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540Y1 -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540Y1
KR200363540Y1 KR20-2004-0017078U KR20040017078U KR200363540Y1 KR 200363540 Y1 KR200363540 Y1 KR 200363540Y1 KR 20040017078 U KR20040017078 U KR 20040017078U KR 200363540 Y1 KR200363540 Y1 KR 200363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p tube
aerosol container
ste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04-0017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2Dip-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에 관한 것으로, 용기본체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마운팅 컵, 마운팅 컵의 돌출부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와 유도관으로 이루어진 유출유도구, 몸체와 돌출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 몸체의 내부와 상기 스템 사이에 개재되어 스템을 상부로 밀고있는 스프링, 유도관에 일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내용물의 분사통로가 되는 딥 튜브로 이루어진 밸브로 구성된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 딥 튜브는 중간부의 단면을 좁게 성형하여 넥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밸브의 딥 튜브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로졸 용기가 직립상태이거나 눕혀져 있는 상태 그 어느 방향에서도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어 에어로졸 용기의 사용이 편리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딥 튜브의 하단부에 무게추를 설치하여 보다 에어로졸 용기의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용기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THE AEROSOL VALVE}
본 고안은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밸브의 딥 튜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로졸 용기가 직립상태이거나 눕혀져 있는 상태 그 어느 방향에서도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어 에어로졸 용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은 분무용액을 분사제 액화가스와 더불어 미세입자 상태로 분무하는 것으로, 파리, 모기, 바퀴벌레 등의 살충제용과, 향수등의 화장품용과, 방청윤활제 등의 공업용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로졸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눌림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밸브(11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분무되는 내용물 용액의 분무위치를 안내하는 분무캡(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110)는 마운팅 컵(111)과, 상기 마운팅 컵(111)의 돌출부(111A)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113)와 상기 몸체(113)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유도관(114)으로 이루어진 유출유도구(112)와, 상기 몸체(113)와 돌출부(111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115)과, 상기 몸체(113)의 내부와 스템(115) 사이에 개재되어 스템(115)을 상부로 밀고있는 스프링(116)과, 상기 유도관(114)에 일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내용물의 분사통로가되는 딥 튜브(11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분무캡은 용기본체(100)의 상부 및 밸브(110)를 덮는 캡 하우징과, 상기 밸브(110)의 스템(115)을 눌러주어 내용물을 외부로 분무시키는 분무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로졸 용기를 사용하고자 도시안된 분무버튼을 누르게 되면 분무버튼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분무버튼의 삽지구가 밸브(110)의 스템(115)을 눌러주게 되고, 스템(115)이 눌러짐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밸브(110)의 딥 튜브(117)와 유도관(114)으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분무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110)는 용기본체(100)가 직립 또는 약간 수직에서 기울여 사용할 때에 내용물을 원활히 분사시키고, 필요에 따라 용기본체(100)를 눕혀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밸브(110)의 딥 튜브(117)도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게 되면서 딥 튜브(117)가 내용물에 잠기지 않고 벗어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이 딥 튜브(117)를 통해 정상적으로 분사되지 못하고 기체만 분사하게 되는 등 에어로졸 용기의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용기본체가 거꾸로 선 상태에서도 내용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에어로졸 밸브에 별도의 부품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럴 경우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밸브의 생산가격이 상승되어 제품이 현실화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밸브의 딥 튜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로졸 용기가 직립상태이거나 눕혀져 있는 상태 그 어느 방향에서도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어 에어로졸 용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비교적 값싼 180°에어로졸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로졸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에어로졸 용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본체 20 : 밸브
21 : 마운팅 컵 21A : 돌출부
22 : 유출유도구 23 : 몸체
24 : 유도관 25 : 스템
26 : 스프링 27 : 팁 튜브
28 : 넥부 30 : 무게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분무버튼을 가압하여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마운팅 컵(21)과, 상기 마운팅 컵(21)의 돌출부(21A)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23)와 유도관(24)으로 이루어진 유출유도구(22)와, 상기 몸체(23)와 돌출부(22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25)과, 상기 몸체(23)의 내부와 상기 스템(25) 사이에 개재되어 스템(25)을 상부로 밀고있는 스프링(26)과, 상기 유도관(24)에 일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내용물의 분사통로가 되는 딥 튜브(27)로 이루어진 밸브(20)로 구성된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
상기 딥 튜브(27)는 중간부의 단면을 좁게 성형하여 넥부(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에어로졸 용기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는 에어로졸 용기를 직립상태 뿐만 아니라 눕혀져 있는 상태 그 어느 방향에서도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어 에어로졸 용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에어로졸 용기는 용기본체(10)와, 밸브(20)와, 분무캡(도시안됨)으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용기본체(10)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상측에는 밸브(20)가 설치된다.
상기한 밸브(20)는 용기본체(10)의 상측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마운팅 컵(21)과, 상기 마운팅 컵(21)의 돌출부(22A)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23)와 유도관(24)으로 이루어진 유출유도구(22)와, 상기 몸체(23)와 돌출부(22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25)과, 상기 몸체(23)의 내부와 상기 스템(25) 사이에 개재되어 스템(25)을 상부로 밀고있는 스프링(26)과, 상기 유도관(24)에 일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내용물의 분사통로가 되는 딥 튜브(2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딥 튜브(27)는 딥 튜브(27)의 중간부에는 딥 튜브(27)의 상하끝단 보다 가늘게 성형된 넥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넥부(28)는 유연성을 갖도록 함으로서 에어로졸 용기를 필요에 따라 눕혀서 사용할 때 내용물이 원할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분무캡은 용기본체(10)의 상부 및 밸브(20)를 덮는 캡 하우징과, 상기 밸브(20)의 스템(25)을 눌러주어 내용물을 외부로 분무시키는 분무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로졸 용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시안된 분무버튼을 누르게 되면 분무버튼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분무버튼의 삽지구가 밸브(20)의 스템(25)을 눌러주게 되고, 상기한 스템(25)이 눌러짐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밸브(20)의 딥 튜브(27)와 유도관(24)으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분무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 4a와 같이 용기본체(10)를 직립상태에서 기울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본체(10)가 기울여짐에 따라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내용물도 기울어지고, 동시에 밸브(20)의 딥 튜브(27)도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데 특히, 딥 튜브(27)의 중앙부에 형성된 넥부(28)를 기점으로 딥 튜브(27)의 하단부가 용기본체(10)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에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분무버튼을 누르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분무버튼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분무버튼의 삽지구가 밸브(20)의 스템(25)을 눌러주게 되고, 상기한 스템(25)이 눌러짐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밸브(20)의 딥 튜브(27)와 유도관(24)으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분무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 4b와 같이 용기본체(10)를 눕혀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본체(10)가 눕혀짐에 따라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내용물도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동시에 밸브(20)의 딥 튜브(27)도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특히 딥 튜브(27)의 중앙부에 형성된 넥부(28)를 기점으로 딥 튜브(27)의 하단부가 용기본체(10)의 눕혀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에 잠기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분무버튼을 누르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분무버튼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분무버튼의 삽지구가 밸브(20)의 스템(25)을 눌러주게 되고, 상기한 스템(25)이 눌러짐에 따라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밸브(20)의 딥 튜브(27)와 유도관(24)으로 유입되면서 원할하게 외부로 분무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서, 이는 팁 튜브(27)의 하단에 무게추(30)를 설치하여, 딥 튜브(27)가 용기본체(10)에 저장된 내용물에 항상 잠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데,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기본체(10)를 눕혀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본체(10)가 눕혀짐에 따라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내용물도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동시에 밸브(20)의 딥 튜브(27)도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특히 딥 튜브(27)의 중앙부에 형성된 넥부(28)를 기점으로 딥 튜브(27)의 하단부가 용기본체(10)의 눕혀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에 항상 잠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분무버튼을 가압하여 용기본체(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무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분무버튼을 가압하여 용기본체(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무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에 따르면, 밸브의 딥 튜브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로졸 용기가 직립상태이거나 눕혀져 있는 상태 그 어느 방향에서도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어 에어로졸 용기의 사용이 편리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딥 튜브의 하단부에 무게추를 설치하여 보다 에어로졸 용기의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용기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분무버튼을 가압하여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마운팅 컵(21)과, 상기 마운팅 컵(21)의 돌출부(22A)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23)와 유도관(24)으로 이루어진 유출유도구(22)와, 상기 몸체(23)와 돌출부(22A)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25)과, 상기 몸체(23)의 내부와 상기 스템(25) 사이에 개재되어 스템(25)을 상부로 밀고있는 스프링(26)과, 상기 유도관(24)에 일단부가 삽입 결합되어 내용물의 분사통로가 되는 딥 튜브(27)로 이루어진 밸브(20)로 구성된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
    상기 딥 튜브(27)는 중간부의 단면을 좁게 성형하여 넥부(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딥 튜브(27)의 넥부(28)는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딥 튜브(27)의 하단에는 상기 딥 튜브(27)가 내용물에 항상 잠길 수 있게 무게추(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KR20-2004-0017078U 2004-06-17 2004-06-17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KR200363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78U KR200363540Y1 (ko) 2004-06-17 2004-06-17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78U KR200363540Y1 (ko) 2004-06-17 2004-06-17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540Y1 true KR200363540Y1 (ko) 2004-10-06

Family

ID=4935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078U KR200363540Y1 (ko) 2004-06-17 2004-06-17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5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6684A (zh) * 2011-05-05 2013-12-25 安相贞 液体排出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6684A (zh) * 2011-05-05 2013-12-25 安相贞 液体排出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124B1 (en) Liquid sprayer
US5417258A (en) Rechargeable device for spraying a fluid
US20130228482A1 (en) Mixing container for different contents
EP2743503B1 (en) Accumulated-pressure trigger sprayer and pressure accumulation valve therefor
JP2005305433A (ja) 押しボタン
US6290103B1 (en) Collapsible cap mechanism for shielding pump actuator and liquid material-dispensing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CA2485237A1 (en) Liquid jet pump
US20070068967A1 (en) Push-type dispensing device
EA201170641A1 (ru) Ручной аэрозоль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CN103153481A (zh) 气雾剂阀扳机促动器
US10301085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EP1409145B1 (en) Trigger sprayers
WO2004026706A3 (en) Cap arrangement for a bottle
JPS6319713B2 (ko)
KR200363540Y1 (ko) 에어로졸 용기의 밸브
CN209535896U (zh) 一种喷雾瓶
JP6082232B2 (ja) 吐出装置および吐出製品
JP5278946B2 (ja) 点鼻薬噴出器
CA1153992A (en) Air-pressurized sprayer
JP5288404B2 (ja) 点鼻薬噴出器
KR200311496Y1 (ko) 노즐고정형 디스펜서 용기
US6592009B2 (en) Switch valve structure for liquid sprayer
KR200495178Y1 (ko) 펌프 용기
KR20170133986A (ko)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