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986A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986A
KR20170133986A KR1020160065541A KR20160065541A KR20170133986A KR 20170133986 A KR20170133986 A KR 20170133986A KR 1020160065541 A KR1020160065541 A KR 1020160065541A KR 20160065541 A KR20160065541 A KR 20160065541A KR 20170133986 A KR20170133986 A KR 20170133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lve body
ball housing
stock solu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하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좌용 filed Critical 하좌용
Priority to KR102016006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986A/ko
Publication of KR2017013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2Dip-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된 용기를 세워 사용하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용기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만이 분무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되는 용기; 마운팅 캡에 의해 개구부가 밀봉되게 고정 장착되며,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용기의 내외부를 소통시켜 기능성 원액을 토출하는 밸브체; 마운팅 캡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체의 밸브스템에 끼움 장착되며, 밸브스템을 통해 토출된 기능성 원액을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구; 및 용기를 세우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기능성 원액을 밸브체 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원액유동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을 용기 외부로 분무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구의 위치에 관계없이 기능성 원액만을 분무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모기약, 방향제, 방청제, 광택제, 액체왁스, 페인트 등을 분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미용용품 특히, 얼굴 및 몸의 보습을 위한 보습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선크림 등을 분무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종래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 디스펜서(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12)와, 용기(12)의 개방된 상부에 장착되는 밸브체(14) 및 밸브체(14)의 하부에서 용기(12)의 내부 하단 측으로 연장된 딥 튜브(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용기(12)의 내부에는 각종 기능성 원액(O)과 추진제(G)가 충전되는데, 밸브체(14)를 가압하여 용기(12)의 내외부가 소통되게 하면 추진제(G)의 압력에 의해 용기(12) 내부의 기능성 원액(O)은 딥 튜브(16)를 통해 밸브체(14)로 유동되면서 밸브체(14)를 통해 용기(12)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펜서(10)는 정상적인 사용 형태,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를 대략 수직으로 세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성 원액(O)이 정상적으로 분무되지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를 거꾸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진제(G) 보다 기능성 원액(O)의 비중이 높아 기능성 원액(O)이 딥 튜브(16)의 단부보다 낮게 가라앉기 때문에 기능성 원액(O)이 딥 튜브(16)로 유입되지 못하고 추진제(G)만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이 다양하게 모색되어 왔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30771 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46126 호"를 들 수 있다.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들에서는 정상적으로 디스펜서를 수직으로 세워 사용하거나, 또는 디스펜서를 거꾸로 회전시켜 사용할 경우 모두 기능성 원액이 분무되게 하는, 다시 말해,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는 딥 튜브와 밸브체 사이에 원액 유입공을 형성하되, 디스펜서를 수직으로 세워 사용할 때는 원액이 딥 튜브를 통해 원액이 유동되게 하고, 디스펜서를 거꾸로 회전시켜 사용할 때는 원액 유입공을 통해 원액이 유동되게 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에 개시된 분사밸브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펜서를 수평으로 눕혀 사용할 경우에는 기능성 원액이 딥 튜브의 단부 및 기능성 원액 유입공 보다 낮게 가라앉기 때문에 기능성 원액이 분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들 뿐만 아니라 종래 디스펜서들은 사용 시 기능성 원액이 전량 분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디스펜서의 용기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의 체적량에 비해 추진제의 압력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용기 내부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을 전량 분무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된 용기를 세워 사용하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용기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만이 분무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되는 용기를 가지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용기에는, 20~70 체적%의 기능성 원액이 충전되며, 추진제는 기능성 원액에 대하여 2~12bar의 압력 비율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되는 용기; 마운팅 캡에 의해 개구부가 밀봉되게 고정 장착되며,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용기의 내외부를 소통시켜 기능성 원액을 토출하는 밸브체; 마운팅 캡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체의 밸브스템에 끼움 장착되며, 밸브스템을 통해 토출된 기능성 원액을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구; 및 용기를 세우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기능성 원액을 밸브체 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원액유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액유동체는, 연장돌부 안착홈이 상단에서부터 하단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에는 튜브연결부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튜브연결부의 내부에는 연장돌부 안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 1 원액유입구가 연장돌부 안착홈과 연결되게 형성된 유도바디; 및 연장돌부 안착홈에 끼움 고정되어 유도바디를 밸브체의 연장돌부에 연결시키는 마감 캡;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구의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에 대응하는 연장돌부 안착홈의 내경 일측에는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지는 볼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되, 볼 하우징은 연장돌부 안착홈의 하단에서 상단 측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제 1 원액유입구의 일부와 연결되는 내경을 가지며, 볼 하우징 내부에는 볼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볼 하우징의 내부와 제 1 원액유입구 사이를 단속하는 개폐 볼이 내장되고, 볼 하우징의 일측과 볼 하우징의 일측이 고정된 연장돌부 안착홈의 일측에는 제 2 원액유입구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브연결부에는 용기 하단 측으로 연장되는 딥 튜브가 끼워져 고정되며, 딥 튜브의 하단은 용기를 수평으로 눕혔을 때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바디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자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밸브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액가이더가 더 형성되며, 제 2 원액유입구에 인접한 원액가이더에는 제 4 원액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감 캡은,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는 빈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돌부 안착홈에 끼움 고정되되, 마감 캡의 내경 측은 연장돌부에 끼움 장착되며, 마감 캡의 하단에는 볼 하우징의 상단에 끼워져 볼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는 마개돌부가 형성되고, 연장돌부 안착홈의 하단 측과 마주하는 마감 캡의 하단에는 제 3 원액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체의 플랜지에는 마운팅 캡을 관통해 연장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분사구에는 회전방지돌기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되는 용기; 마운팅 캡에 의해 개구부가 밀봉되게 고정 장착되는 밸브바디와, 밸브바디에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용기의 내외부를 소통시켜 기능성 원액을 토출시키는 원액토출수단, 및 용기를 세우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기능성 원액을 원액토출수단 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원액유도수단을 가지는 원액밸브체; 및 마운팅 캡의 외부로 돌출된 원액토출수단의 밸브스템에 끼움 장착되며, 밸브스템을 통해 토출된 기능성 원액을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바디에는 원액토출수단 및 원액유도수단이 배치되는 안착홈이 상단에서부터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밸브바디의 하단에는 튜브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튜브연결부에는 용기 내부와 상기 안착홈을 연결하는 제 1 원액유입구가 튜브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안착홈 내경은 제 1 원액유입구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브연결부에는 용기 하단 측으로 연장되는 딥 튜브가 끼워져 고정되며, 딥 튜브의 하단은 용기를 수평으로 눕혔을 때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액유도수단은, 분사구의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에 대응하는 안착홈의 내경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지는 볼 하우징; 및 볼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캡;을 포함하되, 볼 하우징은 안착홈의 하단에서 안착홈의 상단 측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제 1 원액유입구의 일부와 연결되는 내경을 가지며, 볼 하우징 내부에는 볼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볼 하우징의 내부와 제 1 원액유입구 사이를 단속하는 개폐 볼이 내장되고, 볼 하우징의 일측과 볼 하우징의 일측이 고정된 안착홈의 일측에는 제 2 원액유입구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바디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자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밸브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액가이더가 더 형성되며, 제 2 원액유입구에 인접한 원액가이더에는 제 4 원액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감 캡은,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는 빈 형상을 가지면서 안착홈에 끼움 고정되되, 마감 캡의 하단에는 볼 하우징의 상단에 끼워져 볼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는 마개돌부가 형성되고, 안착홈의 하단 측과 마주하는 마감 캡의 하단에는 제 3 원액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액토출수단은, 마감 캡의 내부에 내장되는 스프링; 및 하단 측이 스프링과 함께 마감 캡의 내부에 내장되되, 스프링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마운팅 캡을 관통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밸브스템;을 포함하며, 밸브스템에는 원액토출구가 밸브스템의 상단에서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밸브스템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요홈부에는 원액토출구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가 형성되되, 오리피스는 밸브바디의 플랜지와 마운팅 캡 사이에 개재되는 스템 개스킷이 끼워져 오리피스를 단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구는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원통형상으로 되되, 하단은 밸브스템이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캡과 이격되고, 분사구의 상단 내측면에는 하단 측으로 연장되면서 내주면이 밸브스템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끼워지면서 원액토출구에 간섭되지 않게 밸브스템의 상단에 거쳐지는 원통리브가 형성되며, 분사구의 외주면과 원통리브 내주면 사이에는 하나의 분사노즐이 개재되되,
밸브바디의 플랜지에는 마운팅 캡을 관통해 연장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분사구에는 회전방지돌기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능성 원액의 체적량에 대해 추진제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기능성 원액을 전량 분사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를 세워 사용하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용기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이 원활하게 분사되기 때문에 디스펜서의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추진제의 손실을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기능성 원액을 전량 분사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종래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펜서의 자세에 따른 기능성 원액의 분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펜서의 자세에 따른 기능성 원액의 분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용기(110; 도 2 참조)에 충전되는 기능성 원액(O)을 전량 분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용기(110)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O)을 전량 분무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원액(O)의 체적량과 추진제(G)의 압력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하기의 표 1은 용기(100)에 충전되는 기능성 원액(O)의 체적량에 대한 추진제(G)의 압력을 나타낸 것이다.
기능성 원액 체적량(체적%) 추진제 압력(bar)
20~25 2~5
25~30 2~7
35~40 3~8
45~50 4~9.5
55~60 4.5~10
65~70 4.5~1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용기(110)에 충전되는 기능성 원액(O)의 체적량(체적%)에 대하여 추진제(G)의 압력이 하한 임계값 미만일 때에는 추진제(G)의 압력이 약해 기능성 원액(O)이 전량 분무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용기(110)에 충전되는 기능성 원액(O)의 체적량(체적%)에 대하여 추진제(G)의 압력이 하한 임계값 이상이면 기능성 원액(O)이 전량 분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능성 원액(O)의 체적량(체적%)에 대하여 추진제(G)가 표 1에 나타낸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면 용기(11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기능성 원액(O)의 체적량(체적%)에 대하여 추진제(G)가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면 용기(11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해야 하고, 그로 인해 디스펜서(100) 제조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디스펜서(100) 사용 시 수반되는 추진제(G)의 손실량을 감안함과 더불어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표 1과 같은 범위 내에서 기능성 원액(O)과 추진제(G)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추진제(G)는 통상의 추진제(G), 예를 들면 액화질소, 액화산소, 액화공기, LPG, 부탄가스가 혼합된 LPG, 디메틸에테르(DME)가 혼합된 LPG 등 일 수 있다.
상기에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100)를 참고하여 기능성 원액(O) 및 추진제(G)의 조성비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성 원액(O) 및 추진제(G)의 조성비는 종래 통상의 디스펜서(도 1a, 도 1b)에 적용 가능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 다시 말해 용기(110, 210)를 세워 사용하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용기(110, 210)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O)이 분무되게 하는 디스펜서(100, 20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0, 200)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상부 및 하부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디스펜서(100, 200), 즉 용기(110, 210)가 세워진 상태의 디스펜서(100, 200)를 기준으로 지칭하였으며,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상부 및 하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0, 200)가 거꾸로 뒤집어지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지더라도 동일하게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용기(110), 밸브체(120), 분사구(150), 및 원액유도체(160)를 포함한다.
먼저, 용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에는 개구부(112)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대략 수직한 함체 형상을 가진다.
용기(110)의 빈 내부에는 전술한 표 1과 같은 비율로 기능성 원액(O) 및 추진제(G)가 충전된다. 이렇게 기능성 원액(O)과 추진제(G)가 충전되는 용기(110)는 안전을 위해 내압성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110)의 전체 및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밸브체(120)는 마운팅 캡(114)에 의해 용기(110)의 개구부(112)가 밀봉되도록 개구부(112)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밸브체(120)는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용기(110)의 내외부를 소통시켜 추진제(G)의 압력에 의해 기능성 원액(O)을 용기(110)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밸브체(120)는 공지 공용의 기술로, 밸브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스템(138)과, 스템 개스킷(134)과, 스프링(136), 및 밸브바디(122)를 포함한다.
밸브바디(122)는 개구부(112) 내부에 배치되되, 밸브바디(122)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개구부(112)의 상단에 걸쳐지거나 또는 개구부(112)에 간섭되지 않게 환형의 플랜지(124)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랜지(124)의 상부에는 내주연과 외주연을 가지는 링 형상의 스템 개스킷(134)이 안착된다. 이때 스템 개스킷(134)은 마운팅 캡(114)에 의해 플랜지(124)에 밀착 고정되며, 플랜지(124)에 스템 개스킷(134)이 밀착 고정된 밸브바디(122)는 마운팅 캡(114)에 의해 개구부(112)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밸브바디(122)에는 스프링(136)이 내장되고 밸브스템(138)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템 안착홈(126)이 상단에서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밸브스템(138)은 스템 안착홈(126)에 내장되는 스프링(136)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스템 개스킷(134)의 내주연을 지나 마운팅 캡(114)을 관통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밸브스템(138)에는 원액토출구(140)가 밸브스템(138)의 상단에서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밸브스템(138)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스템 개스킷(134)의 내주연이 끼워지는 요홈부(142)가 형성되는데, 요홈부(142)에는 원액토출구(140)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144)가 형성된다. 오리피스(144)는 요홈부(142)에 끼워진 스템 개스킷(134)의 내주연에 의해 단속된다.
한편, 밸브바디(122)의 하단에는 연장돌부(128)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연장돌부(128)에는 스템 안착홈(126)과 용기(110)의 내부를 연결하는 원액유동구(130)가 연장돌부(12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밸브스템(138)은 기능성 원액(O) 토출 시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밸브스템(138)은 스프링(136)을 가압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오리피스(144)는 스템 개스킷(134)의 내주연에서 이탈되면서 개방되는데, 이때 용기(110)의 기능성 원액(O)은 원액유도체(160) 측으로 유동되면서 원액유동구(130), 스템 안착홈(126), 오리피스(144) 및 원액토출구(140)를 통해 밸브체(120) 외부로 토출된다.
반대로, 밸브스템(138)에 작용하는 외력을 회수하면 스프링(136)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스템(138)은 상승하게 되고 오리피스(144)는 스템 개스킷(134)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기능성 원액(O)의 토출을 차단시킨다.
분사구(150)는 마운팅 캡(114)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스템(138)에 끼움 장착되는 것으로, 분사구(150)는 밸브체(120)를 통한 기능성 원액(O) 토출 시 기능성 원액(O)을 미스트(mist) 형태로 분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사구(150)는 밸브체(120)와 마찬가지로 공지 공용의 기술로, 분사구(150)는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대략 원통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때 분사구(150)의 하단은 밸브스템(138)이 눌러질 수 있도록 마운팅 캡(114)과 이격된다.
그리고 분사구(150)의 상단 내측면에는 하단 측으로 연장되되, 내주면이 밸브스템(138)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끼워지면서 원액토출구(140)에 간섭되지 않게 밸브스템(138)의 상단에 거쳐지는 원통리브(152)가 형성된다. 또한 분사구(150)의 외주면과 원통리브(152) 내주면 사이에는 하나의 분사노즐(154)이 개재된다.
즉, 원액토출구(140)를 통해 밸브체(120) 외부로 토출된 기능성 원액(O)은 원통리브(152)의 내부를 거쳐 분사노즐(154)을 통해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된다.
한편, 분사구(150)에는 밸브스템(138)에 끼워진 분사구(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156)이 형성되고, 회전방지홈(156)에는 밸브바디(122)의 플랜지(124)에서부터 마운팅 캡(114)을 관통해 연장되는 회전방지돌기(132)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여기서 회전방지홈(15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리브(152)에 간섭되지 않게 분사구(150)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되며, 회전방지돌기(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개스킷(134)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회전방지홈(156)과 회전방지돌기(132)에 의해 분사구(150)에서 분사되는 기능성 원액(O)은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원액유도체(160)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110)를 세워 사용하거나(도 2 및 도 3 참조), 또는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도 4 참조),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도 5 및 도 6 참조) 기능성 원액(O)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액유도체(160)는 밸브체(120)의 하단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원액유도체(160)는 유도바디(162) 및 유도바디(162)를 밸브바디(122)에 형성된 연장돌부(128)에 연결시키는 마감 캡(178)을 포함한다.
유도바디(162)에는 연장돌부 안착홈(164)이 상단에서부터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유도바디(162)의 하단에는 튜브연결부(166)가 일체로 하단 측으로돌출되게 형성된다. 튜브연결부(166)에는 용기(110)의 내부와 연장돌부 안착홈(164)을 연결하는 제 1 원액유입구(168)가 튜브연결부(16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내경은 제 1 원액유입구(168)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튜브연결부(166)에는 딥 튜브(170)가 끼워져 고정된다. 딥 튜브(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연결부(166)에서 용기(110)의 하단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딥 튜브(170)는 하단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0)를 수평으로 눕혔을 때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로 제작된다.
한편,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내경 일측, 바람직하게는 분사노즐(154)의 분사방향에 대응하는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내경 일측에는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지는 볼 하우징(172)이 일체로 형성된다. 볼 하우징(172)은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하단에서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상단 측으로 연장되되, 볼 하우징(172)의 상단은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볼 하우징(172)은 내부가 제 1 원액유입구(168)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볼 하우징(172) 내부에는 볼 하우징(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선택적으로 볼 하우징(172)의 내부와 제 1 원액유입구(168)를 단속하는 강구(鋼球) 형태의 개폐 볼(174)이 내장된다. 또한 볼 하우징(172)의 일측과 볼 하우징(172)의 일측이 고정된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일측에는 제 2 원액유입구(176)가 볼 하우징(172)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마감 캡(178)은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는 빈 대략 "∪"자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마감 캡(178)은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상단을 통해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내경 측으로 끼움 고정되는데, 유도바디(162)에 장착된 마감 캡(178)의 내경 측으로는 밸브바디(122)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돌부(128)가 끼움 장착된다.
그리고 마감 캡(178)의 하단에는 볼 하우징(172)의 상단에 끼워져 볼 하우징(172)의 상단을 폐쇄하는 마개돌부(180)가 형성되고, 연장돌부 안착홈(164)의 하단 측과 마주하는 마감 캡(178)의 하단에는 제 3 원액유입구(182)가 형성된다.
한편, 유도바디(162)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유도바디(16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액가이더(184)가 더 형성되는데, 원액가이더(184)는 대략 "∪"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 2 원액유입구(176)에 인접한 원액가이더(184)에는 제 4 원액유입구(186)가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0)를 세우면 기능성 원액(O)은 용기(110)의 하단 측으로 가라앉게 되고, 개폐볼(174)은 볼 하우징(172)의 하단 측으로 이동해 볼 하우징(172) 내부와 제 1 원액유입구(168)의 연결을 차단시키는데, 이러한 상태 하에서 용기(110)의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분사구(150)를 이용해 밸브스템(138)을 가압하면 기능성 원액(O)은 딥 튜브(170), 제 1 원액유입구(168), 연장돌부 안착홈(164), 제 3 원액유입구(182)를 통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되고, 제 3 원액유입구(182)를 통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된 기능성 원액(O)은 원액유동구(130), 스템 안착홈(126), 오리피스(144) 및 원액토출구(140)를 통해 분사구(150) 측으로 토출되며, 분사구(150) 측으로 토출된 기능성 원액(O)은 원통리브(152) 내부 및 분사노즐(154)을 통해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0)를 거꾸로 뒤집으면 기능성 원액(O)은 용기(110)의 상단 측으로 가라앉게 되고, 개폐볼(174)은 볼 하우징(172)의 상단 측으로 이동해 볼 하우징(172) 내부와 제 1 원액유입구(168)를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상태 하에서 용기(110)의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분사구(150)를 이용해 밸브스템(138)을 가압하면 기능성 원액(O)은 제 2 원액유입구(176), 볼 하우징(172) 내부, 제 1 원액유입구(168), 연장돌부 안착홈(164), 제 3 원액유입구(182)를 통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되고, 제 3 원액유입구(182)를 통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된 기능성 원액(O)은 원액유동구(130), 스템 안착홈(126), 오리피스(144) 및 원액토출구(140)를 통해 분사구(150) 측으로 토출되며, 분사구(150) 측으로 토출된 기능성 원액(O)은 원통리브(152) 내부 및 분사노즐(154)을 통해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0)가 수평으로 눕혀지고 기능성 원액(O)이 제 2 원액유입구(176) 보다 낮게 가라앉으면 딥 튜브(170)의 하단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기능성 원액(O) 내부로 잠기는데, 이러한 상태 하에서 용기(110)의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분사구(150)를 이용해 밸브스템(138)을 가압하면 기능성 원액(O)은 딥 튜브(170), 제 1 원액유입구(168), 연장돌부 안착홈(164), 제 3 원액유입구(182)를 통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되고, 제 3 원액유입구(182)를 통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된 기능성 원액(O)은 원액유동구(130), 스템 안착홈(126), 오리피스(144) 및 원액토출구(140)를 통해 분사구(150) 측으로 토출되며, 분사구(150) 측으로 토출된 기능성 원액(O)은 원통리브(152) 내부 및 분사노즐(154)을 통해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0)가 대략 비스듬하게 거꾸로 뒤집히고 기능성 원액(O)이 제 2 원액유입구(176) 보다 낮게 가라앉으면 개폐볼(174)은 볼 하우징(172)의 상단 측으로 이동해 볼 하우징(172) 내부와 제 1 원액유입구(168)를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상태 하에서 용기(110)의 내외부가 소통되도록 분사구(150)를 이용해 밸브스템(138)을 가압하면 기능성 원액(O)은 원액가이더(184)를 따라 안내되면서 제 4 원액유입구(186)를 통해 제 2 원액유입구(176) 측으로 유동되고, 제 2 원액유입구(176) 측으로 유동되는 기능성 원액(O)은 볼 하우징(172) 내부, 제 1 원액유입구(168), 연장돌부 안착홈(164), 제 3 원액유입구(182)를 통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되고, 제 3 원액유입구(182)를 통해 밸브체(120) 측으로 유동된 기능성 원액(O)은 원액유동구(130), 스템 안착홈(126), 오리피스(144) 및 원액토출구(140)를 통해 분사구(150) 측으로 토출되며, 분사구(150) 측으로 토출된 기능성 원액(O)은 원통리브(152) 내부 및 분사노즐(154)을 통해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즉 용기(110)를 세워 사용하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용기()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O)이 분무되게 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00)는 용기(210), 원액밸브체() 및 분사구()를 포함한다.
먼저, 용기(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에는 개구부(212)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대략 수직한 함체 형상을 가진다.
용기(210)의 빈 내부에는 전술한 표 1과 같은 비율로 기능성 원액(O) 및 추진제(G)가 충전된다. 이렇게 기능성 원액(O)과 추진제(G)가 충전되는 용기(210)는 안전을 위해 내압성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210)의 전체 및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원액밸브체(220)는 밸브바디(222), 원액토출수단(250) 및 원액유도수단(236)을 포함한다.
밸브바디(222)는 개구부(212) 내부에 배치되되, 밸브바디(222)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개구부(212)의 상단에 걸쳐지거나 또는 개구부(212)에 간섭되지 않게 환형의 플랜지(224)가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224)의 상부에는 내주연과 외주연을 가지는 링 형상의 스템 개스킷(226)이 안착된다. 스템 개스킷(226)은 마운팅 캡(214)에 의해 플랜지(224)에 밀착되며, 플랜지(224)에 스템 개스킷(226)이 밀착된 밸브바디(222)는 마운팅 캡(114)에 의해 개구부(212)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밸브바디(222)에는 원액토출수단(250) 및 원액유도수단(236)이 배치되는 안착홈(228)이 상단에서부터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밸브바디(222)의 하단에는 튜브연결부(230)가 일체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튜브연결부(230)에는 용기(210) 내부와 안착홈(228)을 연결하는 제 1 원액유입구(232)가 튜브연결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안착홈(228)의 내경은 제 1 원액유입구(232)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튜브연결부(230)에는 딥 튜브(234)가 끼워져 고정된다. 딥 튜브(2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연결부(230)에서 용기(110)의 하단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딥 튜브(234)는 하단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200)를 수평으로 눕혔을 때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밸브바디(222)의 안착홈(228)에는 원액토출수단() 및 원액유도수단(236)이 배치된다.
원액유도수단(23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210)를 세워 사용하거나(도 8 및 도 9 참조), 또는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도 10 참조),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도 11 및 도 12 참조) 기능성 원액(O)이 원액토출수단(250) 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액유도수단(236)은 안착홈(228)의 내경 일측,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분사구(270)의 분사노즐(274), 즉 분사노즐(274)의 분사방향에 대응하는 안착홈(228)의 내경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지는 볼 하우징(238) 및 볼 하우징(238)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캡(244)을 포함한다.
볼 하우징(238)은 안착홈(228)의 하단에서 안착홈(228)의 상단 측으로 연장되되, 볼 하우징(238)의 상단은 안착홈(228)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볼 하우징(238)은 내부가 제 1 원액유입구(232)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볼 하우징(238) 내부에는 볼 하우징(23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선택적으로 볼 하우징(238)의 내부와 제 1 원액유입구(232)를 단속하는 강구(鋼球) 형태의 개폐 볼(240)이 내장된다. 또한 볼 하우징(238)의 일측과 볼 하우징(238)의 일측이 고정된 안착홈(238)의 일측에는 제 2 원액유입구(242)가 볼 하우징(238)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마감 캡(244)은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면 내부는 빈 대략 "∪"자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마감 캡(244)은 안착홈(238)의 상단을 통해 안착홈(238)의 내경 측으로 끼움 고정된다. 그리고 마감 캡(224)의 하단에는 볼 하우징(238)의 상단에 끼워져 볼 하우징(238)의 상단을 폐쇄하는 마개돌부(246)가 형성되고, 안착홈(238)의 하단 측과 마주하는 마감 캡(244)의 하단에는 제 3 원액유입구(248)가 형성된다.
원액토출수단(250)은 마감 캡(244)의 내부에 내장되는 스프링(252)과, 하단 측이 스프링(252)과 함께 마감 캡(244)의 내부에 내장되되, 스프링(252)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스템 개스킷(226)의 내주연을 지나 마운팅 캡(214)을 관통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밸브스템(254)을 포함한다.
밸브스템(254)에는 원액토출구(256)가 밸브스템(254)의 상단에서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밸브스템(254)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스템 개스킷(226)의 내주연이 끼워지는 요홈부(258)가 형성되는데, 요홈부(258)에는 원액토출구(256)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260)가 형성된다. 오리피스(260)는 요홈부(258)에 끼워진 스템 개스킷(226)의 내주연에 의해 단속된다.
여기서 원액토출수단(250)을 통한 기능성 원액(O) 토출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분사구(270)는 마운팅 캡(214)의 외부로 돌출된 밸브스템(254)에 끼움 장착되는 것으로, 분사구(270)는 원액토출수단(250)을 통한 기능성 원액(O) 토출 시 기능성 원액(O)을 미스트(mist) 형태로 분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사구(270)는 공지 공용의 기술로, 분사구(270)는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대략 원통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때 분사구(270)의 하단은 밸브스템(254)이 눌러질 수 있도록 마운팅 캡(214)과 이격된다.
그리고 분사구(270)의 상단 내측면에는 하단 측으로 연장되되, 내주면이 밸브스템(254)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끼워지면서 원액토출구(256)에 간섭되지 않게 밸브스템(254)의 상단에 거쳐지는 원통리브(272)가 형성된다. 또한 분사구(270)의 외주면과 원통리브(272) 내주면 사이에는 하나의 분사노즐(274)이 개재된다.
즉, 원액토출구(256)를 통해 원액밸브체(220) 외부로 토출된 기능성 원액(O)은 원통리브(272)의 내부를 거쳐 분사노즐(274)을 통해 미스트(mist)의 형태로 분사된다.
한편, 분사구(270)에는 밸브스템(254)에 끼워진 분사구(27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276)이 형성되고, 회전방지홈(276)에는 밸브바디(222)의 플랜지(224)에서부터 마운팅 캡(214)을 관통해 연장되는 회전방지돌기(262)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여기서 회전방지홈(27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리브(272)에 간섭되지 않게 분사구(270)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되며, 회전방지돌기(2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개스킷(226)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회전방지홈(276)과 회전방지돌기(262)에 의해 분사구(270)에서 분사되는 기능성 원액(O)은 방향성을 가지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274)의 분사방향에 대해 제 2 원액유입구(242)은 대응하게 형성된다.
한편, 밸브바디(222)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밸브바디(22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액가이더(264)가 더 형성되는데, 원액가이더(264)는 대략 "∪"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 2 원액유입구(242)에 인접한 원액가이더(264)에는 제 4 원액유입구(26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200)의 작동 상태, 즉 디스펜서(200)의 자세에 따른 기능성 원액(O) 토출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0, 200)는 기능성 원액(O)의 체적량에 대해 추진제(G)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기능성 원액(O)을 전량 분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0, 200)는 용기(110, 210)를 세워 사용하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어 사용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용기(110, 210)에 충전된 기능성 원액(O)이 원활하게 분사되기 때문에 디스펜서(100, 200)의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추진제(G)의 손실을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기능성 원액(O)을 전량 분사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100, 2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200 : 디스펜서 110, 210 : 용기
112, 212 : 개구부 114, 214 : 마운팅 캡
120 : 밸브체 122, 222 : 밸브바디
132, 262 : 회전방지돌기 134, 226 : 스템 개스킷
138, 254 : 밸브스템 150, 270 : 분사구
154, 274 : 분사노즐 160 : 원액유도체
172, 238 : 볼 하우징 174, 240 : 개폐 볼
178, 244 : 마감 캡 220 : 원액밸브체
236 : 원액유도수단 250 : 원액토출수단

Claims (16)

  1.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되는 용기를 가지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20~70 체적%의 상기 기능성 원액이 충전되며,
    상기 추진제는 상기 기능성 원액에 대하여 2~12bar의 압력 비율로 충전되는 디스펜서,
  2.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되는 용기;
    마운팅 캡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밀봉되게 고정 장착되며,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소통시켜 상기 기능성 원액을 토출하는 밸브체;
    상기 마운팅 캡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밸브체의 밸브스템에 끼움 장착되며, 상기 밸브스템을 통해 토출된 기능성 원액을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구; 및
    상기 용기를 세우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상기 기능성 원액을 상기 밸브체 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원액유동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액유동체는,
    연장돌부 안착홈이 상단에서부터 하단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에는 튜브연결부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튜브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장돌부 안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 1 원액유입구가 상기 연장돌부 안착홈과 연결되게 형성된 유도바디; 및
    상기 연장돌부 안착홈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유도바디를 상기 밸브체의 연장돌부에 연결시키는 마감 캡;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의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연장돌부 안착홈의 내경 일측에는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지는 볼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볼 하우징은 상기 연장돌부 안착홈의 하단에서 상단 측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상기 제 1 원액유입구의 일부와 연결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볼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볼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볼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제 1 원액유입구 사이를 단속하는 개폐 볼이 내장되고, 상기 볼 하우징의 일측과 상기 볼 하우징의 일측이 고정된 상기 연장돌부 안착홈의 일측에는 제 2 원액유입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디스펜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튜브연결부에는 상기 용기 하단 측으로 연장되는 딥 튜브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딥 튜브의 하단은 상기 용기를 수평으로 눕혔을 때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디스펜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도바디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자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액가이더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 2 원액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원액가이더에는 제 4 원액유입구가 형성되는 디스펜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감 캡은,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는 빈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연장돌부 안착홈에 끼움 고정되되, 상기 마감 캡의 내경 측은 상기 연장돌부에 끼움 장착되며,
    상기 마감 캡의 하단에는 상기 볼 하우징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볼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는 마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돌부 안착홈의 하단 측과 마주하는 상기 마감 캡의 하단에는 제 3 원액유입구가 형성되는 디스펜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플랜지에는 상기 마운팅 캡을 관통해 연장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디스펜서.
  9.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는 빈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기능성 원액 및 추진제가 충전되는 용기;
    마운팅 캡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밀봉되게 고정 장착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소통시켜 상기 기능성 원액을 토출시키는 원액토출수단, 및 상기 용기를 세우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거나, 또는 수평으로 눕혀 사용하더라도 상기 기능성 원액을 상기 원액토출수단 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원액유도수단을 가지는 원액밸브체; 및
    상기 마운팅 캡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원액토출수단의 밸브스템에 끼움 장착되며, 상기 밸브스템을 통해 토출된 기능성 원액을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에는 상기 원액토출수단 및 상기 원액유도수단이 배치되는 안착홈이 상단에서부터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하단에는 튜브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튜브연결부에는 상기 용기 내부와 상기 안착홈을 연결하는 제 1 원액유입구가 상기 튜브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 내경은 상기 제 1 원액유입구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펜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튜브연결부에는 상기 용기 하단 측으로 연장되는 딥 튜브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딥 튜브의 하단은 상기 용기를 수평으로 눕혔을 때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디스펜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원액유도수단은,
    상기 분사구의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안착홈의 내경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지는 볼 하우징; 및
    상기 볼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캡;을 포함하되,
    상기 볼 하우징은 상기 안착홈의 하단에서 상기 안착홈의 상단 측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상기 제 1 원액유입구의 일부와 연결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볼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볼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볼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제 1 원액유입구 사이를 단속하는 개폐 볼이 내장되고, 상기 볼 하우징의 일측과 상기 볼 하우징의 일측이 고정된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는 제 2 원액유입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디스펜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자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밸브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액가이더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 2 원액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원액가이더에는 제 4 원액유입구가 형성되는 디스펜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마감 캡은,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는 빈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안착홈에 끼움 고정되되, 상기 마감 캡의 하단에는 상기 볼 하우징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볼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는 마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하단 측과 마주하는 상기 마감 캡의 하단에는 제 3 원액유입구가 형성되는 디스펜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원액토출수단은,
    상기 마감 캡의 내부에 내장되는 스프링; 및
    하단 측이 상기 스프링과 함께 상기 마감 캡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마운팅 캡을 관통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밸브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스템에는 원액토출구가 상기 밸브스템의 상단에서 하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스템의 하단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원액토출구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가 형성되되,
    상기 오리피스는 밸브바디의 플랜지와 상기 마운팅 캡 사이에 개재되는 스템 개스킷이 끼워져 상기 오리피스를 단속하는 디스펜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며 내부는 빈 원통형상으로 되되, 하단은 상기 밸브스템이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캡과 이격되고,
    상기 분사구의 상단 내측면에는 하단 측으로 연장되면서 내주면이 상기 밸브스템의 상단에 인접한 외주면에 끼워지면서 상기 원액토출구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밸브스템의 상단에 거쳐지는 원통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리브 내주면 사이에는 하나의 분사노즐이 개재되되,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마운팅 캡을 관통해 연장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디스펜서.




KR1020160065541A 2016-05-27 2016-05-27 디스펜서 KR20170133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541A KR20170133986A (ko) 2016-05-27 2016-05-27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541A KR20170133986A (ko) 2016-05-27 2016-05-27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986A true KR20170133986A (ko) 2017-12-06

Family

ID=6092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541A KR20170133986A (ko) 2016-05-27 2016-05-27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9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162A (ko) * 2020-07-17 2022-01-25 권태웅 편의성이 향상된 미스트 분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162A (ko) * 2020-07-17 2022-01-25 권태웅 편의성이 향상된 미스트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011B1 (ko) 에어로졸 밸브 조립체 및 에어로졸 패키지
US6092698A (en) High volume aerosol valve
JP6108181B2 (ja) スプレーポンプ
US3759426A (en) Manually-operated liquid dispenser
KR102161238B1 (ko) 거품 분배기
RU2013109379A (ru) Емкости и способы смешивания и дозированной выдачи концентратов напитков
US11738360B2 (en) Spray cap for spray container
CZ20032159A3 (en) Pump dispenser having an improved discharge valve
EP1242148B1 (en) Dispensing head for a squeeze dispenser
US6513681B2 (en) Spray closure with a push-pull seal
US6047946A (en) Blocking structure for preventing actuation of a valve for pressurized containers
KR20030069976A (ko) 신속 개방형 에어로졸 밸브
US5110051A (en) Squeeze sprayer device
US6698620B2 (en) Aerosol valve for high rate filling
KR20170133986A (ko) 디스펜서
JP5598911B2 (ja) 吐出モードを切替え可能な吐出ヘッド及び吐出器
JPH06345157A (ja) エアロゾル型収容容器
KR101814470B1 (ko) 디스펜서
KR20170082921A (ko) 디스펜서
KR20170104435A (ko) 디스펜서
US5431312A (en) Container for the dispensing of liquid
KR20170105465A (ko) 디스펜서
KR102370545B1 (ko) 에어졸 스프레이용 펌핑밸브 조립체
JP7446690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
JP4297253B2 (ja) 手動噴霧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