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523A -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523A
KR20120121523A KR1020110039386A KR20110039386A KR20120121523A KR 20120121523 A KR20120121523 A KR 20120121523A KR 1020110039386 A KR1020110039386 A KR 1020110039386A KR 20110039386 A KR20110039386 A KR 20110039386A KR 20120121523 A KR20120121523 A KR 20120121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uel
door
raw materi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석
정은석
정종화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523A/ko
Publication of KR2012012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Abstract

본 발명은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원료 공급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개폐작동 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원료가 저장되는 호퍼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SWITCHGEAR FOR FUEL AND RAW METAL IN STOREHOUSE}
본 발명은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원료 공급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개폐작동 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제선공정은 고로에서 이루어지는데, 고로에 장입되는 연료 및 원료는 차량 또는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고, 차량에 의해 공급되는 연원료는 저장고에 임시 저장된다.
저장고에서 배출되는 연원료는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고로 측으로 이동된 후에 장입장치에 의해 고로 내부에 장입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연원료 공급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개폐작동 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원료가 저장되는 호퍼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벨트컨베이어에 대향되도록 상기 호퍼의 경사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경사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에 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개구부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는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므로 저장고로부터 배출되는 연원료의 배출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어 연원료의 공급지연 또는 과배출에 의한 작업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는 제어부의 작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므로 저장고 개폐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의 구동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는 연원료가 저장되는 호퍼(10)의 개구부(12)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와, 도어(20)를 개폐하는 작동부(30)와, 작동부(3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와, 구동부(50)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차량에 의해 연원료가 호퍼(10) 내부로 투입되면 호퍼(10) 내부에 연원료가 임시 저장되고, 연원료의 작업자에 의해 개방작동이 조작되면 제어부(70)로부터 개방신호가 구동부(50)에 송신된다.
제어부(70)로부터 수신되는 개방신호에 따라 구동부(50)가 작동되면 작동부(30)가 연동되면서 도어(20)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70)는 구동부(50)의 작동 정도를 감지하여 개구부(12)의 개도량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입력한 개구부(12)의 개도량에 도어(20)가 도달되면 구동부(50)에 정지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20)를 개방하는 작업을 직접 행하지 않고 도어(20)를 정확한 개도량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어(20)가 개방되면 개구부(12)를 통해 배출되는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14)에 공급되어 고로 또는 소결로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원료의 공급이 작업자가 요구하는 배출량을 유지하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원료가 필요 이상으로 공급되거나 연원료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업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개구부(12)는 벨트컨베이어(14)에 대향되도록 호퍼(10)의 경사면 하단에 형성되고, 도어(20)는 경사면 및 개구부(1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호퍼(10)는 상단에 형성되는 투입구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양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벨트컨베이어(14)에 대향되는 경사면 하단에 개구부(12)가 형성된다.
개구부(12)의 양측 단부에는 가이드(16)가 형성되고, 도어(20)는 가이드(16)에 의해 경사면 및 개구부(1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개구부(12)의 하측에는 벨트컨베이어(14)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패널(18)이 설치되므로 개구부(12)를 통해 배출되는 연원료는 경사패널(18)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벨트컨베이어(14)의 상면에 안착된다.
작동부(30)는, 도어(20)에 로드(34)가 연결되는 실린더(32)를 포함하므로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로드(34)가 실린더(32) 외측으로 돌출되면 도어(20)를 하측으로 밀어 개구부(12)를 폐쇄하고,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로드(34)가 실린더(32) 내부로 삽입되면 도어(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개구부(12)를 개방하게 된다.
구동부(50)는, 실린더(32)에 설치되는 모터(52)를 포함하고, 모터(52)의 회전축(54)에는 나사산(56)이 형성되며, 로드(34)에 회전축(54)이 삽입된다.
모터(52)는 실린더(32)의 단부에 설치되고, 회전축(54)이 실린더(32) 내부로 삽입되어 로드(34)에 연결된다.
로드(34)의 내측 단부에는 회전축(54)이 삽입되는 결합홈부(34a)가 형성되고, 결합홈부(34a)와 회전축(54)에는 스크루 모양의 나사산(56)이 형성된다.
회전축(54)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실린더(32) 내부로 삽입되므로 모터(52)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54)이 회전되면 회전축(54)에 나사결합되는 로드(34)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개구부(12)에는 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개구부(12)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80)가 설치된다.
개폐감지센서(80)는 개구부(12)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센서(82)와, 개구부(12)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2센서(84)를 포함한다.
작동부(30) 및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도어(20)의 개방이 완료되면 도어(20)의 하단이 제1센서(82)에 의해 감지되고, 도어(20)의 폐쇄가 완료되면 도어(20)의 하단이 제2센서(84)에 의해 감지된다.
제1센서(82) 및 제2센서(84)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제어부(70)에 수신되면 제어부(70)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출력부(40)에 도어(20)의 개방 또는 폐쇄가 표시된다.
조작부(90)는, 작업자가 도어(20)의 개방 정도를 확인하면서 모터(5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호퍼(10) 일측에 설치되는 제1조작부(92)와, 별도의 통제실에 설치되고 제어부(70)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2조작부(94)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통제실에서 도어(20)를 개폐할 때에는 제2조작부(94)를 조작하여 모터(52)에 구동신호를 송신하고, 호퍼(10)가 설치되는 작업장에 위치한 작업자가 직접 도어(20)를 개폐할 때에는 제1조작부(92)를 조작하여 도어(20)의 개폐작동을 행하게 된다.
호퍼(10)가 설치되는 작업장에는 도어(20)의 개폐여부를 촬영하여 통제실의 출력부(40)에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60)가 설치된다.
따라서 통제실에서 도어(20)를 개폐하는 작업자는 제1센서(82) 및 제2센서(84)에 의해 도어(20)의 개폐 완료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출력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도어(20)의 영상을 확인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의해 이송된 연원료가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면 호퍼(10) 내부에 연원료가 저장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조작부(90)를 조작하여 개방신호가 송신되면 모터(52)의 회전축(54)이 회전되므로 로드(34)가 실린더(32) 내부로 삽입되면서 개구부(12)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어부(70)는 모터(52)의 구동 정도를 감지하여 도어(20)의 위치를 판단하므로, 작업자가 입력한 개구부(12)의 개도량에 도어(20)가 도달되면 제어부(70)로부터 정지신호가 송신되어 모터(52)가 정지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입력한 도어(20)의 개도량을 유지하며 연원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개구부(12)를 통해 배출되는 연원료는 경사패널(18)을 따라 이동된 후에 벨트컨베이어(14)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로 또는 소결로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자가 통제실에서 제2조작부(94)를 조작하여 도어(20)를 개폐하는 경우에는 제1센서(82)와 제2센서(84)에 의해 도어(20) 개폐작동의 완료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출력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장에 위치한 작업자가 연원료 공급의 오작동을 인지하였을 때는 제1조작부(92)를 조작하여 도어(20)의 개폐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연원료 공급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개폐작동 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연원료 저장고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호퍼 12 : 개구부
14 : 벨트컨베이어 16 : 가이드
18 : 경사패널 20 : 도어
30 : 작동부 32 : 실린더
34 : 로드 34a : 결합홈부
40 : 출력부 50 : 구동부
52 : 모터 54 : 회전축
56 : 나사산 60 : 카메라
70 : 제어부 80 : 개폐감지센서
82 : 제1센서 84 : 제2센서
90 : 조작부 92 : 제1조작부
94 : 제2조작부

Claims (5)

  1. 연원료가 저장되는 호퍼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벨트컨베이어에 대향되도록 상기 호퍼의 경사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경사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도어에 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개구부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KR1020110039386A 2011-04-27 2011-04-27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KR20120121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86A KR20120121523A (ko) 2011-04-27 2011-04-27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86A KR20120121523A (ko) 2011-04-27 2011-04-27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23A true KR20120121523A (ko) 2012-11-06

Family

ID=4750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386A KR20120121523A (ko) 2011-04-27 2011-04-27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52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299B1 (ko) * 2015-03-26 2016-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KR101704966B1 (ko) * 2016-04-04 2017-02-08 박만종 열처리소재 자동공급 프로세스
CN106494906A (zh) * 2016-11-11 2017-03-15 浙江明佳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动物尸体环保处理碎块机出料装置
CN109178969A (zh) * 2018-10-26 2019-01-11 广东贝尤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粉类进料装置
CN110271824A (zh) * 2019-06-14 2019-09-24 安徽永顺信息科技有限公司 交互咖啡给料系统
CN112301857A (zh) * 2020-11-07 2021-02-02 安徽福相安油脂工业有限公司 一种道路灌缝机下料装置
EP3858766A1 (de) 2020-02-03 2021-08-04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Zufuhrvorrichtung, nachrüstsatz für einen vibrationsförderer sowie ein herstellungsverfahren und ein betriebsverfahren für die zufuhrvorrichtu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299B1 (ko) * 2015-03-26 2016-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KR101704966B1 (ko) * 2016-04-04 2017-02-08 박만종 열처리소재 자동공급 프로세스
CN106494906A (zh) * 2016-11-11 2017-03-15 浙江明佳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动物尸体环保处理碎块机出料装置
CN109178969A (zh) * 2018-10-26 2019-01-11 广东贝尤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粉类进料装置
CN110271824A (zh) * 2019-06-14 2019-09-24 安徽永顺信息科技有限公司 交互咖啡给料系统
EP3858766A1 (de) 2020-02-03 2021-08-04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Zufuhrvorrichtung, nachrüstsatz für einen vibrationsförderer sowie ein herstellungsverfahren und ein betriebsverfahren für die zufuhrvorrichtung
US11365063B2 (en) 2020-02-03 2022-06-21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Supply device, retrofit kit for a vibration feeder as well as a manufacturing method and an operation method for the supply device
CN112301857A (zh) * 2020-11-07 2021-02-02 安徽福相安油脂工业有限公司 一种道路灌缝机下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1523A (ko)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KR101167121B1 (ko) 연원료 불출장치
EP24527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inoculants into a flow of molten metal and automatic molten metal pouring machine
KR101424429B1 (ko) 연원료 이송장치
CN102027305A (zh) 熔炉设备
KR101330306B1 (ko) 전기로 출강구 샌드 자동 충진 장치
CN102632210B (zh) 自动加渣机和加渣方法
CN207329707U (zh) 一种耐磨板堆焊机的钢板输送机
CN202804122U (zh) 自动加渣机
KR20140069393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320127B1 (ko) 압연기용 윤활유 정화장치
KR101129279B1 (ko) 차폐장치가 구비되는 가열로
KR101225711B1 (ko) 압연기용 냉각수 배출장치
KR101424443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20130023677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99677B1 (ko) 고로용 연원료 장입방법
KR101424441B1 (ko) 압연기용 가열로
KR101424468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225726B1 (ko) 코크스 불출장치
KR101345180B1 (ko) 슬래그 파쇄 장치
KR101310794B1 (ko) 연원료 장입장치
KR20130046588A (ko) 연원료 저장고용 개폐장치
KR101159935B1 (ko) 원료 투입장치
CN209873007U (zh) Lf炉的炉门装置
CN213238438U (zh) 一种青砖制备用烧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