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900A -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900A
KR20120119900A KR1020120113012A KR20120113012A KR20120119900A KR 20120119900 A KR20120119900 A KR 20120119900A KR 1020120113012 A KR1020120113012 A KR 1020120113012A KR 20120113012 A KR20120113012 A KR 20120113012A KR 20120119900 A KR20120119900 A KR 2012011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function
frame
occupant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883B1 (ko
Inventor
박택주
Original Assignee
박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택주 filed Critical 박택주
Priority to KR102012011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88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체어리프트차량을 이용하는 환자 및 장애인과 운전자 및 도우미들의 안전에 관한 것으로, 차량운행 시 빈번하게 일어나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탑승자 보호용으로 일체형 본체 및 탑승자 유형별 이동식 보호장비(대표도.600부)가 설치된 본체와 (50부)의 바닥 회전 부를 구비하여 침대형 휠체어 이용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중형 보장구(스쿠터. 전동 휠체어 등)도 격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중증장애 이용자 또한 운행중에도 보호 간병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양,측면 및 전,후방 충격시에도 안전하게 보호함에 따라 운전자 및 도우미들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불필요한 동작과 자세를 소멸시킴으로써 보다 안정된 업무 환경을 제공함에 따라 이용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심적 안정감을 부여하고 또한 자동차 전용도로와 고속도로 이용도 가능하도록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이용자를 보호하는 일체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회적 부담비용을 줄이고 복지용품 해외 진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개발한다.

Description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Wheelchair lift car passenger safeguard}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 리프트차량 탑승자 안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인이 특허출원한(출원번호 10-2012-0030253 이하:선출원) 과 동일한 맥락의 배경을 기초로 한다.
선.출원 발명고안은 이미 보급된 차량에 부착하는데 관심을 가지다 보니 하나의 차종에 초점이 되었다.
이에 다양한 차종과 앞으로 지원될 차량을 이용하는 장애인에게 안전에 대해 절실히 요구되는 제품이다.
선,출원 고안과 이 고안은 사고나 질병으로 수술 후 후천척수손상[Spinal Cord Trauma]후유증으로 전신 마비가 된 자, 선천성 장애인, 노인 등 리프트 차량을 이용하는 모든 장애인들에게 발생하고 있고 차량 보급이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이와 동반하여 꾸준히 늘고 있는 차량 내부 사고에 대해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장시간 이용에도 육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안정감과 편안함을 주면서 또한 운전자 동승자에게도 안도감을 주며 특히,운전자와 동승자들에게 빈번히 발생하는 다양한 안전 사고 특히 허리부상, 휠체어 고정시 머리부상 등 다양한 안전사고 발생을 없애고자 함은 기존 운행차량은 선 특허출원 제품으로 구현코자는 임무를 수행하는데 그 기능을 다하였으나 외부충격이나 심한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실험도중에 발견되었다.
이에 신차 나 신규 구조변경차량을 이용하는 탑승자에게 보다 안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한다.
모듈과 시몰 레이션 실험 과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과제 1.
선 출원 발명품을 제작하여 임상실험을 해본 결과(신차가 아닌 기존운행차량에 부차) 다른 차량의 진로방해, 끼어들기, 난폭운전 과 급출발 등은 탑승자 보호를 함에 있어 시내 주행에서는 (도.23과 도 .24) 의 사고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은 후방 낙상 과 전방보호에 있어 그 기능을 충실이 이행하였으나 외부충격(양,측면) 이나심한충돌 전방 과속 추돌사고시 탑승자가 보호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견되었고 고속도로 나 전용도로 이용시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보호장치가 필요하다.
과제 2.
이에 모듈실험 과 시몰 레이션 그 실험결과 시속 70 k m 이상주행시 전방은 더미를 보호하였으나 양.측면과 후방충격시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그 문제에 있어 전방 충격 시보다 안전한 장치가 필요함이 대두 되었고, 양. 측면 충격시 흉부보호 만으로는 부족하였고 심한 경우 심각한 부상이 관찰 예상되었고, 후방충격시에는 전동휠체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량인 활동형 휠체어 이용자가 목 부위에 심한 부상이 관찰되었다.
과제 3.
리프트차량 이용자가 전부 교통 약자이고 그중에 장애가 심한 장애인 중에 셕션이 필요하거나 혈압 조절 이 안 되거나 휴식이 필요할 때에 이용자가 몸을 뒤로 눕혀야 할 때 목과 머리를 보호하고 의지할 필요가 있었다.
과제 1.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해결하기 위해 , 본 발명은 보호 장치가 차량의 내부구조와 탑승자 사이에 신체를 안전하게 의지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기능에 안전성을 제공함에 있어 차량 본체 부와 프레임이 결합하고 충격흡수와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부속물이 구비되어 결합한 몸체가 전방, 후방, 양 측면으로부터 안전에 충분한 공간 확보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후방으로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 부가 휠체어 등받이에 위치하고 긴급 상황에도 대응이 가능 한 그 장치를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함이 당연하다.
이는 도. 23 도. 26 도. 27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 실험과 시몰 레이션 실험을 하였고 (도. 27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 실험을 통하여 일반차량(도.26)에 부착된 3열 식 고정벨트와 4열 식 고정벨트를 실험한 결과 3열 식은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어깨걸이가 없는 방향은 심각한 위험에 노출과 도.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트가 없는 방향으로 이탈, 탈출하여 심한 부상이 예상 되였고 도. 27의 4열 식은 탑승자 보호 그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가장 적합하였다.
과제 2.
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정면 부(도.1도.2,도.3) 에 서보는 바와 같이 안면과 복부, 흉부, 를 보호하는 300부에 공기주머니를 구비하였고 또한 차량 탑승자 특성을 고려하여 볼,때 작은 충격에도 이용되므로 1회용 이 아닌 바로 원상복구를 하여 수회 사용이가능 하게 하였고 도. 26과 도. 27에서 확인되었던 4열 식을 고정벨트를 부착하였을 때 생기는 찰과상과, 타박상, 골절, 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부는 탑승자 하체보호와 충격흡수 장치와,이탈을 방지하며 300부에 미치는 부담을 줄이는 인과관계를 가진다.
도 1.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 안전을 책임지며 전방충돌시 탑승자가 (300부에) 300부에 도달시 충격을 감소시키며 상체를 보호하는 기능에도 도움을 주고 또한 탑승자가 휴식이나,다른 동작을 한 후에 원위치복귀시 원상복구를 도와주는 기능과 목 받침과 등받이 을 구비한 (500부) 및 측면에 이동식 충격흡수장치 (600부)를 부착하여 해결하였다.
과제 3.
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과, 도.2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조립되어 있고 (도 22. 동작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부 와 300부를 별도로 동작하는 400부와 500부가 굴절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도. 1.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서로 긴밀한 협조를 통해 100부가 50부를 동작하여 (도.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행중에도 탑승자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 범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운전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안전성을 제공하며 탑승자 보호에 있어 부상유발 사각지대를 해소하였다.
둘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운전자와 도우미들에게 위험한 동작과 자세를 소멸시키고 부상 및 재해를 소멸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운행에 필요한 동작횟수를 줄임으로써 업무환경을 개선, 하였다.
넷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추돌사고나 돌발상황 시 차량 내부에서 일어나는 2차 부 상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다섯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이용시 혈압이나 순간 쇼크 발생시 대응이 용이하다..
여섯째. 침대형 휠체어 이용자와 중형보장구 이용자도 보호하며 휠체어 프레임을 보호하여 안전성을 높이게 되었다.
일곱 번째.4열 식 고정장치와 목 받침기능으로 탑승자 보호 기능을 높임과 동시에 사회적 부담비용을 줄였다.
여덟 번째. 장시간 이용시 휴식과 간병이 가능하고 고속도로 이용이 보다 안전하다
도 1. 전체를 조립한 대표도
도 2. 전체를 조립한 투시도
도 3. 주요 부분의 단면도
도 4. 하부 평면도
도 5. 100부 하부 측면도
도 6. 100부 상부 투시도
도 7. 90부 기호도
도 8. 100부 입체 투시도
도 9. 100부 조립 완성도
도 10. 200부 세부 기호도
도 11. 300부 각 기능별 세부 기호도
도 12. 400부 세부 기호도
도 13. 400부 기호도
도 14. 460부 기호도
도 15. 470.80부 기호도
도 16. 400부 입체 하부조립도
도 17. 600.55부 기호도
도 18. 500부 기호도
도 19. 500.560부 기호도
도 20. 500.540부 기호도
도 21. 충격완화.마감재 기호도
도 22. 동작도
도 23. 후방 실험도
도 24. 후방 사고사진
도 25. 후방 사고사진.2
도 26. 측면 실험사진
도 27. 측면 실험사진.2
도. 28 측면 시몰 레이션 실험도
본 발명의 제품 장착시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 안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23.24는 사고 영상을 부분 발췌한 사진이며 도.23.26.27.28은 모듈 실험과 3차원 프로그램 결과물이다.
도.1.2.3 은 본 발명의 조립도 이며 부속 별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고 도.4.5.6.7.8.9는 하부와 본 발명의 부속 별 기능과 각 부의 기호를 설명하며 그중에 도.8은 100부 조립완성도이다.
도. 10은 200부와 240.230부의 기호도이며 도.11은 300부에 속한 기능과 기호를 설명하며 이는 탑승자 전방 보호장치이다.
도.12.13은 400부에 속하며 본 발명의 300부와 500부를 연결하며 탑승자와 휠체어를 결박하는 중요한 장치이며 부분 조립 완성도이다.
도.14.15.16은 본 발명에 중간 기둥 부이고 또한 400부를 중간결박 과 바닥 50부를 연결하는 장치이며 각 부속 별 기능과 각부의 기호를 설명하고 도.16은 400부 부분 조립 완성도이며 또한 도면에 명시된 각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600과 55부의 기호도이며 도.18.19.20은 어깨걸이의 결박장치와 목 받침대이며 각 부속 별 기능과 각부의 기호를 설명한다.
도.21은 충격흡수와 분산 그리고 소재 기호도이며 도. 22는 발명에 동작도 이다.
이에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은 탑승자를 보호하기에 충분한 몸체와 충격을 흡수.분산 시키는 소재로 구성되어 스쿠터나 전동휠체어 같은 중형보장구와 경량휠체어를 이용하여 탑승하는 탑승자의 리프트차량을 이용함에 있어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탑승자와 보장구를 결박수납하고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치가 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부족함이 없다.
또한 전신마비 장애인이나 손을 사용치 못하는 탑승자들을 결박할 수 있는 4열 방식과 양,측면 충돌시 차종유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용도별로 이동고정 탈,부착 기능 2가지를 부착하였다
이는 장시간 이용시 신체의 피로도 를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다.
굴절 부는 승,하차 시 용이함과 결박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도.1의)에 해당하는 발명품을 설치(장착)함에 있어 다음과 같다.
(도.1 대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부 별 기능은 (도.2.3 투시도와 단면도)에서 입체 설명하고 그외 기능과 기호는 (도.4.5.6.7.9.10.11.12.13.14.15.16.17.18.19.2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의 600부를 제외한 모든 부를 차량 본체와 결합한다.
이에 있어 600부는 탈,부착이 용이하며 이동식이고 개인소유 같은 차량은 영구 부착한다.
이유;
장애인 콜 택시 등 대중교통에 해당하는 다중이용 차량의 경우 영구 부착할 시 각기 다른 체형이나 장애 정도에 따른 조건이 각기 다르기에 도.24.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승자 상황에 따라 배치 고정함이 옳고 개인소유의 경우 영구 부착함이 옳다
(도.1.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부는 50 바닥 부와 300.400.부를 연결하는 200부를 동작,기동하는 장치이고 200부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30과250을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230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승자의 다리와 복부를 보호 결박하며 250은 300부에 공기를 제공한다.
300부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승자의 복부와 흉부를 보호하며 전방충돌시 흉부와 안면을 보호하는 공기주머니를 내장하고 있다.
400부는 300부와 500부를 연결하는 중요 부이며 (도.13)에서 굴절 부와 회전 거리(길이)조절 부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승,하차 시와 탑승자의 휠체어 결박장치이다.
500부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승자의 등받이와 (도.24.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면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어깨 고정과 휠체어 프레임과 상관없이 탑승자를 보호하며 또한 전방 충격시 와 휴식 및 동작을 위해 앞으로 숙일 시 1차, 충격흡수와 귀,소(복구)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도.24.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출발이나 후방충격시 추락과 머리,목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100부는 유압과 공기를 사용하는 동작을 담당하는 기동 부로 차량바닥에 부착한다.
이유;
(도.1.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부와 50부를 가동하고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아래 위치가 유리하다.
이는 (도.4.5.6.7.8)에서 기호와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5.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은 110과 100단위에 해당하는 모든 기호,기능을 구속하는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또한 110은(도.5.6.7.8)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0에 해당하는 덮개를 지원하며 105와 하나의 몸체이며 이는 덮개 120의 회전을 담당하고 이를 지원하는 121은 106의 몸체를 관통하는 구멍을 통해 100부와 110.120을 107에 해당하는 결속 장치로 결박 구속함이 옳다
120은(도.5.6.8.9)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부와 50부가 동작 수행을 하기 위한 출입구이며 100부를 보호하는 덮개이다.
또한 105는 200의 회전중심축인 111과 하나의 몸체인 112.113.114.115 이를 영구 구속하고 지원하는 100과 하나의 몸체이다.
111은 회전의 각도를 조절하고 200부 탈출,이탈을 경비하는 112와 200의 회전과 안전을 지원하는 113.114.115와 하나의 몸체이며 114와 115는 60과의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이를 통해 200의 회전각도를 담당한다.
이는 (도.4.5.6.8.)에서 보는 바와 같이 111.112.113.114.115.200이 하나의 몸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와 도 .6의 입체도 를 통해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11은 원형이며 이는 회전을 돕는 장치를 구비한 105에 영구 구속함이 옳다
또한 111은 심한 충격시 전방으로 탈출이나 파손.등을 보강하기 위해 112와 113.114.115.20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룸이 타당하다.
이유;
이는 112는 113과 200을 보강하기 위해 113보다 몸체가 커야함이 옳으며 이는 200을 지원하는 데 있어 옳으며 또한 충격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6)의 입체도 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완전 원형이 아닌 각도를 갖춘 원형을 구비함이 옳다.
113도(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14와 115.200을 구비하는 데 있어 112의 생김새를 따르는 게 옳다.
115는 (도.8.9)에서 보는 바와 같이 60에 도움을 받기 위해 114에 구멍에 영구구속되며 이는 60부가 오작동을 일으킬 시 사고를 예방하고 113에게 피로도 를 줄이는 데 있어 탁월하다.
또한 이는(도.8) 입체개복도 를 통해 확인되었다.
도. 8 입체개복도 에 서 보는 바와 같이 90은 100부에 바닥이며 90은 평평한 바닥에 111 본체와 50부(50은 휠체어 탑승자 승차 위치이다)을 구속 제어하기 위해 ㅐ 형태의 생김새를 가진다.
이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90은 100부와 용접하여 하나의 몸체로 만들며 91과 95는 하나의 몸체이며 91은 유압과 공기견인장치를 구비하여 한몸 을 이루는 장치 60.70을 (도.8에 71)을 구속하는 자리이며 95에 92는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92는 50부를 견인하는 75가 전.후로 동작시 오작동으로 인한 탈출과 방치를 예방하기 구속하고 기능을 제어유지하기 위해 이는 하부에 위치함이 유리하다
또한 93은 113의 기능을 지원하고 제어하기 위해 113과 같은 경사를 따름이 옳고 112의 크기에 맞춰 경사 고랑을 파서 그 고랑에 구속함이 타당하다
도 .7의 96은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111을 보호 지원하는 115를 지원하여 115와 120 사이에 유격을 예방하여 100부 전체에 피로도 를 낮추며 이는 100부의 수명 연장을 위해 자리함이 옳다.
94는 (도.8)에 113과 115를 보호하고 (도.8)에 60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자리함이 옳고,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95가 92.93.94.96을 하나의 몸체를 이룸이 타당하며 또한 91과 함께 90에 구속됨이 옳다.
이유;
이는 도. 8 입체개복도 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임무수행을 함에 있어서 기능유지와 안전을 위해 90부와 100은 영구 결속함이 옳으며 60은 115를 통해 200부에 그 힘을 제공하고 115는 114와 함께 113에 전달하며 113은 111과 112 기능에 도움을 받아 200을 가동하며 120의 덮개는 (도.6.8.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수나 청소를 위해 개 방 형이 타당하고 200부와 50부의 출입을 돕기 위해 (도.6.8.9)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2의 여유로 운 공간이 필요하며 도. 8.9에서 보는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도. 9 완성도로 설명하였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은 공기를 압축하는 250과 그 공기를 전달하는 251을 구비하고 300부와 하나의 몸체 이루고 있는 220과 영구결합한다.
이유;
250은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용기이고 이 공기를 251에게 제공하여 300부에 공급하며 251은 220과 215에 구멍을 통과하여 300부와 연결되며 또한 220은 (도.3.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10부. 240부와 하나의 프레임이며 (도.3.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승자의 다리를 고정하고 복부를 보호하는 230부와 탑승자의 상반신과 안면을 보호하는 300부와 하나의 몸체로 조립하여 이룬다.
230은(도.10) 하단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격시 그 충격을 흡수 감소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탑승자의 상반신을 보호하는 300부의 기능을 가동하는 240부 에게 그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와 임무를 지시. 제공한다.
이는 도. 10의 하단에서 보는 바와 같이 230은 그 기술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20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211에 구속되어 211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있는 210부에 보호 속에 300부의 뼈대인 240에게 그 기능과 기술을 제공하며 연결됨이 타당하다.
이유;
그 기술을 제공함에 있어 230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승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며 그 부분이 탑승자의 보호 고정함에 있어 원형이 유리하며 안전을 보전하기 위해 몸체인 311은 사각형을 선택함이 건강하며 충격완화 부품인 235의 기능수행시 탈출 및 이탈을 예방하는 기능으로 233은 원형을 선택함이 옳다.
232는 300부의 기능을 공급, 지원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32는 230과 231.233.과 하나의 몸체를 가짐이 옳다. 210 부에 211은 230부의 기술과 기능수행을 지원하고 보호하고 235의 영구 기능유지를 위해 231과 협력하여 212의 원형 구멍속에 영구 구속함이 옳고 또한 230부가 300부의 기능을 돕는 232의 원활한 왕래를 돕기 위해 220과 협력하여 225의 출입구를 제공함이 타당하며 건강하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20과 210.240.241.242는 하나의 몸체이나 241.242는 300부의 뼈대이며 240은 225를 통해 230부에 기능을 232의 지원을 받아 225의 출입구를 통하여 235의 도움과 함께 하나의 몸체인 241과 242는 그 기능을 영구 수행한다.
이유;
이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30은 231과 232.233과 같이 한몸 이며 그 기능을 수행함에있어 230은 탑승자와 자신의 방어를 위해 충격분산과 흡수를 담당하는 235를 232에 결박하여 210부가 제공하는 구속부인 211을 통과하여 212와 협력하여 212에 235를 영구구속 하고 233을 220부가 제공하는 225를 통과하여 강한 전방 충격시 탑승자의 상체 보호기능을 240에게 기능수행 능력을 전달, 부여한다.
240은 220 와 210부를 통합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이며 또한 220부를 절개하여 242를 241에 부착하여 300부를 고정하는 뼈대를 제공한다.
또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400부와 연결되는 중요한 구조를 가지며 또한 기능 수행과 안전성에 있어 그만큼 중요한 구조물이기에 220부와 하나의 몸체를 절개함이 옳다.
이유;
240은 220부의 242를 241에 242를 영구 결속하기 위해 용접을 하여 융합결속함이 타당하고 하단 220부 같은 위치에 242를 용접으로 융합결속하여 탑승자가 고혈압이나 다른 상황을 포함하여 앞으로 넘어지거나 상황발생시 240과 220.21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이나 본질훼손 사고로 인한 복구불능상황을 방지하고 그 성질과 기능을 유지.보존하기 위해 235.(미는 힘을 가진 스프링)을 240과 220.210 사이 같은 위치에 결속된 242 가운데 제공하여 영구 구속함이 옳다
또한 240은 전방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탑승자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500부에 해당하는 어깨 고정장치에서 탈출하여 전방으로 추락이나 심하게 쏠릴 시 복부와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과 압력을 피해 탑승자의 부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위치를 점유하지 않고 비워둠이 옳고 그리하여 300부가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배려함이 타당하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10은 240과 241을 메우는 망사이다 이는 도. 10에서 확인. 설명한 바와 같이 탑승자 상체를 보호하고 충격흡수,분산 시키는 소재를 240과 241에 부착하고 300부를 조립,완성하는데 유리하며 320은 220부의 일부와 210.240부의 동작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탑승자와 직접 접촉하는 모든 프레임을 감싼다 이는 310.240.241.330.340을 하나로 접착제로 융합접착하여 350의 공기주머니를 보호하고 영구 구속함이 당연하다.
이유;
35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20부에 255를 통하여 작동한다.
255는 250에서 공급하는 251을 252와 결합하고 252는 주름 관이며 253이 252를 영구 보호하기 위해 254에게 구속되며 이 모든 251.252.253을 조립하여 구속한 254가 255와 조립,결합함이 타당하다.
255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방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도.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충격시 230부가 240을 기동하면 240이 위로 들리면서 250의 공기를 350에게 공급하고 원상복구시 공기를 250에게 서서히 압축시켜 내보내며 35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30부가 명령하면 340.345와 함께 240부의 도움으로 250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받아 부풀어 올라 탑승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성질이 유지되는 한 그 수명도 지속 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400부는 402.403을 통하여 410과 조립 결합하고 412는 이를 보조함이 건강하고 타당하다.
이유;
410은 420부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413의 통로를 만들고 동시에 420부를 제어하고 협력하는 415와 414를 만들어 하나의 몸체를 이룸이 타당하고 당연하다.
414는 422.423.425를 구비하여 길이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421을 원하는 위치에 작동할수 있도록 410이 지정한 위치에 영구 위치 고정함이 당연하며 415는 통로(홀) 을 만들어 421의 기능수행을 돕고 탈출을 하지못하게 경비하고 그 통로 안에서 영구 구속함이 타당하고 옳다
421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422의 구멍 내부에 (도.10)에서 235와 같은 기능의 425를 구비하여 (도.12와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420부가 위치를 명령하면 413과 414에 즉시 결박 구속되며 상황해제 하면 425의 도움으로 원상복구 한다.
이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400부의 430이 420을 통해 421에게 명령하며 421과 425는 그 명령을 충실히 수행함을 설명하였고 확인하였다.
(도.13)의 430은 402를 사용하여 420과 조립. 결합하고 이는 도. 12의 400과 410을 조립, 결합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또한 이 두 조립부는 (도.12.13.16.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절 부이고 이는 (도.12.13)에서 401 원형에 홈을 가공하여 413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함에 있어 그 방법이 건강하며 430은 탑승자의 안전하고 편안한 위치에 맞춰 420을 통해 휠체어 후면과 손잡이를 고정하며 440은 탑승자 등받이 뼈대이고 도. 13.16.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440은 410과 하나의 몸체이다.
이는 프레임을 하나로 조립,결함 함에 있어 상부가 견고하고 튼튼하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460부는 도.1.2.3.15.16.22)에서 하부 50부를 55를 통해 의지하여 400부를 고정,결속하며 460 이는 본체와 결합함에 있어 방법으로 (도.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갑(手匣)형식을 채택하였다.
이유;
이는 그 중요도에 따라 프레임 내부에 구조가 중요하며 파열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자동화시킴 을 목적으로 하여 이에 서로 긴밀한 연결 관계를 이루게 되는 (도.14의 470)과 결합시킨다.
이는 곧 차량운행에 특성상 수많은 진동에 의해 볼트 , 너트가 탈출 또는 헐거워지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14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나사 산이 가공된 너트를 460과.465 내부에 464를 삽입하여 본체(470)와 연결하고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도.14의 너트와 464)를 462와 465로 은폐시킴으로써 견고함과 안전성을 확보 햐였고 영구성을 높였다.
또한 410을 수갑(手匣) 하는 방법으로 410이 461의 상부에 착지하면 462와 자동으로 결박하는데 이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461은 새의 날개모양을 하고 있다. 410이 안착하면 462와 결박하는 것을 도. 14의 참고도에서 설명하였고 (도.51부)참고도는 (도.1.2.3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휠체어 앞바퀴 수감 부이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470은 471과 하나이며 481을 통해 480을 통과해서 460부와 조립되고 480은 485를 가지고 482.483.484로 471의 높낮이 조정 위치를 고정,조작한다.
480은 55부와 용접 융합결합됨이 타당하다.
도. 16은 100.200.300부를 제외한 프레임의 조립완성도이며 이로써 (도. 1에서 도.15)까지 명기한 기호와 기능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였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600부는 이동식 보호장비이며 600부는 밑부분이 넘어지거나 미끄러지지 않게 함이 옳다 이에 600이 하부에 위치하고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251과 연결한 350을 품은 330이 감싸고 320은 700과 330을 접착 융합결합함이 그 기능수행에 타당하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55부는 구조물바닥 부이며 이는 480을 통해 상부를 지탱하고 기능 고정하며 100의 70이 기동하고 가동할 때 탑승자의 불안감을 해소하며 차량으로부터 진동에 의한 피로도 를 둘이는 기능을 담당하며 59의 공기용기에 공기를 압축저장하여 57에게 전달.회수 순환방식을 하여 300부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함이 구조방식이 건강하고 타당하다.
이유;
이는 다음과 같다 (도.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55는 구조물이 허용하는 범위의 각도를 경사 가공함에 있어 480이 활동할 통로와 57을 삽입할 공간을 확보하고 50과480을 조립할 구멍을 가공하여 하부에 59를 내장, 장착할 공간과 공기를 순환할 통로를 갖춘다.
이를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55부에 59를 내장하고 57과 (도.9)에 52와 (도.17)에 57을 조립.결합하고 50과 480을 조립,결합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고 상호 관계를 지속,유지함에 있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룸이 타당하다.
도. 1 대표도 에 서 500부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500부는 어깨걸이 크로스바 프레임이며 이는 540부와 560부 580과 하나의 프레임으로 540부는 등받이이며 목 550은 목 받침이고 560.580은 프레임의 양측에서 프레임을 하나로 결합하는 끝 부분이다.
도. 13.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40은 410과 같은 하나의 몸체이고 580은 500부를 좌,우로 아동,조정하여 고정하고, 500부의 이탈을 방어,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유;
이는 장애인 장애군 별로 특징이 다양하기에 예를 들어 절단장애의 경우 한쪽 팔 절단으로 신체를 소실한 장애인은 당겨서 고정,결박하여야 하고 선천장애인 경우 한쪽으로 편중이나 편향시에도 각기 다르기 때문이기에 500부가 좌우로 동작함이 옳다.
이에 (도.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440을 따라 대표도.500부는 540.560.580을 하나로 조립 결합하고 용접융합함이 타당하며 580은 581(나사 산 구멍)을 구비하여 585를 이용하여 동작함이 이 또한 편리하며 타당하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540.560.580은 중심에 440을 좌,우 운행하기 위한 마름모 사각구멍을 가공하고 그 마름모 사각형을 사용함이 500부가 운행하고 건강함을 유지하는데 그 방법이 옳다.
580은 500부를 제어하고 고정하는 (585)를 가공,구비하여 560과 용접융합결합 하고 560은 540과 조립하여 용접융합결합 함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데 유리하고 타당하다.
564는 스프링이고 565는 564를 보호하고 구속하는 몸체이다 이에 (도.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564와 565를 같이 용접 융합하여 하나를 이룬다 이는 그 성질을 유지하는 한 그 영구성이 지속 되며 또한 564.565의 이 기능을 (도.19.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562.540에 510과 함께 영구 구속되어 510이 회전 후 복귀 기능을 영구 수행한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510은 565를 구비할 공간을 565와 같은 모양과 크기의 공간을 가공하고 중심부에 440을 통과하고 회전기능을 수행할 511을 구비하고 501을 구비한 500을 용접융합결합한다.
이유;
500은 어깨걸이 크로스바이고, 501은 안전벨트를 내장하고 500 기능을 보조수행 하는 통로이다 예를 들어 500이 기능수행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상황이 불리할 시 501을 통해 안전벨트를 이용하기 위한 비상상황 대처용이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560의 내,측과 외,측은 510.560과 같은 모양과 크기에 공간을 가공하고 내측은 562에 540과 결합할 구멍을 파고 560의 외,측은 580과 용접융합결합한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540은 440을 통행할 여유있는 통행 구를 가공하고 560.이 구속하고 남는 거부한 나머지 510을 구속할 공간을 510과 565의 같은 모양과 크기로 공간을 확보하고 또한 560에 563과 결합할 541을 구비하고 550과 551을 용접 융합결합한다.
이는 목 받침기능과 등 받침 기능을 수행함에 그 이유가 옳다.
도. 18.19.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540은 560의 563과 결합하기 위한 541이 돌출되어있고 540은 541과 563을 조립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이룬다.
이는 도. 17.18.19에서 보는 바와 겉이 560과 540 사이에 (510과 551.500)부를 565 와 함께 영구 구속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이룸이 옳고 안전하고 프레임의 건강성을 위해 (도.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결합하여 용접융합결합함이 타당하고 옳다.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소재가 필요하다.
이유;
320은 탑승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과 안전에 필요한 충격흡수 분산소재가 필요하여 부착되는 모든 부분에 사용되며 접착공법에 상호 융합을 도와주는 망사형 소재이고 330은 충격흡수소재 펄프와 강도조절 압축 스펀지이며, 700과 같은 외부 마감재는 스펀지 레 쟈 를 사용함이 좋고 마감재는 화재를 대비하여 방염처리를 해야함이 옳다.
도. 22는 동작도 이다.
이유;
본 고안 발명품의 활용,효과를 앞에서 설명 하였으나 보다 충분한 설명을 하기 위함이다.
도.22의 진입도 에 서 보는 바와 같이 200.300에 전면부가 존재하고 탑승자 승차시 사용하는 400부의 회전,굴절 부가 존재한다.
이는 430이 기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조건에 따라 탑승 이용공간확보 길이를 조절하고 잠금(구속)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승,하차시 500부 회전동작을 운전 담당한다.
(도.22)동작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탑승자가 차량운행중 상황에 따라 필요시 100의 70이 기동하면 이용되는 장면이다.
특히 차량운행중 셕션(가래나 침 등을 흡입기를 사용하여 제거) 호흡을 방해하는 이물질제거를 위해 몸을 뒤로 기울여 기계사용시 꼭 필요한 기능동작이다.
이로써 본 고안 발명품에 대하여 기호 및 그림.도면을 통해 충분히 설명 소명하였다.
도. 23은 후방충격시 그 강도와 충격피해 정도를 실험한 결과물중 일부를 설명. 참고 자료이며 도. 24는 전신마비 장애인이 급.발진 출발시 후방으로 추락한 사고를 영상촬영 사진이고 도,.25는 노인성 질환 편마비 장애의 노인사고를 영상촬영 사진이다.
보는 바와 같이 (도.24)에 사지마비 장애인 경우 작은 상황에도 심각한 사고가 일어나며 경증 장애인 (도.25)에 경우 그나마 손으로 다른 물체를 통해 절반 정도만 넘어갔으나 정도가 급, 출발 상황이 였 고 후방 충격이나 측면 사고는 도. 26.27.28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체적 제한이 있는 장애인 경우 600부의 필요성을 실험하였다. .
도 1.2.3.의 50;발명품 바닥 본체
51,휠체어 앞바퀴 고정부
57;휠체어 뒷바퀴 공기방석
55;기둥,바닥 회전각도 조절 고정부
100;동작 기계 구속, 가동 본체
120;100부 덮개
122;50부 높낮이 조절 부
200;전면기둥
230;하체고정부
300;상체,안면보호 부
400;회전, 굴절 부
430;잠금 손잡이
480;높낮이 조절 부
500;목, 등, 받침 고정부
도. 4.5.6.7.8.9.의.105.106.110; 100부 본체
111; 본체 샤프트
112; 회전 수납부
113; 111.122.113.114.115.200 본체
115; 회전각도 조절 부
106; 120.100 체결 부
107. 100.120 체결 부
60; 200부 공작 실린더
70; 50부 공작 실린더
도. 7의 90; 50부 본체
91; 60.70 수감 부
75; 50부 높낮이 조절 부
92; 75 수납부
93; 120 수납부
94.;130 수납부
96; 샤프트 받침 부
95; 92.93.94.96 본체
도. 10의.250; 공기 압축용기
251; 공기 주입, 흡입 호스, 수납부
220; 상부 전체 프레임
240; 상부 200부와 동일한 몸체
230; 탑승자 하체 고정 프레임
210; 전면 기둥 부 200과 동일한 프레임
211; 233 수납부
222; 231 수납부
233; 232 출입구
231; 230의 몸체
232; 230의 몸체
215; 251 출입구
225; 232 출입구
235; 스프링
241; 300부 프레임
242 스프링 고정부
400; 220과 동일한 몸체
도. 11의.300; 스펀지 가죽
310; 241, 고정 망사 흡수재
320; 흡착포
330; 충격흡수, 분산 재
340; 공기주머니
345; 공기주머니
350; 공기주머니
252; 주름 관
253; 251.252.체결 결합부
254; 253.프레임
255; 공기주입, 방출 기능 부
도. 12의 400; 220과 동일한 몸체
401; 410,출입구
402; 결합 리벳
403; 400 구멍 가공 부
410; 411.412.413.414.415 전체 프레임
411; 400과 조립,가공 부
412; 400.410 구조 보조 베이스
413; 421, 출입구
414; 420.421.430 길이조절 고정장치
415; 420 출입통로 탈출 방지 구
420; 420부 전체 프레임
421; 고정장치 가공 부
422; 422,구속 공간
423; 고정장치 가공 부
425; 스프링
도. 13의 430; 길이조절 및 고정기능 운전 손잡이
440; 410과 동일한 프레임
도. 14의 460; 462.와 동일한 프레임
461; 결박기능 수행 부
462; 결박기능 보조수행 부
463; 조립,결합 체결 부
464; 스펀지 고무
465; 470 결합부
470; 높낮이 조절 기둥 부
도. 15의 471; 높낮이 조절 부
480; 480,전체 프레임
481; 470.471, 출입 통로 및 공기 저장 부
482; 고정장치 이탈, 탈출 방지 부
483; 스프링
484; 고정기능 부
485; 고정가능 통과 부
도. 17의 600;실리콘. 우레탄 더미
251 공기 주입, 방출 호스
330; 충격흡수, 분산 재
320 흡착 재
350; 공기주머니
700; 스펀지 가죽
55; 56.58 가공 하 우 징
56; 480.57 수납부
57; 공기주머니
58; 59.수납부
59; 공기 저장용기
도. 18의 500; 어깨 고정부
540; 등받이 프레임
541; 조립, 결합부
563; 조립, 결합부
550; 목 받침 프레임
551; 목 꺽 임 방지 부
560 어깨 받침 프레임
564; 스프링
565; 탄성 제
580; 고정장치 프레임
581; 고정장치 나사 산
585 고정장치 운전 부
511; 회전기능 베어링
440;410과 동일한 프레임
도. 19의 500; 어깨 고정부
501;어깨 고정 보조벨트 출입구
510; 511.501 결합 프레임
561; 510.565 수납부 와 580 결합부
565; 564 스프링 결합부
562; 510 수납부
511; 회전기능 베어링
도,21의 700; 스펀지 가죽
320; 흡착제
330; 충격 흡수, 분산 제

Claims (1)

  1. 청구항 1.
    차체 본체와 내외부가 결합 된 프레임이 상부(1)와 하부(2),중앙(3)을 기점으로 각각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고 상부에 프레임이 탑승자의 하체와 상체를 각각 고정하고 ,후방(4)에 손잡이가 길이조절 고정되며 그 후방(5)에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비가 작동하고 각각에 수납부가 각각 분리 수행하고 상단에 공기주머니가 수회 작동하고 하단에 휠체어고정 위치에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는 공기 방석이 위치하고 하단에 회전 부가 기동하고 그 하부 측의 양축은 회전 기능수행 시 결합 된 몸체를 보호하고 피로도 를 해소하는 공기주머니가 작동하고 탑승자의 위치에 따라 장착되는 이동식 몸체 .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 그 각각의 (2)몸체를 하나로 결합하여 상부(1) 을 전, 후로 하부(2)를 높낮이를 동작시키는 100부의 하체.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 상부가 결합 된 각각의 (2)와 (3))일축에 채택한 51과 460부의 수갑(手匣) 형식의 방법과 특징.
    청구항 4.
    청구항 1에 있어 (1)의 230부의 기능과 특징.
    청구항 5.
    청구항 1에 있어 (1)일축에 각각(2)의 결합 된 250의 기능을 230부의 충격강도에 따른 350의 공기주머니 기능과 은폐의 특징.
    청구항 6.
    청구항 1에 있어 그 각각의(3),(4),(5)를 탑승자 승,하차시 그 몸체를 하나로 굴절, 회전하는 (3)의 특징.
    청구항 7.
    청구항 1에 있어 (4)의 일체형 길이조절 잠금,고정기능의 방법과 특징.
    청구항 8.
    청구항 1에 있어 (5)의 일체형 몸체의 좌,우 이동조절 목 받침과 어깨걸이 4열 식 고정방식의 특징.
    청구항 8.
    청구항 1에 있어 (2)의 공기 방석의 운영방법과 특징.
    청구항 9.
    청구항 1에 있어 (2)의 공기 주머니의 운영방법과 특징.
KR1020120113012A 2012-10-11 2012-10-11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KR101447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012A KR101447883B1 (ko) 2012-10-11 2012-10-11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012A KR101447883B1 (ko) 2012-10-11 2012-10-11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900A true KR20120119900A (ko) 2012-10-31
KR101447883B1 KR101447883B1 (ko) 2014-10-13

Family

ID=4728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012A KR101447883B1 (ko) 2012-10-11 2012-10-11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12U (ko)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오텍 장애인용 차량
KR20220061326A (ko) *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60B1 (ko) 2015-03-30 2016-11-17 박택주 장애인 대형 보장구와 탑승자 보호장치
KR102351407B1 (ko) 2020-06-10 2022-01-19 서울대학교병원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51B1 (ko) 2007-04-09 2008-01-17 주식회사 오텍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101083365B1 (ko) 2011-05-19 2011-11-14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 승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12U (ko)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오텍 장애인용 차량
KR20220061326A (ko) *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883B1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9900A (ko)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WO2020240273A1 (es) Motocicleta segura
CN106427867A (zh) 一种设置有防护气囊保护驾驶员的安全座椅
CN108602456A (zh) 便携式安全座椅
KR101360826B1 (ko)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CN106394341A (zh) 带侧防护保护功能的儿童安全座椅
CN106394343A (zh) 带锁能机构和侧防护的儿童安全座椅
CN106394333A (zh) 设有扶手的汽车安全座椅
CN106394340A (zh) 带头枕机构的儿童安全座椅
CN105966275A (zh) 舒适型儿童安全座椅
CN105922906A (zh) 带脚踏组件的儿童安全座椅
CN105946660A (zh) 带脚踏和防飞溅的安全座椅
CN105882463A (zh) 汽车用带扶手安全座椅
CN106080304A (zh) 带头枕和双向滑杆缓冲的儿童安全座椅
CN105905010A (zh) 带安全带组件和锁止铰链机构的安全座椅
CN106004552A (zh) 带安全带组件和扶手的安全座椅
CN106394334A (zh) 带安全带组件和棘爪锁能机构的安全座椅
CN106394332A (zh) 棘爪锁能汽车安全座椅
CN105922900A (zh) 带脚踏和头枕的安全座椅
CN106394342A (zh) 带安全带组件和双向滑杆缓冲机构的安全座椅
CN105922904A (zh) 带脚踏板组件的多级缓冲吸能少儿安全座椅
CN106394331A (zh) 带防飞溅保护罩组件的儿童安全座椅
CN105922895A (zh) 带脚踏和扶手的安全座椅
CN105922903A (zh) 汽车用带侧防护安全座椅
CN105922899A (zh) 带防飞溅保护罩组件的少儿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