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200A -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구조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200A
KR20120120200A KR1020127017669A KR20127017669A KR20120120200A KR 20120120200 A KR20120120200 A KR 20120120200A KR 1020127017669 A KR1020127017669 A KR 1020127017669A KR 20127017669 A KR20127017669 A KR 20127017669A KR 20120120200 A KR20120120200 A KR 20120120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xit
wing
wing member
exit side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이 쿼오 왕
Original Assignee
트랙슨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랙슨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트랙슨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12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명 기구를 구비하는 발광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1). 조명 기구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홀딩 장치(4)를 통해 조명 장치가 가역적으로 고정된다. 홀딩 장치는 가이드 장치(40) 및 날개형 부재(44)를 구비하고, 날개형 부재(44)는 가이드 장치상에서 고정되고 젖힐 수 있으며, 가이드 장치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홀딩 장치는 언폴딩 장치(42)를 포함하고, 언폴딩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날개형 부재가 가이드 장치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한다. 광출사측(20) 상에서, 날개형 부재는 완전히 언폴딩된다. 날개형 부재가 광출사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날개형 부재는 폴딩 장치(46)와 물리적으로 접촉됨으로써 가역적으로 폴딩된다. 광출사측의 스팬(W0)은 폴딩된 상태의 날개형 부재의 스팬(W1)보다 크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구조{ILLUMINATING DEVICE AND STRUCTURE WITH ILLU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역적으로 장착 가능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출사측과 광출사측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측을 구비하는 발광체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광선은 주로 또는 최종적으로 광출사측을 통과하여 조명 장치를 벗어난다. 여기서, 광출사측은 평탄하며, 특히 가상의 면을 이룬다. 상기 가상의 면은 아래와 같이 얻어진다. 발광체의 상측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측면(광선의 주요 부분은 상기 측면으로부터 발광체를 벗어난다)은, 외측을 둘러싸는 환형 에지를 구비한다. 1차원의 폐쇄선을 이루는 상기 에지를 통해,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평면을 한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평면 부분은 광출사측이 되고, 상기 부분은 발광체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된 측면의 상기 평면상의 투영 범위 내에 위치한다. 광출사측은 실제 광출사면과 완전히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광출사면은 평면, 및/또는 예를 들어 만곡된 볼록면을 구성할 수 있다.
발광체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기구가 존재하며, 상기 발광 기구는 조명 장치의 작동 시에 가시광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명 기구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및/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전 반도체 소자에 기반하거나, 또는 다수의 이러한 광전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수의 이러한 광전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가역적으로 조종 가능한 조명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역적"이란, 조명 장치가 홀딩 장치의 도움을 받아 손상되지 않고 복수회 조립 및 분해 가능함을 의미한다.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하향등이며, 여기서, 조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홀딩 장치를 통해, 예를 들어 공간 내의 상부 상에 또는 상부 내에 고정 가능하다. 홀딩 장치를 해제함으로써,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다시 상부로부터 손상되지 않고 떼어낼 수 있으며, 또한 특히 부재를 교체하지 않거나 기타 구조적 변경이 없이, 직접적으로 다시 조립이 가능하다.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장입식 조명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홀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가이드 장치는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 스크류바, 격자형 바, 평활관 및/또는 보덴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장치의 세로 방향 축선은 발광체의 광출사측을 가로지른다. 특히 가이드 장치의 세로 방향 축선은 예를 들어 최대 10° 또는 최대 5°의 공차로, 광출사측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홀딩 장치는 날개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형 부재는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가이드 장치상에 고정된다. 또한, 날개형 부재는, 광출사측을 가로지르는 평면 내에서 젖힐 수 있도록 장착된다. 특히 날개형 부재는 광출사측에 수직하는 평면 내에서, 발광체에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여 젖힐 수 있다. 또한, 날개형 부재는 가이드 장치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즉, 날개형 부재는 가이드 장치를 따라서 적절하게 위치를 정할 수 있고, 특히 가역적으로 방향을 정할 수 있으며, 이때 날개형 부재는 발광체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홀딩 장치는 언폴딩 장치를 포함한다. 언폴딩 장치를 통해, 날개형 부재는 가이드 장치의 세로 방향 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특히 발광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언폴딩 장치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날개형 부재에 지속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지속적으로 날개형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날개형 부재가 발광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게 하는 힘을 받도록 한다. 따라서, 언폴딩 장치는 미리 응력이 부여된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홀딩 장치는 폴딩 장치를 더 포함한다. 폴딩 장치는 날개형 부재의 광출사측으로부터 이격된 측면 상에 위치한다. 즉, 폴딩 장치는 날개형 부재보다 발광체의 광출사측으로부터 더 멀고, 특히 날개형 부재의 발광체 및/또는 가이드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보다 발광체의 광출사측에서 더 멀다. 폴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가이드 장치 및/또는 발광체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폴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규정에 따른 사용 중에 있어서 강성이며, 이동 불가능한 장치이다. 따라서, 폴딩 장치는 발광체 및/또는 광출사측과의 고정된, 규정된 또는 미리 확정된 거리 내에 홀딩된다. 폴딩 장치와 날개형 부재 사이의 거리는 가변적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날개형 부재는 광출사측에서 또는 광출사측 부근의 위치에서 언폴딩 장치를 통해 완전히 언폴딩된다. "광출사측 또는 광출사측 부근"이란, 날개형 부재가 상기 영역 내에서 폴딩 장치와의 직접적인 기계적 접촉에 놓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광출사측 부근에서"란, 광출사측과 날개형 부재가 가이드 장치상에서 가장 가까이 놓이는 점 사이의 거리가 날개형 부재의 길이의 1.5배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젖힌다"란, 특히, 날개형 부재가 광출사측을 가로지르는 평면 내에서 움직일 수 있음을 가리킨다. 여기서, 가이드 장치와 날개형 부재 사이의 광출사측을 향하는 젖힘각은, 연속함수와 날개형 부재의 가이드 레일에 따르는 위치가 상호 관련되고, 바람직하게는 0°(0°를 포함)에서 90° 사이이다. 따라서, 날개형 부재가 가이드 장치를 따라 움직일 때는 젖힘각의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폴딩 장치의 기하학적 형상을 통해 하기의 영역이 규정되며, 그 영역 내에서 날개형 부재가 언폴딩된다. 날개형 부재는, 예를 들면 가이드 장치를 따라 이러한 영역 내에서 언폴딩, 특히 완전히 언폴딩되고, 상기 영역은 가이드 장치의 세로 방향 축선에 수직하는 방향 상에서 폴딩 장치에 의해 덮히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날개형 부재의 두께의 60%의 공차를 갖는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날개형 부재는 폴딩 장치를 통해 가역적으로 폴딩된다. 따라서, 날개형 부재는 가이드 장치를 따라 광출사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장치와의 기계적 접촉 시에, 날개형 부재는 특히 날개형 부재 상의 힌지와 광출사측의 증가하는 거리에 따라 연속적으로 폴딩된다. 폴딩 장치 또는 발광체로부터 멀어질 때, 즉, 광출사측을 향해 날개형 부재가 가이드될 때, 날개형 부재는 다시 가역적으로 언폴딩된다. "가역적"이란, 특히 규정에 따른 홀딩 장치 사용시의 폴딩과 언폴딩을 손상 없이 다수회 반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출사측의 기본 스팬은 폴딩된 날개형 부재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의 스팬보다 크다. 기본 스팬은 예를 들어, 광출사측의 광출사측에 수직하는 평면 내에서 확정되는 직경이며, 여기서, 상기 평면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형 부재 혹은 날개형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한다. 즉, 날개형 부재가 폴딩되었을 때에, 홀을 통해 광출사측 또는 광출사측 상에 형성된 차양부까지 발광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그 후의 날개형 부재의 언폴딩을 통해, 조명 장치는 홀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언폴딩된 날개형 부재의 스팬이 폴딩된 날개형 부재의 폭보다 크기 때문이다. 날개형 부재의 언폴딩 및 폴딩 상태에서의 스팬은 특히 각각, 예를 들어 발광체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서로 다른 날개형 부재의 발광체로부터 가장 먼 부분 사이의 최대 거리이다. 기본 스팬 및 날개형 부재의 스팬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따라 확정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출사측과 상기 광출사측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측을 구비하는 발광체를 포함한다. 발광체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기구가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의 홀딩 장치를 통해 조명 장치가 가역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홀딩 장치는, 광출사측을 가로지르는 가이드 장치 및 날개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형 부재는 가이드 장치상에 고정되고, 또한 광출사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젖힐 수 있으며, 가이드 장치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홀딩 장치는 언폴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언폴딩 장치는, 날개형 부재가 가이드 장치를 가로질러 지속적으로 발광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게 하도록 설치된다. 홀딩 장치의 폴딩 장치는 가이드 장치상에 위치하며, 또한, 날개형 부재의 광출사측으로부터 이격된 측면 상에 위치한다. 날개형 부재를 광출사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할 때, 날개형 부재는 폴딩 장치와의 기계적 접촉을 통해 가역적으로 폴딩된다. 또한, 광출사측의 기본 스팬은 폴딩된 날개형 부재의 스팬보다 크다.
이와 같은 홀딩 장치의 구조에 의해, 손상 없이 조명 장치의 가역적인, 즉 중복 가능하면서 간단한 장착과 분해를 허용한다.
발광 다이오드의 효율과 출력의 개선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는 조명 장치로서의 응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주택용 조명 또는 건축용 조명, 특히 하향등(downlights)으로 응용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의 증가된 출력 소비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의 충분한 냉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히트 싱크 및/또는 냉매를 통해 실현된다. 조명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냉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부는, 예를 들어 각각 적어도 1kg의 중량과, 적어도 1.5kg~2kg의 중량을 갖는다.
특히, 냉매 또는 전원부로 인해 조명 장치의 중량은, 수 kg, 예를 들어 2kg(2kg을 포함) 내지 8kg 사이로 증가된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큰 중량으로 인해, 예를 들어 할로겐 램프 또는 형광등의 조립에 이용되는 간단한 스프링 기구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이러한 조명 장치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홀딩 기구를, 조명 장치의 비교적 큰 중량에 견딜 수 있고, 충분한 장착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법규의 요구 사항에 부합되도록 해야만 한다. 홀딩 장치는 비교적 큰 힘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해체시 또는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한 조명 장치의 장착시에 있어서, 불가역적인 홀딩 장치인 경우, 예를 들어 상부 또는 조명 장치 자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가이드 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 장치의 회전, 특히 가이드 장치의 세로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통해, 날개형 부재는 세로 방향을 따라 가역적으로, 즉, 2개의 방향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면서, 세로 방향을 따라 날개형 부재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홀딩 장치가 발광체 상에 가역적으로 고정된다. 즉, 가이드 장치는 홀딩 장치 또는 발광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발광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또한 다시 발광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홀딩 장치를 구비하는 전통적인 조명 장치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출사측의 평균 직경은 발광체의 상측의 평균 직경보다 크다. 특히 상측의 광출사측의 평면 내의 투영 내에 있어서, 광출사측의 라인은 상측을 완전히 둘러싼다. 즉, 투영 시에 관찰하면, 광출사측을 통해 상측을 둘러싸는 에지 또는 차양부를 형성한다. 투영 시에 관찰하면, 에지 또는 차양부는 완전히 상측을 포위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날개형 부재는 광출사측에 수직하는 방향 상의 적어도 10N의 힘, 특히 적어도 15N의 힘 또는 적어도 40N의 힘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규정에 따른 사용시의 상기 힘의 작용 중 하나로서, 예를 들어 이와 같이 큰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날개형 부재, 가이드 장치 또는 홀딩 장치의 다른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날개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장치와 이격된 단부 상에 볼록부를 구비한다. 볼록부는 특히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언폴딩 상태에서의 날개형 부재의 주요 평면으로부터 멀어져, 광출사측을 향해 연장된다. 볼록부는 예를 들어 용마루 모양(ridge-like)으로 형성된다. 볼록부를 통해 조립판 상의 접촉 면적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는 조립판의 재료 내에 매립되어, 날개형 부재와 조립판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적어도 1개 구비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조명 장치를 위한 특징은 구성을 위한 특징도 개시하고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케이스, 천장 또는 천장의 조립판의 홀 내에 장착되며, 특히 상부의 장착을 서포트한다. "조립판"은 특히, 광출사측으로부터 상측까지를 측정하였을 때, 조립판의 두께가 발광체의 길이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즉, 발광체는 그 후 완전히 홀을 통과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 광출사측과 적어도 하나의 날개형 부재는 조립판의 서로 마주보는 서로 다른 측에 위치한다. 또한, 발광체의 중간 축선으로부터 언폴딩 상태의 날개형 부재의 발광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까지를 계산하면, 조립판 상의 조명 장치가 장입되어 있는 홀의 반경은 광출사측의 기본 스팬의 절반보다 작으며, 또한 폴딩된 날개형 부재의 스팬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 조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형 부재를 기계적으로 죄는 것에 의해 조립판 상에 가역적으로 고정된다. 즉, 조립판은 광출사측의 차양부 또는 환형의 에지를 통해, 또한 적어도 하나의 날개형 부재를 통해 고정적으로 조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일반적인 조명 및/또는 건축 조명의 복사기 또는 램프로 사용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특히 건축물 및/또는 시설 대상의 천정, 벽 및/또는 바닥판 내로의 장착용으로 설계된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와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형 부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언폴딩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의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조명 장치 및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각 구성 요소는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실제 크기를 전반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조명 장치(1)와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조명 장치(1)는 발광체(2)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체는 상측(25) 및 상측(25)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바닥측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측은 광출사측(20)을 구성한다. 광출사측(20)을 통해 평면(22)이 한정된다.
또한, 조명 장치(1)는 2개의 홀딩 장치(4)를 구비한다. 홀딩 장치(4)는 각각 가이드 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장치를 따라, 날개형 부재(44)는 평면(22)에 수직하는 방향 상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홀딩 장치(4)는 각각 하나의 폴딩 장치(46) 및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하나의 언폴딩 장치를 구비한다. 폴딩 장치(46)는 발광체(2) 상에 조립되며 또한 상측(25) 부근에 조립된다.
전체 홀딩 장치(4)는 발광체(2)의 측면의 경계면 상에 장착되며, 또한 평면(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상에서 상측(25)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폴딩되지 않은 날개형 부재(44)를 구비하는 홀딩 장치(4)의 스팬(W1)은 조명 장치(1)의 광출사측(20)의 기본 스팬(W0)보다 작다.
발광체(2) 본체와 동일하게, 상측(25)과 광출사측(20)은 예를 들어 각각 회전 대칭적으로 성형되며, 특히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측(25)의 평균 직경(W3)은 기본 스팬(W0)보다 작다. 평면(22) 상에서 투영 시에 관찰하면, 환형의 에지(28)는 상측(25)과 홀딩 장치(4)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 부재(44)는 폴딩 장치(46)와 기계적으로 접촉되고, 이에 따라 날개형 부재(44)는 폴딩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 부재(44)가 언폴딩되면서 광출사면(20)을 향하는 가이드 장치(40)와 날개형 부재(44) 사이의 각 α는, 최대 92.5°이고, 최대 9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폴딩된 날개형 부재(44)의 스팬(W2)은 광출사측(20)의 기본 스팬(W0)과 동일하다. 가이드 장치(40)는 광출사측(20)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하고, 예를 들어 최대 10° 또는 최대 5°의 공차를 갖는다. 날개형 부재(44)는 최대 10° 또는 최대 5°의 공차로 광출사측(20)에 평행하는 방향을 향하며, 평면을 이룬다.
도 1c는, 조명 장치(1)가 조립판(10) 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판(10)은 홀(11)을 구비하고, 상기 홀을 통해, 조립판(10)의 정면(12)으로부터 폴딩된 날개형 부재(44)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 부재(44)는 가이드 장치(40)를 따라 광출사측(20)을 향해 가이드되어 언폴딩고, 또한 계속하여 조립판(10)의 뒷면(13)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마지막으로, 조립판(10)은 광출사측(20) 상의 환형 에지(28) 또는 차양부와 날개형 부재(44)를 통해 조여지고, 이에 따라 힘 F가 발생한다. 날개형 부재(44) 각각에 작용하는 힘 F는, 예를 들어 20N보다 크고, 또는 30N보다 크다. 힘 F는 중력에 평행하는 방향을 향한다.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달리, 조명 장치(1)는 2개 이상의 홀딩 장치(4),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 이상의 홀딩 장치를 가질 수 있다. 광출사측(20)에 평행하는 평면 내에서, 홀딩 장치(4)가 바람직하게는 발광체(2)를 따라 등간격으로 장착된다. 특히, 미리 두께를 알고 있는 조립판(10)의 경우에는, 조명 장치(1)는 홀딩 장치(4)를 하나만 구비해도 좋고, 이는 이동 가능한 날개형 부재나, 또한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미도시된 강성을 갖는 후크형 장치일 수도 있다.
도 2a에는 도 1c에서의 장착된 상태의 조명 장치(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도를 나타내며, 도 2b의 측면도를 참조할 수도 있다. 발광체(2)는 냉각 보조편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혹은 미도시의 냉매를 포함하며, 또한 그 외에 전원부(3)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조립판(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발광체(2)를 밀봉한다. 홀딩 장치(4)는 측면으로부터 발광체(2) 상에 장착되며 또한 냉각 보조편의 영역 내에 장착된다. 전체 조명 장치(1)의 중량은 예를 들어 1kg(1kg을 포함)에서 10kg 사이이며, 특히 1.25kg(1.25kg을 포함)에서 5kg 사이이며, 특히 대략 2.4kg 전후이다.
조명 장치(1)의 상측(25)의 평균 직경 D는 예를 들어 100mm(100mm를 포함)에서 400mm 사이이며, 특히 125mm(125mm를 포함)에서 300mm 사이이며, 특히 대략 170mm이다. 조명 장치의 높이 H는, 조립판(10)의 정면(12)에서부터 상측(25)까지를 계산하면, 예를 들어 60mm(60mm를 포함)에서 250mm 사이이며, 특히 90mm(90mm를 포함)에서 200mm 사이이며, 특히 대략 145mm이다. 발광체(2)의 광출사측(20)으로부터 조립판(10)의 정면(12)까지의 돌출된 부분은, 예를 들면 1mm(1mm를 포함)에서 20mm 사이이며, 특히 4mm(4mm를 포함)에서 12mm 사이이며, 특히 7mm이다. 조명 장치(1)는 예를 들어 전압이 대략 220V 내지 240V인 교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전력 출력 소모는 15W보다 크고, 특히 25W보다 크며, 예를 들어 대략 30W이다.
또한, 도 2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불가역적인 홀딩 장치(4)인 경우에는, 조립판(10) 또는 날개형 부재(44)를 손상하지 않거나 또는 파손하지 않고 조명 장치(1)를 조립판(10)으로부터 떼어낼 수 없다.
도 2c, 2d, 2e 및 2g는 홀딩 장치(4)에 초점을 맞춘 조명 장치(1)의 입체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도 1b와 유사한 상황에서 언폴딩된 날개형 부재(44)의 입체도이다. 홀딩 장치(4)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 2d에 따르면, 날개형 부재(44)는 완전히 젖혀져서, 폴딩 장치(6)와 적절한 기계적 접촉을 형성한다.
조명 장치(1)의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장치(40)는 각각 스크류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는 예를 들어 미터 나사 M5나, 또는 비교적 큰 피치의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은 미터 나사 M5에 비해 2배 또는 3배의 피치를 갖는다.
가이드 장치(40)의 광출사측(20)에 수직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통해, 날개형 부재(44) 및 날개형 부재 홀더(43)는 가이드 장치(40)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날개형 부재 홀더(43)를 통해, 날개형 부재(44)의 가이드 장치(40)에 평행하는 세로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날개형 부재 홀더는, 발광체(2)의 냉각 보조편 내의 융기(隆起) 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내부 나사산을 포함하며, 가이드 장치(40)는 상기 내부 나사산를 통해 연신(延伸)된다. 또한, 날개형 부재(44)는 힌지(45)를 통해 날개형 부재 홀더(43)와 연결된다.
힌지(45)는 예를 들어 대략 3mm의 직경 및 대략 30mm 내지 60mm의 길이를 갖는 강철 볼트로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45)에 있어서, 볼트의 0.1mm의 변위 또는 만곡을 실현하기 위해 대략 9.5kN의 전단력이 필요하다. 만약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 예를 들면 퀄리티강을 사용하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장치(40)는 폴딩 장치(46)를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폴딩 장치(46) 내에 장착된다. 폴딩 장치(46)는 만곡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만곡형 부재는 스크류로 형성된 고정 장치(5)를 통해 발광체(2) 상에 가역적으로 고정된다. 강성이면서 이동 불가능한 폴딩 장치(46)는 U형을 이루는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영역은 광출사측(20)에 대해 평행하는 방향 상에서 가이드 장치(40)와 이격되며, 또한 가이드 장치(40)보다 발광체(2)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폴딩 장치(46)의 이러한 영역은 상측(25)으로부터 도 2d에 도시하지 않은 광출사측(20)을 향하고 있다.
도 2e와 도 2f의 측면도에 따르면, 날개형 부재(44)는 부분적으로 폴딩된다. 폴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날개형 부재 홀더(43)는 가이드 장치(40)의 회전을 통해 조립판(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폴딩 장치(46)와의 기계적인 접촉을 통해, 날개형 부재(44) 상에 힘이 인가되고, 상기 날개형 부재(44)는 힌지(45) 상에서 젖히게 된다. 여기서, 날개형 부재 홀더(43) 자체는 젖히지 않는다. 즉, 강성의 폴딩 장치(46)를 통해 언폴딩 장치(42)가 날개형 부재(44) 상에 지속적으로 가하는 탄성력을 극복한다. 따라서, 언폴딩 장치(42)의 스프링의 응력은 폴딩시에 사라지지 않고 지구적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날개형 부재(44) 상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더 증가시켜도 좋다.
또한, 도 2e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날개형 부재(44)는 가이드 장치(40)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 상에 볼록부(48)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 조명 장치(1)는 비교적 큰 부착력으로 조립판(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g 및 도 2h의 사시도로부터 완전히 폴딩된 날개형 부재(44)를 구비하는 홀딩 장치(4)를 볼 수 있다. 상기 위치에서, 날개형 부재(44)는 가이드 장치(40)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날개형 부재(44)는 특히 발광체(2)의 히트 싱크 내의 오목부 내에 완전히 가려진다. 날개형 부재(44)가 폴딩된 상태에서 놓이는 위치는 폴딩 장치(46)의 기하학적 형상을 통해 제공된다. 날개형 부재(44)가 폴딩된 상태에서, 조명 장치(1)는 조립판(10)의 홀(11) 내로부터 간단하게 떼어내거나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도 3a의 측면도와 도 3b 내지 3f에 따른 입체도에 의해, 홀딩 장치(4)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다. 여기서, 도 3e는 도 3d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폴딩 장치(46)로부터 이격된 일측 상에, 가이드 장치(40)는 조임 장치(6)를 구비하고, 상기 조임 장치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스크류 드라이버나 육각 스패너를 위한 수용부로 형성된다. 조임 장치(6)는 예를 들어 이른바 Philips-Kopf를 포함한다. 조임 장치(6)를 통해 가이드 장치(40)의 회전을 야기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을 통해, 날개형 부재 홀더(43)와 힌지(45)에 의해 날개형 부재(44)의 가이드 장치(40)를 따르는 위치를 가역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가역"이란, 날개형 부재(44)가 교체하여 광출력측(20)을 향하거나 광출력측(20)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임 장치(6)를 통해, 날개형 부재(44)도 가역적으로 조립판(10) 상에서 가압되거나 또는 조여질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 부재(44)의 길이와 조립판(10)의 두께 T와 무관하게, 가이드 장치(40)의 길이 L은 예를 들어 40mm(40mm를 포함)에서 250mm 사이이고, 특히 대략 95mm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폴딩 장치(42)는 U형의 미리 응력이 가해진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언폴딩 장치(42)는 힌지(45)를 통해 날개형 부재 홀더(43) 상에 고정된다. 힌지(45)는 대략 3mm의 직경과 대략 25mm의 길이를 구비하는 스크류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는 너트를 통해 잠겨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폴딩 장치(42)를 형성하는 스프링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최대 계수는 2 또는 최대 계수는 1.5인 상응하는 공차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스프링을 형성하는 금속 와이어의 두께 d는 0.8mm일 수 있으며, 감긴 직경 C는 4mm일 수 있으며, 스프링의 길이 r은 31mm일 수 있다. 스프링은 4바퀴 감겨 있을 수 있으며, 탄성 계수는 대략 209GP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날개형 부재(44)에 인가되는 탄성력은 특히, 적어도 0.05N 또는 적어도 0.1N이다. 탄성력은 예를 들어 2N보다 작거나 0.5N보다 작다.
도 4a에는 날개형 부재(44)의 상면도가 도시되며, 도 4b에는 날개형 부재(44)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날개형 부재(44)의 총 길이는 예를 들면 대략 42mm이며, 총 폭은 예를 들어 대략 23mm이다. 또한, 날개형 부재(44)의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힌지(45)의 영역 내의 두께는 예를 들어 대략 6mm이며, 도 4b에 도시되지 않은 볼록부(48)에 존재하는 단부는 예를 들어 대략 4mm이다. 평면의 날개형 부재(44)를 통해, 조립판(10) 상에서의 더욱 균일한 압력 분포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a는 가이드 장치(40)의 회전성을 실현하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회전축(60)을 구비하는 조임 장치(6)와 가이드 장치(40)는 원추 형상의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는 서로 접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임 장치(6)의 회전 축선(60)은 가이드 장치(40)의 회전 축선에 대해 90°로 젖힌다. 따라서, 회전 축선(60)은 가이드 장치(40)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1)는 하방으로 회동하기 위한 조임 장치(6)의 홀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임 장치도, 모든 다른 실시예들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형 부재(44)와 폴딩 장치(46) 사이에는 선택 가능한 스프링(7)이 존재하며, 상기 스프링은 폴딩 장치(46)의 방향을 향해 날개형 부재(44)를 끌어당긴다. 날개형 부재(44)의 폴딩 장치(4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바람직하게는 잠금 가능한 보덴 케이블을 통해 실현되며, 상기 보덴 케이블은 특히 조임 장치(6)를 통해 조종 가능하고, 상기 조임 장치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광출사측(20)에 대해 평행한 회전 축선(60)을 구비한다. 가이드 장치(40)는, 바람직하게는 평활관 또는 격자형 바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본 발명은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양한 새로운 특징 및 다양한 특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특징 및 조합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특허출원은 독일 특허 출원 102009057443.4를 우선권으로 하고, 그 공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도입된다.

Claims (15)

  1. 조명 장치(1)에 있어서,
    광출사측(20)과 상기 광출사측으로부터 이격된 상측(25)을 구비하는 발광체(2);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체(2)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기구; 및
    상기 조명 장치(1)를 고정하는 용도의 가역적으로 조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홀딩 장치(4)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 장치(4)는,
    상기 광출사측(20)을 가로지르는 가이드 장치(40);
    상기 가이드 장치(40) 상에 고정되고, 상기 광출사측(20)을 가로지르는 방향 상에서 젖힐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장치(40)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는 날개형 부재(44);
    상기 날개형 부재(44)가 상기 가이드 장치를 가로지르게 하고, 상기 발광체(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언폴딩 장치(42); 및
    상기 가이드 장치(40) 상에 위치하며, 상기 날개형 부재(44)의 상기 광출사측(20)으로부터 이격된 측면 상에 위치하는 폴딩 장치(46)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형 부재(44)는, 상기 광출사측(20) 상에서 완전히 언폴딩될 수 있고, 상기 광출사측(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될 때, 상기 폴딩 장치(46)와의 기계적 접촉을 통해 가역적으로 폴딩되고,
    상기 광출사측(20)의 기본 스팬(W0)은 폴딩된 상태의 날개형 부재(44)의 스팬(W1)보다 큰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46)는 이동 불가능하고 강성을 갖는 장치인 조명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46)는,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가이드 장치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만곡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형 부재는, 상기 가이드 장치(40)의 상기 발광체(2)로부터 이격된 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장치(40)와 이격되며, 상기 상측(25)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광출사측(20)을 향해 연장되는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40)는 스크류바, 격자형 바, 평활관, 보덴 케이블(Bowden cable), 및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40)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장치(40)의 회전을 통해, 상기 날개형 부재(44)는 상기 가이드 장치(40)를 따라 가역적으로 움직임 및 고정되는 조명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임 장치(6) 혹은 상기 조임 장치(6) 일부의, 상기 가이드 장치(40)를 가로지르는 축선(6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통해, 상기 날개형 부재(44)의 상기 가이드 장치(40)를 따르는 위치를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는 조명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4)는 상기 발광체(2) 상에서 가역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조명 장치는 하향등인 조명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측(20)의 평균 직경(W0)은 상기 상측(25)의 평균 직경(W3)보다 크고,
    상기 상측(25)의 상기 광출사측(20)에서의 투영 내에서, 상기 광출사측(20)은 상기 상측(25)을 완전히 둘러싸고, 환형의 에지(28)를 형성하는 조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폴딩 장치(42)는 스프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스프링이고,
    상기 언폴딩 장치(42)가 상기 날개형 부재(44)에 인가하는 힘은, 상기 폴딩 장치(46)가 날개형 부재(44)에 인가하는 힘보다 작은 조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부재(44)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장치(40)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48)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날개형 부재의 언폴딩 상태에서 평면(22)을 가리키고,
    상기 광출사측(20)은 상기 평면(22) 내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40)는 상기 광출사측(20)에 대해 수직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날개형 부재(44)는 상기 광출사측(20)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측(20)에 대해 평행하고 중력에 대해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조명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부재(44)는 힌지(45)와 날개형 부재 홀더(43)를 통해 상기 가이드 장치(40) 상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45)와 상기 날개형 부재 홀더(43)는, 상기 광출사측(20)을 향하는 상기 날개형 부재(44)와 상기 가이드 장치(40) 사이의 최대각 α을 최대 92.5°로 한정하는 조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1)는 발광체 및/또는 중량이 적어도 1kg인 전원부(3)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형 부재(44)는 상기 광출사측에 수직하는 방향 상에서 적어도 15N의 힘(F)을 흡수하도록 설치되는 조명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 내지 4개의 홀딩 장치(4)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1)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구조이고,
    상기 조명 장치(1)는 조립판(10) 내의 홀(11) 내에 장착되고,
    상기 광출사측(2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형 부재(44)는, 상기 조립판(10)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측(12, 13)에 위치하고,
    상기 홀(11)의 직경(D)은 상기 광출사측(20)의 상기 기본 스팬(W0)보다 작고, 폴딩된 상태의 상기 날개형 부재(44)의 스팬(W1)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상기 조명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형 부재(44)를 죄는 것에 의해 기계적이면서 가역적으로 상기 조립판(10)에 고정되는 구조.
KR1020127017669A 2009-12-08 2010-12-08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구조 KR20120120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7443.3 2009-12-08
DE102009057443A DE102009057443A1 (de) 2009-12-08 2009-12-08 Einbauleuchte und Anordnung mit einer Einbauleuchte
PCT/CN2010/079569 WO2011069451A1 (zh) 2009-12-08 2010-12-08 照明器和具有照明器的构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200A true KR20120120200A (ko) 2012-11-01

Family

ID=4397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669A KR20120120200A (ko) 2009-12-08 2010-12-08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281410A1 (ko)
EP (1) EP2511598B1 (ko)
JP (1) JP2013513210A (ko)
KR (1) KR20120120200A (ko)
CN (1) CN102472468B (ko)
DE (1) DE102009057443A1 (ko)
TW (1) TW201135127A (ko)
WO (1) WO2011069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8613B4 (de) 2011-01-14 2016-10-20 Osram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TWI476344B (zh) * 2012-05-22 2015-03-11 Albert Chow Light emitting diodes
DE202013102148U1 (de) * 2012-12-10 2014-03-12 Zumtobel Lighting Gmbh Einbauleuchte
EP2746643B1 (en) * 2012-12-18 2017-09-06 Hella KGaA Hueck & Co. Fixing system for recessed luminaire
DE102013000030A1 (de) 2013-01-04 2014-07-10 Grohe Ag Befestigungssystem für Einbaubrausen
US9671093B2 (en) * 2013-08-28 2017-06-0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Holder for holding a carrier, a lighting module, a luminai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der for a lighting module
CN104566053B (zh) * 2013-10-26 2017-06-20 武良举 自动安装机构及自动安装灯具
DE102014205901B4 (de) * 2014-03-28 2019-05-23 H4X E.U. Leuchte
DE102014213468B4 (de) 2014-07-10 2023-03-09 H4X E.U. Leuchte für eine Rasterdecke, Verfahren zum Demontieren einer Leuchte, sowie Demontagewerkzeug
EP3101326B1 (en) * 2015-06-03 2017-05-03 Axis AB Mount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device, and methods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device
EP3870902A1 (en) * 2018-10-26 2021-09-01 ELICA S.p.A. Hood for extracting fumes
US10848844B2 (en) * 2018-12-10 2020-11-24 Bose Corporation Device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a ceiling speaker system
CN114175667A (zh) * 2019-07-29 2022-03-11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用于扬声器的安装系统
US20210094151A1 (en) * 2019-09-28 2021-04-01 Fsr Inc. Box clamp and connection box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6887B2 (de) * 1974-04-06 1977-02-24 Trilux-Lenze Kg, 5770 Arnsberg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eine deckeneinbauleuchte
US4600972A (en) * 1984-08-23 1986-07-15 Hazenlite Incorporated Emergency lighting apparatus
US6132069A (en) * 1996-07-19 2000-10-17 Moriyama Sangyo Kabushiki Kaisha Light body, light body mounting base and embedded lighting equipment
DE19713818A1 (de) * 1996-07-24 1998-02-19 Zumtobel Licht Adapter für ein Haltemittel, welches zum Befestigen einer Einbauleuchte in einer Einbauöffnung bestimmt ist, oder Haltemittel oder Einbauleuchte mit einem solchen Adapter
TR200100179A2 (tr) * 2001-01-19 2002-08-21 Bayraktarlar Motorlu Vasitalar Ti̇c. Ve San. A.Ş. Tavana monte edilen gömme armatürleri konumlandırmak için bir yapılanma ve metot
CN2530151Y (zh) * 2001-12-14 2003-01-08 林海鹰 易拆装的防雾筒灯
GB0415965D0 (en) * 2004-07-16 2004-08-18 Audio Partnership Plc Releasable mounting apparatus
DE102005032264B4 (de) * 2005-07-04 2008-04-30 Siteco Beleuchtungstechnik Gmbh Leuchteneinbaurahmen mit Befestigungsvorrichtung
ES1062064Y (es) * 2006-01-26 2006-08-01 Lamp S A Disposicion perfecionada de sujecion de armazones de luminarias y similares en falsos techos.
CA2577753C (en) * 2006-02-17 2014-09-23 Canlyte Inc. Recessed lighting fixture
EP1936265B1 (en) * 2006-03-06 2010-07-14 Antares Iluminacion, S.A. Device for installing flush-fit light fittings into a surface
GB0618295D0 (en) * 2006-09-18 2006-10-25 Bedard Sylvain Attachment mean for recessed lighting fixtures
JP2008139332A (ja) * 2006-11-29 2008-06-19 Sony Corp 撮像装置の埋込み金具、撮像装置の埋込み構造、及び撮像装置の埋込み方法
US7530717B2 (en) * 2007-02-07 2009-05-12 Genlyte Thomas Group Llc Recessed light can height adjustment
CN201159412Y (zh) * 2007-12-30 2008-12-03 张德奕 一种筒灯
CN201221717Y (zh) * 2008-06-13 2009-04-15 冼国英 一种嵌入式筒灯的改良结构
US20100039829A1 (en) * 2008-08-12 2010-02-18 Ge Investment Co., Ltd. Light-emitting diode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1410A1 (en) 2012-11-08
EP2511598B1 (en) 2015-10-14
WO2011069451A1 (zh) 2011-06-16
TW201135127A (en) 2011-10-16
EP2511598A4 (en) 2014-01-22
DE102009057443A1 (de) 2011-06-09
CN102472468B (zh) 2014-08-20
JP2013513210A (ja) 2013-04-18
EP2511598A1 (en) 2012-10-17
CN102472468A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0200A (ko)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구조
US9239149B2 (en) Recessed luminaire
US9239153B2 (en) Light fixtures and processes for use thereof
US8398273B2 (en) Surface-mounted or wall-mounted luminaire
US20110128737A1 (en) Angle-adjusting led lighting apparatus
US9890932B2 (en) Luminaire
KR20130008369A (ko)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JP2012252928A (ja) Led照明灯具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200482259Y1 (ko) 기구물 취부장치
KR200467056Y1 (ko) 설치 용이한 매립형 조명 기구
KR20160123170A (ko) 마감패널 결합구 및 이를 구비한 천장 및 벽면 마감장치
KR200492446Y1 (ko)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KR101417839B1 (ko) 작업성 향상 조명등
KR200390194Y1 (ko) 일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JP5785972B2 (ja) ヒートシ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8561961B1 (en) Captive hardware for improved installation
KR200468802Y1 (ko) 램프 마운팅장치
KR101369096B1 (ko) 광 반도체 조명장치
CN219264169U (zh) 应用于隧道的安装组件和隧道照明设备
KR20130051212A (ko)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KR200356235Y1 (ko) 원터치에 의하여 천장에 매립되는 형광등기구
KR20080108790A (ko) 고정 브라켓을 갖는 조명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450485Y1 (ko) Led 모듈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등기구
JP6406746B2 (ja) 照明器具
JP2012174837A (ja) ヒートシ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