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455A - 리싸이클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리싸이클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455A
KR20120124455A KR1020127021842A KR20127021842A KR20120124455A KR 20120124455 A KR20120124455 A KR 20120124455A KR 1020127021842 A KR1020127021842 A KR 1020127021842A KR 20127021842 A KR20127021842 A KR 20127021842A KR 20120124455 A KR20120124455 A KR 2012012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recycler
disposed
reservoi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디 퍼블
데이비드 키셀라
그렉 머츠
개리 메이어즈
팀 로스웰
Original Assignee
세이프티 - 클린 시스템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698,725 external-priority patent/US8381767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98,713 external-priority patent/US8506761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98,787 external-priority patent/US20110186080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98,756 external-priority patent/US8470137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98,771 external-priority patent/US8425732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98,739 external-priority patent/US8470136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98,762 external-priority patent/US8470138B2/en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티 - 클린 시스템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세이프티 - 클린 시스템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2012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42Regula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33Other features
    • B01D5/0051Regulation processes; Control system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6Cabinets or cupboard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rticles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조립체가 리싸이클러 모듈에 연결된 저장조 모듈을 포함한다. 저장조 모듈은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저장조와 내부공간을 감소시키고 액세스 포트를 포함하는 분리형 덮개를 포함한다. 리싸이클러 모듈은 증류조립체와 공조조립체를 포함한다. 증류조립체는 증류기와 응축기 및 투시창을 포함하는 도관을 포함한다. 공조조립체는 흡기구, 배기구 및 기류소오스를 갖는 덕트를 포함한다. 응축기는 덕트내에 배치되고 투시창은 덕트의 외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리싸이클러 조립체 {RECYCLER ASSEMBLY}
본 발명은 오염된 용제용액을 재활용하기 위한 리싸이클러 조립체(recycle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용제재활용 유니트, 특히 부품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용제를 재활용하기 위한 리싸이클링 유니트(recycling unit)는 여러 결점이 있다. 이러한 리싸이클링 유니트는 특히 증류싸이클의 작동중에 악취를 상당히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리싸이클링 유니트의 부품을 통한 이러한 용제 재활용은 통상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이한 저장용량을 갖는 각 리싸이클링 유니트에 연결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상이한 리싸이클링 유니트가 요구된다. 더욱이, 이러한 리싸이클링 유니트는 비용 및 시간효율면에서 유지보수의 서비스가 어렵다. 또한 이러한 리싸이클링 유니트는 공조(air handling), 용제증류 및 폐기물수집과 제거조립체에 대하여 작동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간단히 언급된 문제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오염된 용제용액을 재활용하기 위한 리싸이클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내용의 리싸이클러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 도면의 설명, 요약, 배경, 발명의 분야 및 표제를 참조함으로서 그 전체가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것은 동일한 요소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요약에 열거된 요소들은 참조되지 않으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인용된다.
도 1은 설명을 위하여 일부의 구성요소를 제거한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조립체와, 일부를 절개표시한 오염용제용액의 공급원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부의 구성요소를 제거하고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한 도 1의 오염용제용액의 리싸이클링을 위한 조립체의 측면도.
도 3은 저장조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리싸이클러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설명을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를 제거하여 보인 리싸이클러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도 2로부터 증류기의 상세도.
도 7은 도 6의 증류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1의 오염용제용액의 리싸이클링을 위한 조립체의 개요도.
도 9는 도 1의 오염용제용액의 리싸이클링을 위한 조립체를 위한 서비스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1의 오염용제용액의 리싸이클링을 위한 조립체를 위한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특별히 예시된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수정이나 적용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장치에서 다른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어떠한 제한을 두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를 제거하고 보인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리싸이클링 조립체(200)와, 역시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일부를 단면으로 보인 오염용제용액(300)의 소오스(100)를 사시도로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염용제용액(300)의 소오스(100)는 다수의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소오스(100)는 싱크(sink) 또는 드럼이나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통상 싱크-온-드럼(sink-on-drum)형 부품세척기로 불리는 부품세척기 조립체일 수 있으며, 다른 구조나 기능에 대하여서는 본 발명에서 인용하고 있는 미국특허 제3,522,814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으나 소오스(100)의 한 실시형태인 부품세척기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부품 또는 대상물을 세척하는데 사용되고 오염용제용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갖거나 사용하는 다른 조립체나 장치가 오염용제용액(300)의 소오스(100)와 달리 제한없이 부품세척기 조립체(100)와 동등한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부품세척기 조립체(100)는 오염용제용액(300)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106)에 연결되고 연통하는 대상물(104)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102)을 포함한다. 오염용제용액(300)은 용기(106)내에 수용되고 그 수용된 양은 레벨(302)로 표시하였다.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이러한 레벨은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6)의 저면으로부터 측정된 높이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레벨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수행하거나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 측정되거나 정량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오염용제용액이라는 표현은 신선하거나 순수한 용제와 용제와 오염물의 용액을 모두 포함한다. 오염물은 대상물로부터 제거되거나 용제에 혼입되어 오염용제용액을 형성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이러한 오염물은 고체, 금속, 토질, 슬러지, 액체, 오일, 그리스, 때, 황화합물, 할로겐화 화합물, 아민, 지방산과, 용제와 함께 용액을 형성하는 오염물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제는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수행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다른 적당한 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탄화수소계 용제가 기계부품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성공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석유계 용제, N-메틸-2-피롤리돈(NMP), 부타논(메틸 에틸 케톤, 즉, MEK), QSOL, 또는 다른 적당한 용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위하여 성공적인 것일 수 있다. 오염용제용액(300)을 용기(106)으로부터 부분(102)으로 이동시키고 드레인을 통하여 용기(106)측으로 회수하는 부품세척기 조립체(100)에서 펌프의 작동, 용제의 증발, 유출, 배출, 오염용제용액의 드래그-아웃(drag-out) 또는 흡수 등의 다양한 이유로 레벨(302)이 달라질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오염용제용액(300)을 재활용하기 위한 리싸이클링 조립체(200)는 저장조 모듈(202)과 리싸이클러 모듈(204)을 포함한다. 리싸이클러 모듈(204)은 저장조 모듈(20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분리가능한 연결수단은 적당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분리가능한 연결수단은 파스너, 래치, 후크, 슬로트, 보상적인 요철결합구조 등과, 이들의 조합 또는 다른 적당한 연결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저장조 모듈(202)은 착탈형의 저장조(2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착탈형 구조는 적당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착탈형 구조는 파스너, 래치, 후크, 슬로트, 보상적인 요철결합구조 등과, 이들의 조합 또는 다른 적당한 연결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저장조 모듈(202)은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장조 모듈(204)의 내부(21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방향으로부터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장조 모듈(204)의 내부(210)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도어(20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제2방향은 회전도어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은 개방위치, 분리형 패널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분리위치, 또는 다른 적당한 방향일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리싸이클러 모듈(204)은 증류조립체(212)와 공조조립체(214)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증류조립체(212)는 증류기(216)와 제1단부(220)에서 증류기(216)에 연결되고 제2단부(222)에서 오염용제용액(300)을 수용하는 용기(106)에 연결된 도관(2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106)에 대한 도관(218)의 연결은 도관(218)의 제2단부(222)와 용기(106) 사이의 어떠한 물리적인 연결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106)내에서 도관(218)의 제2단부(222)를 배치하여 양 실시예에서 제2단부(222)가 레벨(302)의 하측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증류조립체(212)는 증류기(216)에 연결되는 압력방출밸브(224)를 포함한다. 압력방출밸브(224)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증류기(216)내에 형성된 증류실에 직접 연통하고, 튜브(226)가 제1단부(228)에서 압력방출밸브(224)에 연결되고 제2단부(230)에서 오염용제용액(300)을 수용하는 용기(106)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106)에 대한 튜브(226)의 연결은 튜브(226)의 제2단부(230)와 용기(106) 사이의 어떠한 물리적인 연결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106)내에서 튜브(226)의 제2단부(230)를 배치하여 양 실시예에서 제2단부(230)가 레벨(302)의 하측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공조조립체(214)는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흡기구(296)와 배기구(298)를 갖는 덕트(310)와, 이러한 덕트(310)에 연결된 기류소오스(32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기구(296)와 배기구(298)는 적당한 위치 또는 방향에서 리싸이클러 모듈(204)상에 또는 그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우선실시형태에서, 흡기구(296)는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전면(330)에 배치되고 배기구(298)는 리싸이클러(204)의 배면(33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오염용제용액(300)으로부터 용제를 재활용하기 위한 리싸이클링 조립체(200)의 측면을 보인 것으로,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일부를 제거하고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하였다. 한 실시형태에서, 오염용제용액(300)을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리싸이클링 조립체(200)는 리싸이클러 모듈(204)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저장조 모듈(202)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이러한 저장조 모듈(202)과 리싸이클러 모듈(204) 사이에는 신속분리형 유체커플링 또는 다른 적당한 연결구조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싸이클러 모듈(204)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당한 방식으로 저장조 모듈(20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성취하고자 하는 고정 및 분리가능한 연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클립, 기계적인 파스너, 또는 다른 적당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저장조 모듈 202의 분해사시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한 실시형태에서, 저장조 모듈(202)은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저장조(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착탈형 구성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당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조는 프레임(246)내에 배치되어 이에 의하여 지지되고 착탈형 파스너로 프레임(246)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저장조 모듈(202)은 프레임(246), 이러한 프레임(246)에 연결되고 저장조 모듈(202)의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248)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내부(210)에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프레임(246)에 연결된 도어(208)로 구성되며, 이들 모두는 함께 저장조 모듈(202)의 내부(21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246)은 적당한 재료를 사용하여 잘 알려진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46)은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복합물질 등의 적당한 물질을 이용하여, 스탬핑, 성형,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몰딩, 본딩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프레임(246)은 금속, 특히 탄소강 등의 적당한 물질의 부품들로 구성되고 용접이나 기계적인 파스너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248)는 적당한 물질로 구성되고 알려진 방식으로 프레임(24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48)는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복합물질 등의 적당한 물질을 이용하여, 스탬핑, 성형,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몰딩, 본딩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커버(248)는 금속, 특히 탄소강이나 아연도강 등의 적당한 물질의 부품들로 구성되고 용접이나 기계적인 파스너로 프레임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208)는 적당한 재료로 구성되고 잘 알려진 방식으로 프레임(246)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어(208)는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문에 기술된 목적과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연결하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도어(208)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문에 기술된 목적과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연결되는 금속, 좋기로는 탄소강, 아연도강 등의 적당한 물질,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저장조(206)는 함께 내부공간(238)을 형성하는 측벽(232), 저면벽(234) 및 상부벽(23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저장조(206)는 적당한 물질과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조(206)는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복합물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스탬핑, 성형,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몰딩, 본딩 등의 여러 구성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저장조(206)는 함께 용접되는 탄소강의 부품이나 액밀(液密)형 용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적당한 플라스틱물질의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측벽(232)은 전면부(240), 배면부(242)와 양측의 측면부(244)를 포함한다. 배면부(242)와 양측의 측면부(244)는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면부(240)의 실질적인 구성요소, 특히 저면벽(234)의 전면변부(250)에 인접하여 배치된 전면부(240)의 구성요소는 수직방향이 아니고 실질적으로 저면벽(234)에 대하여 직각을 이룬다. 이러한 방향배치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립체(20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면벽(234)은 측벽(232)의 배면부(242)에 인접하여 배치된 배면변부(252)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배면변부(252)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립체(200)의 조작과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변부(2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아울러, 한 실시형태에서, 저면벽(234)은 경사형, 만곡형 평면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상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저장조(206)내에 수용된 오염용제용액 및/또는 오염물이 출렁거리나 엎질러지는 등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그리고 증류실로부터 고체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구불구불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배플(254)이 저장조(206)의 내부공간(238)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배플(254)은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당한 물질과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저장조(206)는 또한 이러한 저장조(206)의 상부벽(236)에 형성된 개방부(258)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25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덮개(256)는 적당한 물질과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256)는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복합물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스탬핑, 성형,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몰딩, 본딩 등의 여러 구성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덮개(256)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요구된 구조로 구성되는 금속, 좋기로는 탄소강, 아연도강 등의 적당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단일체의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덮개(256)는 이러한 덮개(256)를 개방부(258)에 대하여 잘 알려진 액밀형의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커낵터(2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커넥터(260)는 적당한 물질과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260)는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탬핑, 성형,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몰딩, 본딩 등의 여러 구성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커넥터(260)는 일반적으로 신속해제형의 배럴형 클램프 링이라 불리는 단일체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 실시형태에서, 덮개(256)는 상부벽(236)의 아래에서 내부공간(238)측으로 연장된 제1부분(262)을 포함한다. 따라서, 내부공간(238)이 간소되어 저장조(206)로부터 덮개(256)를 분리하는 경우 저장조(206)에 배치된 오염용제용액(300)의 레벨이 낮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제1부분(262)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립체(200)의 유지보수를 위한 서비스중에 저장조(206)내에서 오염물 및/또는 오염용제용액(300)이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공간(238)으로 삽입되는 장치와 같이 체적의 일부를 변환시킨다. 선택적으로, 덮개(256)는 또한 커플링(266)이 연결된 제1부분(262)에 액세스 포트(access port)(2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플링(266)은 적당한 물질과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커플링(266)은 신속분리형의 액밀형 커플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적당한 구성의 커플링(266)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저장조(206)는 또한 저장조(206)와 증류기(216)에 연결되는 도관(276)을 포함하는 안전폐쇄조립체(270), 도관(276)에 연결된 밸브(268), 밸브(268)에 연결된 스탠도프(standoff)(274)와, 스탠도프(274)에 연결된 핸들(272)을 포함한다. 도관(276)은 저장조(206)의 상부벽(236)에 연결되고 증류기(216)로부터 저장조(206) 측으로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밸브(268)는 적당한 물질과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밸브(268)는 통상적인 액밀혀 볼밸브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적당한 구성의 밸브(268)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스탠포드(274)와 핸들(272)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핸들(272)이 어떠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덮개(256)가 분리되는 것에 간섭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조립체(200)가 리싸이클 모드에 있을 때 덮개(272)가 분리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행들(272)은 개방위치인 제1작업방향, 즉, 리싸이클이 이루어지는 방향(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음)과, 폐쇄위치인 제2작업방향, 즉, 유지보수를 위한 서비스방향(도 3 및 도 11에서 보임) 사이로 밸브(268)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밸브(268)가 개방위치에 놓여 저장조(206)가 증류기(216)에 연통할 때(도관 276과 밸브 268을 통하여), 핸들(272)이 덮개(256)에 간섭토록 배치되어 덮개(256)가 저장조(206)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밸브(268)가 폐쇄위치에 놓여 저장조(206)가 증류기(216)에 연통되어 있지 않은 경우(밸브 268가 도관 276을 폐쇄한다), 덮개(256)가 저장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폐쇄조립체(270)는 본문에 언급된 바와 같이 조립체(200)를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유용하다.
도 2, 도 4(리싸이클러 모듈 204의 분해사시도) 및 도 5(리싸이클러 모듈 204의 사시도, 설명을 간명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를 제거함)에서 보인 바와 같이, 리싸이클러 모듈(204)은 증류조립체(212)와 공조조립체(21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리싸이클러 모듈(204)은 프레임(278), 이러한 프레임(278)에 연결되어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280)와, 프레임(278)에 연결되는 도어(282)(커버 28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로 구성되고, 이들 모두는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내부(284)를 형성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도어(282)는 도 1, 도 2 및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내부(284)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방향으로부터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내부(284)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어(282)의 이동에 관련된 부가적인 기능이 설명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방향은 회전형 도어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위치이고, 이동위치는 이동향 패널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거나 또는 다른 적당한 방향이다. 도어(282)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방향 사이에 원호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프레임(27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278)은 적당한 물질과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78)은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본딩 등의 여러 구성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프레임(278)은 용접 또는 기계적인 파스너로 연결되는 금속, 좋기로는 탄소강, 아연도강 등의 적당한 물질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280)는 적당한 물질로 구성되어 알려진 방법으로 프레임(278)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80)는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복합물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스탬핑, 성형,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몰딩, 본딩 등의 여러 구성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커버(280)는 프레임, 즉, 전면커버(도어 282), 배면커버(286), 측면커버(288), 저면벽(290) 및 상부커버(316)에 용접 또는 기계적인 파스너로 연결되는 금속, 좋기로는 탄소강, 아연도강 등의 적당한 물질, 또는 플라스틱물질로 이루어지는 단일체의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282)는 적당한 물질로 구성되어 적당한 방법으로 프레임(278)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82)는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복합물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스탬핑, 성형,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몰딩, 본딩 등의 여러 구성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도어(282)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요구된 구조로 구성되고 프레임에 연결되는 금속, 좋기로는 탄소강, 아연도강 등의 적당한 물질,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체의 구조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전면커버, 즉, 도어(282)는 유입개방부(292)를 가지고 배면커버(286)는 유출개방부(294)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유입개방부(292)와 유출개방부(294)는 적당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유입개방부(292)와 유출개방부(294)는 펀칭, 몰딩, 컷팅 등 다른 적당한 성형방법 또는 기술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 유입개방부(292)와 유출개방부(294)는 공조조립체(214)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유입개방부(292)와 유출개방부(294)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부여하기 위하여 커버(280)에서 적당한 장소나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유입개방부(292)는 전면커버, 즉, 도어(282)의 하측부(312)에 배치되고 유출개방부(294)는 배면커버(286)의 상측부(314)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이물질이 이들 유입개방부(292)와 유출개방부(29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 유입개방부(292)와 유출개방부(294)에 인접하여 보호요소(32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보호요소(322)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유입개방부(292)에 대하여, 일련의 바아(bar)(324)가 도어(282)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출개방부(294)에 대하여, 바아(324)가 배면커버(286)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각각의 경우, 바아(324)가 보호영역에 제공되어 이들 유입개방부(292)와 유출개방부(294)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이 요구된 양으로부터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상부커버(316)는 궁형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의 각 구성요소는 다른 적당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궁형 상부커버(316)는 수집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체(200)의 작업자가 조립체(200)의 상부에 이물질을 배치하는 것을 방지하며 조립체(200)의 미적특성을 개선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저면벽(290)은 리싸이클러 모듈의 외부와 리싸이클러(204)의 내부(284) 사이에 통로(320)를 형성하는 슬로트(318)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로트(318)는 저장조 모듈(202)과 리싸이클러 모듈(204) 사이에 형성된 채널(326)(도 1 참조)에 배치된 외부개방부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채널(326)은 슬로트(318)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영역으로서 작용하고 슬로트(318)를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량이 요구된 양 보다 감소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슬로트(318)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저면벽(290) 또는 리싸이클러 모듈(204)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공조조립체(214)는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전면(330)에 배치된 흡기구(296),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배면(332)에 배치된 배기구(298), 기류소오스(328) 및 액세스 패널(340)을 포함하는 덕트(310)를 포함한다. 유입개방부(292)와 유출개방부(294)는 턱트(310)를 통한 공기의 요구된 유동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 덕트(310)의 흡기구(296)와 배기구(298)에 일치하여 정렬되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덕트(310)에 연결된 기류소오스(328)는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소오스는 조립체(200)가 사용되는 위치에서 통상 볼 수 있는 압축공기소오스이며, 한 실시형태에서, 이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된 위치에서 덕트(310)내에 배치되는 축류팬(334)일 수 있다.본 발명에 있어서, 팬(334)의 요구된 위치는 적당한 위치이면 된다. 그러나, 한 실시형태에서, 팬(334)은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흡기구(296)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회전축선(336)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축류팬(334)의 중심을 통과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필터(338)가 팬(334)의 전방에서 흡기구(296)내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필터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당히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액세스 패널(340)은 덕트(310)내에 배치된 응축기(342)에 접근할 수 있도록 팬(334)에 인접하여 덕트(3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액세스 패널(340)을 제거하여 보인 도 5를 참조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세스 패널(340)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당한 주고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패널(340)은 덕트(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형성된 개방부(340)에 겹칠 수 있게 되어 있거나, 또는 액세스 패널(340)은 그 전체가 제거되거나 또는 액세스 패널(340)이 도어(208, 282)의 다른 구조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덕트(310)는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내부(284)와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외부 사이에 통로(348)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출개방부(294)에 인접하여 배기구(298)에 배치된 개방부(34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부(346)는 적당한 구조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부(346)는 덕트(310)에 간단한 배압부 스탬피으 성형, 몰딩, 컷팅 또는 기다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련의 개방부(346)와 같이 루버형상(louvered countour)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루버형상은 팬(334)이 작동되지 않을 때와는 달리 팬(334)이 작동될 때 더 많은 양의 공기가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내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루버형상은 증류기(216)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 있으므로 팬(334)이 작동하는 것에 관계없이 리싸이클러 모듈(214)로부터 공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주위냉각통로가 유입통로(320)와 유출통로(348)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부가하여, 도 6(도 2에서 보인 증류기의 상세도) 및 도 7(도 6에서 보인 증류기의 분해사시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한 실시형태에서, 증류조립체(212)는 증류기(216)와 제1단부(220)에서 증류기(216)에 연결되고 제2단부(222)에서 오염용제용액(300)의 용기(106)에 연결된 도관(2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류기(216)는 적당한 물질을 사용하여 적당한 벙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류기(216)는 수개의 부품 또는 단일체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복합물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스탬핑, 성형, 캐스팅, 단조, 용접, 기계적인 파스너, 몰딩, 본딩 등의 여러 구성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증류기(216)는 금속, 좋기로는 탄소강, 아연도강 등의 적당한 물질, 또는 모듈화된 비용접구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부품구성은 상판(348), 하판(350)과, 상판(348)과 하판(350) 사이에 연장되고 상판(348)과 하판(350) 사이에 튜브(352)를 고정하는 파스너(353)를 포함한다. 증류실(354)은 상판(348), 하판(350) 및 튜브(352) 사이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튜브(352)는 적당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352)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통형, 다면형, 타원형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일 수 있다. 튜브(352)는 제조경비를 줄이고 제조상 복잡성을 줄이기 위하여 표준크기의 언통형 구조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리싸이클링 과정이나 증류과정에서 주위 보다 높은 압력이 유지될 때 증류실(354)의 밀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튜브(352)의 각 단부와 상판(348) 및 하판(350) 사이에 씨일(356)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씨일(356)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당한 구조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파스너(353)는, 예를 들어, 나선봉(358), 와샤(360) 및 너트(362)와 같은 다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볼트, 와샤 및 너트 조립체 또는 기타 다른 기계적인 고정조립체가 파스너(353)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증류기(216)의 일부로서 단열자켓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열구조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당한 구조 또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단열구조는 증류기(216)를 둘러싸서 그 외면을 구성한다.
증류기(216)의 종축선(364)은 튜브(352)의 종축선에 동일선상에 놓여 있고 상판(348)과 하판(350)은 종축선(364)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증류기(216)는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저면벽(290)에 연결되어 종축선(364)이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수직기준선(368)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각도(366)을 이룬다. 이러한 방향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저면벽(290)은 하판(350)(또는 하판 350에 연결된 취부플랜지 또는 브라킷)을 주표면(36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결하도록 이러한 주표면(368)을 포함하는 증류기(216)를 취부하기 위한 포켓(291)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는 한 실시형태에서 컬럼 포트(column port)(370)가 하판(350)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므로 증류기(216)로부터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컬럼 포트(370)에는 폐쇄조립체(270)의 도관(276)에 신속분리형의 액밀형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인 피팅(fitting)(372)이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상판(348)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도관(218), 압력방출밸브(224), 가열요소(372)와, 온도센서(374)를 포함한다. 도관(218)은,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은 한 실시형태에서, 차례로, 배플(378)을 통하여 증류실(354)에 연통되게 증류기(216)의 상판(348)에 연결된 제1단부(220), 제1단부(220)로부터 연장되고 덕트(310)내에 배치된 제1부분(376), 제1부분(376)으로부터 연장되고 덕트(310)의 외부에 배치된 제2부분(380), 제2부분(380)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응축기(342)를 형성하는 제3부분(382)과, 제3부분(382)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전면(330)에서 덕트(310)의 외부에 배치된 투시창(386)을 포함하는 제4부분(384)을 포함하고, 제2단부(220)가 제4부분(384)으로부터 연장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제1부분(376)은 덕트(310)측으로 연장된 도관(218)의 만곡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덕트(310)내에서 제1부분(376)의 배치는 특히 기류소오스(328)가 작동될 때 증류실(354)로부터 증발되었거나 회수된 용제를 냉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응축기(342)는 기류소오스(328)에 근접하여 도관(310)내에 그 전체가 배치되고 회전축선(336)을 중심으로 하여 정렬되는 원추형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응축기(342)는 적당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관(310)의 외측에 배치된 제2부분(380)으로부터 연장된 도관(218)이 덕트(310)로 진입하고 회전축선(336)을 중심으로 하여 나선상으로 감기면서 직경이 증가하였다가 기류소오스(328)측으로 향한다. 선택적으로, 응축기(342)를 형성하는 도관(218)은 용제를 기체로부터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열전달효율을 증가시키는 핀(388)을 포함한다.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은 한 실시형태에서, 투시창(386)이 액세스 패널(340)의 하측이고 필터(338) 또는 흡기구(296)의 상측인 도관(310)의 외부에 배치되고 투시창(386)의 내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390)를 갖는 도관(218)에 연결된 인-라인 피팅(in-line fitting)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386)은 도어(282)의 후측에 배치되나 도어(282)를 개방하면 작업자가 볼 수 있다. 투시창(386)은 도관(218)내에 공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체(200)는 오연용제용액이 소오스(100)과 연결하여 사용되는 폐쇄형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도관(218)내에 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조립체(200)의 효율을 떨어뜨린다. 투시창(386)은 언급된 바와 같이 조립체(200)의 프라이밍(priming)과 작동과 관련하여 개선된 기능성을 제공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압력방출밸브(224)가 증류기(216)의 상판(348)에 형성된 통공에 직접 연결된다. 아울러, 압력방출밸브(224)는 증류실(354)에 직접 연통되어 압력방출밸브(224)가 증류실(354)로부터 원격한 위치에 배치된 것에 비하여 신속히 작동된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튜브(226)에 연결하여 사용될 때 작업자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배플(378)은 압력방출밸브(224)에 근접하지 않고 도관(218)에 연결된 포트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플(378)은 적당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배플(378)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불구불한 통로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플(378)은 오염물이 도관(218)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제만을 회수함으로서 요염용제용액(300)내의 오염물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배플형 장치는 과압에서 신속한 감압이 요구되는 압력방출밸브와 관련하여 유용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가열요소(372)는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증류기(216)의 상판(35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분리가능한 연결구조는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가열요소(372)는 적당한 O-링 또는 유사한 장치와 같은 적당한 씨일(438)에 의하여 상판(350)에 밀폐연결되는 플랜지(39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증가된 유지보수가능성, 감소된 정비시간 및 용이한 제작에 있다.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재활용하는 종래 장치의 공통적인 결점은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리싸이클링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이다. 악취의 원인은 부적합하게 구성되고 작동되는 증류기, 즉, 오염물 박막에 노출되는 오염용제용액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열요소이다. 아무리 잘 구성되거나 밀폐되었다 하여도, 악취는 응축물을 통하여 증류기 또는 응축물 라인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요소(372)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당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요소(372)는 활성부(394), 비활성부(396)과, 이러한 비활성부(396)로부터 활성부(394)를 분리하는 브릿지요소(398)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부(394)는 이러한 활성부(394)의 온도를 요구된 레벨로 증가시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기(402)에 의하여 작동된다. 그러나, 비활성부(396)는 그 온도를 증가시키도록 작동되지 않는다. 작동중에, 오염용제용액(300)은 증류기(216)내에서 레벨(400)에 배치되어 활성부(394)가 항상 레벨(400)의 아래에 위치한다. 또는 오염용제용액(300)이 브릿지요소(398) 보다 낮지 않은 증류기(216)내의 레벨(400)에 배치된다. 상기 언급된 구조와 다른 유사한 구조 모두에서, 활성부(394)는 비록 레벨(400)이 오르내려도 활성부(394)가 증류실(354)의 저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어기(402)에 연관되어 브릿지요소(398)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404)가 레벨(400)이 도 6에서 점선의 레벨(404)로 보인 바와 같이 활성부(394)를 노출할 때 활성부(394)의 작동을 방지하므로 용제만을 증발시킨다. 앞서 언급된 내용은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형성된 박막의 오염물이 레벨(400) 상부의 비활성부(396)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비활성부(396)의 온도가 활성부(394)의 경우와 같이 증가하지는 않으므로 박막이 연소하지 않고 악취도 발생되지 않는다. 제어기(402)에 의하여 활성화되었을 때, 활성부(394)는 증류기내에 배치된 오염용제용액(300)의 온도를 증가시키고 용제의 비등온도 이상과 용제의 자기점화온도로부터 오프셋 온도 이하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오염용제용액(300)로부터 오염물이 없는 용제로만 구성된 증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은 안전한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8은 도 1에서 보인 오염용제용액을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조립체(200)의 개요도를 보인 것이다. 도 8에서 보인 조립체의 구조적인 구성요소는 이미 언급된 바 있어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반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도 8은 제어기(402)의 연결성과 기능성을 적절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기(402)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당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402)는 디바이스 콘트롤러, 디지털 콘트롤러, 아날로그 콘트롤러, 칩, 카드,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 마이크로콘트롤러, 비례적분미분콘트롤러, 또는 기타 전기기계공정의 자동화를 위하여 사용되거나 인텐시브입출력(I/O)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당한 장치일 수 있다. 제어기(402)는 달리 제한없이 프로세서, 싱글 프로세서, 다중 프로세서, DSP,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스테이트머신, 또는 소프트웨어의 처리와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구현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스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 RAM, 및 기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기(402)는 메모리, 싱글 메모리, 다중 메모리 로케이션, 공유메모리, CD, DVD, ROM, RAM, EEPROM, 광저장장치, 마이크로코드, 또는 기타 프로세서에 의한 사용을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402)는 마이크로콘트롤러이다. 제어기(402)는 본문에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명령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당한 언어 또는 형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여기에서는 정확한 명령에 대하여서 설명하지는 않고 이후에 제어기(402)의 여러 관점의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설명할 것이다.
제어기(4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조립체(200)가 리싸이클링 모드에 놓일 때 작업자가 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파워 온/오프 스위치(408), 대기표시기(410)(제어기 402가 휴지기에 있음을 나타낸다), 처리표시기(412)(제어기 402가 증류사이클 작동중에 있음을 나타낸다)와, 서비스요구표시기(414)(리싸이클러 모듈 204이 작동이 중지되고 제어기 402가 유지보수의 서비스작동중임을 나타낸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기표시기, 처리표시기 및 서비스요구표시기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표시기, 처리표시기 및 서비스요구표시기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가시표시기, 가청표시기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6)는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경우 보안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른 표시기,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정보 또는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파워 온/오프 스위치(408)는 이러한 스위치(408)를 폐쇄하고 개방함으로서 작업자가 조립체(200)를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처리표시기(412)는 증류사이클이 처리중에 있을 때 항상 작동되는 것이 좋다. 증류공정은 전원이 일정시간동안 가열요소에 인가되고 냉각주기가 이러한 공정을 완료하는 것(증류실의 온도가 350℉ 이하로 낮아졌을 때)으로 정의된다. 처리표시기(412)는 대기표시기(410)나 서비스요구표시기(414)가 작동중인 경우 작동치 않는다. 또한 대기표시기(410)는 증류사이클 사이의 지연시간 또는 휴지시간동안에 작동되고(지연시간 또는 휴지시간의 시간은 전면도어의 내부에 배치된 듀티 셀렉터 스위치 440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는 서비스요구표시기(414)가 작동된다. 조립체(200)가 처리모드에 있을 때 또는 증류사이클중에 대기표시기(412)는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서비스요구표시기(414)는 시스템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서비스표시기가 작동된다)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작동되는 것이 좋다. 한 실시형태에서,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 모든 공정이 정지할 것이다. 시스템 또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에러가 없고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서비스요구표시기(414)는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제어기(402)는 서비스 인터페이스(416)를 포함하는 바, 이러한 서비스 인터페이스(416)는 조립체(200)가 서비스 모드에 놓여 있을 때의 경우와 같이 도어(282)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되고 모드 스위치(426)가 개방되었을 때를 제외하고는 작업자가 볼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서비스 인터페이스(416)는 제1표시기(420), 제2표시기(422), 제3표시기(424), 제4표시기(418), 제5표시기(4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제1, 제2, 제3, 제4, 제5표시기(418, 420, 422, 424, 425)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당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제4, 제5표시기(418, 420, 422, 424, 425)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가시표시기, 가청표시기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1, 제2, 제3, 제4, 제5표시기(418, 420, 422, 424, 425)는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표시기(420)는 3개의 상태, 즉,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는 오프(off) 상태, 응축기 코일온도의 에러(예를 들어, 측정된 온도가 연속하여 10초 이상 125℉ 보다 높은 경우)가 있음을 발광으로 나타내는 플래싱(flashing) 상태, 또는 1초 이상 응축기 코일온도 프로우브의 고장이 있음을 나타내는 솔리드(solid)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놓인다. 아울러, 제2표시기(422)는 3개의 상태, 즉,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는 오프 상태, 오염물의 검출(예를 들어, 예를 들어 350℉까지 냉각시키는데 냉각시간이 50분 이상 소요되는 경우, 이러한 시간은 폐기물저장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시간이다)이 있음을 발광으로 나타내는 플래싱 상태, 또는 가영요소가 고온으로 과열되는 것(예를 들어, 증류온도가 1초 이상 최대온도 461℉ 이상인 경우)을 나타내는 솔리드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놓인다. 또한, 제3표시기(424)는 3개의 상태, 즉,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는 오프 상태, 가열요소 프로우브의 차이가 있음(예를 들어, 하나 이상이 사용되었을 때, 가열요소 프로우브 사이의 온도차이가 10분 동안 66℉ 이상인 경우)을 발광으로 나타내는 플래싱 상태, 또는 1초 이상 가열요소 프로우브의 고장이 있음을 나타내는 솔리드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놓인다. 더욱이, 제4표시기(418)는 3개의 상태, 즉,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는 오프 상태, 클로깅(clogging) 현상(예를 들어, 전원이 인가되고, 461℉에 이를 때까지 가열요소 가열시간이 20분 이하인 경우)이 있음을 발광으로 나타내는 플래싱 상태, 또는 가열요소(372)의 온도가 제한시간내에 상승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전원이 인가되고 가열요소가 8분 이내에 온도가 상승하지 않거나 60분 이내에 461℉에 이르지 않을 때)를 솔리드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놓인다. 또한, 제5표시기(425)는 2개의 상태, 즉,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는 오프 상태와, 필터가 정확히 설치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솔리드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놓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비스 인터페이스(416)에는 부가적인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구성요소와 이에 관련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리셋 버튼/스위치, 전자장치 인터페이스 포트, 프린터, 비주얼 디스플레이 또는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적당한 장치.
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402)는 또한 120 볼트 교류전원, 모드 스위치(426), 가열요소(372), 온도센서(374), 기류소오스(328) 또는 팬(334), 필터검출스위치(428) 및 제2온도센서(432)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적당한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 또는 24 볼트 직류전원, 208, 220, 240 또는 480 볼트의 단상 또는 다상 교류전원, 또는 다른 적당한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모드 스위치(425)는 도어(282)가 폐쇄위치에 놓여 있을 때 폐쇄되고 도어(282)가 개방위치에 놓여 있을 때 개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드 스위치(426)는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도어(282)의 작동에 링크되지 않고, 다른 적당한 조작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스위치(426)를 작동시키도록 요구되거나 조립체(200)내의 다른 움직임이 스위치(426)를 작동시킬 것이다. 모드 스위치(426)는 조립체(200)를 본문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리싸이클 모드와 서비스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402)는 온도센서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온도센서는 시스템의 실제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주요센서와 예비센서를 갖는 한쌍의 온도센서이며, 시스템의 상태는 주요센서에 의하여 제어기(402)에 보고되고 가열요소(37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의하여 증류사이클, 휴지기 및/또는 서비스시간 중에 가열요소(372)가 작동되거나 작동되지 않는다. 증류사이클중에, 제어기(402)는 증류기(216)내에 배치된 오연용제용액(300)의 온도를 용제의 비등온도 이상과 용제의 자기점화온도로부터 오프셋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용제는 부품세척기에서 성공적인 세척용제인 것으로 확인된 Safety-Kleen Premium 150™ 이다. 아울러, 제어기(402)는 증류기(216)에 배치된 Premium 150™ 을 포함하는 오염용제용액(300)을 457℉(Premium 150™ 용제의 비등온도)와 461℉(안전작동을 위하여 UL2208에서 요구하는 바와 같이 Premium 150™ 용제의 자기점화온도 480℉로부터 18℉의 오프셋 온도) 사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요소(372)의 활성부(394)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도록 프로그램되거나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Premium 150™ 용제만 증발되고 비활성부(396)상에 배치된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의 오염물로부터 형성된 박막이 연소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402)가 적당한 전원에 연결되고 전원 스위치가 "온"위치, 즉, 폐쇄위치에 놓였을 때, 제어기(402)는 기류소오스(328) 또는 팬(334)을 작동시킨다. 이후에,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필터검출스위치(428)가 개방되어 에어필터(338)가 유지보수를 위하여 분리되었음을 나타낼 때 제어기(4020)는 기류소오스(328) 또는 팬(334)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한 실시형태에서, 제2온도센서(432)는 응축기(342)로부터 나올 때 용제의 온도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만약 이러한 온도가 사전에 결정된 한계값 또는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402)는 조립체(2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서비스요구표시기(414)를 작동시킨다.
도 9는 도 1의 오염용제용액(300)을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조립체(200)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조립체(200)를 서비스하는 방법은 블록(50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어기(402)에서 서비스 모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402)를 서비스 모드로 작동시키는 것은 블록(50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어기(402)를 서비스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이는 또한 블록(50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리싸이클러 모듈(204)의 도어(282)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서비스 모드를 작동시키는 것은 제어기가 증류조립체(212)와 공조조립체(214)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블록(50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리싸이클 모드를 시작상태로 리셋시키며, 블록(50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에러필터(338)를 분리하여 교체하고 액세스 패널(340)을 개방하고 블록(5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응축기(342)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립체(200)를 서비스하는 방법은 블록(5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밸브(268)를 리싸이클방향으로부터 서비스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밸브(268)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저장조 모듈(202)의 도어 또는 전면부(240)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200)를 서비스하는 방법은 블록(51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장조(206)로부터 수집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장조(206)로부터 수집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저장조(206)로부터 커낵터(260)와 덮개(256)를 분리하는 단계, 블록(516)으로 보인 바와같이 저장조(206)에 수중작동형 펌프(434)를 삽입하는 단계와, 블록(51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장조(206)에 삽입한 후에 펌프(434)를 작동시켜 저장조(206)로부터 수집된 오염물을 펌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200)를 서비스하는 방법은 블록(520)에서 보인 바와 같이 투시창(386)내의 공기가 없어질 수 있도록 투시창(386)에 충분히 용제가 채워질 때인 작동레벨까지 저장조(206), 증류기(216) 및 도관(218)에 새로운 용제를 펌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저장조(206)에 새로운 용제를 펌핑하는 단계는 펌프(434)를 덮개(256)의 액세스 포트(264)에 연결하는 단계와 펌프(434)를 새로운 용제의 용기(436)내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200)를 서비스하는 방법은 블록(52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어기(402)를 리싸리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402)를 리싸이클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리싸리클 모듈(204)에 도어(282)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은 도 1의 오염용제용액(300)을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조립체(200)의 작동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조립체(200)의 작동방법은 블록(60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증류기에 연결된 도관(218)의 말단부가 소오스(100)내의 오염용제용액의 레벨(30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도관(218)을 오염용제용액(300)의 소오스(100)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200)의 작동방법은 블록(60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도관(218)의 말단부가 소오스(100)내의 오염용제용액의 레벨(30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압력방출밸브(224)에 연결된 튜브(226)를 오염용제용액(300)의 소오스(100)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200)의 작동방법은 블록(604)에서 보인 바와 같이 투시창(386)내의 공기가 없어질 수 있도록 투시창(386)에 충분히 용제가 채워질 때인 작동레벨까지 저장조(206), 증류기(216) 및 도관(218)에 용제를 펌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저장조(206)에 용제를 펌핑하는 단계는 펌프(434)를 덮개(256)의 액세스 포트(264)에 연결하는 단계와 펌프(434)를 용제의 용기(436)내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200)의 작동방법은 블록(60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어기(402)의 증류사이클 작동후에 휴지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듀티 셀렉터 스위치(440)(도 5 및 도 8 참조)를 이용하여 듀티사이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듀티사이클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위하여 적당한 방법으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글 듀티사이클은 증류사이클과 휴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402)는 듀티사이클 스위치(440)의 작동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저속, 중간 및 고속처리율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처리율은 작업자가 1일에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오염용제용액(300)의 양 또는 용기(106)내에 수용된 오염용제용액(300)의 체적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중간 듀티사이클(듀티 셀렉터 스위치 440의 "M")의 선택은 24시간 동안에 하이 듀티사이클(듀티 셀렉터 스위치 440의 "H")을 선택한 경우 보다 적은 양의 용제를 처리할 것이나 로우 듀티사이클(듀티 셀렉터 스위치 440의 "L")을 선택한 경우 보다는 많은 용제를 처리할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듀티사이클은 작업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으나, 작업자는 이러한 선택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기를 원할 것이며 제작자 대표나 서비스 종사자와 같은 어떠한 개인에게만 접근이 제한되는 것을 원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류사이클은 선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위한 적당한 방법으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류사이클은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문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용제를 리싸이클링하거나 처리하도록 오염용제용액(300)을 요구된 온도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기(402)가 교대로 가열요소(372)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는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휴지기는 성취하고자 하는 기능을 위한 적당한 방법으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지기는 제어기(402)가 가열요소(372)를 작동시키기 않아 증발된 용제가 증류실(354)로부터 도관(218)을 통하여 팽창됨으로서 응축되어 용기(106)측으로 되돌아가는 적당한 시간을 포함한다. 증류기(216), 도관(218) 및 용기(106)는 폐쇄시스템을 구성하므로, 증류실(354)이 냉각될 때, 진공이 형성되어 용기(106)로부터 오염용제용액(300)을 증류실(354)측으로 흡인하여 다른 증류사이클이 시작할 수 잇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듀티사이클의 블록(60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408)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조립체(200)의 작동방법은 블록(6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증류사이클의 제어기 작동중에 처리표시기(412)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조립체(200)의 작동방법은 블록(61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또는 제4표시기(420, 422, 424, 418)의 어느 하나를 플래싱 상태 또는 솔리드 상태로 작동시키는 경우 제어기(402)가 서비스요구표시기(414)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200)의 작동방법은 블록(6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휴지기의 제어기 작동중에 대기표시기(410)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일부 실시형태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실시형태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무리한 부담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내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100: 오염용제용액의 소오스, 200: 리싸이클링 조립체, 202: 저장조 모듈, 204: 리싸이클러 모듈, 206: 저장조, 210: 내부, 212: 증류조립체, 214: 공조조립체, 216: 증류기, 218: 도관, 256: 덮개, 264: 액세스 포트, 296: 흡기구, 298: 배기구, 300: 오염용제용액, 310: 덕트, 328: 기류소오스, 342: 응축기.

Claims (82)

  1.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리사이클링하기 위한 리싸이클러 조립체에 있어서, 이 조립체가 내부에 착설되어 배치된 저장조를 포함하는 저장조 모듈을 포함하고, 저장조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 저면벽 및 상부벽과 분리형 덮개를 포함하며, 덮개는 상부벽의 하측에서 내부공간 측으로 연장된 제1부분과 이러한 제1부분에 배치된 액세스 포트를 포함하고, 저면벽은 전면변부상에 배치된 배면변부를 포함하며, 측벽의 전면부는 수직을 이루지 않고 저면벽의 전면변부에 인접하여 저면벽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저장조에 연결되고 증류기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수직정렬의 도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저장조에 연결된 도관에 연결되고 증류기에 연결될 수 있게 된 핸들을 가짐으로서 핸들이 개방위치에 놓여 있을 때 덮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들이 폐쇄위치에 놓여 있을 때 덮개가 분리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폐쇄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핸들과 밸브 사이에 배치된 스탠포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오염용제용액이 출렁거리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내부공간내에 배치되는 배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프레임에 연결된 커버와, 커버에 의하여 한정된 저장조 모듈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저장조에 덮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신속분리형 연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트에 연결되는 신속분리형의 액밀형 커플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증류조립체와 공조조립체를 포함하는 리싸이클러 모듈에 연결되는 저장조 모듈을 포함하고, 증류조립체는 증류기와 이러한 증류기에 연결되고 오염용제용액의 소오스에 연결할 수 있게 된 도관을 포함하며, 도관은 응축기와 투시창을 포함하고, 공조조립체는 흡기구, 배기구와 기류소오스를 갖는 덕트를 포함하며, 응축기가 도관내에 배치되고 투시창이 덕트의 외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저면벽이 전면변부의 상부에 배치된 배면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의 외부와 리싸이클러 모듈의 내부 사이에 유입통로를 형성하는 리싸이클러 모듈의 저면벽에 형성된 슬로트와, 리싸이클러 모듈의 외부와 리싸이클러 모듈의 내부 사이에 유출통로를 형성하여 주위냉각통로를 형성하는 증류기에 인접한 덕트의 개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이 흡기구와 일치되게 정렬배치된 유입개방부와 배기구와 일치되게 정렬배치된 유출개방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이 궁형 상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4. 제9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모듈화된 용접되지 않은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5. 제9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함께 증류실을 형성하는 상판, 하판,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된 튜브와, 상판과 하판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서 튜브를 고정하는 파스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6. 제9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도관에 연결된 포트에 인접하여 배치된 배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7. 제9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비수직형으로 배치된 종축선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상판과 종축선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19. 제9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제어기에 의하여 작동될 때 용제의 비등온도 보다는 높고 용제의 자기점화온도로부터 오프셋 온도 보다는 낮은 온도로 오염용제용액을 유지하는 가열요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0. 제9항에 있어서, 도관이 직렬로 덕트내에 배치된 증류기에 인접한 제1부분, 덕트의 외부에 배치된 제2부분과, 응축기를 형성하는 제3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1. 제9항에 있어서, 증류기내에 형성된 증류실에 직접 연통하는 압력방출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2. 제9항에 있어서, 기류소오스가 덕트내에 배치된 팬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팬이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선을 포함하고 응축기가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정렬된 원추형 구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4. 제9항에 있어서, 덕트가 응축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응축기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덕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패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5. 제19항에 있어서, 가열요소가 독립적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상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6. 제9항에 있어서, 용제가 탄화수소계 용제, 석유계 용제, N-메틸-2-피롤리돈과, 부타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7. 제1항에 있어서, 대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품세척기조립체를 포함하고, 부품세척기조립체가 오염용제용액의 용기에 연결되어 대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과, 증류조립체와 공조조립체를 포함하는 리싸이클러 모듈에 연결된 저장조 모듈을 포함하는 리싸이클링 조립체를 포함하며, 증류조립체는 증류기와 이러한 증류기와 오염용제용액의 용기에 연결된 도관을 포함하며, 도관은 응축기와 투시창을 포함하고, 공조조립체는 흡기구, 배기구와 기류소오스를 갖는 덕트를 포함하며, 응축기가 도관내에 배치되고 투시창이 덕트의 외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8.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리사이클링하기 위한 리싸이클러 조립체에 있어서, 이 조립체가 증류조립체와 공조조립체를 포함하는 리싸이클러 모듈을 포함하고, 증류조립체가 증류기와 이러한 증류기에 연결되고 오염용제용액의 소오스에 연결할 수 있게 된 도관을 포함하며, 도관은 응축기와 투시창을 포함하고, 공조조립체는 흡기구, 배기구와 기류소오스를 갖는 덕트를 포함하며, 응축기가 도관내에 배치되고 투시창이 덕트의 외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의 외부와 리싸이클러 모듈의 내부 사이에 유입통로를 형성하는 리싸이클러 모듈의 저면벽에 형성된 슬로트와, 리싸이클러 모듈의 외부와 리싸이클러 모듈의 내부 사이에 유출통로를 형성하여 주위냉각통로를 형성하는 증류기에 인접한 덕트의 개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0. 제28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이 흡기구와 일치되게 정렬배치된 유입개방부와 배기구와 일치되게 정렬배치된 유출개방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1. 제28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이 궁형 상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2. 제28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모듈화된 용접되지 않은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3. 제28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함께 증류실을 형성하는 상판, 하판,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된 튜브와, 상판과 하판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서 튜브를 고정하는 파스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4. 제28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도관에 연결된 포트에 인접하여 배치된 배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5. 제28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비수직형으로 배치된 종축선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6. 제28항에 있어서, 증류기가 상판과 종축선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7. 제28항에 있어서, 제어기에 의하여 작동될 때 용제의 비등온도 이상과 용제의 자기점화온도로부터 오프셋 온도 이하로 오염용제용액을 유지하는 가열요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8. 제37항에 있어서, 가열요소가 활성부와 비활성부를 포함하고, 오염용제용액이 증류기내의 레벨에 배치되며 활성부가 항상 상기 레벨 아래에 놓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39. 제37항에 있어서, 가열요소가 비활성부로부터 활성부를 분리하는 브릿지요소를 포함하고, 오염용제용액이 증류기내의 레벨에 배치되며 이러한 레벨이 브릿지요소보다 낮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0. 제37항에 있어서, 가열요소가 독립적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상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1. 제28항에 있어서, 도관이 직렬로 덕트내에 배치된 증류기에 인접한 제1부분, 덕트의 외부에 배치된 제2부분과, 응축기를 형성하는 제3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2. 제28항에 있어서, 증류기내에 형성된 증류실에 직접 연통하는 압력방출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3. 제28항에 있어서, 기류소오스가 덕트내에 배치된 팬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4. 제28항에 있어서, 팬이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선을 포함하고 응축기가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정렬된 원추형 구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5. 제28항에 있어서, 덕트가 응축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응축기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덕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패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6. 제28항에 있어서, 용제가 탄화수소계 용제, 석유계 용제, N-메틸-2-피롤리돈과, 부타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7. 제28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에 연결된 저장조 모듈을 포함하고, 저장조 모듈은 내부에 착설되어 배치된 저장조를 포함하며, 저장조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 저면벽 및 상부벽과 분리형 덮개를 포함하며, 덮개는 상부벽의 하측에서 내부공간 측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감소시키는 제1부분과 이러한 제1부분에 배치된 액세스 포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8. 제47항에 있어서, 저면벽이 전면변부의 상부에 배치된 배면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49. 제47항에 있어서, 저장조와 증류기를 연결하는 수직정렬형의 도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50. 제47항에 있어서, 저장조와 증류기를 연결하는 도관에 연결된 핸들을 가짐으로서 핸들이 개방위치에 놓여 있을 때 덮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들이 폐쇄위치에 놓여 있을 때 덮개가 분리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폐쇄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51. 제28항에 있어서, 대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품세척기조립체를 포함하고, 부품세척기조립체가 오염용제용액의 용기에 연결되어 대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과, 리싸이클러 모듈에 연결되고 내부에 착설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저장조 모듈을 포함하는 리싸이클링 조립체를 포함하며, 저장조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 저면벽 및 상부벽과 분리형 덮개를 포함하며, 덮개는 제1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
  52.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리싸이클링하는 방법으로 악취를 감소시키는 증류조립체에 있어서, 이 조립체가 상부벽, 측벽과 저면벽으로 형성되는 증류실, 증류실내에 배치되고 활성부와 비활성부를 포함하는 가열요소를 포함하고, 오염용제용액이 증류실내의 레벨에 배치되며 활성부는 항상 리어한 레벨의 하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53. 제52항에 있어서, 활성부와 비활성부 사이에 브릿지요소가 배치되고 레벨이 이러한 브릿지요소 보다 낮음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54. 제52항에 있어서, 레벨 상부의 비활성부에 배치되는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의 오염물로 형성된 박막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55. 제52항에 있어서, 활성부가 용제만을 증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56. 제52항에 있어서, 오염용제용액이 고체, 금속, 토질, 슬러지, 액체, 오일, 그리스, 때, 황화합물, 할로겐화 화합물, 아민 또는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오염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57. 제52항에 있어서, 활성부가 작동시에 오염용제용액의 온도를 증가시켜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의 오염물이 없는 용제로 구성된 증기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58. 제52항에 있어서, 활성부가 작동시 오염용제용액의 온도를 용제의 비등온도 보다는 높고 용제의 자기점화온도로부터의 오프셋 온도 보다는 낮게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59. 제52항에 있어서, 용제가 탄화수소계 용제, 석유계 용제, N-메틸-2-피롤리돈과, 부타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60. 제52항에 있어서, 대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염용제용액의 저장조에 연결되어 대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부품세척기조립체와, 증류조립체를 포함하는 리싸이클링조립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61. 제60항에 있어서, 브릿지요소가 이러한 브릿지요소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조립체.
  62. 오염용제용액으로부터 용제를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조립체를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립체가 제어기를 포함하는 리싸이클러 모듈, 증류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증류조립체, 오염용제용액의 소오스에 연결될 수 있게 된 도관, 공조조립체와, 덮개를 갖는 저장조와 증류기에 연결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저장조 모듈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제어기에서 서비스 모드를 작동시키는 단계, 밸브를 리싸이클방향으로부터 서비스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저장조로부터 수집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와, 용제를 저장조, 증류기 및 도관에 작동레벨까지 펌핑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작동단계가 제어기를 서비스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64. 제62항에 있어서, 작동단계는 제어기가 증류조립체와 공조조립체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리싸이클 모드를 리셋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65. 제62항에 있어서, 작동단계가 에어필터를 분리하고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66. 제62항에 있어서, 작동단계가 응축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덕트에서 액세스 패널을 분리하고 응축기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67. 제62항에 있어서, 작동단계가 저장조 모듈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68. 제62항에 있어서, 제거단계가 수중작동형 펌프를 저장조에 삽입하고 저장조로부터 수집된 오염물을 펌핑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69. 제62항에 있어서, 펌핑단계가 펌프를 덮개의 액세스 포트에 연결하고 펌프를 용제의 용기내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70. 제62항에 있어서, 제어기를 리싸이클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71. 제62항에 있어서, 전환단계가 리싸이클러 모듈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전환단계가 리싸이클러 모듈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73. 제71항에 있어서, 용제가 탄화수소계 용제, 석유계 용제, N-메틸-2-피롤리돈과, 부타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74. 제62항에 있어서, 도관이 투시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작동레벨이 용제로 채워진 투시창에 의하여 정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서비스방법.
  76. 오염용제용액로부터 용제를 리싸이클링하기 위한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이 조립체가 오염용제용액의 소오스와 리싸이클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오염용제용액이 소오스내의 레벨에 배치되며, 리싸이클링 조립체가 저장조 모듈과 리싸이클러 모듈을 포함하고, 저장조 모듈이 저장조를 포함하며, 리싸이클러 모듈이 제어기와 도관을 갖는 증류기와 이러한 증류기에 연결된 압력방출밸브를 포함하고, 압력방출밸브가 이에 연결된 튜브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이 방법이 도관의 말단부가 소오스내 오염용제용액의 레벨 하측에 배치되게 도관을 소오스에 연결하는 단계, 압력방출밸브를 소오스에 연결하는 단계, 용제를 작동레벨까지 저장조, 증류기 및 도관측으로 펌핑하는 단계, 증류사이클의 제어기 작동후 휴지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어기의 듀티사이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작동방법.
  77. 제76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에 배치된 전원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작동방법.
  78. 제76항에 있어서, 증류사이클의 제어기작동을 나타내는 처리표시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작동방법.
  79. 제76항에 있어서, 휴지기의 제어기작동을 나타내는 대기표시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작동방법.
  80. 제76항에 있어서, 리싸이클러 모듈의 작동이 중지되었을 때 서비스시간의 제어기작동을 나타내는 서비스요구표시기를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작동방법.
  81. 제76항에 있어서, 도관이 투시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작동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작동레벨이 용제로 채워진 투시창에 의하여 정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러 조립체의 작동방법.
KR1020127021842A 2010-02-02 2011-02-01 리싸이클러 조립체 KR20120124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98,725 US8381767B2 (en) 2010-02-02 2010-02-02 Reservoir module for a recycler assembly
US12/698,713 2010-02-02
US12/698,739 2010-02-02
US12/698,771 2010-02-02
US12/698,713 US8506761B2 (en) 2010-02-02 2010-02-02 Recycler module for a recycler assembly
US12/698,787 US20110186080A1 (en) 2010-02-02 2010-02-02 Method of Service for a Recycler Assembly
US12/698,756 US8470137B2 (en) 2010-02-02 2010-02-02 Recycler assembly
US12/698,787 2010-02-02
US12/698,756 2010-02-02
US12/698,771 US8425732B2 (en) 2010-02-02 2010-02-02 Method of operation for a recycler assembly
US12/698,739 US8470136B2 (en) 2010-02-02 2010-02-02 Parts washer with recycler assembly
US12/698,725 2010-02-02
US12/698,762 US8470138B2 (en) 2010-02-02 2010-02-02 Odor mitigation in a recycler assembly
US12/698,762 2010-02-02
PCT/US2011/023349 WO2011097231A1 (en) 2010-02-02 2011-02-01 Recycle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455A true KR20120124455A (ko) 2012-11-13

Family

ID=4435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842A KR20120124455A (ko) 2010-02-02 2011-02-01 리싸이클러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531267A1 (ko)
JP (1) JP2013518717A (ko)
KR (1) KR20120124455A (ko)
CN (1) CN102740940A (ko)
BR (1) BR112012019099A2 (ko)
CA (1) CA2787841A1 (ko)
MX (1) MX2012008901A (ko)
WO (1) WO2011097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7788B (zh) * 2015-08-14 2017-07-18 广州飞机维修工程有限公司 一种飞机氧气系统附件超声波蒸汽浴清洗机
CN109647777B (zh) * 2018-12-31 2021-08-10 无锡新弘田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精密清洗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3973A (en) * 1951-06-20 1955-07-26 Taco Heaters Inc Heating systems
US4723066A (en) * 1984-11-05 1988-02-02 Fuji Photo Film Co., Ltd. Apparatus for heating processing liquid
DE3526586A1 (de) * 1985-07-25 1987-02-05 Bosch Gmbh Robert Verpackungsbehaelter mit rberdruckventil
JPH0651794B2 (ja) * 1986-04-28 1994-07-06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N−メチルピロリドンの回収法
US5348623A (en) * 1988-12-09 1994-09-20 Terrill Designs, Inc. Water heating and distilling apparatus
US5360133A (en) * 1994-01-14 1994-11-01 Eastman Kodak Company Bulk material container with a support stand therefor
US5667103A (en) * 1995-03-10 1997-09-16 Elkay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dispenser with readily removable reservoir and adaptor permitting use with various dispensers
US5968321A (en) * 1996-02-13 1999-10-19 Ridgewood Waterpure Corporation Vapor compression distillation system and method
US6279587B1 (en) * 1999-04-12 2001-08-28 Soichiro Yamamoto Parts washer with solvent recycling
US6148851A (en) * 1999-04-14 2000-11-21 Pbm, Inc. Valve lock apparatus and lockable valve
US20020092758A1 (en) * 2001-01-18 2002-07-18 Zebuhr William H. Distiller employing separate condensate and concentrate heat-exchange paths
US6830661B1 (en) * 2001-10-02 2004-12-14 Environmental Technology Enterprises, L.L.C. Point of use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60232175D1 (de) * 2001-10-22 2009-06-10 Uni Ram Corp Destilliervorrichtung
CA2413438A1 (en) * 2002-12-03 2004-06-03 Chemchamp (Barbados) Inc. Constant recyc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87841A1 (en) 2011-08-11
CN102740940A (zh) 2012-10-17
JP2013518717A (ja) 2013-05-23
WO2011097231A1 (en) 2011-08-11
EP2531267A1 (en) 2012-12-12
BR112012019099A2 (pt) 2016-06-21
MX2012008901A (es)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7621T3 (es) Aprato de destilacion.
US5876567A (en) Solvent recycling system
EP2565336B1 (en) Fresh water generator utilizing air
US8506761B2 (en) Recycler module for a recycler assembly
US8470136B2 (en) Parts washer with recycler assembly
KR20120124455A (ko) 리싸이클러 조립체
US20130186738A1 (en) Recycler assembly
CA2277449A1 (en) Vapour management system
US7258765B2 (en) Vaporization chamber, and distillation system comprising same, providing improved temperature sensing of liquid contained in the chamber
US8470138B2 (en) Odor mitigation in a recycler assembly
US8381767B2 (en) Reservoir module for a recycler assembly
RU2650068C9 (ru) Система термического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твердых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US8425732B2 (en) Method of operation for a recycler assembly
US20110186080A1 (en) Method of Service for a Recycler Assembly
US20080179228A1 (en) Wastewater evaporator with waste oil burner
US686677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metal-working fluid
RU2636380C1 (ru) Система термического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твердых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NZ314231A (en) Countertop distiller with raw water container including heater and having electrical and vapour connectors for coupling to distiller housing
US4589955A (en) Fluid recovery system
WO2018008392A1 (ja) 減溶化装置
US4743380A (en) Solvent recovery system
JP2003126842A (ja) 油水分離装置
JP2006289255A (ja) 電磁誘導加熱蒸留装置
JPS6029919B2 (ja) ナトリウム付着機器の洗浄装置
JP2006132821A (ja) フィルタの乾燥減容装置及び乾燥減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