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717A -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717A
KR20120125717A KR1020110043324A KR20110043324A KR20120125717A KR 20120125717 A KR20120125717 A KR 20120125717A KR 1020110043324 A KR1020110043324 A KR 1020110043324A KR 20110043324 A KR20110043324 A KR 20110043324A KR 20120125717 A KR20120125717 A KR 20120125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unit
unit
address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139B1 (ko
Inventor
김병두
Original Assignee
김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두 filed Critical 김병두
Priority to KR102011004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1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48Remote test, monitoring, diagnostic

Abstract

다수의 설비에 대한 제어파라미터 수취와 제어실행을 행하는 감시유닛에 대하여, 유동IP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되는 이동통신기기가 저비용 고효율로 보고수신 및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설비에 연결된 감시유닛의 유동IP를 중계하는 정보중계기에 이동통신기기가 접속하여 감시유닛의 현재의 유동IP를 취득하여 감시유닛에 접속한 후, 설비의 측정치를 전송받는다. 감시유닛에서 설비의 장애를 발견한 경우, 장애통보를 정보중계기에 보내면, 정보중계기에서 장애통보의 접수보고를 이동통신기기에 보낸다.

Description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다수의 설비에 대한 제어파라미터 수취와 제어실행을 행하는 감시유닛에 대하여, 유동IP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되는 이동통신기기가 저비용 고효율로 보고수신 및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에 대해서는, 장애나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일단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도 그 확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안전관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는, 기본적으로 그 전기설비를 담당하는 안전관리자에 의하여 수행된다.
대형 전기설비 수용가(수전용량 5000KW이상)에 대해서는, 인터넷 상의 중앙통제실의 중앙컴퓨터(대형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하는 한편, 구내의 각 전기설비에 자료추출용 감시유닛을 각각 부착하고, 상기 중앙컴퓨터와 각 감시유닛 사이에서 통신케이블(RS232 또는 RS485 규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다수의 안전관리자가 중앙통제실 및 각 전기설비, 예컨대 변전실에 상주하면서 관리를 행하므로, 평시의 지속적 관리와 장애발생시의 신속한 대응조치가 가능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이 확보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중형 전기설비 수용가(수전용량 5000KW 미만 1000KW 이상)에 대해서는, 1인 이상의 안전관리자가 관리하도록 되어 있지만, 24시간 전기설비, 예컨대 변전실에 상주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게다가 현실적으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업무를 겸임하여 수행하게 되므로, 평시의 지속적 관리 뿐 아니라 장애발생시의 판단이나 대응조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생겨서, 안전성이나 신뢰성이 낮다.
나아가서, 소형 전기설비 수용가(수전용량 1000KW 미만)의 경우에는, 전기안전관리를 외부 대행기관에 위탁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외부 대행기관 소속의 1인의 안전관리자는, 다수의 수용가를 담당하게 되어, 이들을 순회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평시의 지속적 관리는 물론, 장애발생시의 신속한 복구가 극히 곤란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의 확보가 거의 불가능하다.
여기서, 안전관리자의 인력에 의한 전기설비의 안전점검은, 전력을 차단한 정전상태에서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점검작업에서는 전압, 전류, 과열 등 제반상태를 담당자인 안전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점검한다. 따라서, 점검작업에 인력이 투입됨에 따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였고, 특히, 불의의 급전이나 잔류전하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인력에 의한 작업의 고비용과 불편, 안전 등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화된 감시장치가 이미 개발 및 운영 중에 있다. 그 일례로서, 수용가의 전기설비의 측정치를 그 전기설비에 설치된 감시유닛에서 수취하고, 설정치와 비교하여 전기설비의 장애로 판단되면, 모뎀을 통하여 원격지의 중앙통제실의 중앙컴퓨터에 보내며, 이 중앙컴퓨터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애로 판단되면, 그 전기설비의 담당자인 안전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방식의 본 출원인의 원격 전기감시방법(특허 제0336320호, 특허 제0396394호)이 등록되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다수의 감시유닛으로부터의 장애신고 및 장애데이터가, 모뎀을 통하여 인터넷으로 원격지의 중앙컴퓨터를 구성하는 대형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축적되고, 이 중앙컴퓨터가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시 장애 유무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고, 이 중앙컴퓨터에 안전관리자가 개인컴퓨터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아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제10-0336320호 등록공보 특허 제10-0396394호 등록공보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중앙컴퓨터를 구성하는 대형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구축과 관리, 이용비용은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에 이르는 상당한 고가이기 때문에, 중소형 전기설비 수용가에 대해서 원격감시장치의 설치나 채택 및 운영이 어려웠다. 게다가 상기 서버에는 다수의 감시유닛이 연결되므로, 집중시간대에는 통신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응답성이 저조하거나 불통이 되었다. 그리고, 분석 및 통신기능을 겸비하는 상기 서버 자체의 장애 시에는, 안전관리자가 담당 전기설비의 장애 여부도 알 수 없게 되어 있었다.
또한, 각 감시유닛과 상기 중앙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한 고정IP 비용은, 감시유닛의 설치대수에 비례하여 많은 비용발생을 초래하였다. 또한, 데이터 트래픽의 면에서, 각 감시유닛으로부터 상기 중앙컴퓨터로 장애데이터가 전송되고, 또한 거의 같은 양의 데이터가 상기 중앙컴퓨터에서 각 담당자의 개인컴퓨터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많은 대역폭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담당자가 상기 중앙컴퓨터가 설치된 중앙통제실 이외의 장소에서 개인컴퓨터를 소지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컴퓨터로부터 통지된 간략한 장애발생 사실만 인지할 수 있을 뿐, 정확한 장애의 상태 및 데이터를 확인하기는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평시의 지속적인 전기설비 관리 및 데이터(감시 파라미터) 수집은 물론, 장애발생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장애정보 및 데이터 제공까지도, 수용가의 감시유닛으로부터 그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로 직접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신경로와 통신대역폭을 현격히 감소시켜서 비용절감 및 높은 신뢰성을 구현한 원격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일대다의 연결관계로 다수의 감시유닛과 연결되어 병목현상을 일으키는 대형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없앰으로써 구축, 관리 및 이용비용 및 병목현상을 제로로 만들고, 각 수용가의 감시유닛이 직접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와 일대일의 연결관계로 통신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빠른 응답성을 구현한 일체형 원격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각 감시유닛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동IP를 이용하여 수시로 IP주소가 변경되는 경우에,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가 해당 감시유닛에 언제나 정확히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담당자가 항시 소지하는 이동통신기기를 통하여 감시유닛에 접속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무선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서나 개인컴퓨터 없이도 직접 장애통지 및 장애데이터의 확인이 가능한 원격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원격감시시스템은, 감시대상인 설비에 입력단을 통하여 접속된 감시유닛데이터제어부가 수취하여 저장한 1 이상의 감시 파라미터의 측정치를, 무선인터넷으로 원격 접속되는 이동통신기기가 수취하도록 구성된 원격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유닛은, 유동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 접속수단인 통신수단과, IP주소 변동시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IP주소 통보주기마다, IP주소를 무선인터넷 상의 정보중계기로 통보하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중계기는,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를 저장하는 IP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보되는 새 IP주소를 상기 IP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고, 상기 이동통신기기로부터의 IP주소 질의에 대하여 상기 IP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IP 중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기기는, 원격 접속할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를 상기 정보중계기에 질의하여 수취하는 IP 획득수단과, 획득된 IP로 상기 감시유닛에 접속하여 상기 설비의 측정치를 수취하는 측정치 획득수단과, 수취된 측정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시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대상인 설비는 복수이고, 상기 입력단은, 상기 설비에 각각 구비된 감시 파라미터 검출수단에 스위칭 접속되는 스위칭입력단이며, 상기 데이터제어부는, 상기 스위칭입력단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단을 상기 복수의 설비에 순차로 순환 접속시키는 스위칭데이터제어부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정보처리제어부는, 상기 측정치를 미리 저장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설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장애판단부와, 장애라는 판단이 발생된 경우에, 장애통보를 상기 정보중계기에 송신하는 장애통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중계기는,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장애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감시유닛별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담당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담당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통하여,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담당자의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상기 장애통보의 접수보고를 송신하는 접수보고부를 구비하며, 상기 IP 중계부는, 상기 이동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가 요청되면, 상기 장애데이터베이스와 상기 IP 데이터베이스의 조회에 의하여 IP주소를 특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기기는,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소유자가 담당하는 상기 감시유닛의 정보를 저장하는 유닛데이터베이스와,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 폐기되는 감시유닛에 관한 정보를 상기 IP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유닛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변경, 폐기등록하는 등록모듈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제어부는, 상기 설비에 구비된 피제어부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기기는,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에 송신하는 명령모듈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기기는, 상기 설정치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에 송신하는 설정치 변경모듈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과제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원격감시방법은, 감시대상인 설비에 입력단을 통하여 접속된 감시유닛데이터제어부가 수취하여 저장한 1 이상의 감시 파라미터의 측정치를, 무선인터넷으로 원격 접속되는 이동통신기기가 수취하도록 구성된 원격감시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유닛이, 무선인터넷 유동IP의 IP주소 변동시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IP주소 통보주기마다, IP주소를 무선인터넷 상의 정보중계기로 통보하는 IP 주소 통보단계와, 상기 정보중계기가,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를 저장하는 IP 주소 저장단계와,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원격 접속할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를 상기 정보중계기에 질의하여 수취하는 IP 주소 획득단계와,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획득된 IP주소로 상기 감시유닛에 접속하여 상기 설비의 측정치를 수취하는 측정치 획득단계와,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수취된 측정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시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감시유닛으로 감시 파라미터가 수취될 때, 복수의 상기 감시대상인 설비에 각각 구비된 감시 파라미터 검출수단에 대하여, 상기 입력단을 순차로 순환 접속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감시유닛이, 상기 측정치를 미리 저장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설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장애판단단계와, 장애라는 판단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감시유닛이, 장애통보를 상기 정보중계기에 송신하는 장애통보단계와, 상기 정보중계기가,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담당자의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상기 장애통보의 접수보고를 송신하는 접수보고단계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 폐기되는 감시유닛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중계기와 이동통신기기에 신규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상기 데이터제어부에 구비된 출력단을 통하여 상기 설비에 구비된 피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에 송신하는 명령단계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상기 설정치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에 송신하는 설정치 변경단계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시의 지속적인 전기설비 관리 및 데이터(감시 파라미터) 수집은 물론, 장애발생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장애정보 및 데이터 제공까지도, 수용가의 감시유닛으로부터 그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로 직접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통신경로와 통신대역폭을 현격히 감소시켜서 비용절감 및 높은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대다의 연결관계로 다수의 감시유닛과 연결되어 병목현상을 일으키는 대형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없앰으로써 구축, 관리 및 이용비용 및 병목현상을 제로로 만들고, 각 수용가의 감시유닛이 직접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와 일대일의 연결관계로 통신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빠른 응답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감시유닛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동IP를 이용하여 수시로 IP주소가 변경되는 경우에,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가 해당 감시유닛에 언제나 정확히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담당자가 항시 소지하는 이동통신기기를 통하여 감시유닛에 접속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무선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서나 개인컴퓨터 없이도 직접 장애통지 및 장애데이터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감시시스템의 개략 전체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감시유닛의 데이터제어부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감시유닛의 정보처리제어부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정보중계기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이동통신기기의 동작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동일구성에 의하여 동일기능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부호를 유지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감시시스템의 개략 전체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감시유닛의 데이터제어부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감시유닛의 정보처리제어부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정보중계기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이동통신기기의 동작흐름도이다.
<기본구성-유동IP의 중계>
본 발명의 원격감시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감시유닛(100)이동통신기기(40)가 연결되어, 무선인터넷으로 데이터통신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시유닛(100)의 입력단(11)에는, 감시대상인 1 이상의 설비(a1, a2, ..., an)가 접속된다. 상기 설비(a1, a2, ..., an)는, 예컨대 전기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변압기, 발전기, 배터리나 수전 또는 배전선로 등의 각종 설비이다.
상기 설비(a1, a2, ..., an)에서 발생되는 결상, 정전, 과전류, 누전, 과열, 발전기 배터리 이상, 외부기기 이상 등의 제반 장애는, 평시 관리의 대상이 되고, 장애발생시에는 복구나 피해확산 방지조치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설비의 장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1 이상의 각종 감시 파라미터의 측정치가 미도시된 감시 파라미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되어, 상기 감시유닛(100)의 입력단(11)에 수취되어 입력된다. 상기 감시 파라미터의 예로서는, 전압, 전류, 누설전류, 온도, 배터리 전압, 기타 외부기기의 전기 파라미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입력단(11)에 입력된 감시 파라미터의 측정치는, A/D 컨버터(12)를 거쳐 디지털화된 후, 데이터제어부(10)에 의하여 즉시 단기저장부(15)에 저장(S12)된다. 다만, 미리 정해진 장기저장 주기가 도래(S13)하면, 그동안 모인 측정치는 데이터제어부(10)에 의하여 장기저장부(16)에 한꺼번에 이동되어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제어부(10)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비(a1, a2, ..., an)에 대한 입출력을 제어하는 한편, 입력된 측정치를 저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제어부이다. 상기 데이터제어부(10)의 제어동작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된다.
상기 장기저장부(16)에 저장된 1 이상의 감시 파라미터의 측정치는, 무선인터넷으로 원격 접속되는 이동통신기기(40)에 의하여 수취된다. 상기 이동통신기기(40)는,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렛 PC, 노트북 컴퓨터, PDA, 핸드폰 등의 무선인터넷 정보통신이 가능한 정보단말기이다.
상기 감시유닛(100)은, 통신수단(23)과, 정보처리제어부(2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수단(23)은, 유동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 접속수단이다. 예컨대, 스마트폰 등에 내장된 무선인터넷 모듈이다.
상기 정보처리제어부(20)는, 상기 감시유닛(100)에 할당된 IP주소 변동시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IP주소 통보주기마다, IP주소를 무선인터넷 상의 정보중계기(30)로 통보하도록 상기 통신수단(23)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상기 정보처리제어부(20)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된다. 다만, 상기 데이터제어부(10)와 상기 정보처리제어부(20)는, 하나의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하여 구현되어도 좋지만, 처리속도의 면이나 확실한 분리구동에 의한 안정성의 면에서 각각 별개의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처리제어부(20)의 제어동작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되며, 제어 프로그램은 비교적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메모리의 프로그램부(21)에 저장하여 로드하여 이용하고, 후술하는 이동통신수단(40)으로부터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수시로 업그레이드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정보중계기(30)는, IP 데이터베이스(37)와, IP 중계부(32)를 구비한다.
상기 IP 데이터베이스(37)는, 상기 감시유닛들의 IP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구성 필드로서는, 예컨대 감시유닛의 식별자, 감시유닛의 현재의 IP주소가 필수 필드가 된다.
상기 IP 중계부(32)는, 상기 감시유닛(100)으로부터 통보되는 새 IP주소를 상기 IP 데이터베이스(37)에 갱신하고, 상기 이동통신기기(40)로부터의 IP주소 질의에 대하여 상기 IP 데이터베이스(37)를 조회하는 모듈이다. 상기 IP 중계부(32)는, 데이터베이스 처리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지만, 분석이나 통계처리 등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은 전혀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미리 정해져 있는 감시유닛(100)들로부터 IP주소를 받아 저장하는 작업, 그리고, 미리 정해져 있는 이동통신수단(40)들로부터의 조회에 대하여 응답하는 작업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극히 간이한 소프트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음이 종래기술의 중앙컴퓨터와 다른 점이다.
상기 이동통신기기(40)는, IP 획득수단( 미도시 )과, 측정치 획득수단( 미도시 )과, 분석표시수단(42)을 구비한다. 이들은 각각 소프트웨어 수단(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되어도 좋다.
상기 IP 획득수단은, 상기 이동통신기기(40)가 원격 접속할 상기 감시유닛(100)의 IP주소를 상기 정보중계기(30)에 질의하여 수취하는 수단이다.
상기 측정치 획득수단은, 획득된 IP주소로 상기 감시유닛(100)에 접속하여 상기 설비(a1, a2, ..., an)의 측정치를 수취하는 수단이다.
상기 분석표시수단(42)은, 수취된 측정치를 분석하여 화면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이동통신기기(40)가 감시유닛(100)에 접속하여, 설비(a1, a2, ..., an)의 측정치를 수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원격감시방법은, 상기 감시유닛(100)의 데이터제어부(10)가, 입력단(11)에 연결(S11)되는 설비(a1, a2, ..., an)로부터 감시 파라미터의 측정치를 수취하여, 단기저장(S12) 및 주기적 장기저장(S13, S13a)한다는 구성을 기본 베이스로 하고 있다. 그리고, 유동IP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상기 감시유닛(100)에 이렇게 저장된 측정치를, 무선인터넷으로 원격 접속되는 이동통신기기(40)가 수취하도록 하기 위하여, IP 주소 통보단계( S23 , S23a )와, IP 주소 저장단계( S31 , S31a )와, IP주소 획득단계( S43 , S33 , S33a , S33b )와, 측정치 획득단계( S44 , S44a , S24 , S24a)와, 분석표시단계( S44b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P 주소 통보단계( S23 , S23a )는, 상기 감시유닛(100)이, 무선인터넷 유동IP의 IP주소 변동시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IP주소 통보주기마다, IP주소를 무선인터넷 상의 상기 정보중계기(30)로 통보하는 단계이다. 상기 미리 정해진 IP주소 통보주기는, 예컨대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기본적으로는 매 10분마다 IP주소가 상기 감시유닛(100)에서 상기 정보중계기(30)로 통보된다. 그러나, 매 10분마다의 통신 트래픽도 과중한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상기 미리 정해진 IP주소 통보주기를 설정하는 구성을 없애고, 상기 감시유닛(100)에서 자신의 IP주소가 변동되었음을 감지하였을 때에, 즉시 IP주소가 상기 감시유닛(100)에서 상기 정보중계기(30)로 통보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IP 주소 저장단계( S31 , S31a )는, 상기 정보중계기(30)가, 상기 감시유닛(100)의 IP주소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IP주소를 저장해 둠으로써, 후에 상기 이동통신기기(40)로부터의 IP주소 조회요청시에 IP주소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IP 주소 획득단계( S43 , S33 , S33a , S33b )는, 상기 이동통신기기(40)가, 원격 접속할 상기 감시유닛(100)의 IP주소를 상기 정보중계기(30)에 질의하여 수취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상기 감시유닛(100)이 비록 저렴한 유동IP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감시유닛(100)의 IP주소는 항시 상기 정보중계기(30)에 갱신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이동통신기기(40)는 상기 감시유닛(100)의 현재의 IP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측정치 획득단계( S44 , S44a , S24 , S24a )는, 상기 이동통신기기(40)가, 획득된 IP주소로 상기 감시유닛(100)에 접속하여 상기 설비(a1, a2, ..., an)의 측정치를 수취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동통신기기(40)가 수취하는 측정치는, 상기 감시유닛(100)의 데이터제어부(10)에 의하여 단기저장부(15) 또는 장기저장부(1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이다. 상기 이동통신기기(40)에서의 분석 및 통계처리를 위해서는, 장애를 일으킨 설비(a1, a2, ..., an)의 데이터 뿐 아니라 정상적인 동작을 하고 있는 설비(a1, a2, ..., an)의 데이터도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장애 여부에 불문하고, 모든 종류의 저장된 데이터를 수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석표시단계( S44b )는, 상기 이동통신기기(40)가, 수취된 측정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담당자는 자신의 이동통신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분석결과를 통하여, 어느 감시유닛(100)에 연결된 어느 설비(a1, a2, ..., an)에 장애가 발생했는지, 정상 작동 중인지 등의 상황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확장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설비>
하나의 감시유닛(100)에 연결되는 상기 설비(a1, a2, ..., an)가 복수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단(11)은, 상기 설비(a1, a2, ..., an)에 각각 구비된 감시 파라미터 검출수단에 스위칭 접속되는 스위칭입력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제어부(10)는, 상기 스위칭 입력단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단(11)을 상기 복수의 설비(a1, a2, ..., an)에 순차로 순환 접속시키는 스위칭데이터제어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설비(a1, a2, ..., an)로부터 상기 감시유닛(100)으로 감시 파라미터가 수취될 때, 복수의 상기 감시대상인 설비(a1, a2, ..., an)에 각각 구비된 감시 파라미터 검출수단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제어부(10)가 상기 입력단(11)을 순차로 순환 접속시키게 된다. 즉, 데이터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단(11)이 먼저 설비 a1에 스위칭 접속되어 전기적 연결(S11)을 확립하고, 각종 파라미터의 수취(S12)를 행한다. 완료되면, 데이터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단(11)이 다음 설비 a2에 스위칭 접속(S15)되어 전기적 연결(S11)을 확립하고, 각종 파라미터의 수취(S12)를 행한다. 이런 식으로 진행하여, 설비 an의 파라미터 수취(S12)가 완료되면, 데이터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단(11)이 맨 처음 설비 a1에 되돌아가(S15) 스위칭 접속되어 전기적 연결(S11)을 확립하고, 각종 파라미터의 수취(S12)를 행한다. 이와 같이 순환 반복한다. 이로써, 많은 설비(a1, a2, ..., an)를 하나의 감시유닛(100)으로 관리 및 감시할 수 있다.
<데이터를 제외한 장애통보의 중계>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감시유닛으로부터 원격지의 중앙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많은 트래픽을 소모하였다는 것이 문제였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는 전송하지 않고, 오직 장애발생의 사실만을 상기 감시유닛(100)에서 상기 정보중계기(30)로 통보하고, 이를 상기 정보중계기(30)가 상기 이동통신기기(40)로 보고하도록 하며, 상기 이동통신기기(40)에서는, 상기와 같이 IP주소를 상기 정보중계기(30)에 조회하여, 상기 장애보고를 한 감시유닛(100)에 접속하여, 일대일로 데이터를 수취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보처리제어부(20)는, 장애판단부와, 장애통보부를 구비한다. 이들은, 프로그램저장부(21)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장애판단부는, 각 설비(a1, a2, ..., an)로부터의 상기 측정치를 미리 설정치저장부(22)에 저장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설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상기 장애통보부는, 장애라는 판단이 발생된 경우에, 장애통보를 상기 정보중계기(30)에 송신하는 모듈이다. 장애라는 판단은, 상기 측정치가 상기 설정치의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중계기(30)는, 장애데이터베이스(39)와, 담당데이터베이스( 38)와, 접수보고부(33)를 구비한다.
상기 장애데이터베이스(39)는,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구성 필드로서는, 감시유닛의 식별자, 장애통보의 유무 플래그가 필수이다. 다만, 상기 장애데이터베이스(39)는, 상기 IP 데이터베이스에 통합되어 하나의 필드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담당데이터베이스(38)는, 상기 감시유닛별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구성 필드로서는, 감시유닛의 식별자,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의 연결정보가 필수이다. 여기서 이동통신기기의 연결정보는, 예컨대 전화번호, IP주소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상기 담당데이터베이스(38)는, 상기 IP 데이터베이스에 통합되어 하나의 필드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수보고부(33)는, 상기 담당데이터베이스(38)의 조회를 통하여,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100)에 대한 담당자의 상기 이동통신기기(40)에, 상기 장애통보를 받았다는 접수보고를 송신하는 모듈이다. 상기 접수보고는, 예컨대 전화번호를 이용할 경우에는 ACS(Auto Calling System; 자동전화시스템)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어서 미리 저장해둔 음성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고,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들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예컨대 IP주소를 이용할 경우에는 메신저 시스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을 이용할 때, 상기 IP 중계부(32)는, 상기 이동통신기기(40)로부터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100)의 IP주소가 요청되면, 상기 장애데이터베이스(39)와 상기 IP 데이터베이스(37)의 조회에 의하여 IP주소를 특정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 데이터베이스들이 통합되어 구축된 경우에는, 통합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감시유닛(100)이, 상기 측정치를 미리 저장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설비(a1, a2, ..., an)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장애판단단계와, 장애라는 판단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감시유닛(100)이, 장애통보를 상기 정보중계기(30)에 송신하는 장애통보단계와, 상기 정보중계기(30)가,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10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100)의 담당자의 상기 이동통신기기(40)에, 상기 장애통보의 접수보고를 송신하는 접수보고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기술과 달리, 원격지의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한 상기 감시유닛(100)에서 직접 장애 여부를 판단하므로, 트래픽의 저감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유지, 운영비용이 절감되고, 장애통보도 상기 이동통신기기(40)에 직접 보내는 것이 아니라 중간의 매개체인 상기 정보중계기(30)에 보내서 저장해 놓으므로, 상기 이동통신기기(40)의 이용가능한 상황이 되면 언제나 상기 감시유닛(100)의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기기(40)가 직접 상기 감시유닛(100)에 접속한 후에야 비로소 실제 데이터의 수수가 이루어지므로, 트래픽의 발생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원격제어>
한편, 장애의 복구를 위하여 또는 기타 기능의 변화를 위하여, 상기 감시유닛에 연결된 설비(a1, a2, ..., an)의 피제어부, 예컨대 스위치, 라이트, 모터 등의 작동을 지시하는 구동신호를 원격으로 보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제어부(10)는, 상기 설비(a1, a2, ..., an)에 구비된 피제어부(미도시)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13)을 구비한다. 다만, 상기 피제어부에 아날로그 신호로 동작되는 것인 경우에는 D/A 컨버터(14)를 더욱 구비하여, 이를 거쳐서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기기(40)는,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100)에 송신하는 명령모듈(44)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이동통신기기(40)로부터(S46, S46a) 상기 정보처리제어부(20)를 거쳐서(S26, S26a), 상기 데이터제어부(10)에 전달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통신기기(S46, S46a)가, 상기 설비에 구비된 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100)에 송신하고, 상기 감시유닛(100)의 상기 정보처리제어부(20)에서 상기 제어명령에 기하여 상기 피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제어부(10)에 전달하며, 상기 데이터제어부(10)는 이 구동신호를 출력단에 보냄으로써,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설비(a1, a2, ..., an)에 구비된 피제어부(미도시)를 제어하는 명령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이동통신기기(40)에서 상기 설비(a1, a2, ..., an)에 대하여 동작의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감시유닛의 등록기능>
한편, 상기 감시유닛(100)의 신규등록이나 변경, 폐기등록 등의 관리를 상기 이동통신기기(40)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기기(40)는, 유닛데이터베이스(49)와, 등록모듈( 41)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닛데이터베이스(49)는, 상기 이동통신기기(40)의 소유자가 담당하는 상기 감시유닛(100)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감시유닛(100)의 정보로서는, 예컨대 감시유닛의 명칭, 설치위치, 관리대상인 설비의 개수와 명칭, 종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닛데이터베이스(49)는, 반드시 상기 이동통신기기(40)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상기 정보중계기(30) 내의 상기 IP 데이터베이스(37) 또는 상기 담당 데이터베이스(38)에 통합되어 구축되어도 좋다.
상기 등록모듈(41)은,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 폐기되는 감시유닛(100)에 관한 정보를 상기 IP 데이터베이스(37) 및 상기 유닛데이터베이스(49)에 신규, 변경, 폐기등록하는 모듈이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기기(40)가,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 폐기되는 감시유닛(100)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중계기(30)와 이동통신기기(40)에 신규, 변경, 폐기등록하는 등록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설정치 변경>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기기(40)는, 상기 설비(a1, a2, ..., an)의 스펙 변경 또는 기타 이유가 발생된 경우에,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상기 설정치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100)에 송신하는 설정치 변경모 듈(43)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기기(40)가, 상기 설정치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100)에 송신하는 설정치 변경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감시유닛(100)의 상기 정보처리제어부(20)는 상기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설정치저장부(22) 내에 저장되어 있던 설정치를 새로운 값으로 변경하게 된다.
이상, 특정 실시예를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등가의 변경, 변형, 개량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감시, 관리 및 제어의 대상이 되는 설비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이동통신단말에 의하여 설비의 측정치, 장애발생사실 및 설비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a1, a2, ..., an: 설비 10: 데이터제어부
11: 입력단 12: A/D 컨버터
13: 출력단 14: D/A 컨버터
15: 단기저장부 16: 장기저장부
20: 정보처리제어부 21: 프로그램 저장부
22: 설정치 저장부 23: 무선유동IP 통신부
30: 정보중계기 31: 웹 인터페이스
32: IP 중계부 33: 접수보고부
40: 이동통신기기(스마트폰) 41: 등록모듈
42: 분석모듈 43: 설정치변경모듈
44: 명령모듈 100: 감시유닛

Claims (12)

  1. 감시대상인 설비에 입력단을 통하여 접속된 감시유닛데이터제어부가 수취하여 저장한 1 이상의 감시 파라미터의 측정치를, 무선인터넷으로 원격 접속되는 이동통신기기가 수취하도록 구성된 원격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유닛은,
    유동IP를 사용하는 무선인터넷 접속수단인 통신수단과,
    IP주소 변동시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IP주소 통보주기마다, IP주소를 무선인터넷 상의 정보중계기로 통보하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정보처리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중계기는,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를 저장하는 IP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보되는 새 IP주소를 상기 IP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고, 상기 이동통신기기로부터의 IP주소 질의에 대하여 상기 IP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IP 중계부
    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기기는,
    원격 접속할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를 상기 정보중계기에 질의하여 수취하는 IP 획득수단과,
    획득된 IP로 상기 감시유닛에 접속하여 상기 설비의 측정치를 수취하는 측정치 획득수단과,
    수취된 측정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시수단
    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인 설비는 복수이고,
    상기 입력단은, 상기 설비에 각각 구비된 감시 파라미터 검출수단에 스위칭 접속되는 스위칭입력단이며,
    상기 데이터제어부는, 상기 스위칭입력단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단을 상기 복수의 설비에 순차로 순환 접속시키는 스위칭데이터제어부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제어부는,
    상기 측정치를 미리 저장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설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장애판단부와,
    장애라는 판단이 발생된 경우에, 장애통보를 상기 정보중계기에 송신하는 장애통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중계기는,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장애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감시유닛별 담당자의 이동통신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담당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담당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통하여,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담당자의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상기 장애통보의 접수보고를 송신하는 접수보고부
    를 구비하며,
    상기 IP 중계부는, 상기 이동통신기기로부터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가 요청되면, 상기 장애데이터베이스와 상기 IP 데이터베이스의 조회에 의하여 IP주소를 특정함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기기는,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소유자가 담당하는 상기 감시유닛의 정보를 저장하는 유닛데이터베이스와,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 폐기되는 감시유닛에 관한 정보를 상기 IP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유닛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변경, 폐기등록하는 등록모듈
    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어부는, 상기 설비에 구비된 피제어부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기기는,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에 송신하는 명령모듈을 구비함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기기는, 상기 설정치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에 송신하는 설정치 변경모듈을 구비함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시스템.
  7. 감시대상인 설비에 입력단을 통하여 접속된 감시유닛데이터제어부가 수취하여 저장한 1 이상의 감시 파라미터의 측정치를, 무선인터넷으로 원격 접속되는 이동통신기기가 수취하도록 구성된 원격감시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유닛이, 무선인터넷 유동IP의 IP주소 변동시마다 또는 미리 정해진 IP주소 통보주기마다, IP주소를 무선인터넷 상의 정보중계기로 통보하는 IP 주소 통보단계와,
    상기 정보중계기가,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를 저장하는 IP 주소 저장단계와,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원격 접속할 상기 감시유닛의 IP주소를 상기 정보중계기에 질의하여 수취하는 IP 주소 획득단계와,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획득된 IP주소로 상기 감시유닛에 접속하여 상기 설비의 측정치를 수취하는 측정치 획득단계와,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수취된 측정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시단계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감시유닛으로 감시 파라미터가 수취될 때, 복수의 상기 감시대상인 설비에 각각 구비된 감시 파라미터 검출수단에 대하여, 상기 입력단을 순차로 순환 접속시킴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시유닛이, 상기 측정치를 미리 저장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설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장애판단단계와,
    장애라는 판단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감시유닛이, 장애통보를 상기 정보중계기에 송신하는 장애통보단계와,
    상기 정보중계기가,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장애통보를 보내온 상기 감시유닛의 담당자의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상기 장애통보의 접수보고를 송신하는 접수보고단계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방법.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 폐기되는 감시유닛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중계기와 이동통신기기에 신규, 변경, 폐기등록하는 등록단계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방법.
  11.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상기 데이터제어부에 구비된 출력단을 통하여 상기 설비에 구비된 피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에 송신하는 명령단계를 구비함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상기 설정치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감시유닛에 송신하는 설정치 변경단계를 구비함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감시방법.
KR1020110043324A 2011-05-09 2011-05-09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132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24A KR101323139B1 (ko) 2011-05-09 2011-05-09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24A KR101323139B1 (ko) 2011-05-09 2011-05-09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717A true KR20120125717A (ko) 2012-11-19
KR101323139B1 KR101323139B1 (ko) 2013-10-30

Family

ID=4751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324A KR101323139B1 (ko) 2011-05-09 2011-05-09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40B1 (ko) * 2013-01-18 2014-03-17 주식회사 나다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8270291A (zh) * 2018-01-10 2018-07-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多功能的电力电气自动化控制系统
CN110275494A (zh) * 2018-03-16 2019-09-24 横河电机株式会社 使用类别参数组进行现场装置管理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96B1 (ko) * 2001-04-09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생산설비의 장애 감지 및 제어 장치, 생산설비의 장애 감지 및 제어 방법
KR20040010888A (ko) * 2002-07-25 2004-02-05 바로비젼(주) 유동ip를 이용한 댁내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60372B1 (ko) * 2003-08-26 2006-12-21 이상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원격 컴퓨터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40B1 (ko) * 2013-01-18 2014-03-17 주식회사 나다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8270291A (zh) * 2018-01-10 2018-07-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多功能的电力电气自动化控制系统
CN108270291B (zh) * 2018-01-10 2023-12-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多功能的电力电气自动化控制系统
CN110275494A (zh) * 2018-03-16 2019-09-24 横河电机株式会社 使用类别参数组进行现场装置管理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139B1 (ko)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707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리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시스템
KR10122432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631040B (zh) 一种统一管理多业务系统的实时监控报警系统和方法
CN105049223B (zh) 一种电力通信网缺陷故障处理决策辅助分析方法
KR20120131539A (ko) 원격검침설비를 이용한 배전 gis 기반의 정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0517473A (ja) ユーティリティ・ネットワーク機能停止検出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KR20020021019A (ko) 열공급설비의 보수관리시스템
US20060129798A1 (en) Stand-by power generator monitoring system
KR20080091912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시스템
CN109813996A (zh) 一种变电站检修作业接地线状态监测装置及监测方法
JP5197690B2 (ja) 停電復旧支援システム及び停電復旧支援方法
KR20140073043A (ko) 변전설비 감시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앱 서비스 시스템
KR101485517B1 (ko) 스마트 배전선로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A2703142C (en) Communicating faulted circuit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9118541A (ja) 給電状態収集システム
CN103580914A (zh) 基于远程数字安防系统故障监控平台运行的方法和装置
KR101700697B1 (ko) 무선 원격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56063B1 (ko) 스포트를 이용한 수처리장 펌프실 감시제어 시스템
KR101323139B1 (ko)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0712957B1 (ko) 자동리셋장치가 구비된 배전자동화장치
JP5268557B2 (ja) 停電情報通報システム
KR20060105704A (ko) 유/무인 변전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유/무인 변전소 통합제어방법
CN205139664U (zh) 一种监控平台
KR101264869B1 (ko) 현장 감시 장치,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전력계통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7180390B (zh) 用于数据处理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