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208A -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208A
KR20120123208A KR1020120039457A KR20120039457A KR20120123208A KR 20120123208 A KR20120123208 A KR 20120123208A KR 1020120039457 A KR1020120039457 A KR 1020120039457A KR 20120039457 A KR20120039457 A KR 20120039457A KR 20120123208 A KR20120123208 A KR 20120123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application
aspect ratio
mobile termi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이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3208A/ko
Priority to PCT/KR2012/002993 priority patent/WO2012144815A2/en
Priority to US13/450,904 priority patent/US20120268495A1/en
Publication of KR2012012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가,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된 해상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RESOLUTION OF APPLICATION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애플리케이션에 작성한 GUI의 기반 해상도와 휴대단말기의 해상도가 다를 경우, 프레임 버퍼(Frame buffer) 자체를 스케일링해서 휴대단말기의 화면 일부 또는 전체에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프레임 버퍼(Frame buffer)자체를 스케일링하는 경우는 래스터라이즈(rasterize)된 이미지를 확대/축소하는 방법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에 대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화면이 갱신될 때마다 어플리케이션에 이미지에 대한 스케일링이 매번 수행돼야 하므로 휴대단말기에 따라 성능 저하가 심각할 수 있으며, 폰트(Font)와 같은 벡터(vector) 방식으로 표시되는 요소에 대해서도 품질 저하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다를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종횡비(aspect ratio)가 유지되도록 가로/세로에 동일한 비율을 적용하여 스케일링할 수 있다.
그러나, 가로/세로에 동일한 비율을 적용하여 스케일링하는 경우 종횡비를 유지하도록 uniform scaling을 하므로, 가로/세로에 동일한 비율을 적용하여 스케일링된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와 휴대단말기의 해상도가 다를 경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잘리거나 화면을 꽉 채우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가,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된 해상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3 - 도 4는 도 2a - 도 2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130)는 휴대단말기의 화면정보 중 하나인 표시부(160)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저장한다.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가로모드 및 세로모드 각각을 위한 해상도를 가지는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또는, 가로모드 및 세로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해상도를 가지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가 가로모드일 때, 가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가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로모드에서 상기 가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로 계산하고, 상기 세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로 계산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가 세로모드일 때, 세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세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모드에서 상기 가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로 계산하고, 상기 세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로 계산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해상도 조절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조절부(1110)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에 적용하여 휴대단말기와 동일한 해상도로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위치판단부(170)는 중력센서등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를 판단하고,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알리는 위치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도 2 - 도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3a - 도 3b는 도 2a - 도 2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a -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감지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신호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를 판단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가 가로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로모드에서의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비교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로모드에서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로모드에서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로모드에서 상기 가로비율을 "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를 통해 계산하고, 상기 세로비율을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를 통해 계산한다.
상기 206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가로모드에서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로 조절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를 실행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가 세로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모드에서의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비교하는 2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모드에서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는 21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모드에서, 상기 가로비율을 "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를 통해 계산하고, 상기 세로비율을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를 통해 계산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3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세로모드에서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로 조절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21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2a - 상기 도 2b의 과정을 도 3 - 도 4를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도 3 - 상기 도 4에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가로모드 및 세로모드 각각을 위한 해상도를 가지는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3은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가 세로모드일 때,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가 세로모드일 때, 휴대단말기의 해상도가 320*480이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세로모드를 위해 제공되는 해상도가 480*800일 때, 상기 제어부(110)는"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320)/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480)"을 통해 가로비율 값인"2/3"을 계산하고,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480)/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800)"을 통해 가로비율 값인"3/5"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세로모드를 위해 제공되는 해상도 "480*800"에 상기 계산된 가로비율(2/3)과 세로비율(3/5)을 각각 적용하여, 상기 도 3의 (b)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세로모드에서의 해상도(320*480)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도 4는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가 가로모드일 때,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가 가로모드일 때, 휴대단말기의 해상도가 480*320이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세로모드를 위해 제공되는 해상도가 800*480일 때, 상기 제어부(110)는"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480)/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800)"을 통해 가로비율 값인"3/5"를 계산하고,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320)/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480)"을 통해 가로비율 값인"2/3"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4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서 가로모드를 위해 제공되는 해상도 "800*480"에 상기 계산된 가로비율(3/5)과 세로비율(2/3)을 각각 적용하여, 상기 도 4의 (b)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가로모드에서의 해상도(480*320)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먼저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를 판단하고,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 예를 들어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에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을 적용하여 조절하며,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각각 적용하여 조절함에 따라, 해상도가 조절된 어플리케이션의 GUI를 선명하게 표시하고,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전체에 해상도가 조절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는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는 방법은 휴대단말기, 핸드-헬드 단말기, 무선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등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필용한 정보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60:표시부, 170:위치판단부

Claims (12)

  1.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된 해상도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에 따른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가로모드일 때, 가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가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세로모드일 때, 세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세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로 계산하고, 상기 세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장치.
  7.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조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가 가로모드일 때, 가로모드에서의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가 세로모드일 때, 세로모드에서의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가 가로모드일 때, 가로모드에서의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가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가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로 계산하고, 상기 세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모드가 세로모드일 때, 세로모드에서의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상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세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세로모드에서의 가로비율 및 세로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가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가로해상도"로 계산하고, 상기 세로비율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세로해상도/어플리케이션의 세로해상도"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방법.



KR1020120039457A 2011-04-19 2012-04-17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20123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457A KR20120123208A (ko) 2011-04-19 2012-04-17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
PCT/KR2012/002993 WO2012144815A2 (en) 2011-04-19 2012-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resolution of application in wireless terminal
US13/450,904 US20120268495A1 (en) 2011-04-19 2012-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resolution of application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477,012 2011-04-19
KR1020120039457A KR20120123208A (ko) 2011-04-19 2012-04-17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208A true KR20120123208A (ko) 2012-11-08

Family

ID=4702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457A KR20120123208A (ko) 2011-04-19 2012-04-17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268495A1 (ko)
KR (1) KR20120123208A (ko)
WO (1) WO20121448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8456A (zh) * 2013-09-30 2014-01-0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分辨率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103809855A (zh) * 2014-02-21 2014-05-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7608588B (zh) * 2017-10-20 2021-1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层、显示方法、显示系统和操作系统
KR101979675B1 (ko) * 2017-11-30 2019-05-17 오지큐 주식회사 동영상 배경화면/잠금화면 설정 방법
KR101979677B1 (ko) * 2017-11-30 2019-05-17 오지큐 주식회사 앱 내 동영상 배경화면 설정 방법
CN113196377B (zh) * 2018-12-20 2024-04-12 Ns西日本株式会社 显示光射出装置、平视显示装置、图像显示系统及头盔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021A (en) * 1989-10-12 1993-12-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rocessor software interface for a graphics processor subsystem employing partially linked dynamic load modules which are downloaded and fully linked at run time
US6509913B2 (en) * 1998-04-30 2003-01-21 Openwave Systems Inc. Configurable man-machine interface
US6456305B1 (en) * 1999-03-18 2002-09-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fitting a graphical display of objects to the dimensions of a display window
JP2005018613A (ja) * 2003-06-27 2005-01-2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ウィンドウ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398478B2 (en) * 2003-11-14 2008-07-08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d non-proportional scaling display
US7180531B2 (en) * 2004-02-27 2007-02-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pplication program compatibility with display devices having improved pixel density
US7590947B1 (en) * 2004-05-28 2009-09-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Intelligent automatic window sizing
KR100716982B1 (ko) * 2004-07-15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차원 영상 포맷의 변환장치 및 방법
US20060067654A1 (en) * 2004-09-24 2006-03-30 Magix Ag Graphical user interface adaptable to multiple display devices
US7671924B2 (en) * 2005-01-31 2010-03-02 Sunplus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caling a two-dimensional image
US20060277231A1 (en) * 2005-06-06 2006-12-07 Javaground Usa, Inc. Integrated software development and porting system for wireless devices
KR100746002B1 (ko) * 2005-07-27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바탕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70041199A (ko) * 2005-10-14 2007-04-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액정화면의 해상도 변경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WO2007086462A1 (ja) * 2006-01-27 2007-08-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US9001047B2 (en) * 2007-01-07 2015-04-07 Apple Inc. Modal change based on orientation of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20090044128A1 (en) * 2007-08-06 2009-02-12 Apple Computer, Inc. Adaptive publishing of content
KR100846807B1 (ko) * 2007-08-17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스케일링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애플리케이션 스케일링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45603B1 (ko) * 2007-08-27 2014-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에 기초한 적응적 영상 처리장치 및 영상 스케일링 방법
US8654139B2 (en) * 2007-08-29 2014-02-18 Mckess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to transmit, view, and manipulate medical images in a general purpose viewing agent
EP2086236A1 (en) * 2008-01-31 2009-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pplications
US9294705B2 (en) * 2008-06-27 2016-03-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biquitous appliance control
CA2681856A1 (en) * 2008-10-07 2010-04-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A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graphic user interface with efficient orientation sensor use
US20100321302A1 (en) * 2009-06-19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non-roman text input
KR101595762B1 (ko) * 2009-11-10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8961011B2 (en) * 2010-04-13 2015-02-24 Carestream Health, Inc. Mobile radiography unit having multiple monitors
WO2012030267A1 (en) * 2010-08-30 2012-03-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launching applications responsive to device orientation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s
US20120154284A1 (en) * 2010-12-20 2012-06-21 Michael Christeson Keyboard input device
TW201227494A (en) * 2010-12-24 2012-07-01 Wistron Corp Method of picture display and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4815A2 (en) 2012-10-26
US20120268495A1 (en) 2012-10-25
WO2012144815A3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072B2 (en) Video encod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AU20132001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ing layout of application in image display device
CN106412691B (zh) 一种视频图像的截取方法和装置
KR20120123208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방법
EP292778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icture
US2017016402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over a network
KR101852087B1 (ko) 펌 웨어 압축 방법, 펌 웨어 압축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120123199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선택장치 및 방법
KR20170013877A (ko) 동적 배향 잠금, 일정한 프레이밍 및 규정된 종횡비를 갖는 사진 비디오 카메라
CN110996117B (zh) 视频转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4403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over a network
US2012030103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30040547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제어 장치 및 방법
US106139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101340703B1 (ko)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KR20130040350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800204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EP254947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opup window in portable terminal
KR101939820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70079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500254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30080947A (ko) 휴대단말기의 리스트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30104437A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촬영 장치 및 방법
EP37064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40571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devices and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