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381A - 문자 및 그림을 혼합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자 및 그림을 혼합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381A
KR20120123381A KR1020127019975A KR20127019975A KR20120123381A KR 20120123381 A KR20120123381 A KR 20120123381A KR 1020127019975 A KR1020127019975 A KR 1020127019975A KR 20127019975 A KR20127019975 A KR 20127019975A KR 20120123381 A KR20120123381 A KR 20120123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icture
character information
piec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크로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크로디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크로디아
Publication of KR2012012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06F40/157Transformation using dictionaries or t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원문(19)의 문자정보와, 상기 문자정보에 대해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가 혼성된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하는 제너레이터(50)를 가지는 휴대전화(1)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너레이터(50)는 생성 지시(51)를 받으면, 그때마다, 원문(19)의 문자정보에 대한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새로운 그림문자문서(59)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의 그림문자문서(59)를 간단히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및 그림을 혼합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INFORMATION PERFORMING DISPLAY OF INTERMINGLED CHARACTERS AND PICTURES}
본 발명은, 문자 및 그림을 혼합하여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47855호에는, 그림문자를 표시할 때, 조건에 따라 표시 이미지를 바꿀 수 있도록 하여, 그림문자에 있어서 다양한 표현을 실현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기술에 있어서는, 콘텐츠 해석부는, 콘텐츠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콘텐츠를 해석하여, 그림문자 코드를 추출한다. 그림문자 결정부는, 그림문자 코드마다 설정된 조건과 표시 이미지를 대응지은 그림문자 코드 변환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 설정된 각종 조건에 따라, 조건에 합치하는 표시 이미지를 결정한다. 예컨대, 그림문자 결정부는, 수신한 뉴스 콘텐츠의 날씨정보가 '맑음'인 경우는, 그림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표시 이미지를 맑음 마크로 결정하고, 날씨정보가 '비'인 경우는 우산 마크로 결정한다. 결정된 표시 이미지는, 소정 위치에 레이아웃되고, 표시부에 의해 화면 상에 표시된다.
그림문자(Pictorial symbol, Picture writing, Pictograph)란, 전형적으로는, 언어를 간략한 그림으로 나타낸 문자, 사항을 간단한 그림으로 나타내어 언어에 의한 설명의 대용으로 하는 것, 문자와 문자 사이에 그림을 유희적으로 넣어, 문자 대신으로 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다. 정보를 문자로만 전달하는 것에 비해, 그림을 이용하거나 그림을 섞어넣은 정보로서 전달하면, 한눈에 의미를 파악하기 쉬우며, 감정 전달이 보다 용이하다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문자만으로 이루어진 전자메일을 받는 것보다, 그림이 섞인 전자메일을 받는 쪽이 즐겁다는 메리트도 있다. 그리고, 그림을 섞어넣은 전자메일을 만들 때의 즐거움도 있다.
한편, 대단히 많은 그림 중에서, 전하고자 하는 정보에 적합한 그림을 선택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부담이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가 간단히 그림문자 또는 그림문자를 포함한 문장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센텐스를 포함하는 원문의 문자정보와, 그 문자정보에 대해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생성장치(제너레이터)를 가지는 시스템(장치)이다. 상기 생성장치를 가지는 시스템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정보를 문자정보에 의해 원문으로서 일단 제작하면, 그 원문의 문자정보에 대해, 문자정보를 장식하는 그림정보가 랜덤하게 선택된 혼성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단어를 넣을 때마다, 그림문자를 선택해야 하는 작업을 삭감할 수 있고, 단시간에 그림이 들어간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문자정보를 장식하는 그림정보가 랜덤하게 선택되므로, 어떠한 그림이 들어간 문장이 될 것인가 하는, 만드는 즐거움이나 보는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문자정보를 장식하는 그림정보가 랜덤하게 선택되므로, 사용자가 통상은 선택하지 않을 법한, 의외성이 있는 그림이 들어간 문장도 작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생성장치는, 생성 지시를 받으면, 그 때마다, 원문의 문자정보에 대한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자정보를 장식하는 그림정보가 랜덤하게 선택되므로, 생성 지시를 할 때마다, 상이한 그림이 들어간 문장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원문에 대해 상이한 그림이 들어간 문장이 생성되는 것을 즐길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생성 지시를 내리는 것만으로, 동일한 원문에 대해 자신이 원하는 그림이 들어간 문장이 생성될 때까지 몇 번이라도 혼성정보의 생성을 되풀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장치는, 센텐스(sentence), 프레이즈(phrase) 및 워드(word)의 단위로 랜덤하게 그림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片)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미리 관련지을 수 있다. 생성장치는, 원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과, 선택된 그림정보편의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을 상기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포함하는 그림정보 사전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장치는, 원문으로부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한자(漢字) 한 문자를 장식해야 하는 것, 복수 문자의 숙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단순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복합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성(姓)이나 이름 등을 자동인식하기 쉬우며 문자정보편에 적합한 그림정보편을 랜덤하게 선택하기가 쉬워진다.
상기 시스템은, 혼성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 및 그림정보편의 조합을, 그림정보 사전에 추가하는 학습 유닛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작성하거나, 받거나 한 문자정보편 및 그림정보편의 조합을 랜덤한 선택의 하나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림정보편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의 전방 또는 후방에 추가되는 그림, 상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에 치환되는 그림,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의 윗줄 또는 아랫줄에 추가되는 장식 이미지, 및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의 폰트의 형태, 컬러 및/또는 사이즈를 바꾸는 폰트 정보를 들 수 있다.
원문 전체, 원문의 센텐스 또는 원문의 단락을, 하나의 단위(문장)로 하여, 그 단위로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해 복수 타입의 감정(感情)의 판정값을 미리 관련짓고, 또한, 복수 타입의 감정의 각각의 타입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미리 관련지을 수 있다. 생성장치는, 원문, 원문의 센텐스마다 또는 원문의 단락마다의 문장을 단위로 해서,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집계하여, 문장의 감정 타입을 판단하는 기능과, 문장의 감정 타입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과,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문장을 장식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은,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포함하는 사전(사전 파일, 사전 라이브러리)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에는, 복수 타입의 감정의 각각의 타입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포함시켜도 좋다. 생성장치는, 원문으로부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집계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문자로 감정적인 의미를 갖게 할 경우와, 복수의 문자로 감정적인 의미를 갖게 할 경우를 구별하기 쉬우며, 문자의 의미에 보다 적합한 그림정보편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림정보편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문말(文末)에 표시되는 소정의 감정을 표현하는 그림, 문장의 윗줄 또는 아랫줄에 추가되는 장식 이미지, 및 문장의 폰트의 형태, 컬러 및/또는 사이즈를 바꾸는 폰트 정보를 들 수 있다.
문자정보에, 랜덤하게 그림정보를 추가하면, 혼성정보의 정보량이 표시 범위를 초과하는 등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생성장치는,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의 정보량을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장치는, 혼성정보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표시 범위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는,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편을 솎아 내는 기능을 포함해도 좋다.
생성장치는, 또한, 복수 종류의 전체장식 패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체장식 패턴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체장식 패턴에 의한 표시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장식 패턴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배경표시, 폰트, 문말 또는 단락말에 표시되는 결정적 대사, 및 사용자의 독자적인 표시를 들 수 있다.
또한, 생성장치는, 혼성정보를 화상정보로서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IF 등의 화상정보로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전자메일 등으로서 송신했을 때, 수신처에 송신자가 의도하는 폰트 등의 리소스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송신자의 의도에 따른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에 문자정보 및 혼성정보를 바꾸어 표시하는 출력 유닛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문자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유닛과, 혼성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 유닛은, 혼성정보를,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 중 하나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1.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정보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센텐스를 포함하는 원문의 문자정보에 근거하여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2. 문자 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센텐스를 포함하는 원문의 문자정보와 문자정보에 대해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생성 지시를 받으면, 그때마다, 원문의 문자정보에 대한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미리 관련지어 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의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원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의 생성하는 단계는, 선택된 그림정보편의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을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포함하는 그림정보 사전을 이용해서, 원문으로부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법은, 또한, 이하의 단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정보단말이, 혼성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 및 그림정보편의 조합을, 그림정보 사전에 추가하는 단계. 학습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해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미리 관련지어 두고, 복수 타입의 감정의 각각의 타입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미리 관련지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원문, 원문의 센텐스마다 또는 원문의 단락마다의 문장을 단위로 해서,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집계하여, 문장의 감정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와, 문장의 감정 타입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의 생성하는 단계는, 문장을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포함하는 사전을 이용해서, 원문으로부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집계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법은, 추가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정보단말이, 혼성정보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표시 범위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는,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편을 솎아 내는 단계. 혼성정보의 데이터량 (정보량)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생성하는 단계는, 추가로, 복수 종류의 전체장식 패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체장식 패턴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체장식 패턴에 의한 표시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장식 패턴은, 배경표시, 폰트, 문말 또는 단락말에 표시되는 결정적 대사, 및 사용자의 독자적인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생성하는 단계는, 혼성정보를 화상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정보로서 전자메일에 첨부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은, 추가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정보단말이, 디스플레이에 문자정보 및 혼성정보를 바꾸어서 표시하는 단계.
6. 문자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단계.
7. 혼성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하는 단계.
원문의 문자정보를 바꾸어 넣어서 혼성정보에 의한 표시를 조정하고, 완성된 혼성정보를 전자메일로서, 혹은 전자메일에 첨부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의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센텐스를 포함하는 원문의 문자정보에 근거하여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와, 문자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명령을 가지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이다. 상기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제품은, 적당한 기록 매체, 예컨대 DVD 등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제품은, 인터넷 등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하거나, 다운로드시키거나 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혼성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 및 그림정보편의 조합을, 그림정보 사전에 추가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명령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혼성정보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표시 범위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는,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편을 솎아 내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명령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에 문자정보 및 혼성정보를 바꾸어서 표시하는 단계와, 문자정보를 입력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혼성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신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명령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문자와 그림이 혼재하는 문장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단말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의 (a)는 원문의 일례, 도 3의 (b)는 그림문자문서의 일례, 도 3의 (c)는 그림문자문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문자정보 라이브러리의 일례, 도 4의 (b)는 감정 라이브러리의 일례, 도 4의 (c)는 전체장식 라이브러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그림문자문서의 또 다른 예이다.
도 6은 그림문자문서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전자메일 클라이언트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제너레이터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9는 원문에 포함되는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그림문자문서에 포함되는 그림정보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문자와 그림이 혼재(混在) 혹은 혼성(混成)된 문장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이하에서는 '혼성정보' 또는 '그림문자문서 정보'라 함)를 생성하는 유닛(그림문자문서 생성장치, 그림문자문서 제너레이터)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블록도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문자 또는 문자정보란, 일본어의 경우라면 한자, 가타카나, 히라가나, 및/또는 알파벳 등의 문자의 표기 및 문자에 의해 표기된 표현이며, 주로 컴퓨터(휴대단말 등의 여러 가지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함)에 의해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디바이스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언어는 일본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문자정보에는, 여러 가지 언어에 의한 표현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로서 나타내기 위한, 각국의 문자에 의해 기술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문자정보란, 문자만에 의한 정보를 의미하지 않고, 문자와 그림이 섞인, 이른바 '그림문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림 또는 그림정보란, 문자 이외에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디바이스, 주로 화상출력 디바이스에 표현가능한 모든 정보 또는 베리에이션을 포함한다. 그림 또는 그림정보에는, 그림 이외에, 그래픽, 사진, 컬러, 확대 축소, 로고, 폰트, 움직임을 들 수 있으며, 문자와 함께 표시할 수 있고, 문자의 표시 자체를 장식할 수 있고, 또한, 문자를 대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문장이란, 1 또는 복수의 문장(센텐스)의 집합을 나타내며, 종종, 편지, 메일(전자메일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전자메일을 메일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서류 등의 문서와 동등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문자와 그림이 혼재 혹은 혼성된 문장이란, 문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가 그림정보에 의해 꾸며진(장식된) 문장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문자와 그림문자가 혼재 혹은 혼성된 문장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그림문자정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림문자란, 단어(음형)를 포함하며, 물건이나 사항을, 그림을 이용하여 추상적으로 시사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림문자란, 컴퓨터로 입력되는 문자나 기호를 이용하여 만드는 그림, 아이콘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림문자란, 문자에 착색하거나, 문자의 형태(폰트)를 바꾸거나, 문자의 크기를 바꾸거나, 문자와 함께, 혹은 문자를 대신하여 정지 화상 또는 애니메이션 화상을 표시한 것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시스템(1)은, CPU 및 메모리를 구비한 정보단말이며, 전형적으로는 휴대전화이다. 상기 휴대전화(1)는, 출력 인터페이스가 되는 디스플레이(2), 입력 인터페이스가 되는 터치패널 혹은 키보드(3)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와, 휴대전화(1)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5)과, OS(5) 상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기능 유닛(6, 7, 8 및 10)을 포함한다. 키보드(3)는, 텐키, 조그 다이얼, 멀티셀렉터, 커서 키 등 중 어느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 2는, 시스템(1)의 전형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시스템(1)은, 컴퓨터 자원인 CPU(91) 및 메모리(스토리지; 92)와, 무선(무선 LAN)에 의해 공중 전화망 혹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 유닛(93)과, 디스플레이(2)를 겸한 터치패널(94)과, 음성통신기능(음성통신 유닛; 6)과, 카메라 기능(카메라 유닛; 7)과, 위치정보취득기능(위치정보취득 유닛, GPS; 8)을 포함하며, 이것들이 내부 버스(9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터치패널(94)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의 모든 기능을 커버해도 되며, 터치패널(94)에 더하여 커서 키(키보드; 3)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키보드(3)의 기능을 터치패널(94)로 제공해도 된다. 또한, 음성통신기능(6)을 이용하여 문자 혹은 문장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OS(5), 및 OS(5) 상에서 가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각종 기능은,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 95)으로서 제공된다. 그리고, 스토리지(92)에 격납된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 95) 또는 프로그램(95)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듈이 적당한 타이밍으로 CPU(91)에 로딩되어, CPU(91)가 프로그램(95)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실현된다. 스토리지(92)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다양한 기록 매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 나타내는 메모리(18), 라이브러리(70) 등의 기록 영역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휴대전화(1)는,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서, 메일(전자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자메일 클라이언트(메일 클라이언트, 전자메일 소프트; 10)를 포함한다. 메일 클라이언트(10)는, 본체(11)와, 애드온(add-on; 12)을 포함하며, 그림문자문서 제너레이터(제너레이터; 50)는 애드온(12)의 하나로서 메일 클라이언트(10)에 탑재되어 있다. 메일 클라이언트 본체(11)는, 디스플레이(2) 및 키보드(3)를 이용하여 휴대전화(휴대단말; 1)의 사용자가 메일 본문(원문; 19)을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유닛(13)과, 편집 중인 원문(19)을 보존하는 메모리(18)와, 메모리(18)에 격납된 메일 문서나 첨부 파일의 화상 등을 디스플레이(2)에 표시하는 표시 유닛(14)과, 메모리(18)에 격납되어 원문(19)을 포함하는 메일(전자메일)을 수신인에게 송신하는 송수신 유닛(15)을 포함한다. 송수신 유닛(15)은, 송신원으로부터 송신된 전자메일을 수신하는(착신을 받는) 기능도 포함한다.
그림문자문서 제너레이터(50)는, 메모리(18)의 원문(19)을, 문자정보 및 그림정보가 혼재된 그림문자문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하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여 '그림문자문서'라 함; 59)로 자동적으로 생성(변환)시켜, 메모리(18)에 저장한다. 그림문자문서(59)의 전형적인 예는 MTML형식의 문서(데이터, 정보)이다. 표시 유닛(14)은, 원문(19) 대신에, 그림문자문서(59)를 디스플레이(2)에 표시한다. 그리고, 그림문자문서(59)가 사용자에 의해 확정되면, 송수신 유닛(15)은, 그림문자문서(59)를 포함하는 메일을 수신인에게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의 그림문자문서를 간단히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a)?(c)에는, 원문이 그림문자문서로 변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문(19)을 입력한 후, 디스플레이(2)의 하측에 나타나 있는 메뉴 버튼(9a)을 클릭하면 그림문자화 버튼(9d) 및 초기설정 버튼(9e)이 나타난다. 그림문자화 버튼(9d)을 클릭하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문(19)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에 대해 그림정보편이 랜덤하게 선택되고, 그림문자문서(59a)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2)의 하측에 나타나 있는 다음 후보 버튼(9f)을 클릭하면,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문(19)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에 대해 그림정보편이 랜덤하게 선택되어, 도 3의 (b)의 그림문자문서(59a)와는 상이한 그림문자문서(59b)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확정 버튼(9b)을 클릭하면, 해당 그림문자문서(59b)가 확정되어, 메일 또는 메일의 첨부 파일로서 수신인에게 송신된다. 참고로, 버튼(9a?9c)의 배치 및 기능은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너레이터(50)는,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랜덤 선택 기능, 랜덤 쵸이스 유닛; 53 및 55)을 포함한다. 랜덤 선택 기능(53 및 55)은, 각각, 사용자 인터페이스(4)로부터 제너레이터(50)에 대한 생성 지시(51)을 받으면, 그때마다, 원문(19)의 문자정보에 대한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생성 지시(51)는, 그림문자화 버튼(9d) 또는 다음 후보 버튼(9f)이 조작되고 있을 때 출력되며, 제너레이터(50)는, 그때마다, 랜덤하게 그림정보를 선택하여 새로운 그림문자문서(혼성정보; 59)를 생성한다.
생성 지시(51)는, 다음 후보 버튼(9f) 또는 후술하는 그림문자화 버튼(9d)을 조작함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일 본문 전체의 입력을 마친 단계에서 그림문자화 버튼(9d) 또는 다음 후보 버튼(9f)을 조작함으로써, 메일 본문 전체를 원문(19)으로 하여, 일괄적으로, 예컨대 한번의 클릭으로, 그림문자문서(59)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음 후보 버튼(9f)을 다시 조작함으로써, 다시 일괄적으로 상이한 그림문자문서(59)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단어마다 그림문자로 변환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는 매우 간단히 그림문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원문(19) 또는 그림문자문서(59)를 일괄적으로 변환할 때마다(다음 후보 버튼(9f)을 조작할 때마다), 상이한 결과, 즉, 상이한 그림문자문서(59)를 얻을 수 있다. 그림정보가 랜덤하게 선택되므로, 개개의 그림정보는 랜덤하게, 반복하여 나타난다. 그러나, 그림문자문서(59) 전체로서 동일한 그림문자문서(59)가 얻어질 가능성은 제로는 아니지만 매우 낮다. 메일 본문을 입력하는 도중에 그림문자화 버튼(9d) 또는 다음 후보 버튼(9f)을 조작하여, 그림문자문서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일의 타이틀을 입력했을 때 그림문자화 버튼(9d) 또는 다음 후보 버튼(9f)을 조작하여, 타이틀을 그림문자문서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는, 사전(사전 파일, 사전 라이브러리; 70)을 참조하여, 원문(19)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제 1의 기능 유닛(제 1 랜덤 선택 유닛, 문자대응의 랜덤 선택 유닛; 53)에 의해 제공된다. 각각의 문자정보편은, 원문(19)에 포함되는 문장의 구성요소이며,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된다. 제너레이터(50)는, 난수발생 유닛(52)을 포함하며,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은, 난수발생 유닛(52)으로부터 수시로, 난수를 수취한다. 또한, 제너레이터(50)는 생성 유닛(60)을 가지며, 생성 유닛(60)은,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에 의해 선택된 그림정보편의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을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그림문자문서; 59)를 생성하는 기능(혼성 기능; 61)을 포함한다.
도 4의 (a)에는, 사전(70)에 포함되는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는, 문자정보편(72)으로서 다양한 워드(단어, 숙어 등), 프레이즈, 짧은 센텐스 등을 포함한다.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는 문자정보편(72)으로서, 한자(漢字) 한 문자를 장식해야 하는 것, 복수 문자의 숙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단순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복합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성(姓)이나 이름 등 일체로 장식해야 하는 것을 등록할 수 있다.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는, 또한, 각 문자정보편(72)에 대해 적어도 하나, 많은 경우는 복수의 그림정보편(73)을 포함한다.
그림정보편(73)으로서는,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추가되는 그림(그림문자를 포함함),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에 치환되는 그림(그림문자를 포함함),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의 윗줄 또는 아랫줄에 추가되는 장식 이미지, 및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의 폰트의 형태, 컬러 및/또는 사이즈를 바꾸는 폰트 정보를 들 수 있다. 그림정보편(73)은, 이러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추가되는 그림(그림문자를 포함함)이나,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에 치환되는 그림(그림문자를 포함함) 등에는 움직임(시간적 변화)을 수반하는 그림 및 그림문자를 포함한다.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은,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72)과 원문(19)을, 원문(19)의 선두부터 최장일치 검색하여,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을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은,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에 관련지어져 있는 복수의 그림정보편(73) 중 하나를 난수발생 유닛(52)으로부터 얻어진 난수에 근거하여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예컨대, 하나의 문자정보편(72.1)에는 복수의 그림정보편(73.1?73.n)이 관련지어져 있어서,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은, 문자정보편(72.1)이 최장일치 검색되면, 그림정보편(73.1?73.n)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도 5에는, 최장일치 검색의 영향을 이용한 그림문자문서(59)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최장일치 검색을 함으로써, 한자(漢字) 한 문자를 장식해야 하는 것, 복수 문자의 숙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단순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복합어로 장식해야 하는 것, 성(姓)이나 이름 등 일체로 장식해야 하는 것을 원문(19) 중으로부터 적절히 추출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문서의 마지막인 이름(150) 부분의 원문(19)을 「기무라」로부터 「기」 스페이스 「무라」로 변화시켰다. 이 때문에,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은, 「기무라」가 아니라, 「기」와 「무라」로 나누어서 최장일치 검색을 행한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그림문자문서(59)에서는 「기무라」의 후방에 그림이 추가되어 있는데, 도 5에 나타낸 그림문자문서(59)에서는 「기」가 장식대상 문자정보편(72)이 되어, 「기」의 후방에 그림이 추가되고, 「무라」가 장식대상 문자정보편(72)이 되어, 「무라」의 후방에 그림이 추가되어 있다. 또한, 센텐스로서 해석되어, 이하에 설명하는 감정 타입에 의해, 문말에 추가로 문장을 장식하는 그림이 추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에서는, 원문(19)에 포함되는 장식대상 문자정보편(72)을 사전(70)에 포함된 문자정보편(72)으로부터 최장일치 검색에 의해 추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체로서 의식하여 입력한 단어나 프레이즈는, 일체의 문자정보편(72)으로서 식별된다. 이 때문에, 원문(19)의 의미(내용, 의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원문(19)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그림문자문서(59)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원문(19)에 포함되는 단어 혹은 프레이즈에 대해, 의도적으로 스페이스를 삽입함으로써 장식대상 문자정보편(72)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여, 보다 많은 베리에이션의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복수의 기능 중 다른 하나는, 원문(19)에 포함되는 센텐스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그 센텐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제 3의 기능 유닛(55)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제 3의 기능 유닛(55)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감정으로부터 그림정보편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유닛이며, 이하에서는, 감정대응의 랜덤 선택 유닛 또는 제 2 랜덤 선택 유닛(55)이라고 부른다.
프레이즈 또는 워드에 비교하면, 사용자가 생성하는 원문(19)에 포함되는 센텐스의 베리에이션은 방대하여, 이들에 대응하는 그림정보를 사전에 준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너레이터(50)는, 개개의 센텐스에 대해 감정을 파라미터로서 규정하고, 센텐스(문장)에 대응한 감정 타입을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감정 타입을 판단하는 기능은, 문장으로부터 감정을 선택하는 기능 유닛(제 2의 기능 유닛, 감정선택 유닛; 54)에 의해 제공된다. 제 2 랜덤 선택 유닛(55)은, 감정선택 유닛(54)에 의해, 각 센텐스에 대한 감정 타입이 정해지면, 정해진 감정 타입에 대응하여 미리 준비된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감정 타입의 예로서는, 사랑스럽다(타입 A), 기쁘다(타입 B), 놀랐다(타입 C), 화났다(타입 D), 가라앉는다(기분이 저조하다)(타입 E), 슬프다(타입 F), 귀엽다(타입 G), 즐겁다(타입 H), 활기차다(타입 I), 난처하다(타입 J), 익살맞다(타입 K)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단어(워드, 프레이즈) 단위로는 감정을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도, 복수의 단어가 포함되는 센텐스라면, 감정에 의존하는 단어가 포함되는 빈도 등에 의해 센텐스 단위로 감정을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자동적으로 판단(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센텐스 단위로, 종합적인 판단에 의해 감정을 구하고, 이에 따라 그림정보편을 선택함으로써, 센텐스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과 합치하지 않는 그림정보편이 센텐스에 부가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랜덤하게 그림정보편이 선택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메일에서 전하고자 하는 내용에 비교적 적합한 그림정보편을 추가할 수 있어, 원문(19)에 대해, 사용자가 좋아하는 혹은 원하는 그림문자문서(59)가 생성될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70)의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는, 센텐스를 구성하는 프레이즈 혹은 워드와 같은 문자정보편(72)에 대해 상기의 감정 타입마다의 적당한 값(감정 파라미터; 74)이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문자정보편(72.1)에 대해, 각각의 감정 타입에 대해 값이 설정된 감정 파라미터(74.1)가 설정되어 있다. 감정선택 유닛(54)은,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72)과 원문(19)을, 원문(19)의 선두부터 최장일치 검색하여, 문자정보편(72)의 감정 파라미터(74)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감정선택 유닛(54)은, 센텐스마다, 센텐스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72)의 감정 파라미터(74)의 값을 집계하여, 감정 타입(A?K) 중 가장 값이 큰 타입을 센텐스에 할당하는 감정 타입으로서 결정짓는 기능을 포함한다.
감정선택 유닛(54)은, 감정의 각 타입에 대해, 집계에 채용하기 위한 문턱값을 마련하거나, 배율을 설정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설정을 사전에 변경함으로써 특정한 감정 타입이 선택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센텐스에 대해, 복수의 감정 타입에 대해 집계된 값이 동일할 경우에는, 랜덤하게 감정 타입을 정해도 되고,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감정 타입을 정해도 된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70)의 감정 라이브러리(75)에는, 하나의 감정 타입(76)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77)이 설정되어 있다. 센텐스를 장식하기 위한 그림정보편(77)으로서는, 문말에 표시되는 소정의 감정을 표현하는 그림(그림문자를 포함함), 문장의 윗줄 또는 아랫줄에 추가되는 장식 이미지, 및 문장의 폰트의 형태, 컬러 및/또는 사이즈를 바꾸는 폰트 정보를 들 수 있다. 그림정보편(77)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랜덤 선택 유닛(55)은, 감정선택 유닛(54)에 의해 정해진 감정 타입(76)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그림정보편(77) 중 하나를, 난수발생 유닛(52)으로부터 얻어지는 난수에 근거하여 랜덤하게 선택한다.
제너레이터(50)의 생성 유닛(60)은, 각 센텐스를, 제 2 랜덤 선택 유닛(55)에 의해 선택된 그림정보편(77)에 의해 장식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하는 기능(혼성 기능, 혼성 유닛; 61)을 포함한다.
제너레이터(50)는, 추가로, 원문(19) 또는 생성된 그림문자문서(59) 전체를 장식하는 내용을 선택하는 전체장식 유닛(56)을 포함한다. 상기 전체장식 유닛(56)에서는, 도 3의 (a)의 화면의 초기 설정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전체장식 패턴으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전체장식 패턴을 선택가능하게 한다. 전체장식 패턴으로서는, 배경표시, 폰트, 문말 또는 단락말에 표시되는 결정적 대사, 및 사용자의 독자적인 표시를 들 수 있다. 전체장식 패턴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70)의 전체장식 라이브러리(78)에는, 전체장식 아이템(79a)과, 아이템마다 선택가능한 장식내용(전체장식 패턴; 79b)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초기설정 버튼(9e)으로 아이템마다 전체장식 패턴(79b)을 선택할 수 있다. 전체장식하는 아이템(79a) 중 하나인 폰트는, 그림문자문서(59) 전체에 통일적으로 사용되는 폰트를 나타낸다. 전체장식용 폰트는, 메일 클라이언트(10) 혹은 제너레이터(50)에 디폴트(default)로 제공되어 있는 폰트 이외에, 사용자가 콘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구입한 폰트를 전체장식 라이브러리(78)에 등록함으로써, 전체장식 패턴의 하나로서 선택할 수 있다.
전체장식하는 아이템(79a)의 다른 하나인 「배경」은, 그림문자문서(59)와 겹쳐서 표시되는 화상, 그림, 사진 등이며, 그림문자문서(59)와 겹치지 않도록 자동편집하는 기능을 포함시켜도 좋다. 배경도 제너레이터(50)에 디폴트로 제공되어 있는 화상 이외에, 사용자가 찍은 사진, 사용자가 직집 그린 그림, 콘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구입한 배경 등을 전체장식 라이브러리(78)에 등록하거나, 사용자의 그림 파일(picture file)을 참조하거나 함으로써, 전체장식 패턴의 하나로서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는, 정월을 제재(題材)로 한 배경과, 행서(行書)의 폰트가 전체장식 패턴(79b)으로서 선택되어, 생성된 그림문자문서(59)의 출력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 후보 버튼(9f)을 누름으로써, 배경 및 행서의 폰트를 사용하는 것은 달라지지 않지만, 문장 중 및/또는 문말에 표시되는 그림 등이 상이한 그림문자문서(59)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2)에 표시된다.
전체장식하는 아이템(79a)의 다른 하나인 「결정적 대사」는, 대부분의 경우, 그림문자문서(59)의 마지막에 추가되는 문장으로서,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사이다. 예컨대 「포스가 함께 있기를....」, 「나는 어지간히 운이 없다....」 등과 같은 말을 메일의 마지막에 시그니처로서, 혹은 시그니처와는 별개로 추가시킬 수 있다. 결정적 대사도 제너레이터(50)에 디폴트로 제공되어 있는 문장 혹은 타이틀 이외에,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거나, 콘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구입한 결정적 대사 등을 전체장식 라이브러리(78)에 등록시켜 둠으로써, 전체장식 패턴의 하나로서 선택할 수 있다.
생성 유닛(60)의 혼성 유닛(61)은, 전체장식 유닛(56)에 의해 선택된 전체장식 패턴에 의한 표시를 포함하는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생성 유닛(60)은, 이와 같이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하는 혼성 유닛(61)에 더하여, 그림문자문서(59)의 정보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한하는 기능 유닛(제한 유닛; 62)을 포함한다. 원문(19)의 문자정보에 대해, 랜덤하게 그림정보를 추가하면, 혼성정보인 그림문자문서(59)의 정보량이 표시 범위, 예컨대 디스플레이(2)의 표시 범위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디스플레이(2)의 표시 범위를 초과하면, 전체적으로 통일감 있는 그림문자 메일로서 수신자에게 인식시키기가 어려워진다. 뿐만 아니라, 전자메일로 송신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할 가능성도 있다.
제한 유닛(62)은, 난수발생 유닛(52)으로부터 난수를 얻어, 그림문자문서(59)에 포함되는 그림정보편(73 및/또는 77)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그 선택된 그림정보편을 솎아내어(삭제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량에 들어가도록 그림문자문서(59)의 정보량을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생성 유닛(60)은,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동시에, 추가되는 그림정보의 정보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원문(19)의 문자정보는 감소되지 않으므로 원문(19)의 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그림문자문서(59)의 정보량을 제한할지의 여부는 초기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생성 유닛(60)은, 추가로, 혼성정보인 그림문자문서(59)를 화상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 유닛(영상화 유닛; 63)을 포함한다. 영상화 유닛(63)은, 그림문자문서(59)를 렌더링(rendering)하여, GIF, JPEG와 같은 소정의 규격에 따른 화상 데이터(화상 파일)의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림문자문서(59)가 움직임(시간적 변화)을 포함할 경우에는, GIF 애니메이션, 모션 JPEG 등의 기능을 이용한 화상 데이터의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한다.
상기 제너레이터(50)에 있어서는, 콘텐츠 프로바이더 등으로부터 구입한 폰트, 배경 등의 장식요소(전체장식 패턴)를 이용한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선택한 폰트가, 메일 수신처의 단말에 반드시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구입한 폰트를 그림문자문서(59)와 함께 송신하는 것도 어렵다. 생성한 그림문자문서(59)를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함으로써, 메일 수신처의 단말이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면, 송신원의 사용자가 의도한 바대로의 그림문자문서(59)를 수신처의 단말에 표시시킬 수 있다.
제너레이터(50)는, 추가로, 그림문자문서(59)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72)과 그림정보편(73)의 조합을 사전(70)의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추가하는 학습 유닛(57)을 포함한다. 학습 유닛(57)은, 수신하였거나 또는 직접 제작한 그림문자문서(59)의 문장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정보편을,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편(72)에 근거하여 최장일치 검색하고, 검색된 문자정보편(72)에 대응하는 그림정보편(73)을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추가한다. 학습 유닛(57)은, 또한, 수신하였거나 또는 직접 제작한 그림문자문서(59)에 포함되어 있는 배경이나 결정적 대사를 사전(70)의 전체장식 라이브러리(78)에 등록한다.
학습 유닛(57)은, 사전(70)과는 별개로, 새롭게 사용자 사전을 작성하여, 새롭게 등록하는 문자정보편(72), 그림정보편(73) 그리고 전체장식 패턴(79b)을 사용자 사전에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사전의 내용을 사전(70)에 우선하여 검색하도록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문자정보편(72)에 대해 랜덤하게 선택되는 그림정보편(73)의 확률을 사용자 사전이 우선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너레이터(50)에서는, 그림문자화 버튼(9d)이나, 다음 후보 버튼(9f)이 조작되어, 생성 지시(51)를 수신할 때마다, 원문(19)의 문자정보와, 원문(19)의 문자정보에 대해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그림문자문서(혼성정보; 59)가 생성된다. 시스템(휴대전화; 1)에 있어서는, 표시 유닛(출력 유닛; 14)에 의해, 디스플레이(2)에 원문(19)의 문자정보 및 그림문자문서(59)를 바꾸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집 유닛(입력 유닛; 13)에 의해 언제든지 원문(19)의 문자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확정 버튼(9b)이 조작되면, 그림문자문서(59)는 송수신 유닛(송신 유닛; 15)을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된다.
도 7은, 전자메일 클라이언트(10)의 동작을,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단계 301에서, 편집 유닛(13)을 이용하여 원문(19)을 입력한다. 그런 다음, 단계 302에서, 메뉴 버튼(9a)으로부터 그림문자화 버튼(9d)이 선택되면, 단계 303에서 생성 지시(51)를 내어 제너레이터(50)를 기동시켜,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한다. 그림문자화하지 않을 경우는, 원문(19)이 단계 306에서 송수신 유닛(15)을 통해 전자메일로서 출력된다.
도 8은, 제너레이터(50)의 동작을,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단계 307에서 생성 지시(51)를 수신하면, 그림문자문서(59)의 생성을 시작한다. 우선, 단계 308에서, 메뉴 버튼(9a)이 선택되면, 단계 309에서 초기 설정을 행한다. 예컨대, 초기 설정 메뉴에서 전체장식 유닛(56)이 호출되면, 전체장식 패턴이 설정된다. 초기 설정 메뉴에서 학습 유닛(57)이 호출되면, 사전(70)의 내용이 갱신된다.
그런 다음, 단계 311에서,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이, 원문(19)의 문장을, 사전(70)의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편(72)에 근거하여 최장일치 검색한다.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은,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편(72)과 최장일치되는 문자정보편을,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으로서 추출한다. 또한,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은, 단계 312에서,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그림정보편(73)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제 1 랜덤 선택 유닛(53)은, 원문(19)의 문장이 끝날 때까지 단계 311 및 312를 되풀이한다(단계 313).
단계 311 및 312와 병렬로, 또는 전후하여, 단계 321에서, 감정선택 유닛(54)이, 원문(19)의 문장을, 사전(70)의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정보편(72)에 근거하여 최장일치 검색하여, 감정 파라미터(74)를 취득한다. 단계 322에서, 감정선택 유닛(54)은, 센텐스마다 감정 파라미터(74)를 집계하여, 센텐스마다의 감정 타입(76)을 정한다. 단계 323에서, 제 2 랜덤 선택 유닛(55)은, 센텐스마다 정해진 감정 타입의 그림정보편(77)을 랜덤하게 선택한다. 단계 321, 322 및 323이 원문(19)의 문장이 끝날 때까지 되풀이된다(단계 324).
이와 같이 하여 그림정보편(73 및 77)이 선택되면, 단계 330에서, 생성 유닛(60)이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혼성)하고, 단계 331에서, 생성된 그림문자문서(59)를 디스플레이(2)에 표시한다. 단계 330에서, 생성된 그림문자문서(59)의 정보량이 과다할 경우에는, 제한 유닛(62)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가 솎아내어져, 정보량이 삭감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원문(19)의 문장으로부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72) 및 그림정보편(73)이 추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원문(19)의 문장이 도시되어 있다. 최초의 센텐스(문장; 100)는, 문자정보편(72)인 워드(101 및 102)를 포함한다. 다음 센텐스(110)는, 워드(111, 112 및 113)를 포함한다. 다음 센텐스(120)는, 워드(121, 122 및 123)를 포함한다. 다음 센텐스(130)는 워드(131 및 132)를 포함한다. 또한, 다음 센텐스(140)는 워드(141)를 포함한다. 마지막 센텐스(150)는 이름을 나타내는 워드(151)를 포함한다.
도 10은, 생성된 그림문자문서(59)의 일례인 그림문자문서(59a)의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최초의 센텐스(100)의 문자정보편(72)인 워드(101)에는 복수의 그림정보편(73)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들 중, 후방 부착 그림(201)이 선택되어, 워드(101)를 장식대상으로 하여, 그 후방에 그림(201)이 추가 표시되어 있다. 즉, 워드(101)가 그림(201)에 의해 장식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워드(102)가 장식대상이 되고, 그 후방의 그림정보편(73) 중 하나인 그림(202)에 의해 장식표시되어 있다. 또한, 워드(101 및 102)를 포함하는 센텐스(100)에 대해서는, 감정 타입(76)을 통해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편(77) 중 하나인 그림(200)이 문말에 추가 표시되어, 장식표시되어 있다.
센텐스(110)에 대해서는, 워드(111)가 장식대상이 되고, 폰트를 확대하는 그림정보편(73)이 선택되어, 워드(111)가 확대 표시(211)됨으로써, 워드(111)가 장식표시되어 있다. 또한, 워드(112)가 장식대상이 되고, 그 후방에 그림정보편(73) 중 하나인 그림(212)이 추가되어, 장식표시되어 있다. 워드(113)가 장식대상이 되고, 그 상방(윗줄)에 그림정보편(73) 중 하나인 그림(213)이 추가되어, 장식표시되어 있다. 상기 센텐스(110)에 대해서는 감정 타입(76)을 통한 그림정보편(77)이 선택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그림을 표시하지 않는 정보편이 선택되어, 센텐스(110)에는 전체에 대한 그림정보편에 근거한 장식은 보이지 않는다. 감정선택 유닛(54)에 의해, 다음 센텐스(120 혹은 130)와 일체인 센텐스로 해석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센텐스(120)에 대해서는, 워드(121)는 장식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다. 즉, 문자정보 라이브러리(71)에, 워드(121)에 해당하는 문자정보편(72)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워드(121)는 장식되어 있지 않다. 워드(122)는 장식대상으로 되어 있어, 그 후방에 그림정보편(73) 중 하나인 그림(222)이 추가되어, 장식표시되어 있다. 워드(123)도 장식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으며, 센텐스(120)의 후방에 감정 타입(76)을 통해 선택된 그림정보편(77) 중 하나인 그림(220)이 추가되어, 장식표시되어 있다.
센텐스(130)에 대해서는, 워드(131)는 장식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그림정보편이 선택되어 있지 않고, 워드(132)에 대해서도 그림정보편은 선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워드(131 및 132)는 장식되어 있지 않다. 센텐스(130)의 후방에는, 감정 타입(76)을 통해 선택된 그림정보편(77) 중 하나인 그림(230)이 표시되어 있다.
센텐스(140)에 대해서는, 워드(141)를 장식대상으로 하여, 그 뒤에 그림(24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후방에, 감정 타입(76)을 통해 선택된, 그림정보편(77) 중 하나인 그림(240)이 표시되어 있다.
센텐스(150)에 대해서는, 워드(151)가 장식대상이 되고, 그 뒤에 그림정보편(73) 중 하나인 그림(251)이 추가되어, 장식표시되어 있다. 센텐스(150) 전체를 대상으로 한 그림정보는 선택되어 있지 않다.
도 10에 도시된 그림문자문서(59a)는, 원문(19)으로부터 혼성된 그림문자문서(59)의 일례이며, 다른 몇 가지 예는 도 3의 (c)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331에서 그림문자문서(59)가 표시된 후, 단계 304에서 취소 버튼(9c)이 선택되면, 단계 301의 원문 입력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305에서 확정 버튼(9b)이 선택되면, 표시되어 있는 그림문자문서(59)가 송신 대상으로서 결정된다. 단계 305에서, 확정 버튼(9b) 대신에 다음 후보 버튼(9f)이 선택되면, 단계 307로 되돌아가서, 생성 지시(51)를 제너레이터(50)가 수신하여, 상기와 같이 새로운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단계 305에서, 그림문자문서(59)가 확정되면, 단계 335에서 영상화가 필요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영상화가 불필요하면, 단계 336에서 HTML 문서로서 그림문자문서(59)가 메모리(18)에 보존된다. 한편, 영상화가 필요하면, 단계 337에서 영상화 유닛(63)에 의해 화상 데이터, 예컨대 GIF 데이터가 생성되어, 그림문자문서(59)로서 메모리(18)에 보존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휴대전화(1)의 CPU(91) 등의 프로세서 혹은 컴퓨터 자원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각 기능, 및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휴대전화(1)의 스토리지(92)에 인스톨된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 소프트웨어; 95)에 포함되는 명령에 의해 프로세서를 동작시킴으로써 실행된다.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 95)은 적당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하거나, 인터넷 등의 컴퓨터 네트워크나, 그 밖의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에서는, 그림문자문서(59)를 생성하는 기능(제너레이터; 50)을 메일 클라이언트(10)의 애드온으로서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너레이터(50)를 포함하는 메일 클라이언트(10)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제너레이터(50)를 포함하는 문서생성 소프트, 제너레이터(5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로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시스템은, 메일 클라이언트의 애드온으로서 공급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여도 좋고, 메일 클라이언트여도 좋고, 문서생성 소프트웨어여도 좋으며, 또한, 휴대단말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은,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에 탑재된 메일 클라이언트(10)에 근거하여 이루어졌으나, 휴대단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라면, 상기에 설명한 기능을 탑재하여, 그림문자문서를 누구라도 간단히 만들 수 있다. 또한, 원문 및 그림문자문서는 메일에 의해 송수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워드 프로세서 등으로 문서를 생성하는 어떠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38)

  1. 적어도 하나의 센텐스를 포함하는 원문의 문자정보, 및 상기 문자정보에 대해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생성장치를 가지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생성장치에 대한 생성 지시를 받으면, 그때마다, 상기 원문의 문자정보에 대한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센텐스(sentence), 프레이즈(phrase) 및 워드(word)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片)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이 미리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원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과,
    선택된 그림정보편의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을 상기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상기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포함하는 그림정보 사전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원문으로부터,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상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혼성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 및 그림정보편의 조합을,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추가하는 학습 유닛을 추가로 가지는, 시스템.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정보편은, 상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의 전방 또는 후방에 추가되는 그림, 상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에 치환되는 그림, 상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의 윗줄 또는 아랫줄에 추가되는 장식 이미지, 및 상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의 폰트의 형태, 컬러 및/또는 사이즈를 바꾸는 폰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해 복수 타입의 감정(感情)의 판정값이 미리 관련지어지고,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각각의 타입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이 미리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원문, 상기 원문의 센텐스마다 또는 상기 원문의 단락마다의 문장을 단위로 해서,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집계하여, 상기 문장의 감정 타입을 판단하는 기능과,
    상기 문장의 감정 타입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문장을,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상기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포함하는 사전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원문으로부터,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집계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정보편은, 문말(文末)에 표시되는 소정의 감정을 표현하는 그림, 상기 문장의 윗줄 또는 아랫줄에 추가되는 장식 이미지, 및 상기 문장의 폰트의 형태, 컬러 및/또는 사이즈를 바꾸는 폰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의 정보량을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혼성정보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표시 범위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는,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편을 솎아 내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장치는, 추가로, 복수 종류의 전체장식 패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체장식 패턴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체장식 패턴에 의한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전체장식 패턴은, 배경표시, 폰트, 문말 또는 단락말에 표시되는 결정적 대사, 및 사용자의 독자적인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장치는, 상기 혼성정보를 화상정보로서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상기 문자정보 및 상기 혼성정보를 바꾸어서 표시하는 출력 유닛을 추가로 가지는,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유닛과,
    상기 혼성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추가로 가지는,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혼성정보를,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하는, 시스템.
  17.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정보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센텐스를 포함하는 원문의 문자정보에 근거하여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가지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생성 지시를 받으면, 그때마다, 상기 원문의 문자정보에 대한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이 미리 관련지어져 있고,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원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선택된 그림정보편의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을 상기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상기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포함하는 그림정보 사전을 이용해서, 상기 원문으로부터,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상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이, 상기 혼성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 및 그림정보편의 조합을,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추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가지는, 방법.
  22.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해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이 미리 관련지어지고,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각각의 타입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이 미리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원문, 상기 원문의 센텐스마다 또는 상기 원문의 단락마다의 문장을 단위로 해서,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집계하여, 상기 문장의 감정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문장의 감정 타입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문장을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상기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포함하는 사전을 이용해서, 상기 원문으로부터,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집계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 17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이, 상기 혼성정보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표시 범위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편을 솎아내는 단계를 추가로 가지는, 방법.
  25. 제 17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추가로, 복수 종류의 전체장식 패턴으로부터 하나의 전체장식 패턴을 선택하여, 선택된 전체장식 패턴에 의한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장식 패턴은, 배경표시, 폰트, 문말 또는 단락말에 표시되는 결정적 대사, 및 사용자의 독자적인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 17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혼성정보를 화상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17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이, 디스플레이에 상기 문자정보 및 상기 혼성정보를 바꾸어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혼성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가지는, 방법.
  28. 적어도 하나의 센텐스를 포함하는 원문의 문자정보에 근거하여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를 포함하는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명령을 가지는, 프로그램.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생성 지시를 받으면, 그때마다, 상기 원문의 문자정보에 대한 그림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0. 제 28항 또는 제 29항에 있어서,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이 미리 관련지어져 있고,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원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선택된 그림정보편의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을 상기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상기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그림정보편을 포함하는 사전 파일을 이용해서,
    상기 원문으로부터,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상기 장식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혼성정보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 및 그림정보편의 조합을,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추가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명령을 더 가지는, 프로그램.
  33. 제 28항 또는 제 29항에 있어서,
    센텐스, 프레이즈 및 워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자정보편에 대해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이 미리 관련지어지고,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각각의 타입에 대해 복수의 그림정보편이 미리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원문, 상기 원문의 센텐스마다 또는 상기 원문의 단락마다의 문장을 단위로 해서,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집계하여, 상기 문장의 감정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문장의 감정 타입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정보편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문장을 선택된 그림정보편에 의해 장식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문자정보편과, 상기 복수의 문자정보편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상기 복수 타입의 감정의 판정값을 포함하는 사전 파일을 이용해서,
    또한, 상기 원문으로부터, 상기 그림정보 사전에 포함되는 문자정보편을 최장일치 검색하여, 집계대상인 문자정보편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5. 제 28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성정보의 표시에 필요로 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표시 범위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는,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그림정보편을 솎아내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명령을 추가로 가지는, 프로그램.
  36. 제 28항 내지 제 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추가로, 복수 종류의 전체장식 패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체장식 패턴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체장식 패턴에 의한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혼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장식 패턴은, 배경표시, 폰트, 문말 또는 단락말에 표시되는 결정적 대사, 및 사용자의 독자적인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7. 제 28항 내지 제 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혼성정보를 화상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8. 제 28항 내지 제 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상기 문자정보 및 상기 혼성정보를 바꾸어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혼성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신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명령을 추가로 가지는, 프로그램.
KR1020127019975A 2010-01-18 2011-01-14 문자 및 그림을 혼합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KR20120123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8265 2010-01-18
JPJP-P-2010-008265 2010-01-18
PCT/JP2011/000166 WO2011086939A1 (ja) 2010-01-18 2011-01-14 文字および絵が混ざり合った表示をする情報を生成する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381A true KR20120123381A (ko) 2012-11-08

Family

ID=4430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975A KR20120123381A (ko) 2010-01-18 2011-01-14 문자 및 그림을 혼합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67590B2 (ko)
KR (1) KR20120123381A (ko)
CN (1) CN102713872B (ko)
WO (1) WO20110869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929A (ko) * 2014-07-30 2016-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009B1 (ko) * 2013-01-23 2015-02-04 박재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된 문자의 색상 변경 장치 및 방법
JP2015036886A (ja) * 2013-08-13 2015-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および方法
ES2808054T3 (es) * 2014-11-21 2021-02-25 Rakuten Inc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ón, métod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ón, y programa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ón
HK1201022A2 (en) 2014-12-10 2015-08-14 Concept Infinity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text and illustration creation
CN106909547B (zh) * 2015-12-22 2020-09-0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基于浏览器的图片加载方法及装置
CN115080172A (zh) * 2022-07-20 2022-09-20 灵智信息服务(深圳)有限公司 图文数据集的浏览方法、计算机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056A (ja) * 1992-09-11 1994-04-08 Hitachi Ltd 文字入力装置
JP2889559B1 (ja) * 1998-03-13 1999-05-10 晃 伊藤 文章の一部にイラストを挿入する文章作成方法、およびその文章作成装置、並びに文章の一部にイラストを挿入する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2230011A (ja) * 2001-02-05 2002-08-16 Seiko Epson Corp 感情認識システム
GB2383660A (en) * 2001-11-02 2003-07-02 Superscape Ltd System for graphic/text messaging
JP2003223181A (ja) * 2002-01-29 2003-08-08 Yamaha Corp 文字−音声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JP3939223B2 (ja) * 2002-08-30 2007-07-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メール送信サーバ、メール送信端末、メール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送信方法
JP2005222431A (ja) * 2004-02-09 2005-08-18 Fuji Xerox Co Ltd 共同作業システム
JP4872323B2 (ja) * 2004-12-02 2012-02-08 日本電気株式会社 Htmlメール生成システム、通信装置、htmlメール生成方法、及び記録媒体
EP1667031A3 (en) * 2004-12-02 2009-01-14 NEC Corporation HTML-e-mail creation system
JP2007148939A (ja) * 2005-11-29 2007-06-14 Kyocera Corp 通信機器及び通信方法
JP4730114B2 (ja) * 2006-01-30 2011-07-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ッセージ作成支援方法及び携帯端末
JP5098304B2 (ja) * 2006-11-17 2012-12-12 日本電気株式会社 特殊文字入力支援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929A (ko) * 2014-07-30 2016-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3872B (zh) 2016-03-23
JP5767590B2 (ja) 2015-08-19
WO2011086939A1 (ja) 2011-07-21
CN102713872A (zh) 2012-10-03
JPWO2011086939A1 (ja)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7590B2 (ja) 文字および絵が混ざり合った表示をする情報を生成するシステム
US10289654B2 (en) Smart variable expressive text or graphics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KR101019268B1 (ko) 텍스트 표시 단말 장치 및 서버
JP5097198B2 (ja) テキスト文書に画像アーティファクトを挿入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73435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display
CN1606247A (zh) 通信设备及方法
JP2008527563A (ja) アイコニック通信
EP1977312A2 (en) Iconic communication
JP4072900B2 (ja) 端末装置
WO2012046546A1 (ja) 文字変換システム及び文字変換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85426A (ja) Htmlメール生成システム、通信装置、htmlメール生成方法、及び記録媒体
GB2456356A (en) Enhancing a text-based message with one or more relevant visual assets.
JP3135098U (ja) 電子メール画像提供システム
WO2009128838A1 (en) Disambiguation of icons and other media in text-based applications
JP2001209488A (ja) 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5988992B (zh) 图标推送方法及装置
JP4586063B2 (ja) 端末装置
JP2019050049A (ja) 感情テキスト表示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5128711A (ja) 感性情報推定方法および文字アニメーション作成方法、これらの方法を用いたプログラム、記憶媒体、感性情報推定装置、文字アニメーション作成装置
CN104410565A (zh) 一种信息交流中的语境信息传输方法及电子终端
JP2007219940A (ja) メニュー制御装置、携帯電話、およびメニュー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KR10064966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20108485A (ko) 감정표현 문자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CN110908525A (zh) 一种输入法及其客户端和提供候选图片/视频的方法
JP4953009B2 (ja) 携帯電話機のデコレーションメール用のテンプレートの作成装置、作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