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883A -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883A
KR20120125883A KR1020110043608A KR20110043608A KR20120125883A KR 20120125883 A KR20120125883 A KR 20120125883A KR 1020110043608 A KR1020110043608 A KR 1020110043608A KR 20110043608 A KR20110043608 A KR 20110043608A KR 20120125883 A KR20120125883 A KR 20120125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nanoceramic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복
Original Assignee
이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복 filed Critical 이영복
Priority to KR102011004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5883A/ko
Publication of KR2012012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8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나노세라믹과 마치현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스킨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탄력 증진, 항알러지 효과, 피부 진정작용, 피부 수분공급, 피부노화 지연효과, 유연성 지속 등의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맑고 투명하고 깨끗한 피부를 가꾸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자외선에 피부가 노출되면 피부 표피가 검게 된다. 이는 멜라노사이트내에서 멜라닌이 합성되고 방출되는 것에 기인하며, 구체적으로는 세포 내의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고, 이러한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발적인 산화 반응을 거쳐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피부가 검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상기 멜라닌 생성의 주요 인자인 티로시나아제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 주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며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히드로퀴논, 아스콜빈산, 코직산, 글루타치온, 상백피 추출물, 알부틴을 비롯한 다양한 추출물들이 이용되어 왔다.
아스콜빈산, 상백피 추출물, 코직산, 글루타치온 등은 피부 흑색화나 피부병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지만, 피부의 안전성과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 되어 있다. 또한 히드로퀴논은 기미 치료가 목적인 약으로 이미 미국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지만 피부 자극성이 있어 사용상에 제한이 있었다.
그리하여 새롭게 개발된 미백제가 알부틴이다. 그리고, 이미 알부틴은 비정상적인 색소축적에 의한 기미, 주근깨, 점 등의 생성을 억제하고 광노화에 의한 피부 병변들 중 과다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시켜 주는 작용이 있어 미백효과가 우수하나 알부틴은 가격이 고가이고 알부틴 하나의 성분으로 한정된 범위내에서의 미백효과를 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백화장품에서 사용되는 미백성분은 그 작용기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이미 생성된 멜라닌 색소를 환원해 탈색시키는 것으로 비타민 C 등이 있다. 또 하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직접 작용해 멜라닌색소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부틴이나 엘라그산 등이 있다.
태양광선 가운데 자외선이나 스트레스, 대기오염 등에 피부가 노출되면 피부 속에서 프리라디칼인 활성산소가 발생, 그 자극에 의해 멜라노사이트(색소세포)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멜라노사이트는 멜라닌색소를 만들어내는 원인이 되는 효소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작용을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멜라노사이트 안의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제에 의해 멜라닌색소로 변환되어 주근께와 기미가 생긴다.
이와 같이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색소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알부틴을 화장품에 첨가하고 있으나 알부틴은 고가인 관계로 이의 대체품으로 최근 대량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의 결과물로 개발된 알파 알부틴이 매우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알파 알부틴은 주근깨와 기미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색소를 만들어내는 효소 티로시나제에 작용해 멜라닌색소의 생산을 강력하게 억제한다. 알파 알부틴은 미생물에서 유래된 효소를 이용한 당전이 반응에 의해 히드로퀴논(hydroquinone)에 포도당을 1개 결합시킨 물질이다. 기존의 알부틴과는 포도당의 결합 양상이 다르며 그 억제효과는 알부틴보다 약 10배 가량 높아 강한 미백효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알부틴이 함유된 미백 기능성 화장품에 대하여 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 제2002-71호(2002년 12월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 의해 그 성분과 함량에 따른 기준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탄력 증진, 항알러지 효과, 피부 진정작용, 피부 수분공급, 피부노화 지연효과, 유연성 지속 등의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수상 파트로서 알부틴 2.0 내지 3.0 중량%, 아데노신 0.04 내지 0.1 중량%, 감초 엑기스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10.0 중량%, 부틸렌글리콜 1.0 내지 8.0 중량%, 이디티에이 0.01 내지 1.0 중량%, 알지닌 0.01 내지 1.0 중량%, 카보머 0.01 내지 1.0 중량%, 베타인 1.0 내지 5.0 중량%, 정제수 30.0 내지 70.0 중량%; 알콜 파트로서 메틸파라벤 0.01 내지 1.05 중량%, 에틸파라벤 0.01 내지 1.0 중량%, 향료 0.01 내지 1.0 중량%, 에탄올 0.1 내지 10.0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1 내지 2.5 중량%; 미용 성분 파트로서 마치현 추출물 0.5 내지 10.0 중량%, 한방발효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 및 나노세라믹 1.0 내지 50.0 중량%를 포함하고, 스킨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노세라믹은 SiO2 58 내지 60 중량%, Al2O3 15 내지 17 중량%, Fe2O3 6 내지 7 중량%, CaO 4 내지 5 중량%, MgO 2 내지 3 중량%, K2O 3 내지 4 중량%, Na2O 2 내지 3 중량%, P2O5 0.1 내지 1 중량%, 게르마늄 0.5 내지 4 ppm을 함유하고, 잔량은 기타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는 심성화강암이며, 이 나노세라믹의 입자크기는 10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한방발효추출물은 민들레, 백복령, 천문동, 하수오, 접골목, 다시마, 함초, 인진쑥, 검은깨, 검은콩, 한련초, 숙지황, 감초, 살구씨, 가자, 누에똥, 승마, 백지, 어성초, 솔잎, 녹두, 쌀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나노세라믹과 각종 천연 한방 성분들을 함유하여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다. 특히, 나노세라믹의 나노 입자가 표피와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미네랄 공급과 함께 피부세포간 물질을 활발하게 교류시켜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특히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탄력 증진, 항알러지 효과, 피부 진정작용, 피부 수분공급, 피부노화 지연효과, 유연성 지속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나노세라믹 및 한방성분 등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스킨 화장품인데, 수상 파트로서 알부틴 2.0 내지 3.0 중량%, 아데노신 0.04 내지 0.1 중량%, 감초 엑기스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10.0 중량%, 부틸렌글리콜 1.0 내지 8.0 중량%, 이디티에이 0.01 내지 1.0 중량%, 알지닌 0.01 내지 1.0 중량%, 카보머 0.01 내지 1.0 중량%, 베타인 1.0 내지 5.0 중량%, 정제수 30.0 내지 70.0 중량%; 알콜 파트로서 메틸파라벤 0.01 내지 1.05 중량%, 에틸파라벤 0.01 내지 1.0 중량%, 향료 0.01 내지 1.0 중량%, 에탄올 0.1 내지 10.0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1 내지 2.5 중량%; 미용 성분 파트로서 마치현 추출물 0.5 내지 10.0 중량%, 한방발효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 및 나노세라믹 1.0 내지 50.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노세라믹은 SiO2 71 내지 73 중량%, Al2O3 15 내지 17 중량%, Fe2O3 0.1 내지 1 중량%, CaO 1 내지 2 중량%, MgO 0.1 내지 중량%, K2O 5 내지 7 중량%, Na2O 1 내지 3 중량%, P2O5 0.01 내지 0.1 중량%와 게르마늄 0.5 내지 4 ppm을 함유하고, 잔량은 기타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며, pH 7.5 내지 9.0인 심성화강암(이하, "심성화강암 F"라 칭함) 분말과;
SiO2 51 내지 53 중량%, Al2O3 15 내지 17 중량%, Fe2O3 8 내지 10 중량%, CaO 5 내지 6 중량%, MgO 4 내지 5 중량%, K2O 2 내지 3 중량%, Na2O 2 내지 3 중량%, P2O5 0.1 내지 1 중량%, TiO2 1 내지 2 중량%, Mn0 0.1 내지 1 중량%와 게르마늄 0.5 내지 4 ppm을 함유하고, 잔량은 기타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며, pH 6.5 내지 7.0인 심성화강암(이하, "심성화강암 G"라 칭함) 분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심성화강암 분말로 기능성 재료를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성화강암 F:G의 비율을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지며, SiO2 58 내지 60 중량%, Al2O3 15 내지 17 중량%, Fe2O3 6 내지 7 중량%, CaO 4 내지 5 중량%, MgO 2 내지 3 중량%, K2O 3 내지 4 중량%, Na2O 2 내지 3 중량%, P2O5 0.1 내지 1 중량%, 게르마늄 0.5 내지 4 ppm을 함유하고, 잔량은 기타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며, pH 7.2 내지 7.9인 심성화강암(이하, "심성화강암 X"라 칭함) 분말로 구성된다.
이 나노세라믹 재료는 기능성 재료로서의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분말상태로 곧 바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여러 구조재료에 최대 80%까지 투입할 수 있어 효과 발현이 뛰어난 기능성 재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심성화강암은 지각 내의 순수 마그마가 환원 상태에서 냉각된 것으로 각각 특유의 색상을 가지며, 그 색상은 4,000℃ 이상의 고온 마그마가 냉각되어 형성된 고유의 색상이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0.92 이상인 것으로, 그 사용되는 심성화강암의 종류, 혼합 방법 및 혼합 비율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율이 변화되므로 다양한 특성 및 용도의 기능성 재료들을 얻을 수 있다.
즉, 심성화강암 F와, 심성화강암 G는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를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성화강암 F:G의 비율을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심성화강암 X를 사용한다.
상기 심성화강암 F와 심성화강암 G는 모두 분말상태로 제조되어 사용되며, 분말의 입도는 20 내지 100 ㎚인 것이 효과적이었다. 상기 분말의 입도가 100 ㎚보다 클 경우에는 통상적인 구조재료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 구조재료와 반응이 되지않아 분말상태로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 재료와의 혼합량을 많이 증가시킬 수 없어 기능성 재료로 인하여 발현되는 효과가 미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심성화강암 F와 심성화강암 G는 각각 열처리되어 사용됨으로써, 구조재료와의 반응을 일으키지만 반응 메커니즘은 밝혀진 바 없고, 각각 열처리온도가 상이하므로 이를 정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각각의 열처리조건 범주 미만일 경우에는 열처리 효과가 미약하여 기능성 재료로의 역할을 못할 뿐만아니라, 주조 재료와의 혼합시 많은 양으로 혼합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열처리조건 범주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열처리로의 온도와 실제적인 심성화강암들에 미치는 온도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정확히 보상해 주어야만 한다.
심성화강암 F는 1차 600℃, 2차 800℃, 3차 1,400℃에서 각각 60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심성화강암 G는 1차 350℃, 2차 850℃에서 각각 30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열처리조건은 생성화강암 분말의 입도, 혼합될 구조 재료 등의 조건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으며, 심성화강암 분말의 크기가 클수록 열처리 시간이 길어져야 한다. 한편, 심성화강암 F의 용융온도는 1,400℃이며, 심성화강암 G의 용융온도는 1,310℃이다.
마치현은 쇠비름과의 한해살이 풀로써 학명은 'Portulaca oleracea L' 이다. 전세계의 온대와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이풀은 우리나라 어느 곳에소든지 찾아볼 수 있는 흔한 풀이다. 잎 모양이 말의 이빨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해열, 해독, 지혈효과가 있어 세균성이질, 치질, 경부림프절염, 대하, 자궁출혈, 소변불리 등에 사용된다. 마치현은 독성이 없어 자극을 주지 않고 종기나 부종과 같은 피부병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어서 의약품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독성이 전혀 없는 식품으로서 옛 조상들이 즐겨먹던 음식(장명채)이었다. 또한 동의치료에서 청혈해독, 배농 이뇨작용이 있다 하여, 이질, 장염, 세균성 적리에 달여 먹었다. 임산부의 자궁을 수축시켜주는 작용을 하며, 여러가지 곪는 질병을 다스리는 작용을 한다. 마치현은 종기, 부종, 종창, 단독, 옴, 습진 등에 쓰였을 정도로 피부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게다가 벌레나 뱀독을 해독하는데 사용되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자극을 완화시키고 다량을 사용해도 부작용이 없으며 나물로 즐겨 먹을 만큼 독성이 거의 없다. 이러한 효능은 화장품이나 기타 환경에 의한 피부병 또는 화장독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다스리는데 큰 보탬이 되며, 실제로 이와 유사한 피부병에 고생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해 그 효능을 보았다. 마치현은 다량의 천연보습인자(NMF)를 함유하고 있다. 게다가 기존의 보습제가 지니고 있는 단점들인 끈적임과 두꺼운 막감으로 인해 용도에 따라 사용감각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료가 된다. 뿐만 아니라 화학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천연물 그 자체에서 보습제와 활성인자들을 동시에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보습제로 사용할 수 있다. 문헌을 살펴보면 마치현은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알라닌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수용성 다당류가 9~14%가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 비타민 B1, 니코틴산, 토코페롤, 미량의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마치현은 피부에 수분은 공급하고 피부건조를 예방하고, 우수한 항염 작용이 있어 피부자극과 알러지 반응을 진정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후라보노이드 성분과 카로틴, 비타민 B군이 항균작용과 해독작용을 하여 여드름을 완화하고, 면역력이 항진된 경우에는 억제를, 약한 경우에는 보강을 시켜주는 면역조절기능이 있으며, 비듬 및 모낭의 막힘을 억제하여 모발탄생과 모발 성장을 원활하게 도와준다.
민들레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복막염, 급성간염, 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제로도 사용한다.
백복령은 복령의 균핵을 말린 것으로 흰솔풍령이라고도 한다.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이 평하여 보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지만 강하지 않다. 옛날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폐경, 비경, 심경, 신경, 방광경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약리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 부활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비장이 허하여 몸이 붓는 경우와 담음병에 사용한다. 그밖에 게우는 데나 복수, 설사, 건망증, 수면장애 등에도 처방한다. 위, 간, 이자, 신장 등의 질병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이나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된다. 또 남녀의 임독성 질병은 물론 모든 성병과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봉령은 소나무 벌채 후 자연 상태에서 약 5 내지 9년이 경과되면 토양 속의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백색 혹은 회백색의 균괴(일명, 솔뿌리 혹)로서, 다당류, 유기산, 단백질, 비타민 D, 레시틴, 아데닌, 콜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 백봉령은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도와주고, 기미 피부에서 침착된 색소를 제거해주며, 노화 피부를 맑고 윤기나게 해주고, 특히 미백 효과와 혈액 순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모공 수축을 통한 보습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문동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서 남해의 해안가 풀숲이나 모래땅에 드문드문 생육하며 방추형의 뿌리줄기가 이용되며, 괴근에는 아스파라긴, 베타-시토스테롤, 5-메톡시-메탈푸랄, 점액질, 스테로이드사포닌(스밀라게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약리적으로는 아스파라긴이 거담작용, 진해작용, 항암작용, 약한 이뇨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급성 임파성 백혈병, 만성 단구성 백혈병, 급성 단구성 백혈병 환자의 백혈구 탈수소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폐렴쌍구균을 비롯한 그램 양성균에 대한 항균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기도 하다. 향약집성방에 의하면, 천문동은 폐, 신의 음을 보하고 열을 내리며 기침을 멈추게 하는 한편, 특히 미백 효과와 흰머리를 검은 머리로 만드는 데 효험이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하수오는 중국원산의 다년생 넝쿨 초본으로서 우리나라의 원야에 자생하며, 하수오의 덩어리 뿌리를 생약으로 이용한다. 주요 성분으로서 안트라퀴노이드로서 크리소파놀, 에모딘, 레인, 사이시온, 크리소파놀, 안트론 등을 함유하며, 다수의 녹말과 3.1%의 지방, 레시틴을 함유하고, 에모딘과 사이시온 유리형과 배당체형의 두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2,3,4,5'-테트라하이드록시스틸벤-2-0-β-D-글루코시드가 1.2% 이상 함유되어 있다. 하수오라는 명칭은 중국의 하 왕이 이를 먹고 흰머리가 검게 변하였다는 전설에 따른 것으로서, 동의보감에는 염증을 삭이고 가래와 담을 없애며, 종기, 치질, 만성피로, 산후병을 치료하고 기와 혈을 도우며 근골과 골수를 충실히 하며 모발을 검어지게 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접골목은 인동과에 딸린 잎지는 떨기나무다. 접골목은 이름 그대로 부러진 뼈를 붙이는 효능이 뛰어나다. 뼈가 부러지거나 베었을 때, 타박상이나 골절로 통증이 심할 때 접골목 을 달여서 마시고, 날것으로 줄기를 짓찧어 아픈 부위에 두껍게 붙이면 통증이 없어지면서 잘 낫는다. 자연 약초 가운데서 통증을 멎게 하는 효력이 가장 빠른 것이 접골목이다. 접골목은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손발 삔 데, 타박상, 골절, 관절염, 신경통, 부종, 소변을 잘 못 보는 데, 통풍, 신장염, 신경쇠약, 구내염, 인후염, 산후빈혈, 황달 등의 여러 질병에 약으로 쓴다. 꽃에는 땀을 잘 나게 하는 배당체와 루틴, 정유, 탄닌질, 콜린, 점액, 유기산, 수지, 당, 삼부니그린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삼부니그린은 신선한 꽃에 있고 말리면 분해되어 없어진다. 정유 성분은 테르펜 화합물로 향기가 좋다. 꽃을 따서 말리면 향기가 더 세게 난다. 꽃은 땀을 나게 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감기 몸살에 쓴다. 접골목은 타박상이나 어혈이 뭉쳐서 생기는 통증, 뼈마디가 쑤시고 아픈 데, 관절염, 각기통풍, 발목이나 손목 삔 데, 디스크, 뼈 부러진 데 등에 신통하다고 할 만큼 잘 듣는다.
다시마는 갈조식물 다시마과의 한 속으로, 카드뮴, 납 등 유해 중금속의 체내 축적을 방지하고, 방사선, 핵종, 스트론튬(Sr) 및 세슘(Cs)의 흡수 억제 효과가 있다.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체외 배출효과가 있고, 간장 등 장기조직의 세포노화를 억제하고 조혈작용이 있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므로 피부노화 억제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또한 혈행을 좋게 하여 피부를 매끄럽고 탄력 있게 해 준다. 노화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인 체내의 혈중 과산화 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소화효소로 분해되지 않는 성분으로 음식물이 장 속에 머무르는 시간을 단축하여 노폐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비만 방지 효과가 있고, 악성 종양의 원인 물질을 흡착, 결합하여 그대로 변과 함께 배출시켜 정상세포의 암세포화를 막는 기능이 있어 암 발생 예방의 효과가 있다. 음식물 중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체내 흡수 효과가 커서 동맥 경화 등 성인병의 예방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위 내부에서 점액층을 형성하여 점막 표면을 보호하기 때문으로 위점막 보호 효과가 있다. 다시마는 뼈의 성장 발육, 특히 골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칼슘량을 늘인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다시마는 담을 없애고 오줌내기 작용이 있다고 하여 라력, 물고임, 고환종롱에 사용된다. 또한 동맥경화증, 괴혈병의 식사요법 및 예방 목적으로 써 왔으며 다시마 가루를 하루에 1번 한 숟가락 정도 잠자기 전에 먹거나 반 숟가락 정도 3회 걸려 먹으면 다당류가 많으므로 위장에 내용물을 내보내게 되어 위장간의 운동기능 조절 약으로서 비만 및 변비에 특효이다. 본초경소론에 따르면 곤포라하여 막힌 것을 풀어주고 응어리진 것을 헤쳐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함초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한해살이 풀로 우리말로는 퉁퉁마디라고 부르며,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 하여 산호초라고도 한다. 함초는 그 이름대로 맛이 몹시 짜다. 함초는 거의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중국 의학서 신농본초경에는 함초로 일본의 대화본초에는 신초 또는 복초, 염초로 기록되어 있는 이 풀은 몸 안에 쌓인 독소와 숙변을 없애고, 암, 자궁근종, 축농증, 고혈압, 저혈압, 요통, 당뇨병, 기관지천식, 갑상선 기능저하, 갑상선 기능항진, 피부병, 관절염 등 갖가지 난치병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는 놀라운 약초이다.
인진쑥은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를 가리킨다. 예부터 간을 이롭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또한 황달에 효험이 큰 약으로 이름 높다. 이담작용이 높아 담즙을 많이 나오게 하는 동시에 담즙 속의 덩어리와 콜산, 빌리루빈을 밖으로 배출하여 간을 깨끗하게 한다. 또한 혈압을 낮추고 열을 내리며 결핵균을 비롯한 갖가지 균을 죽인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매우 차다. 방광경,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소변을 잘 보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담즙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열작용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진쑥은 발암곰팡이와 발암독물을 억제하는 힘이 매우 강해서 항암제로서도 가능성이 있다. 인진쑥 달인 물은 암세포를 21% 억제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되었다. 인진쑥은 민간에서 황달이나 간염, 간경화 등 간장병 치료에 흔히 쓴다.
검은깨는 전통적으로 조미료로서 뿐만 아니라 보약으로 인정되어 왔으며, 단백질 19.65%, 지방 44.15%, 유기물 19.43%, 재성분 20.12%, 수분 6.65%로 구성되고, 올레인산 48%, 리놀산 37%, 팔미틴산 8%, 스테아린산 5%, 이밖에 피로스테린, 세사민 등이 들어있으며 비타민 B1, 비타민 E가 많다. 검은 깨는 만성위장염, 신경염, 고혈압, 변비, 강정, 빈혈 등에 대한 효과가 우수함과 동시에, 본초학에 의하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피부와 머리카락을 윤택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히, 검은 깨는 두피 건강에 영향을 주어 탈모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며 감마토코페롤(비타민 E의 일종)이 항산화 작용을 높여서 대머리에도 효과가 있는 등 노화방지 및 탈모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5-알파 환원효소의 저해제인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탈모를 방지하며, 리놀산,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이 혈액을 부드럽게 해주며 비타민 E가 말초혈관의 혈류를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높여 줌과 아울러, 다량 함유되어 있는 트립토판은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모발에 윤기를 주며, 한방에서는 탈모가 혈액이 폐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바, 두피의 혈행을 좋게 하고 혈액을 보충하므로 탈모예방 및 검정 머리카락 재생과 발모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은콩은 낟알 껍질의 빛깔이 검은빛을 띠는 콩으로 일반 콩에 비해 노화방지 성분이 많고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 콩은 흔히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부를 정도로 영양가가 뛰어나다. 검은콩은 일반 콩과 비교하여 영양소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노화방지 성분이 4배나 많고,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본초강목에는 검은콩의 효능에 대하여 신장을 다스리고 부종을 없애며,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모든 약의 독을 풀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모발 성장에 필수 성분인 시스테인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를 방지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꾸준히 복용하면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준다.
한련초는 신장을 건강하게 하며 탈모를 치료한다. 한련초의 즙은 검은색이며, 신장을 건강하게 하는데 모발은 신장과 관계가 많다. 한련초는 성질이 차가워 젊은 사람의 상열감으로 인한 탈모에 적합하다. 또한, 한련초의 차가운 성질은 열을 떨어뜨리고 지혈시키며 단맛은 간장과 신장을 건강하게 하고 신맛은 수렴시키는 효능이 있다. 코피, 피를 토하는 것, 혈뇨, 혈변, 하혈 등을 치료한다. 또한, 한련초는 피부병을 치료한다. 한련초의 신맛은 수렴시키는 효능이 있어 종기와 가려움증을 치료한다. 처음에는 피부가 붉어지면서 붓고 가렵다가 물집이 생기는데 한련초를 사용해 치료한다.
숙지황은 사물탕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 인후건조,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사물탕은 여성의 출산 후나 월경 등으로 인한 과다출혈, 허약, 어지럼증 등에 널리 쓰인다. 예로부터 허담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어 차로 달여 마셨으며, 기침과 천식에 복령, 반하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 밖에도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 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 궤양을 억제한다.
살구씨는 행인이라고도 불리며, 불포화 지방산과 여러 가지 피부에 좋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잡티 제거 및 주근깨 예방에 효과적이다. 살구씨의 추출물인 오일은 예로부터 피부 미백에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 소염 기능이 있어 지성 피부에도 효과적이다. 살구씨는 잔주름과, 기미 주근깨를 예방하고 오래된 각질을 제거하는 기능과 햇볕에 탄 피부를 재생시키는 기능을 하며, 특히 거친 피부, 노화피부 등에 효과가 탁월하다.
가자는 가자나무의 열매로서, 폐의 기능을 돕고 얼굴이나 가슴에 있는 기를 내리며 오래된 담을 삭히고 숨이 차는 것을 치료한다. 위장을 튼튼하게 하여 오래된 설사를 멎게 하고 이질, 대하, 탈항에도 효과가 있다. 가슴에 기가 몰린 것을 풀어주고 명치끝이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을 치료하며 먹은 것을 잘 삭혀 소화를 쉽게 하고 입맛을 돋구고 안태시킨다. 특히 화장 수렴제, 피부 컨디셔닝제로 유용하다.
누에똥은 잠사라고도 하며, 한의학에서는 풍을 없애고 위를 조화시킨다고 하여 풍습비증,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플 때, 위경련, 피부 가려움증 등에 사용된다. 농업진흥청의 실험에 의하면 인위적으로 아토피염을 발생시킨 쥐에 잠사를 하루 두 차례씩 바른 결과, 50-90%까지 피부염이 완화되었다. 잠사는 각질 제거와 기미, 노화 피부에 효과적이고, 탈모예방 및 모발성장 속도 증진에도 효과적이다.
승마는 풍열로 인한 피부병, 마진 등의 피부병이 올라오지 않은 곳에 효과적이고, 열이 올라서 생긴 병. 즉 구창, 인후통, 치통 등에 좋고, 양기가 없는 증세 즉 탈항, 자궁하수 등에 좋다.
백지는 유행성 감기로 인한 두통, 코막힘, 콧물을 다스리는 진통약이며, 위장장애, 산전 산후두통, 어지럼증, 치통, 안면신경통, 마비 등에 유효하다. 또한 월경 뒤 하혈이나, 대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 창양, 종독, 피부궤양 등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항균 작용, 동물의 연수 혈관 운동 중추, 호흡중추, 미주 신경 및 척수부의 흥분 작용,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작용, 백전풍(살갗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증), 은설병(만성피부병으로, 홍반과 구진으로 인하여 피부 표면에 여러 층으로 된 백색 비늘가루가 생기는 병증)에 유효작용이 보고되었다.
어성초는 해열, 배농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 때,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에 쓰며,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 때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 어성초는 여드름, 피부 트러블, 피부 진정, 세포재생촉진, 지성피부, 아토피, 화장독 제거에 좋다.
솔잎은 동의보감에도 풍습창을 다스리고 머리털을 나게 하며, 오장육부를 편하게 하고, 곡식대용으로 쓰인다고 되어 있다. 솔잎은 체질에 별로 구애를 받지 않아 누구나 쉽게 먹을 수 있으며 각종 질병의 치료와 예방뿐 아니라 강정 효과도 우수하다. 솔잎에는 비타민 A, C, K, 엽록소, 칼슘, 철분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이 들어있다. 또한 체내 합성이 불가능한 8종류의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우수한 단백질원이기도 하다. 솔잎은 체내의 콜레스테롤치를 내리고, 말초신경을 확장시켜 호르몬의 분비를 높이는 등 몸의 조직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하므로 고혈압, 심근경색 등에 효과적이다. 또 신경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감기 예방과 치료에도 큰 도움을 준다. 솔잎은 혈당을 낮춰주는 성분인 글리코키닌도 포함하고 있어 당뇨병에도 도움을 준다. 비타민 C와 철분이 풍부해 빈혈에도 좋다. 뿐만 아니라 솔잎 성분 중에는 담배 유해물질인 니코틴 독을 제거시켜주고 소화기의 기능을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 그외에도 머리털을 나게 하고 흰머리를 검은 머리로 만들어주며, 눈이나 귀가 밝아지는 등 노화방지에도 효과적이다.
녹두는 비타민 C를 풍부하게 함유하여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녹두는 노화를 억제하는 호르몬인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여 노화를 물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하는데에 탁월하다. 또한 녹두는 피부 질환을 진정시키는 효능도 좋다.
쌀겨는 비타민, 철분, 인,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여 가려움증 있는 만성 피부질환을 고치는 민간용법으로 사용되어왔고, 기미, 잔주름, 클렌징 및 아토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상파트를 상온에서 교반기로 10분간 용해한 후, 나노세라믹을 서서히 첨가하여 10분간 나노화시킨다. 미리 알콜파트를 상온에서 5분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나노 화장수를 만든다. 다음 미용 성분을 첨가한 후, 15분간 500 rpm으로 혼합 교반시킨다. 마지막으로 300 mesh로 여과한 후 3일간 숙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상파트와 유상파트를 각각 80℃에서 용해시킨 후, 수상파트에 유상파트를 첨가하여 5분간 호모믹서에서 3000 rpm으로 나노 유화한다. 50℃까지 냉각한 후, 미용성분을 첨가하여 유화한다. 40℃에서 나노세라믹을 서서히 첨가하여 10분간 혼합 유화하고, 상온에서 3일간 숙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상파트와 유상파트를 각각 75℃에서 용해시킨 후, 수상파트에 유상파트를 서서히 첨가하여 5분간 호모믹서에서 3500 rpm으로 나노 유화시킨다. 50℃까지 냉각한 후, 나노세라믹을 첨가하여 혼합 유화한다. 45℃까지 냉각한 후, 미용성분을 첨가 혼합한다. 3일간 상온 숙성시킨다.
나노세라믹은 미네랄성분이 풍부하고, 음이온과 원적외선 및 나노화된 성분으로 피부와 제품에 영양흡수가 빠르고, 독소는 배출하며, 살균 소독기능은 강하고, 효과는 서서히 지속적인 시너지 작용으로 미백, 보습탄력, 주름개선, 트러블 예방 및 개선효과 등을 발휘하여 언제나 젊고 아름다운 건강한 피부로 만들고 유지시켜 준다.
[실시예]
표 1의 조성대로 스킨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파트를 상온에서 교반기로 10분간 용해한 후, 나노세라믹을 서서히 첨가하여 10분간 나노화시켰다. 미리 알콜파트를 상온에서 5분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나노 화장수를 만들었다. 다음 미용 성분을 첨가한 후, 15분간 500 rpm으로 혼합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300 mesh로 여과한 후 3일간 숙성시켰다.
이때, 나노세라믹으로는 SiO2 72.0 중량%, Al2O3 15.6 중량%, Fe2O3 0.74 중량%, CaO 1.45 중량%, MgO 0.46 중량%, K2O 5.11 중량%, Na2O 1.95 중량%, P2O5 0.036 중량%와 게르마늄 0.5 내지 4 ppm을 함유하고, 잔량은 기타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는 심성화강암 F를 20 내지 100 ㎚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여 분말을 얻고, 이를 1차 600℃, 2차 800℃, 3차 1,400℃에서 각각 60분 동안 열처리한 후, SiO2 52.07 중량%, Al2O3 16.05 중량%, Fe2O3 9.15 중량%, CaO 5.57 중량%, MgO 4.09 중량%, K2O 2.36 중량%, Na2O 2.14 중량%, P2O5 0.24 중량%, TiO2 1.03 중량%, Mn0 0.16 중량%와 게르마늄 2 ppm을 함유하고, 잔량은 기타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는 심성화강암 G를 20 내지 100 ㎚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여 분말을 얻고, 이를 1차 350℃, 2차 850℃에서 각각 30분 동안 열처리한 다음, 상기와 같이 열처리된 심성화강암 F:G을 1:2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SiO2 58.71 중량%, Al2O3 15.9 중량%, Fe2O3 6.35 중량%, CaO 4.2 중량%, MgO 2.88 중량%, K2O 3.27 중량%, Na2O 2.07 중량%, P2O5 0.17 중량%와 게르마늄 2 ppm을 함유하고, 잔량은 기타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는 심성화강암 X를 얻어 사용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알부틴
아데노신
감초 엑기스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이디티에이
알지닌
카보머
베타인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향료
에탄올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마치현 추출물
한방발효추출물
나노세라믹
정제수
2.5
0.05
0.5
5.0
4.0
0.5
0.5
0.5
3.0
0.5
0.5
0.5
5.0
1.0
5.0
5
5
잔량
[비교예]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A사의 미백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품에 대하여 피부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때, 패널은 30명의 지원자를 대상자로 하였고, 피부개선 정도를 항목에 따른 설문 조사에 의해 측정하여 수치화하였다. 표 2는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의 화장품은 미백 효과 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탄력 증진
피부 진정작용
피부 수분공급
피부노화 지연
종합적인 기호도
4.4
4.3
4.2
4.1
4.1
4.2
4.2
4.2
3.7
3.5
3.4
3.5
3.6
3.4
3.7
3.6
*배점: 5-우수, 4-양호, 3-보통, 2-불량, 1-열등

Claims (3)

  1. 수상 파트로서 알부틴 2.0 내지 3.0 중량%, 아데노신 0.04 내지 0.1 중량%, 감초 엑기스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10.0 중량%, 부틸렌글리콜 1.0 내지 8.0 중량%, 이디티에이 0.01 내지 1.0 중량%, 알지닌 0.01 내지 1.0 중량%, 카보머 0.01 내지 1.0 중량%, 베타인 1.0 내지 5.0 중량%, 정제수 30.0 내지 70.0 중량%;
    알콜 파트로서 메틸파라벤 0.01 내지 1.05 중량%, 에틸파라벤 0.01 내지 1.0 중량%, 향료 0.01 내지 1.0 중량%, 에탄올 0.1 내지 10.0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1 내지 2.5 중량%;
    미용 성분 파트로서 마치현 추출물 0.5 내지 10.0 중량%, 한방발효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 및
    나노세라믹 1.0 내지 50.0 중량%를 포함하고,
    스킨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나노세라믹은 SiO2 58 내지 60 중량%, Al2O3 15 내지 17 중량%, Fe2O3 6 내지 7 중량%, CaO 4 내지 5 중량%, MgO 2 내지 3 중량%, K2O 3 내지 4 중량%, Na2O 2 내지 3 중량%, P2O5 0.1 내지 1 중량%, 게르마늄 0.5 내지 4 ppm을 함유하고, 잔량은 기타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는 심성화강암이며, 나노세라믹의 입자크기는 10 내지 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한방발효추출물은 민들레, 백복령, 천문동, 하수오, 접골목, 다시마, 함초, 인진쑥, 검은깨, 검은콩, 한련초, 숙지황, 감초, 살구씨, 가자, 누에똥, 승마, 백지, 어성초, 솔잎, 녹두, 쌀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0110043608A 2011-05-09 2011-05-09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120125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08A KR20120125883A (ko) 2011-05-09 2011-05-09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08A KR20120125883A (ko) 2011-05-09 2011-05-09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83A true KR20120125883A (ko) 2012-11-19

Family

ID=4751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608A KR20120125883A (ko) 2011-05-09 2011-05-09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58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9448A (zh) * 2018-10-17 2018-12-11 刘怀 草本白玉归颜膏
KR20210044539A (ko) 2019-10-15 2021-04-23 씨아이에스인터내셔날서비스(주) 발효 미강유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9448A (zh) * 2018-10-17 2018-12-11 刘怀 草本白玉归颜膏
KR20210044539A (ko) 2019-10-15 2021-04-23 씨아이에스인터내셔날서비스(주) 발효 미강유를 포함하는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Yashaswini et al. Health and nutrition from ornamentals
KR101977908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Hutchens A Handbook of Native American Herbs: The Pocket Guide to 125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CN104068279A (zh) 一种鳗鱼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156828A (zh) 一种适用于炎性肠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KR100873033B1 (ko)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6101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825376A (zh) 一种面膜洁颜粉及其制备方法
CN104068177A (zh) 天然植物保健益寿茶
KR20090085236A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KR100825436B1 (ko) 피부개선 미용비누 조성물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0986210B1 (ko) 건강보조제
KR20120125883A (ko)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CN110680794A (zh) 一种纯天然无化学添加剂的食品级珍珠蜂蜜茶味口腔护理组合物的绿色制备方法及其应用
KR20090057342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간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1336719B (zh) 一种排毒防癌营养粉
KR101058422B1 (ko)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456752A (zh) 一种美容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