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854A - 액체 분출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분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854A
KR20120124854A KR1020110042736A KR20110042736A KR20120124854A KR 20120124854 A KR20120124854 A KR 20120124854A KR 1020110042736 A KR1020110042736 A KR 1020110042736A KR 20110042736 A KR20110042736 A KR 20110042736A KR 20120124854 A KR20120124854 A KR 2012012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liquid
bottleneck
volum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정
Original Assignee
안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정 filed Critical 안상정
Priority to KR1020110042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4854A/ko
Priority to PCT/KR2012/003561 priority patent/WO2012150851A2/ko
Priority to US14/009,839 priority patent/US20140048564A1/en
Priority to CN2012800176614A priority patent/CN103476684A/zh
Publication of KR2012012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액체가 담기는 몸체;로서, 제1 챔버, 제1 챔버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챔버, 및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챔버와 제2 챔버 간의 액체 이동에 저항하는 병목(neck)을 가지는 몸체; 그리고, 몸체에 결합되며, 제1 챔버 아래로 이어지는 호스를 가지는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분출 용기{LIQUID DISCHARGING CONTAINER}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액체 분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울여 사용할 때의 문제점을 개선한 액체 분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종래의 액체 분출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액체 분출 용기는 액체를 담는 몸체(100)와 액체를 끌어올려 외부로 배출하는 스프레이(200)를 구비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액체가 담기는 몸체;로서, 제1 챔버, 제1 챔버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챔버, 및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챔버와 제2 챔버 간의 액체 이동에 저항하는 병목(neck)을 가지는 몸체; 그리고, 몸체에 결합되며, 제1 챔버 아래로 이어지는 호스를 가지는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체 분출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액체 분출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액체 분출 용기에 액체를 담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액체 분출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액체 분출 용기는 액체가 담기는 몸체(10)와 액체를 배출(discharge)하는 스프레이(20)를 포함한다. 스프레이(20)는 주로 액체를 무화시켜 배출하지만, 액체를 물줄기와 같이 줄기 형태로 배출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몸체(10)는 제1 챔버(11), 제1 챔버(11)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챔버(12), 및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챔버와 제2 챔버 간의 액체 이동에 저항하는 병목(13; neck)을 구비한다. 병목(13)은 제1 챔버(11) 하부의 좁은 제1 챔버 측 개구부(13a)와 제2 챔버(12) 상부의 좁은 제2 챔버 측 개구부(13b)에 의해 정의되고, 제1 챔버 측 개구부(13a)와 제2 챔버 측 개구부(13b)를 잇는 튜브(13c)로 이루어진다. 스프레이(20)는 몸체(10)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챔버(11) 아래로 이어지는 호스(21)를 구비한다. 호스(21)는 바람직하게는 제2 챔버(12) 내로 이어진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액체 분출 용기에 액체를 담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액체(L)를 공급하면, 종래의 용기에서와 달리, 병목(13)이 액체(L)의 이동에 저항하는 통로로 역할하여 제1 챔버(11)로부터 제2 챔버(12)로 액체(L)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지 못하고(액체(L) 공급 전에 제2 챔버(12)에 있던 공기가 미처 빠져나가지 못하고),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 사이에 기체층(A)이 형성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이후 중력에 의해 액체(L)가 제1 챔버(11)로부터 제2 챔버(12)로 공급되고, 제2 챔버(12) 내의 공기는 상부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기포(B; air bubble)의 형태로 배출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액체(L) 공급이 완료되어, 액체 분출 용기를 사용할 때, 마찬가지로, 제2 챔버(12) 내의 액체(L)는 병목(13)에 의해(즉, 병목(13)은 액체(L) 이동의 반대 방향으로 기포를 이동시키는 통로로 역할함), 원활히 제1 챔버(11)로 전달되지 못하고, 짧은 시간 동안 뒤집어 또는 기울여 사용하는 경우에 제2 챔버(12) 내의 액체(L)는 거의 제2 챔버(12) 내에 머무르게 된다. 액체(L)를 몸체(10)에 공급할 때는 몸체(10)의 상부가 개방 상태이지만, 액체(L)를 분사할 때는 몸체(10)가 닫힌 상태이므로, 병목(13)에 의한 이러한 기능은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액체 분출 용기를 기울여 사용하더라도 호스(21)에 액체(L)를 공급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직경 4.5cm 및 높이 12cm의 제1 챔버(11), 직경 4.5cm 및 높이 3cm의 제2 챔버(12) 그리고 직경 1cm 및 높이 1.5cm의 병목(13)을 이용하여 이러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병목(13)이 저항을 충분히 하기 위해 일정 길이(예: 1.5cm)를 가지는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병목(13)이 단순히 목이 좁혀진 개구부로 되어도 좋다. 이때 좁은 제1 챔버 측 개구부(13a)와 좁은 제2 챔버 측 개구부(13b)는 하나가 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1 챔버의 부피가 제2 챔버의 부피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액체 분출 용기의 사용에 있어서, 제1 챔버는 제2 챔버로 액체를 채우는 기능을 하므로, 액체 분출 용기의 사용 동안, 지속적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 챔버의 부피가 제2 챔버의 부피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2) 제1 챔버의 높이가 제2 챔버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제1 챔버는 액체 분출 용기의 손잡이 해당하므로, 이에 적합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제1 챔버의 부피가 제2 챔버의 부피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상술한 점들을 고려할 때, 제1 챔버의 부피가 제2 챔버의 부피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4) 식용유의 분무에 사용되는 액체 분출 용기. 식용유는 후라이 팬에 뿌려지므로, 특성상 90℃ 또는 그 이상으로 기울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액체 분출 용기는 이러한 용도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5) 스프레이의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액체 분출 용기에 의하면, 기울여 사용할 때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몸체(10) 스프레이(20)
제1 챔버(11) 제2 챔버(12)

Claims (10)

  1. 액체가 담기는 몸체;로서, 제1 챔버, 제1 챔버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챔버, 및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챔버와 제2 챔버 간의 액체 이동에 저항하는 병목(neck)을 가지는 몸체; 그리고,
    몸체에 결합되며, 제1 챔버 아래로 이어지는 호스를 가지는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챔버의 부피가 제2 챔버의 부피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챔버의 높이가 제2 챔버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챔버의 부피가 제2 챔버의 부피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목은 제1 챔버 하부의 좁은 제1 챔버 측 개구부와 제2 챔버 상부의 좁은 제2 챔버 측 개구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병목은 제1 챔버 측 개구부와 제2 챔버 측 개구부를 잇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목은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로 공급될 때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기체층을 형성하여 액체의 이동에 저항하는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목은 액체 이동의 반대 방향으로 기포를 이동시키는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챔버의 부피가 제2 챔버의 부피보다 크고,
    제1 챔버의 높이가 제2 챔버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병목은 길이를 가지는 튜브이며,
    호스는 튜브를 지나 제2 챔버 내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출 용기.
KR1020110042736A 2011-05-05 2011-05-05 액체 분출 용기 KR20120124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736A KR20120124854A (ko) 2011-05-05 2011-05-05 액체 분출 용기
PCT/KR2012/003561 WO2012150851A2 (ko) 2011-05-05 2012-05-07 액체 분출 용기
US14/009,839 US20140048564A1 (en) 2011-05-05 2012-05-07 Liquid Discharging Container
CN2012800176614A CN103476684A (zh) 2011-05-05 2012-05-07 液体排出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736A KR20120124854A (ko) 2011-05-05 2011-05-05 액체 분출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22A Division KR20130060252A (ko) 2013-05-23 2013-05-23 액체 분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854A true KR20120124854A (ko) 2012-11-14

Family

ID=4710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736A KR20120124854A (ko) 2011-05-05 2011-05-05 액체 분출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48564A1 (ko)
KR (1) KR20120124854A (ko)
CN (1) CN103476684A (ko)
WO (1) WO20121508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1893S1 (en) * 2016-12-21 2018-03-06 Misty Mate, Inc. Personal cooling apparatus
CN108543640B (zh) * 2018-04-02 2020-07-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体排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1737A (en) * 1963-09-30 1965-05-04 R H Macy & Co Inc Method of storing, combining and applying two-part polymer mixtures
US3651990A (en) * 1969-10-23 1972-03-28 Edward J Cernei Container for keeping liquids in separate condition and commingling and dispensing the same
FR2699151B1 (fr) * 1992-12-14 1995-03-10 Oreal Dispositif mélangeur.
JP2916852B2 (ja) * 1993-04-30 1999-07-05 株式会社タカハシ・プラスチック工業 ピストン内蔵の圧力容器
JPH07267285A (ja) * 1994-03-31 1995-10-17 Nippon Sanso Kk エアゾル容器
JP4286154B2 (ja) * 2002-06-26 2009-06-24 株式会社ダイゾー 複数内容物吐出用の包装容器、その包装容器を用いた包装製品およびその包装製品の製造方法
KR200363540Y1 (ko) * 2004-06-17 2004-10-06 주식회사 대륙제관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851A2 (ko) 2012-11-08
US20140048564A1 (en) 2014-02-20
WO2012150851A3 (ko) 2013-03-21
CN103476684A (zh)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5992B2 (ja) ボトル容器の殺菌・洗浄用の非挿入ノズル及びボトル容器の内面殺菌・洗浄方法
TW418169B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ositive pressure packaging body
KR10055876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JP2016531672A5 (ko)
JP2019210058A5 (ko)
JP2018030646A5 (ko)
KR20120124854A (ko) 액체 분출 용기
TWI226288B (en) Liquid member ej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electro-opt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6346611A (ja) 洗浄液噴射装置
KR20130060252A (ko) 액체 분출 용기
KR20170096615A (ko) 액체 분출 용기
KR20160130957A (ko) 액체 분출 용기
JP2013091019A (ja) 水玉鑑賞装置
CN106890411A (zh) 一种泡沫灭火装置
CN211845743U (zh) 一种新型正喷倒喷两用的农业药物喷雾器
JP2014226616A (ja) ナノバブル水・フォーム生成器
CN207524953U (zh) 灌装用充填嘴
JP2799775B2 (ja) 正倒立のバルブハウジング
JP2007112490A (ja) 液体充填用ノズル
KR200397038Y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CN203897591U (zh) 新型香水瓶
KR20120066720A (ko) 중력 밸브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스프레이 캔
KR20130002867U (ko) 액체분출장치
JP2008133049A (ja) 薄肉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加熱殺菌方法
CN103960862A (zh) 新型香水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