(222c)와 제4유로(222d)는 서로 차단된다. 이어서, 제어유닛(400)은 제2밸브(262)를 제어하여 열림상태(open)로 전환되도록 함에 따라 제3유로(222c)와 제5유로(222e)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18F이 필터링된 H2 180이 배출되고 나면, 제2홀(221b)을 통하여 제2유로(222b)로 TBAHCO3(50~100 마이크로 리터)와 MeOH(약 700 마이크로 리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필터(251)에 고정되었던 18F은 TBAHCO3 및 MeOH와 함께 제3유로(222c)로 흘러나가게 된다.
제1밸브(261)는 차단된 상태이며, 제2밸브(262)는 개방상태이므로 18F은 TBAHCO3 및 MeOH와 함께 제5유로(222e)를 흘러서 반응챔버(229,239)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유닛(400)은 제3밸브(263)를 제어하여 닫힘상태(close)로 전환되도록 함에 따라 제5유로(222e)와 반응챔버(229,239)는 서로 차단된다.
나아가, 제어유닛(400)은 온도조절유닛(320)을 제어하여 반응챔버(229,239)가 섭씨 90도에 이르도록 함으로써 잔존하는 미량의 H2 180를 증발시킨다.
다음으로, mannosetriflate와 acetonitril(700 마이크로 리터)를 약 5~10초간 제4홀(221d)을 통하여 제7유로(222g)로 유입시킨다. mannosetriflate와 acetonitril가 반응챔버(229,239)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유닛(400)은 온도조절유닛(320)을 제어하여 반응챔버(229,239)가 섭씨 70~80도에 이르도록 가열한다. 나아가, 제어유닛(400)은 제5밸브(265)를 제어하여 닫힘상태(close)로 전환되도록 함에 따라 제7유로(222g)와 반응챔버(229,239)는 서로 차단된다.
다음으로, 제어유닛(400)은 온도조절유닛(320)을 제어하여 반응챔버(229,239)가 상온에 도달하도록 냉각한다.
다음으로 HCl(700 마이크로리터)를 제5홀(221e)을 통하여 제6유로(222f)로 유입시킨다. HCl이 반응챔버(229,239)에 도달하면 제어유닛(400)은 온도조절유닛(320)을 제어하여 반응챔버(229,239)가 70~80도에 도달하도록 가열한 다음에 다시 냉각한다.
나아가, 제어유닛(400)은 제4밸브(264)를 제어하여 닫힘상태(close)로 전환되도록 함에 따라 제6유로(222f)와 반응챔버(229,239)는 서로 차단된다.
다음으로, 제어유닛(400)은 제7밸브(267)를 제어하여 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에 따라 제9유로(222i)와 반응챔버(229,239)가 서로 개방된다.
다음으로, 질소 가스를 제6홀(221f)을 통하여 제8유로(222h)로 유입시킴으로써 반응챔버(229,239) 내부에 위치하는 반응물질이 개방상태로 전환된 제7밸브(267)를 통과하여 제7홀(221g)로 반출된다.
제7홀(221g)로 반출된 반응물질은 KHCO3 + H2O가 담긴 바이알로 이송되어 중성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alumina cartridge를 통과하도록 하여 잔존하는 18F이 필터링된 FDG는 식염수가 담긴 바이알로 이송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온도조절유닛에 의한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의 온도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면이다.
온도조절유닛(320)은 FDG합성모듈(200)의 가열 또는 냉각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조절유닛(320)은 FDG합성모듈(200)의 반응챔버(229,239) 내부를 가열 또는 냉각한다.
온도조절유닛(320)은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 특히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펠티에 소자(Peltier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펠티에 소자(Peltier device)는 2 종류의 금속 접합부에 전류를 통하게 하면, 한쪽의 금속으로부터 다른 금속으로 열이 이동하는 효과를 이용하는 소자이다. 즉, 한쪽 금속에서는 발열 현상이 발생하고, 다른 금속에서는 흡열(냉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6a은 FDG합성모듈(200)과 베이스 유닛(300)이 서로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DG합성모듈(200) 내부에는 방사성 화합물이 생성되는 반응챔버(229,239)가 형성되어 있다. FDG합성모듈(200)에 있어서 반응챔버(229,239)의 하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오목부(200a)가 형성되어 있다.
온도조절유닛(320)은 베이스(3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FDG합성모듈(200)과 베이스 유닛(300)이 서로 결합될 때에 온도조절유닛(320)은 오목부(200a)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b는 FDG합성모듈(200)과 베이스 유닛(3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반응챔버(229,239)의 내부를 가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즉, 온도조절유닛(320)의단자(321)를 통하여 전류(i)가 소정의 방향으로 흐르면 온도조절유닛(320)의 상면에서는 발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응챔버(229,239)의 내부는 가열된다.
도 6c는 FDG합성모듈(200)과 베이스 유닛(3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반응챔버(229,239)의 내부를 냉각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즉, 온도조절유닛(320)의단자(321)를 통하여 전류(i)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면 온도조절유닛(320)의 상면에서는 냉각반응(흡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응챔버(229,239)의 내부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전류의 흐름 방향만을 전환함으로써 신속하게 가열모드에서 냉각모드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응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온도조절유닛(320)의 면적은 20㎟ 정도로 비교적 작다. 따라서, 별도의 가열장치와 냉각장치를 각각 구비하게 되면 장치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같은 온도조절유닛(320)을 적용하게 되면 장치의 크기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d는 FDG합성모듈(200)과 베이스 유닛(300)이 서로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즉, 합성반응이 완료된 다음에 사용이 완료된 FDG합성모듈(200)은 후속작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또는 폐기하기 위하여 베이스 유닛(300)으로부터 분리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8)

  1. 내부에서 방사성 화합물이 합성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 및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한 유체 또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에 필요한 물질의 이동통로인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상에 반응챔버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은 상기 방사성 화합물을 1회 합성한 후에 폐기되는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본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는 18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반응챔버의 내부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제1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반응챔버의 내부를 가열하며,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반응챔버의 내부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이도 가열 및 냉각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과 상기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에 있어서 상기 반응챔버의 직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KR1020120050660A 2011-05-13 2012-05-14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KR10128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3748 WO2012157920A2 (ko) 2011-05-13 2012-05-14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244 2011-05-13
KR20110045244 2011-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327A true KR20120127327A (ko) 2012-11-21
KR101288867B1 KR101288867B1 (ko) 2013-07-23

Family

ID=4751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60A KR101288867B1 (ko) 2011-05-13 2012-05-14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8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893B1 (ko) * 2013-05-10 2014-06-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밀폐성이 향상된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KR101413629B1 (ko) * 2013-05-10 2014-07-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키트로 구성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WO2014175714A1 (ko) * 2013-04-26 2014-10-30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 제조방법 및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KR101465654B1 (ko) * 2013-04-26 2014-11-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성 화합물 합성유닛
KR101465655B1 (ko) * 2013-05-09 2014-12-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중간블록이 포함된 온도조절유닛을 갖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997B1 (ko) * 2002-12-10 2012-03-28 이온빔 어플리케이션스 에스.에이. 방사성 동위 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410716B2 (ja) * 2005-03-31 2010-0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射性同位元素製造装置
WO2008091694A2 (en) * 2007-01-23 2008-07-31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Fully-automated microfluidic system for the synthesis of radiolabeled biomarkers f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KR101176710B1 (ko) * 2007-04-12 2012-08-23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용 바이오마커를 위한 미세유체 방사합성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5714A1 (ko) * 2013-04-26 2014-10-30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 제조방법 및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KR101465654B1 (ko) * 2013-04-26 2014-11-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성 화합물 합성유닛
KR101465655B1 (ko) * 2013-05-09 2014-12-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중간블록이 포함된 온도조절유닛을 갖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시스템
KR101409893B1 (ko) * 2013-05-10 2014-06-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밀폐성이 향상된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KR101413629B1 (ko) * 2013-05-10 2014-07-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키트로 구성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867B1 (ko)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867B1 (ko)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US20200270722A1 (en) Production of Copper-67 from an Enriched Zinc-68 Target
US8435454B2 (en) Modular system for radiosynthesis with multi-run capabilities and reduced risk of radiation exposure
KR101176710B1 (ko)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용 바이오마커를 위한 미세유체 방사합성 시스템
US20110008215A1 (en) Modular system for radiosynthesis with multi-run capabilities and reduced risk of radiation exposure
CN103621189A (zh) 一种用于放射性同位素生产系统的靶设备
US97546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99mTc reaction product
US20100086095A1 (en) Radioisotop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radioisotope manufacturing method
CN107405596A (zh) 附加放射合成器装置
KR101288866B1 (ko) 방사성 화합물 합성을 위한 원격제어시스템
Ovdiichuk et al. Implementation of iMiDEV™, a new fully automated microfluidic platform for radiopharmaceutical production
KR101366689B1 (ko)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KR101293158B1 (ko) 방사성 화합물 합성모듈
KR101347747B1 (ko) 열 용융 밸브를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
KR101245790B1 (ko)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
KR101642091B1 (ko)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 및 합성방법
WO2012157920A2 (ko)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 시스템
KR20120127380A (ko)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
JP2020514706A (ja) 放射性同位体を生成するためのガスターゲットシステム
KR101465655B1 (ko) 중간블록이 포함된 온도조절유닛을 갖는 방사성 화합물 합성시스템
KR101633250B1 (ko) 방사성 화합물 합성장치
KR101726378B1 (ko) 일체형 타겟 스테이션
KR101465654B1 (ko) 방사성 화합물 합성유닛
Klopenkov et al. System of Solid Targets for the Production of a Wide Range of Radionuclides
Tseng et al. PDMS evaporation chip to concentrate [18F] fluoride for synthesis of PET tracers in microfluid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