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180A - 에프알피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에프알피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180A
KR20120121180A KR1020110039001A KR20110039001A KR20120121180A KR 20120121180 A KR20120121180 A KR 20120121180A KR 1020110039001 A KR1020110039001 A KR 1020110039001A KR 20110039001 A KR20110039001 A KR 20110039001A KR 20120121180 A KR20120121180 A KR 20120121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rp
concrete structure
primer
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492B1 (ko
Inventor
조능호
Original Assignee
조능호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능호, 이영환 filed Critical 조능호
Priority to KR102011003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4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93Materials impermeable to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조물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층과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과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바르는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 위에 유리섬유와 FRP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FRP층; FRP층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서 분리되어도 FRP층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 고정판을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못; 고정판과 고정못 만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된 FRP층; FRP층과 도막방수층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RP층에 바르는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 위에 형성되는 도막방수층;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방수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표면의 기포 구멍이나 요철 때문에 형성해야 하는 바탕조정층을 FRP층이 대신하기 때문에 바탕조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없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대폭 절감되고, FRP방수층 위에 도막방수재를 바르기 때문에 전체적인 방수공사의 품질도 향상된다.

Description

에프알피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Water-proofing method combined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FRP) and membrane water-proofing}
본 발명은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조물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층과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과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바르는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 위에 유리섬유와 FRP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FRP층; FRP층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서 분리되어도 FRP층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 고정판을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못; 고정판과 고정못 만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된 FRP층; FRP층과 도막방수층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RP층에 바르는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 위에 형성되는 도막방수층;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콘크리트의 균열에 의한 누수 현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누수 현상은 철근의 부식을 유발하며, 철근의 부식은 철근의 부피 증가로 이어져 콘크리트의 균열 폭을 증가시킨다.
특히, 지하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지하수나 폐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 포함된 염류나 황산은 콘크리트 자체의 부식을 가져온다. 콘크리트에 부식이 발생하면 구조물이 표피 부분부터 파괴되기 시작하며, 나아가 상당 정도로 부식이 진행되면 콘크리트 덩어리가 탈락할 뿐 아니라 철근의 부식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구조물에 누수 현상이 일어나, 구조물의 수명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균열 및 부식으로 인한 누수 현상으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조물의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방수?방식 공사를 고려할 수 있다. 방수공사와 방식공사는 엄밀하게는 상호 구분되는 개념이나, 모두 구조물의 표면을 보호하여 습기나 황산 등 외기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일맥상통하므로, 방수 공사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사에서는 붓이나 롤러칠, 뿜칠 또는 시트 방수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표면에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시트를 이용하여 벽지와 같이 콘크리트 표면에 붙이는 공법은 콘크리트 표면에 작은 공기구멍들이 있더라도 상관없이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짧고 시공의 어려움이 적지만, 벽지 같은 방수재료들 상호간의 접합부의 접합불량으로 하자가 많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반면에 페인트와 같이 콘크리트 표면에 붓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바르는 공법이나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뿜어붙이는 공법은 벽에 바른 방수재료들 상호간의 접합은 강하여 품질은 우수하지만 방수재료를 바르기 위한 콘크리트 표면의 상태가 균질해야 하므로 콘크리트 표면을 균질하게 만들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시트방수는 공기는 절감되나 품질은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바르거나 뿜어붙이는 방수는 품질은 우수하나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두가지 방수공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공기가 절감되고 품질이 우수한 새로운 방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표면의 기포부분을 메우기 위한 바탕층 조정을 하지 않아도 품질이 우수한 방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조물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FRP층과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과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바르는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 위에 유리섬유와 FRP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FRP층; FRP층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서 분리되어도 FRP층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 고정판을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못; 고정판과 고정못 만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된 FRP층; FRP층과 도막방수층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RP층에 바르는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 위에 형성되는 도막방수층;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방수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표면의 기포 구멍이나 요철 때문에 형성해야 하는 바탕조정층을 FRP층이 대신하기 때문에 바탕조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없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대폭 절감되고, FRP방수층 위에 도막방수재를 바르기 때문에 전체적인 방수공사의 품질도 향상된다.
도1은 본 발명의 FRP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복합방수공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에 방수재료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FRP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은 구조물(10) 표면에 FRP의 수지와 콘크리트 표면과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라이머를 콘크리트 표면에 바르고, 유리섬유와 FRP수지를 이용하여 FRP층(30)을 형성한다. FRP층(30)이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에서 분리되어도 FRP층(30)이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40)을 고정못(50)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고정판(40)과 고정못(50) 만을 보호하기 위한 FRP층(30)을 추가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FRP층(30)과 도막방수층(70)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60)를 FRP층(30) 위에 바르고 나서, 도막방수재를 적당한 두께로 발라 도막방수층(70)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FRP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을 이용한 방수층이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콘크리트 구조물
20: 프라이머층
30: FRP층
40: 고정판
50: 고정못
60: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
70: 도막방수층

Claims (1)

  1.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FRP층(30)과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과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에 바르는 프라이머층(20);
    프라이머층(20) 위에 유리섬유와 FRP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FRP층(30);
    FRP층(30)이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에서 분리되어도 FRP층(30)이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40);
    고정판(40)을 콘크리트 구조물(10)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못(50);
    고정판(40)과 고정못(50) 만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된 FRP층(30);
    FRP층(30)과 도막방수층(70)의 부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RP층(30)에 바르는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60);
    도막방수층용프라이머층(60)위에 형성되는 도막방수층(7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
KR1020110039001A 2011-04-26 2011-04-26 에프알피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 KR10124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001A KR101243492B1 (ko) 2011-04-26 2011-04-26 에프알피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001A KR101243492B1 (ko) 2011-04-26 2011-04-26 에프알피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180A true KR20120121180A (ko) 2012-11-05
KR101243492B1 KR101243492B1 (ko) 2013-03-13

Family

ID=4750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001A KR101243492B1 (ko) 2011-04-26 2011-04-26 에프알피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3186A (zh) * 2020-11-11 2021-02-09 中国京冶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装饰型玻璃钢防水结构施工方法
CN112482593A (zh) * 2020-11-11 2021-03-12 中国京冶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玻璃钢防水结构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39B1 (ko) 2000-03-25 2003-01-09 박재교 에프알피 방수액 및 그것을 이용한 방수처리방법
JP4066323B2 (ja) 2002-05-31 2008-03-26 アイカ工業株式会社 防水仕上げ構造と防水仕上げ方法
KR100976427B1 (ko) 2009-08-07 2010-08-17 박진성 인공녹화용 방수-방근 복합재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3186A (zh) * 2020-11-11 2021-02-09 中国京冶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装饰型玻璃钢防水结构施工方法
CN112482593A (zh) * 2020-11-11 2021-03-12 中国京冶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玻璃钢防水结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492B1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4862B (zh) 一种旧硬质防水屋面的翻新改造的施工方法
TW202110640A (zh) 結構物保護片、使用該結構物保護片的施工方法及預鑄構件以及預鑄構件的製造方法
KR101141629B1 (ko) 실란화합물을 함유하여 습윤면 부착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란변성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1525825B1 (ko) 고강도 외단열 방수복합공법
KR101243492B1 (ko) 에프알피와 도막방수재의 복합방수공법
CN104863294A (zh) 一种玻璃幕墙的施工工艺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0707284B1 (ko) 방수 시공 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607811B1 (ko) 3중 복합방수 공법
KR101546733B1 (ko)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방수방근공법
AU2015224401B2 (en) Textile reinforced membranes
CN107989329A (zh) 一种卫生间及厨房防水施工的方法
KR101743555B1 (ko) 건물 외벽의 균열 및 철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외벽 방수 시공 방법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JP6146244B2 (ja) 外部床の防水構造および防水工法
KR20120077760A (ko) 건축물의 방수 시공 방법
KR20200085419A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CN102733427B (zh) 沿海人防工程防水抗渗施工方法
JP6988279B2 (ja) 建築物の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8008137A (ja) スレート瓦葺屋根の改修構造
AU2021107533A4 (en) A building panel
JP4726437B2 (ja) 基礎コンクリートの改善方法
KR101074429B1 (ko) 폴리우레아, 우레탄, 에폭시 도막방수 공법
WO2023074610A1 (ja) 構造物保護シート及び補強された構造物の製造方法
KR101864089B1 (ko) 실외 복합시트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