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298A -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298A
KR20120124298A KR1020110042120A KR20110042120A KR20120124298A KR 20120124298 A KR20120124298 A KR 20120124298A KR 1020110042120 A KR1020110042120 A KR 1020110042120A KR 20110042120 A KR20110042120 A KR 20110042120A KR 20120124298 A KR20120124298 A KR 2012012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health
health record
records
medical institution
storag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379B1 (ko
Inventor
김주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3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들 중에서,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및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전자 진료기록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의 접근에 의하여 자신의 전자 진료기록을 변경하지 않는 의료기관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ONIC PERSONAL HEALTHRECORDS}
개시된 기술은 개인 건강기록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 건강기록을 표준화하고 의료기관의 고유 시스템과 분리되어 운영되며 사용자 별로 통합적으로 개인 건강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건강기록의 교류는 진단 정확도 향상, 중복검사 방지, 환자 안전 향상 등 다양한 이득을 창출할 수 있다. 많은 의료기관이 정보교류를 시행하고 있으나, 이는 보통 문서나 방사선 필름의 교환 등과 같이 일회성 정보교류에 불과하다.
종래의 개인 건강기록의 교환에 대한 발명은 기관 대 기관, 또는 병원 대 병원과 같은 1:1의 단발성 정보 공유 시나리오를 기반하거나, 한정된 몇 개의 개인 건강기록 형식 간에서만 교환할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따라서, 종래의 산발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한정된 개인 건강기록의 교환이 아니라, 개인별 개인 건강기록에 대한 통합적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개인 건강 관리의 주체가 의사가 아닌 환자 자신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개인 건강기록의 통합적 관리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개인 건강기록의 주요한 정보 공급원 중 하나는 병원 등의 의료 공급자 기관에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인데, 현재 개인 중심의 개인 건강기록 갱신 및 관리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나 의사 등 개인 건강기록 이용자가 이용 및 관리 시 불편을 겪고 있으며, 또한 개인 건강기록의 보급에도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건강 정보의 수집, 저장, 관리 과정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를 유발하고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및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전자 진료기록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의 접근에 의한 자신의 전자 진료기록을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의료기관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상기 전자 진료기록에 대하여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ASTM) 표준 또는 HL-7(Health Level Seven) 표준과 같은 표준화된 개인 건강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중 사용자의 개인 건강기록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는 (i) 설정된 주기마다, (ii)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또는 (iii)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서버의 자료갱신 이벤트 발생 신호가 통지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면 상기 수집을 수행하여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와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수신한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등록기 및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전자 진료기록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여 상기 등록기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등록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는 1:n의 관계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상기 등록기의 접근에 의한 자신의 전자 진료기록에 대한 변경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상기 등록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중 사용자의 개인 건강기록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와 연결 가능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된다.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에 대하여 사용자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의료기관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최종 갱신 정보 및 최종 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건강기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의료기관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과 비교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과 상기 해당 사용자에 대한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적어도 일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상이한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의 내용을 수신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전자 진료기록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는 복수의 의료기관 서버와 연결 가능하다.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제1 의료기관 서버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의료기관과 1:1 관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복수의 제2 의료기관 서버들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의료기관과 1:n의 관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및 등록기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저장하고 있는 개인 건강기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료기관 서버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또는 등록기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등록기 또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개시된 기술에 따른 개인 건강기록은 소정의 표준에 따라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개인 건강기록은 지속진료기록(Continuity of Care Record, CCR)과 지속진료문서(Continuity of Care Document, CCD) 등이 될 수 있다. 지속 진료기록과 지속 진료문서는 각각 표준화기구(SDO, Standard Development Organization)인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ASTM)과 HL-7(Health Level Seven)의 표준이다.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는 건강기록 생성기관 서버(이하, 의료기관 서버)는 표준화된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한다. 표기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개인 건강기록이라 기재하더라도, 이는 표준화된 개인 건강기록에 상응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건강기록 생성기관 서버(이하, 의료기관 서버)(110, 111),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등록기(130) 또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전자 진료기록이나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할 수 있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존재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와 동일 의료기관 내에서 위치(도시된 하단의 실선)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111)과 각 의료기관 내에서만 존재하고 의료기관의 외부에 위치하는 등록기(130)와 연결될 수 있는 것(11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는 의료기관 서버(111)는 대학 병원과 같이 규모가 큰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의료관련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고, 등록기(130)와 연결될 수 있는 의료기관 서버(110)는 개인 병원, 중규모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의료관련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전자 진료기록을 기초로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10)는 생성된 개인 건강기록을 등록기(130)에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의료기관 서버(111)는 생성된 개인 건강기록을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두 종류의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그 설치된 규모에 따라 생성된 개인 건강기록을 제공하는 대상은 서로 상이하나, 실제 동작하는 내용 및 구성은 서로 상응한다.
개시된 기술에 의한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하여 저장된 전자 진료기록을 변경하지 않는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은 개인 건강기록에 한정되는 것으로서, 전자 진료기록은 개인 건강기록의 생성에 기초가 될 뿐, 이에 대한 어떠한 변경이나 추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와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즉,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와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전자 진료기록에 대한 불변성을 보장하면서도 사용자에게 개인 건강기록을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전자 의무 기록(Electrical medical record) 시스템 등을 통해 개인의 진료 시에 발생하는 건강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의료기관에 설치된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과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사용자 1인에 대하여 하나의 파일로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병원과 같은 경우 여러 진료과에서 각각 진료를 받는다 하더라도, 사용자 1인에 대하여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는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전자 진료기록에 대하여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ASTM) 표준 또는 HL-7(Health Level Seven) 표준과 같은 표준화된 개인 건강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생성된 개인 건강기록은 소정의 표준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생성된 개인 건강기록을 전송할 때, 암호화를 수행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와 비밀키 또는 공개키 기반의 암호화를 실시하여 개인 건강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사용자에 대한 소정의 공개키로 해당 개인 건강기록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고,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는 사용자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개인 건강기록을 복호화 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는 의료기관 서버(110,111)로부터 수신된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는 의료 기관 서버(110,111)와 1: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는 전송 받은 개인 건강기록을 파일 단위로 저장하고,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에 한해 접근을 허용하여 해당 질의에 응답하여 개인 건강기록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는 의료기관 또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의 요청에 따라 개인 건강기록 파일을 파기 또는 갱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는 필요에 따라 의료기관 또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에 대한 인증 및 재 확인을 수행하여 파기 또는 갱신을 실시할 수 있다.
등록기(130)는 수신한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등록기(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기관 서버(110)와 1:n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등록기(130)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를 운영하지 않는 의료기관에 대하여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므로, 구체적 동작은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와 동일하거나 그에 상응할 수 있다. 등록기(130)는 의료 기관으로부터 위임 받은 적법한 기관이 운영할 수 있으며, 여러 의료 기관에서 생성되는 개인 건강기록을 위임 받아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기(130)는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110)에 대하여 (i) 주기적으로, (ii)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또는 (iii)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서버의 자료갱신 이벤트 발생 신호가 통지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면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도록 동시에 또는 순차로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등록기(130)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110)에 대하여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 또는 갱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개인 건강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스마트 폰, 타블렛 PC, PC 등의 개인용 단말에서 운영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복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개인 건강기록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은 소정의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수신한 암호화된 개인 건강기록을 복호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복호화에 필요한 소정의 키 분배를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와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과 수집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비교하여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개인 건강기록 파일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새로 수집된 개인 건강기록과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전체 또는 기관별로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적어도 일부를 확인하고, 해당 내용을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에 전체 또는 기관별로 추가하여 갱신을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i) 주기적으로, (ii)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또는 (iii)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서버의 자료갱신 이벤트 발생 신호가 통지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에 대한 수집 주기와 등록기(130)에 대한 수집 주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경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의 수집 주기는 등록기(130)의 저장주기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에 상응하여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소정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진료카드에 기록된 의료기관의 식별자 및 개인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저장하고 있는 개인 건강기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등록기(130) 및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각각 저장하고 있는 개인 건강기록에 대한 목록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진료 등을 받은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식별자, 개인 건강기록 파일 및 최종 갱신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유지할 수 있고, 등록기(130)는 여러 의료기관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하므로 해당 의료기관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목록을 유지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의료기관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최종 갱신정보 및 최종 파일 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건강기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목록 외에도 진료카드에 대한 정보를 더 관리할 수 있다.진료 카드는 의료기관에 대한 식별자와, 해당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기관 식별자 175인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식별자는 5687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의료기관 서버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도 3에 도시된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의료기관 서버(110,111)가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종의 저장 프로세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개인 건강기록으로 변환할 건강 정보(예컨대, 전자 진료기록)를 수집하여 개인별로 개인 건강기록 표준을 따르는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10). 여기에서,의료기관 서버(110,111)는 개인 건강기록을 하나의 파일로 생성한 후, 암호화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110,111)에 의하여 생성된 개인 건강기록은 해당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해당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가 없다면 등록기(130)에 전송될 수 있다(단계 S320). 일 실시예에서, 만일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에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경우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해당 환자(사용자)의 의료기관 병록번호를 함께 저장할 수 있고, 만일 등록기(140)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가 진료받은 의료기관의 식별번호 및 사용자의 해당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병록번호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만일,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동안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하거나 구성요소 간의 응답시간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단계 S330,예), 의료기관 서버(110,111)는 통신을 종료하고(단계 S340), 해당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해당 등록기(130)는 수신 중인 개인 건강기록 파일을 폐기하고 기존 저장되어 있던 개인 건강기록 파일을 복구할 수 있다(단계 S340).
도 4 및 도 5는 도 1의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가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종의 저장 프로세스이고, 도 5에 도시된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가 개인 건강기록을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종의 갱신 프로세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 건강기록을 검색한다(단계 S410).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13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 건강기록을 검색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단계 S420).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저장한 개인 건강기록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유지할 수 있다(단계 S430).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와 검색 또는 저장을 수행함에 있어서 소정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의료기관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에 갱신된 개인 건강기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단계 S510). 일 실시예에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은 저장 목록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개인 건강기록에 대한 목록과 해당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에 유지되고 있는 해당 목록을 비교하여 갱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갱신된 개인 건강기록이 있으면 이를 수집한다(단계 S520).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할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의 수 만큼 송수신 쓰레드를 발생시켜 수집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송수신 쓰레드는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송수신 쓰레드는 해당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에 접속하여 해당 개인 건강기록 파일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각 송수신 쓰레드의 수행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 송수신 쓰레드는 해당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와 통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는 사용자에 대하여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송수신 쓰레드는 개인의 식별을 위해 해당 의료기관 식별자, 해당 의료기관에서 부여한 사용자 식별자, 진찰과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한 정보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그렇지 못하면 채널 설정을 거부할 수 있다. 만약 통신 채널이 성공적으로 설정되면,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는 요청된 개인 건강정보 파일을 해당 쓰레드에 전송할 수 있다. 각 쓰레드가 해당 개인 건강정보 파일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실패하면 송수신 쓰레드의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이후,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수신한 개인 건강기록과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비교하여, 기존에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갱신된 개인 건강기록이 표준에 대해서 유효한지 검증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갱신된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하고 저장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일부만을 이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에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기준으로 갱신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이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과 해당 사용자에 대한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적어도 일부를 확인한 후, 서로 상이한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의 내용을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수신한 또는 검색한 개인 건강기록에 대하여 하나의 파일로 합쳐서 또는 기관별로 저장 또는 갱신할 수 있다(단계 S540). 여기에서, 필요에 따라 복호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30).
일 실시예에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개인 건강기록이 갱신될 때, 갱신에 관한 내용을 반영하여 개인 건강기록에 관한 목록을 수정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는 상술한 개인 건강기록 갱신 프로세스 중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하거나 시스템 간의 응답시간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생성 중인 개인 건강기록 파일을 폐기하고 기 저장하던 개인 건강기록을 복구할 수 있다.
도 6은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가 개인 건강기록을 삭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종의 삭제 프로세스이다.
삭제 프로세스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에서 수행될 수 있고,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이나 해당 건강기록을 생성한 의료기관 서버(110, 111)의 요청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또는 등록기(130)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140) 또는 의료기관 서버(110, 111)로부터 적법한 방법과 절차에 의해 삭제 요청을 받으면(단계 S610), 삭제 요청을 재확인 한 후(단계 S620), 해당 개인 건강기록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단계 S630). 이러한 삭제 프로세스 중,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하거나 시스템 간의 응답시간이 정해진 시간을 초과할 시에는 삭제를 중단하고 기존의 개인 건강기록을 복구할 수 있다.
도 7은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등록기(130) 또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120), 등록기(130) 또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가 개인 건강기록에 대한 목록을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종의 갱신 프로세스이다.
개인 건강기록 저장목록 갱신 프로세스는 개인 건강기록이 갱신될 때 마다 일어날 수 있다. 개인 건강기록에 대한목록에는 의료기관 식별자, 해당 의료기관에서의 사용자 식별자(병록번호), 진료과, 최종갱신일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새로운 의료기관에 방문 시, 새로운 진료카드 정보를 수집하여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 (140)에 등록하고(단계 S710), 해당 내용을 반영하여 개인 건강기록에 대한 목록에 의료기관 식별자, 해당 의료기관에서의 사용자 식별자(병록번호), 진료과, 최종 갱신일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단계 S720).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이 자신의 평생 건강 정보를 유기적으로 저장관리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환자는 개인 건강기록을 휴대하여 자신의 건강 정보를 의사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만성질환 등을 장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응급상황 등에서 의료진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여러 의료기관에 흩어져 있는 개인 건강기록을 개인 중심으로 통합하도록 하여,기존 개인 건강기록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증대시킬 것이고, 나아가서 개인 건강기록 이용자 수의 증가를 유도하여 새로운 산업 영역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임상, 유전체 정보를 수집, 통합하여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의 출현에 대비하기 위한 기술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실시되는 각 수행 단계마다 관련된 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정보의 유출을 염려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및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전자 진료기록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의 접근에 의한 자신의 전자 진료기록에 대한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의료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상기 전자 진료기록에 대하여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ASTM) 표준 또는 HL-7(Health Level Seven)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중 사용자의 개인 건강기록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는
    (i) 설정된 주기마다, (ii)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또는 (iii)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서버의 자료갱신 이벤트 발생 신호가 통지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상기 수집을 수행하여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와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6. 수신한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등록기; 및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전자 진료기록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여 상기 등록기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관 서버는 1:n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서버는
    상기 등록기의 접근에 의한 자신의 전자 진료기록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은
    상기 등록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중 사용자의 개인 건강기록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9.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와 연결 가능한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에 대하여 사용자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의료기관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최종 갱신 정보 및 최종 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건강기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의료기관 식별자 및 사용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과 비교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기준으로 갱신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과 상기 해당 사용자에 대한 기 저장된 개인 건강기록을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적어도 일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상이한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의 내용을 수신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방법.
  14.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전자 진료기록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는 복수의 의료기관 서버와 연결 가능한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의료기관 서버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의료기관과 1:1 관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복수의 제2 의료기관 서버들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의료기관과 1:n의 관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및 등록기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개인 건강기록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KR1020110042120A 2011-05-03 2011-05-03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120A KR101232379B1 (ko) 2011-05-03 2011-05-03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120A KR101232379B1 (ko) 2011-05-03 2011-05-03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98A true KR20120124298A (ko) 2012-11-13
KR101232379B1 KR101232379B1 (ko) 2013-02-13

Family

ID=4750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120A KR101232379B1 (ko) 2011-05-03 2011-05-03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3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29A (ko) * 2014-03-04 2015-09-14 (주)엠씨씨 병원정보와 연동하는 개인건강기록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건강기록 전달 방법
WO2018105825A1 (ko) * 2016-12-05 2018-06-14 사이버씨브이에스(주) 개인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894661B1 (ko) * 2017-04-11 2018-09-04 서경록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 및 진료 정보 교류 방법
KR20220158467A (ko) 2021-05-24 2022-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 댐의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58465A (ko) 2021-05-24 2022-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헬스 데이터 댐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58470A (ko) 2021-05-24 2022-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 댐 구축을 위한 개인 건강 기록 공유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50A (ko) * 2000-06-14 2001-12-20 손현준 인터넷을 통한 개인의 의무(醫務)기록을 공유하는 방법
KR100706765B1 (ko) * 2004-11-30 2007-04-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12308B1 (ko) * 2008-03-03 2015-04-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개인 맞춤 건강관리 기록시스템
KR101156467B1 (ko) * 2008-11-13 2012-06-18 정희두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29A (ko) * 2014-03-04 2015-09-14 (주)엠씨씨 병원정보와 연동하는 개인건강기록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건강기록 전달 방법
WO2018105825A1 (ko) * 2016-12-05 2018-06-14 사이버씨브이에스(주) 개인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894661B1 (ko) * 2017-04-11 2018-09-04 서경록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 및 진료 정보 교류 방법
KR20220158467A (ko) 2021-05-24 2022-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 댐의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58465A (ko) 2021-05-24 2022-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헬스 데이터 댐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58470A (ko) 2021-05-24 2022-1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 댐 구축을 위한 개인 건강 기록 공유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379B1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el A framework for secure and decentralized sharing of medical imaging data via blockchain consensus
US202001683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electronic medical and health records
Durneva et al.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blockchain technology in patient care: Systematic review
KR10120081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개인 건강 기록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040172293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mmunicating with potential clinical trial participants
KR101232379B1 (ko)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62812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secure management of data generated in an EHR during an episode of care and a system therefor
US201000306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controlled, encrypted, consolidated medical records
US202001683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electronic medical and health records by blockchain
JP2008527478A (ja) 医療情報を照会および参照するための仲介サーバ、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
KR20140029984A (ko)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운영 시스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US20140156988A1 (en) Medical emergency-response data management mechanism on wide-area distributed medical information network
US2014005875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request for clinical information
CN112735552A (zh) 一种基于区块链及ipfs的电子病历夹信息系统
KR20210067353A (ko) 블록체인 상의 다중서명 전자계약으로 개인의 통제권을 강화하여 의료기록을 저장하고 정보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10005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est practices for third parties accessing a health care network
CN111081331B (zh) 患者档案私密性保护方法及系统
WO2019095552A1 (zh) 区域医疗电子病历安全协同整合系统及方法
Yasnoff A secure and efficiently searchable health information architecture
US20100114781A1 (en) Personal record system with centralized data storage and distributed record generation and access
Thilakarathne et al. Privacy dilemma in healthcare: A review on Privacy Preserving Medical Internet of Things
AU20153466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storing and sharing information
Baskar et al. Data security in healthcar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CN11273316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病例共享方法、系统及私钥存储介质
CN110970120B (zh) 基于区块链的家庭医生管理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