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913A -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913A
KR20120121913A KR1020127023328A KR20127023328A KR20120121913A KR 20120121913 A KR20120121913 A KR 20120121913A KR 1020127023328 A KR1020127023328 A KR 1020127023328A KR 20127023328 A KR20127023328 A KR 20127023328A KR 20120121913 A KR20120121913 A KR 2012012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polymer
polymer composition
polyolefin
composition
metal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게이 브이. 레브치크
제랄드 알. 알레시오
요아프 바 야코프
이타 핀버그
삐에르 조레트
Original Assignee
아이씨엘-아이피 아메리카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엘-아이피 아메리카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아이씨엘-아이피 아메리카 아이엔씨.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1/02453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1106177A1/en
Publication of KR2012012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하기 일반식 (I)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X는 금속이고, R1 및 R2는 1 내지 약 12의 탄소 원자들을 함유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이며, n은 1 내지 4의 범위의 금속 X의 원자가와 동일한 것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의 혼합물을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용융 온도보다 높게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FLAME 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머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건설 및 건축 자재들뿐 아니라 성형 자동차 부품 및 전자 부품에 유용한 압출 필름 및/또는 시트의 제조에 적합하다.
폴리올레핀은 두 고체적(high volume) 열가소성 폴리머들인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그리고 다수의 에틸렌-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들 그리고 예를 들어, 부탄-1, 4-메틸펜텐-1 등과 같은 다른 알킬렌 모노머들을 가지는 코폴리머들에 의해 대표된다. 저급 알킬렌 코모노머 대 고급 알킬렌 코모노머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열가소성 플라스틱에서 엘라스토머에 이르는 광범위한 폴리머들을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은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될 수 있다. 이것은 폴리에틸렌의 결정화도(crystallinity)를 감소시키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특성을 가진 생성물을 만들어낸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많은 다른 물품들 중에서 에칭 탱크(etching tanks), 전기도금 탱크, 열풍 덕트, 단열 시스템, 컴퓨터 캐비넷, 전기 제품, 가정용 실내 장식, 전선 및 케이블 피복재, 장식 램프용 소켓 및 자동차 부품의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이들은 그 우수한 가공 특성, 내화학성, 내후성,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강도로 인해 정선된 폴리머들이다. 중요한 단점은 모든 폴리올레핀이 가연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난연성 폴리올레핀에 대한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다.
브롬화 유기 화합물은 폴리올레핀에 가장 효과적인 난연제이지만, 최근에는 몇몇 브롬화 유기 화합물들이 환경 잔류 가능성 때문에 정밀조사를 받아 왔다. 브롬화 유기 화합물은 또한 전류 트래킹 지수(current tracking index: CTI)와 같은 폴리올레핀의 전기적 특성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할로겐-부재(Halogen-free) 팽창성 난연성 포뮬레이션들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은 수분에 민감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할로겐-부재 팽창성 난연성 포뮬레이션들의 또 다른 한계는 낮은 난연제 로딩 수준(loading levels)에서 V-2 UL 94 등급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몇몇 광물 충전제들이 폴리올레핀에 난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물 충전제들은 유감스럽게도 낮은 수준의 난연 효율을 가지며, 따라서 만족스러운 난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로딩이 필요하다. 높은 수준의 로딩은 폴리올레핀의 가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수지 흐름성(resin flow)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이다. 또한, 폴리올레핀의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은 무기 충전제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실된다.
예를 들어, 경량 시트 또는 필름, 자동차 부품, 또는 전자 부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폴리올레핀이 최소량의 난연제를 사용하고 건축, 자동차 또는 전자 산업의 요건에 부합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난연성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양한 지리적 지역에서 환경 라벨(ecological labels)을 충족시키기 위해 할로겐-부재 난연성 폴리올레핀 포뮬레이션을 가지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의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들은 많은 단점들로 인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업 용도를 위한 난연성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물질은 UL-94 수직 또는 수평 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험 규격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할로겐-함유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한, 많은 양의 난연제를 로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적합한 난연성을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 압출 폴리올레핀 시트 또는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또한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다이브로모프로필에테르)와 같은 몇몇 난연제들이 폴리올레핀들과 용융 블렌딩될 수 있지만, 이들은 결정화되어 표면에 스며나오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의 상실을 가져온다. 폴리올레핀에 적합한 할로겐-부재 난연제의 대부분은 용융 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올레핀 시트 또는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위에 언급한 바람직한 특성들에 부합하는 할로겐-부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가볍고 UL 94 가연성 시험에 부합하는 압출 시트 또는 필름 또는 성형 부품을 만들 수 있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건축 시공 용도에, 또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 기기 및 자동차 부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적용례에서, 난연성 폴리올레핀 폴리머 압출 시트 또는 필름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은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시트 또는 필름은 원하는 위치에, 특히 평탄하지 않은 표면에, 정밀하게 못질하여 붙이거나, 나사로 고정시키거나, 용접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난연성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올레핀 폴리머 시트는 지붕 막(roofing membranes), 벽 피복재(wall covering), 바닥 깔개(floor coverings), 탱크 덮개, 덕트, 캐비넷 등과 같은 물품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a)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b) 하기 일반식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X가 금속이고, R1 및 R2가 1 내지 약 12의 탄소 원자들을 함유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들이며, n이 1 내지 4의 범위의 금속 X의 원자가와 동일한 것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a)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b)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은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약 25 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충분히 균일하게 블렌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전반에 걸친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의 균일한 분포는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에 반투명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적용례에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가교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들을 가교하는 기술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가장 흔한 것은 자유-라디칼 가교, 방사선 가교 또는 알콕시실릴-그래프트 폴리올레핀(alkoxysilyl-grafted polyolefin)을 사용하는 수분 경화성 가교이다. 가교 폴리올레핀은 케이블 피복재 및 배관(tubing)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적용례에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foam)의 형태로 제조된다.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경량 부품의 성형뿐 아니라 다양한 단열 및 방음 용도를 위해 사용된다.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보조적인 고형 포스페이트 에스터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발생기 협력제(free-radical generator synergist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출 폴리올레핀 시트 또는 사출 성형 부품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적어도 하나의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의 혼합물을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용융 온도보다 높게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의 혼합물을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용융 온도보다 높게 가열하는 단계, 및 그로부터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올레핀 시트 또는 사출 성형 폴리올레핀 부품을 성형하는(forming)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올레핀 시트 또는 사출 성형 폴리올레핀 부품의 제조 방법을 더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시트 또는 사출 성형 폴리올레핀 부품의 성형 방법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화합물들의 혼합물로 광범위하게 구성된 조성물이 제조된다. 결과로서 얻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강성(stiffness), 내열성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 특성 및 성형성(formability)과 같은 바람직한 성능 요건에 따라 본질적으로 여하한 등급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폴리올레핀 폴리머로서 선택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폴리머(a)는 폴리에틸렌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폴리머(a)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비결정질, 결정질 및 엘라스토머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이 본 발명에 활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폴리머(a)로서 사용될 수 있는 코폴리머들의 예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모노머 고무(EPDM); 그리고,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부텐-1, 펜텐-1, 3-메틸부텐-1, 4-메틸펜텐-1, 옥탄-1 및 그 혼합물들과의 코폴리머들과 같은 것들 중의 적어도 하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 폴리머는 약 150 내지 약 2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5℃ 내지 약 230℃의 범위 내의 용융점을 가지는 펠릿(pellet)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약 0.85 내지 약 1.2,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90-1.0의 범위 내의 비중을 가진다. 선택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30 g/10분,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2 g/10분의 범위 내의 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폴리머는 3.2mm까지의 두께를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머 시트, 구체적으로는 약 0.001mm에서 약 3.2mm까지의 두께를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머 시트의 압출에 적합하다.
폴리올레핀 폴리머(a)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에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75 내지 98 중량%의 범위 내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84 내지 96 중량%의 범위 내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킬 알킬 포스폰산의 금속 염(b)은 하기 일반식 (I)의 임의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일 수 있으며: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X는 금속이고, R1 및 R2는 1 내지 약 12의 탄소 원자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4의 탄소 원자들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들이며, 예컨대, 비제한적인 예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및 세크-부틸이고, n은 1 내지 4의 범위의 금속 X의 원자가와 동일하며,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이다.
금속, 즉,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에 존재할 수 있는 상기 식 (I)의 X는, Ca, Mg, Zn, Al, Fe, Ni, Cr, Ti로 이루어진 비제한적인 군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 또는 전이 금속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금속 염은 메틸 메틸포스폰산의 알루미늄 염(aluminum salt of methyl methylphosphonic acid: AMMP)이며, 여기서, X는 알루미늄이고, R1 및 R2는 메틸이며, n=3이다. AMMP는 높은 수준(즉, 26 중량 퍼센트)의 활성 인(active phosphorus)을 포함한다. AMMP는 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반응시킨 다음에 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침전시킴으로써, 또는 180℃에서 강도 높은 교반을 수행하면서 수산화알루미늄을 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와 직접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은, 바람직하게는 약 25 미크론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크론 미만, 그리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미크론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 분말로 기술된다. 본 구체예에 의한 바람직한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은 약 0.1 미크론 내지 약 3 미크론의 범위 내의 평균 크기를 가진 많은 입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에 언급한 평균 입자 크기 범위의 어느 것이든 약 0.1 미크론으로부터의 하한점(lower end point)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은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중량%의 범위 내로,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 중량%의 범위 내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은 취급성을 향상시키고 먼지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펠릿 또는 마스터배치 농축물(masterbatch concentrates)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보조적인 고형 포스페이트 에스터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스페이트 에스터의 역할은 수지 흐름성을 향상시키고 추가적인 난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형 포스페이트 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포스페이트 또는 비스포스페이트이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구체예에서, 고형 포스페이트 에스터는,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 하이드로퀴논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레조르시놀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4,4'-바이페놀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4,4'-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비스페놀 A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비스페놀 S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비스페놀 F(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된 고형 포스페이트 에스터들의 임의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고형 포스페이트 에스터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에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8 중량%의 범위 내로,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 중량%의 범위 내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에 자유 라디칼 발생기 협력제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자유 라디칼 발생기 협력제는 약 150℃ 내지 약 250℃의 프로세싱 온도에서 안정적이고,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약 220℃ 내지 약 350℃에서) 분해하여 비교적 안정된 자유 라디칼들을 발생시키는, 유기 화합물이다.
자유 라디칼 발생기 협력제는 열 분해시 안정된 자유 라디칼들을 발생시키는 유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유 라디칼 발생기 협력제(들)는 폴리올레핀의 압출 온도에서 압출 성형이 가능하여야 하고, 조성물 내의 폴리올레핀 및 여하한 분산제와 상용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자유 라디칼 발생기 협력제는 만족스러운 증기압 및 110℃에서 적어도 약 1시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10℃에서 15 시간의 반감기를 가져야 한다.
자유 라디칼 발생기 협력제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0.2 중량%,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유 라디칼 발생기는 1 중량%를 초과하여 존재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더 적은 양으로도 그것이 수행할 기능이 능히 성취되고, 일반적으로 그 양이 1 중량%를 넘으면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가공성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및 알킬 포스폰산의 금속 염 및 여하한 다른 선택적 첨가제들 사이의 긴밀한 접촉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자유 라디칼 발생기는 폴리올레핀 내에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입상 고형물 또는 액체 형태이어야 한다. 화합물이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프로세싱 온도에서 용융된다면, 큰 입자 크기도 허용 가능할 것이다.
자유 라디칼 발생기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2,3-다이메틸-2,3-다이페닐-부탄; 2,3-다이메틸-2,3-다이페닐-헥산; 비스(알파-페닐에틸)설폰; 1,1'-다이페닐바이사이클로헥실, 2,2'-다이메틸-2,2'-아조부탄; 2,2'-다이브로모-2,2'-아조부탄; 2,2'-다이클로로-2,2'-아조부탄; 2,2'-다이메틸-2,2'-아조부탄-3,3'4,4'-테트라카복실산; 다이쿠밀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비스 (터트 부틸퍼옥시) 헥산; 2,5-다이메틸-2,5-비스 (터트 부틸퍼옥시) 헥신(hexyne)-3; 다이 (터트 부틸) 퍼옥사이드; 하이드로퍼옥사이드들, 예컨대, 2,5-다이메틸헥산-2,5-다이하이드로퍼옥사이드; 3차 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중의 적어도 하나이며; 이러한 자유 라디칼 발생기 하나가 그것만으로는 이러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요건들을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를 예로 들면, 본 명세서에 정의된 둘 이상의 이러한 자유 라디칼 발생기들의 조합이 이러한 요건들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폴리올레핀 시트 또는 필름의 투명성(clarity)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나노클레이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붕산아연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예를 들어, 자외선 및 광 안정화제, UV 스크리너(screeners), UV 흡수제, 열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분산제, 윤활제 및 그 조합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첨가제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폴리올레핀 폴리머,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 및 여하한 다른 성분들이 바람직한 양으로 블렌딩되고,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용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이러한 가열과 블렌딩은 어떤 순서로든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러한 공정들은 동시에 수행된다. 혼합은 배치 믹서(batch mixer), 밴버리(Banbury) 믹서,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 리본 블렌더(ribbon blender), 사출 성형 기계, 이본 롤 밀(two roll mill) 또는 그 동등물을 포함하는, 여하한 적합한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가연성 시험 UL-94를 적어도 HB 등급으로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V-2 등급으로 통과할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다른 중요한 특성은 70℃에서 장기 보관한 후에도, 예를 들어 70℃에서 적어도 7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일 동안 보관한 후에도, 반투명성을 유지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70℃에서 적어도 30일 동안 보관한 후에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이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표면에 삼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반투명 폴리머 조성물이다.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반투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임의의 성분(들) 및/또는 성분(들)의 양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반투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성분들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들은, 여하한 하나 이상의 유리 및 광물 충전제, 예컨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탈크(talc),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이다.
실시예
1.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재료들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상품명(제조업체) 화학명 기능
EVA-Elvax 265 (DuPont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PP-R12C-00 (INEOS사) 폴리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 수지
AMMP (ICL-IP사) 메틸 메틸포스폰산의 알루미늄 염 난연제(FR)
FR-720 (ICL-IP사)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
(2,3 다이브로모프로필 에테르)
FR
2. 컴파운딩
L/D = 10.6인 C.W. 브라벤더 원추형 이축 동방향회전 압출기(C.W. Brabender conical twin screw co-rotating extruder)를 사용하여 컴파운딩을 수행하였다. 압출물을 수냉각하고, 콘에어 모델 304 펠릿 제조장치(Conair model 304 pelletizer)를 사용하여 펠릿으로 만들었다. 결과로서 얻은 펠릿을 16시간 동안 80℃의 강제 송풍 오븐(forced air oven)에서 건조시켰다. 컴파운딩 조건은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파라미터 단위 EVA PP
원추형 이축
원료공급부(feeding zone) 온도 (T1) 가열 안함 가열 안함
T2 100 190
T3 150 200
T4 170 215
T5 (다이) 175 230
용융 온도 ~178 235~
스크류 속도 RPM 100 110
공급 속도 Kg/h 2.5 2.5
3. 사출 성형.
"Arburg 270S Allrounder 250-150"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시험 견본들을 제조하였다. 사출 성형 조건은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파라미터 단위 EVA PP
T1 (원료공급부) 100 195
T2 120 225
T3 150 230
T4 150 240
T5 (노즐) 175 245
몰드 온도 50 30
사출 압력 psi 750 700
홀딩 압력 psi 210 210
배압 psi 15 10
사출 시간 1.3 1.3
홀딩 시간 4 4
냉각 시간 27 25
형폐력(mold closing force) T 22.5 22.5
충전 부피(부분) 인치3 1.10 1.1
사출 속도 인치3/초 1.8 1.8
4. 시험 방법.
견본들을 UL-94 시험에 앞서 23℃ 및 50% RH에서 72 시간 동안 컨디셔닝 처리하였다. 70℃의 전기 컨벡션 오븐에서 가속 에이징(accelerated aging)을 수행하고, 30일간 계속하였다.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견본들을 오븐에서 꺼내어, 삼출이 있는지 점검하고, BYK-Gardner사로부터 구입 가능하고 ASTM D 344, D 2805 및 ISO 6504-3에 언급된 은폐율지(opacity charts)를 사용하여 투명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1에서 5까지의 척도에 의해 반투명성의 등급을 매겼는데, 베이스 수지(base resin)의 투명성에 1을 주었고, 5는 불투명이다. 이 작업에 사용된 시험 방법들이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측정된 특성 방법 장치
3.2 mm에서의 가연성
수직 시험
UL-94 Atlas HVUL 챔버
삼출 시험 70℃에서 가속 에이징.
시각적 관찰
Blue M 컨벡션 오븐
투명성 시험 70℃에서 가속 에이징.
은폐율지
Blue M 컨벡션 오븐
아이조드 노치드 충격
에너지(Izod notched
impact energy)
ASTM D-256-81 Monitor Impact Tester
Pendium type
TMI-Model 43-02-01
HDT-열 편향 온도 ASTM D 648 (66 psi) Automatic Deflection Tester
Tinius Olsen Model DS-5
인장 특성 ASTM D 638-95 v=50
mm/분
Instron material testing
machine Model 5565
경도, 쇼어 A(Shore A) ASTM D 2240 The Shore Instrument &
Mfg.
5. 결과
UL-94 시험, 삼출 검사 및 투명성 시험의 결과들이 폴리프로필렌에 대해서는 표 5에 그리고 EVA에 대해서는 표 6에 보고되어 있다.
실시예 1 2 3 4 C-1 C-2 C-3 C-4
PP 중량% 96 94 92 90 96 94 92 90
AMMP 중량% 4 6 8 10
FR-720 중량% 4 6 8 10
3.2 mm에서의 UL-94
등급 NR V-2 V-2 V-2 V-2 V-2
70℃에서의 보관일수 반투명성a
초기 1 1 1 1 1 5 ex ex
1 1 1 1 1 2 5
5 1 1 1 1 2 5
7 1 1 1 1 2 5
12 1 1 1 1 3 5
14 1 1 1 1 3 5
30 1 1 1 1 3 5
70℃에서의 보관일수 삼출
초기 N N N N N N ex ex
1 N N N N N N
5 N N N N N N
7 N N N N N N
12 N N N N N N
14 N N N N N N
30 N N N N N N
물리적 특성
인장 강도 MPa 26.8 26.4 26.8
인장 신장율 % 4.1 4.0 3.8
굽힘 탄성계수 Mpa 490 498 460
아이조드 충격 J/m 25.3 22.9 25.8
HDT (66 psi) 88 88 85
a 반투명성은 1에서 5까지 시각적 관찰 척도에 의해 등급을 매겼는데, 베이스 수지의 투명성에 1을 주었고, 5는 불투명이다.
표 5와 6에서 ex는 폴리머 표면에 난연제의 삼출(exudation)이 발견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표 5에서, 실시예 C-3 및 C-4는 초기에 난연제를 삼출시켰으며, 따라서 반투명성 데이터가 얻어지지 않았고, 이런 이유 때문에 실시예 C-3 및 C-4는 보관일수의 초기 항목 줄에 ex로만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C-3 및 C-4는 초기에 삼출이 있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삼출 데이터가 얻어지지 않았고, 이런 이유 때문에 보관일수의 초기 항목 줄 이후로 삼출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는다.
N은 표 5 및 6에서 삼출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NR은 표 5 및 6에서 UL-94 시험의 등급외(no rating)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투명성을 측정하기 위해 판독 자료의 템플리트(template of reading material)를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견본 40인치 아래의 실험실 벤치 위에 놓았다. 판독 자료를 표준 형광등 하에 살펴보았다. 두 사람이 시험을 수행하고, 견본들의 등급을 1(완전 투명)에서 5(불투명, 판독 불가능)까지 매겼다. 등급 매기기에 차이가 있으면, 독립적인 제3자가 관여하였다.
실시예 5 6 7 8 C-5 C-6 C-7 C-8
EVA 중량% 96 94 92 90 96 94 92 90
AMMP 중량% 4 6 8 10
FR-720 중량% 4 6 8 10
3.2 mm에서의 UL-94
등급 V-2 V-2 V-2 V-2 NR V-2 V-2 V-2
70℃에서의 보관일수 반투명성a
초기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5 1 1 1 1 1 1 1
7 1 2 2 2 1 1 1
12 1 2 2 2 1 1 1
14 1 2 2 2 1 1 1
30 1 2 2 2 1 1 1
70℃에서의 보관일수 삼출
초기 N N N N N N N
1 N N N N N N N
5 N N N N N N N
7 N N N N N N N
12 N N N N N N N
14 N N N N N N N
30 N N N N N ex ex
물리적 특성
인장 강도 Mpa 4.7 4.5 4.3
인장 신장율 % >200 >200 >200
굽힘 탄성계수 Mpa 4.8 5.6 4.4
경도, 쇼어 A 87 88 85
a 반투명성은 1에서 5까지 시각적 관찰 척도에 의해 등급을 매겼는데, 베이스 수지의 투명성에 1을 주었고, 5는 불투명이다.
ex 및 NR은 표 5의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실시예 C-7 및 C-8은 30일 후에 삼출을 나타내었고, 이런 이유 때문에 이 실시예들의 30일 보관 기간 항목 줄에 ex로 표시되어 있다.
6. 결론
AMMP를 함유하는 표 5의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들은 6, 8 및 10 중량% 로딩에서 V-2 등급을 나타내었다(본 발명의 실시예 2, 3 및 4). FR-720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은 4 및 6 중량%에서 V-2 등급을 나타내었다(비교예 1 및 2). FR-720을 8 및 10 중량%로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들은 사출 성형 후에 삼출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이들은 더 시험하지 않았다(비교예 3 및 4).
AMMP를 함유하는 표 6의 모든 EVA 포뮬레이션들은 V-2 등급을 나타내었다(본 발명의 실시예 5-8). 4 중량% FR-720을 함유하는 EVA 포뮬레이션은 UL-94 수직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다(비교예 5). 6, 8 및 10 % FR-720을 함유하는 EVA 포뮬레이션들은 UL-94 시험에서 V-2 등급을 나타내었다(비교예 6, 7 및 8).
AMMP를 함유하는, 표 5의 모든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들과 표 6의 모든 EVA 포뮬레이션들은 70℃에서 30일째에도 삼출의 어떠한 징후도 나타내지 않는다. 4 및 6 중량%의 FR-720를 함유하는 모든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들과 모든 EVA 포뮬레이션들은 70℃에서 30일 후에 표면에 삼출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다(비교예 1, 2, 5 및 6). 그러나, 8 및 10 중량%의 FR-720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들은 사출 성형 직후에 삼출을 나타내었다(비교예 3 및 4). 8 및 10 중량%의 FR-720을 함유하는 EVA 포뮬레이션들은 사출 성형 후에 삼출을 나타나지 않았으나, 70℃에서 30일 후에 삼출을 나타내었다(비교예 7 및 8).
표 5에서 6, 8 및 10 중량% AMMP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들은 UL-94 시험에서 V-2 등급이 매겨졌으며, 이들은 70℃에서 30일 동안 그들 본래의 투명성을 유지하였다(본 발명의 실시예 2, 3 및 4). 대조적으로, 6 중량% FR-720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은 사출 성형 직후에 불투명하였다(비교예 2). FR-720을 함유하는 다른 폴리프로필렌 포뮬레이션은 UL-94 시험에서 V-2 등급이 매겨졌으며, 이것은 사출 성형 후에 투명성을 나타내었으나, 70℃에서 보관하는 동안에 열화되었다(deteriorated)(비교예 1).
표 6의 4 중량% AMMP를 함유하는 EVA 포뮬레이션은 UL-94 시험에서 V-2 등급이 매겨졌으며, 70℃에서 30일 동안 보관한 후에 투명성이 변화되지 않았다(본 발명의 실시예 5). 대조적으로, 4 중량% FR-720을 함유하는 EVA 포뮬레이션은 UL-94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다(비교예 5). 6, 8 및 10 중량% AMMP를 함유하는 EVA 포뮬레이션들은 70℃에서 7일간 보관한 후에 투명성이 약간 열화되었으며, 30일까지 보관한 후에는 투명성이 더 변화하지 않았다(본 발명의 실시예 6, 7 및 8). 8 및 10 중량% FR-720을 함유하는 EVA 포뮬레이션들은 30일 후에 투명성의 두드러진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삼출의 징후를 보여주었다(비교예 7 및 8). 6 중량% FR-720을 함유하는 EVA 포뮬레이션만이 모든 시험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비교예 6).
V-2 가연성 시험을 통과하고 보관 시험에서 투명성이 변화되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의) PP 및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EVA 포뮬레이션들은 둘 다 각각 (비교예 1의) PP 및 (비교예 6의) EVA 보다 더 높은 굽힘 탄성계수(Flexural Modulus)를 나타내었다. AMMP를 함유하는 PP(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3)는 FR-720을 함유하는 PP(비교예 1)에 비해 더 높은 열 변형 온도를 나타내었다. AMMP를 함유하는 EVA(본 발명의 실시예 5 및 6)는 FR-720을 함유하는 EVA(비교예 6)에 비해 더 높은 쇼어 A 경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AMMP는, 보다 우수한 난연제 성능, 보다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의 불변성(permanency), 보다 우수한 포뮬레이션의 투명성 그리고 보다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 분명하다. AMMP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포뮬레이션들은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은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이 특정 구체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요소에 대해 등가물들이 대체될 수 있음이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상황 또는 물질을 본 발명의 가르침에 적합하게 만드는 많은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된 최적 실시예로서 개시된 특정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구체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폴리올레핀 폴리머 및 하기 일반식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X가 금속이고, R1 및 R2가 1 내지 약 12의 탄소 원자들을 함유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들이며, n이 1 내지 4의 범위의 금속 X의 원자가와 동일한 것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가 폴리에틸렌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중의 적어도 하나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호모폴리머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의 적어도 하나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모노머 고무(EPDM); 그리고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부텐-1, 펜텐-1, 3-메틸부텐-1, 4-메틸펜텐-1, 옥탄-1 및 그 혼합물들과의 코폴리머들 중의 적어도 하나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가 Ca, Mg, Zn, Al, Fe, Ni, Cr, 및 T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이 알루미늄 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UL-94 수평 연소 시험(horizontal burning test)에서 최소한 HB 등급을 가지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UL-94 수직 연소 시험(vertical burning test)에서 최소한 V-2 등급을 가지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0일 동안 70℃에서 보관한 후에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표면에 대한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의 삼출이 나타나지 않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반투명 폴리머 조성물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30일 동안 70℃에서 보관한 후에 투명성을 잃지 않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이 본 조성물의 총 중량의 2 내지 25 퍼센트 범위 내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이 본 조성물의 총 중량의 4 내지 16 퍼센트 범위 내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자유-라디칼 발생기 협력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고형 포스페이트 에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포스페이트 에스터가 방향족 포스페이트인,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
  17. 제1항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출 시트 또는 필름.
  18. 제1항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성형 자동차 또는 전자 부품.
  19. 제1항의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에칭 탱크, 전기도금 탱크, 열풍 덕트, 단열 시스템, 컴퓨터 캐비넷, 전기 제품, 가정용 실내 장식, 전선 및 케이블 피복재, 장식 램프용 소켓 및 자동차 부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품(article).
  20.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 폴리머를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킬 알킬포스폰산의 금속 염의 혼합물을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머의 용융 온도보다 높게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올레핀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27023328A 2010-02-24 2011-02-11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KR20120121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76810P 2010-02-24 2010-02-24
US61/307,678 2010-02-24
PCT/US2011/024535 WO2011106177A1 (en) 2010-02-24 2011-02-11 Flame 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913A true KR20120121913A (ko) 2012-11-06

Family

ID=4759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328A KR20120121913A (ko) 2010-02-24 2011-02-11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9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70A1 (ko) * 2013-12-10 2015-06-18 (주) 엘지화학 폴리올레핀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150067863A (ko) * 2013-12-10 2015-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 난연수지 조성물 및 압출 튜빙 성형품
KR20160054741A (ko)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올레핀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170123264A (ko) * 2016-04-28 2017-11-07 차이나 페트로리움 앤드 케미컬 코포레이션 난연성의 열가소성 물질 및 이의 발포 비드
KR20230150118A (ko) 2022-04-21 2023-10-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난연 및 차열성능을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난연복합체 조성물의 제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70A1 (ko) * 2013-12-10 2015-06-18 (주) 엘지화학 폴리올레핀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150067863A (ko) * 2013-12-10 2015-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 난연수지 조성물 및 압출 튜빙 성형품
US9856420B2 (en) 2013-12-10 2018-01-02 Lg Chem. Ltd. Polyolefin-based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KR20160054741A (ko)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올레핀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170123264A (ko) * 2016-04-28 2017-11-07 차이나 페트로리움 앤드 케미컬 코포레이션 난연성의 열가소성 물질 및 이의 발포 비드
KR20230150118A (ko) 2022-04-21 2023-10-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난연 및 차열성능을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난연복합체 조성물의 제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9395B1 (en) Flame 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
US8415415B2 (en) Heat stable halogen-free flame retardant copolyester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US8781278B2 (en) Low smoke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containing zeolites
WO2012119067A1 (en) Low smoke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vulcanizate compositions containing zeolites
KR20120121913A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WO2009082096A2 (en) Flame-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TW201829753A (zh) 難燃劑組合物及難燃性合成樹脂組合物
KR101854081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US20230242746A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object including same
US10119012B2 (en) Flame-retarded polyolefin polymer composition with reduced antimony trioxide content
KR101781678B1 (ko) 압출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00071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용융 성형체
JP2006117722A (j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11372991B (zh) 阻燃聚(氯乙烯)复合物
JP2004156026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1613768B1 (ko)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피복재
US20160280885A1 (en)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ticle
JP5799833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01699546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1863421B1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003126A (ko) 응력 균열 내성의 할로겐 무함유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KR20110072828A (ko)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3124563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JP2003231779A (ja) 耐変色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WO2023117729A1 (en) Flame retardant propylen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