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461A -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 Google Patents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461A
KR20120119461A KR1020110037400A KR20110037400A KR20120119461A KR 20120119461 A KR20120119461 A KR 20120119461A KR 1020110037400 A KR1020110037400 A KR 1020110037400A KR 20110037400 A KR20110037400 A KR 20110037400A KR 20120119461 A KR20120119461 A KR 2012011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ing
rotating
gear
saddle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은성헬스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은성헬스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은성헬스빌
Priority to KR102011003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461A/ko
Publication of KR2012011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Abstract

본 발명은 안장(1)을 요동시켜 승마운동을 제공받기 위한 운동기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장(1)의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지지대(10)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전?후방 고정대(21)(25)를 구비하는 브라켓부(20); 상기 브라켓부(20)의 후방 고정대(25)의 일단에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링크로 연결되고, 지지대(10)의 상에 축(31)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펌핑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발받침대(30); 및 상기 브라켓부(20)의 후방 고정대(25)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로드(43)를 편심되게 연결하여 발받침대(30)의 펌핑운동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좁은 실내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다리힘을 통해 펌핑함으로 다리 뿐만 아니라 전신운동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Riding-Type Athletic Device}
본 발명은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좁은 실내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다리힘을 통해 펌핑함으로 다리 뿐만 아니라 전신운동이 가능한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을 통해 부족한 운동량을 채우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빠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실외에서 가능했던 운동을 실내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운동기구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특히, 승마와 같은 운동은 일반인들이 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많아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운동기구가 나날이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0854579호는 「동공의 봉으로 전체적으로 유선형을 이루는데, 전단부가 상승된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단부의 상승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구동부의 운동 모드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마형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구동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1 쌍의 풀리 및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는 제 1 동력 전달 수단, 상기 제 1 동력 전달 수단으로부터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제 2 동력 전달 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 전달 수단의 커넥팅 로드의 다른 끝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하 좌우 연동 운동을 수행하는 1 쌍의 연동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승마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구동부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복수의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의 구성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승마형 운동기구는 전체적인 운동을 모터를 중심으로 구동하여 사용자가 단순히 재미를 추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운동량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0854579호 “승마형 운동기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좁은 실내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다리힘을 통해 펌핑함으로 다리 뿐만 아니라 전신운동이 가능한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장을 요동시켜 승마운동을 제공받기 위한 운동기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지지대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전?후방 고정대를 구비하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의 후방 고정대의 일단에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링크로 연결되고, 지지대의 상에 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펌핑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발받침대; 및 상기 브라켓부의 후방 고정대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로드를 편심되게 연결하여 발받침대의 펌핑운동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로드를 편심되게 연결하여 발받침대의 상하 펌핑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와 밸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은 일측에 자력에 의해 회전을 제한하여 운동량을 증가하도록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좁은 실내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다리힘을 통해 펌핑함으로 다리 뿐만 아니라 전신운동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 브라켓부(20), 발받침대(30), 회전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부(20)는 상기 안장(1)의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지지대(10)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전?후방 고정대(21)(25)를 구비한다. 지지대(10)는 중심축을 통해 전?후방으로 나뉘어 지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장(1)과 지지대(10)의 사이에 개재되는 브라켓부(20)를 구비하는 바, 브라켓부(20)는 안장(1)의 하부 전방에 전방 고정대(21)가 설치되고, 하부 후방에 후방 고정대(25)를 연결하여 안장(1)을 중심으로 브라켓부(20)가 회동 가능하여 안장(1)이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방 고정대(21) 상에 조절레버(22)를 통해 전방 고정대(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발받침대(30)는 상기 브라켓부(20)의 후방 고정대(25)의 일단에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링크로 연결되고, 지지대(10)의 상에 축(31)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펌핑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발받침대(30)는 사용자가 안장(1)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받침대(30) 상에 발을 안착시켜 상?하 펌핑운동을 시행하게 되는 바, 발받침대(30)를 하부로 누른 상태가 되면 후방 고정대(25)는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안장(1)의 후방도 함께 상승한 상태로 형성되고, 다시 발받침대(30)가 상부로 올라오면 전방 고정대(21)가 상승함과 동시에 안장(1)의 전방도 올라감으로 안장(1)이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40)은 상기 브라켓부(20)의 후방 고정대(25)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로드(43)를 편심되게 연결하여 발받침대(30)의 펌핑운동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회전수단(40)은 상술한 발받침대(30)의 펌핑운동에 의한 과부하를 방지하는 것으로 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분배하여 과부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40)은 회전로드(43)를 편심되게 연결하여 발받침대(30)의 상하 펌핑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기어(41), 상기 구동기어(41)와 맞물려 회전하는 보조기어(42a)를 구비하는 피동기어(42), 상기 피동기어(42)와 밸트(44)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45)을 구비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회전수단(40)은 후방 고정대(25) 상에 형성되는 회전로드(43)가 구동기어(41) 상에 편심되는 위치에서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상술한 발받침대(30)를 상?하로 이동 시 회전로드(43)에 의해 구동기어(4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구동기어(41)와 맞닿는 보조기어(42a)를 통해 피동기어(4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발받침대(30) 상에 압력을 가해 눌렀을 때, 상술한 구동기어(41)의 회전력에 의해 발받침대(30)가 다시 상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밸트(44)는 체인(미도시)으로 사용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이때, 상기 회전드럼(45)은 일측에 자력에 의해 회전을 제한하여 운동량을 증가하도록 자석(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자석(46)은 회전드럼(45)의 후방 하측에 위치하여 하부에 스프링(47)을 구비하고, 와이어(48)를 통해 자석(46)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안장(1)에 안착하여 운동량을 높이기 위하여 전방에 형성되는 조절기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조절기와 연결되는 와이어(48)가 감겨져 상기 자석(46)의 일측을 당겨 회전드럼(45)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다시 조절기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47)에 의해 자석(46)의 일측이 상승하여 회전드럼(45) 상에 자석(46)이 근접하여 회전을 제한하게 됨으로 운동량이 증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부(20)의 전방 고정대(21) 상에 회전수단(40)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작동된 시간, 소모된 칼로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계기판(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회전수단(40)의 회전드럼(45)의 측면에 수은센서 및 자석센서 등을 부착하여 회전드럼(45)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칼로리 측정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부에 음악을 내장하여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운동에 흥미를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가 안장(1)과 발받침대(30) 상에 안착한 상태에서 발받침대(30)를 가압하여 힌지 고정되어 있어 하부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발받침대(30)는 후방 고정대(25)와 링크 결합되고, 회전로드(43)로 인하여 구동기어(41)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피동기어(42), 회전드럼(45)이 회전하여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좁은 실내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다리힘을 통해 펌핑함으로 다리 뿐만 아니라 전신운동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안장 10: 지지대
20: 브라켓부 21: 전방 고정대
25: 후방 고정대 30: 발받침대
31: 축 40: 회전수단
41: 구동기어 42: 피동기어
43: 회전로드 42a: 보조기어
44: 밸트 45: 회전드럼

Claims (3)

  1. 안장(1)을 요동시켜 승마운동을 제공받기 위한 운동기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장(1)의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지지대(10)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전?후방 고정대(21)(25)를 구비하는 브라켓부(20);
    상기 브라켓부(20)의 후방 고정대(25)의 일단에 관절운동이 가능하게 링크로 연결되고, 지지대(10)의 상에 축(31)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펌핑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발받침대(30); 및
    상기 브라켓부(20)의 후방 고정대(25)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로드(43)를 편심되게 연결하여 발받침대(30)의 펌핑운동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40)은 회전로드(43)를 편심되게 연결하여 발받침대(30)의 상하 펌핑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기어(41), 상기 구동기어(41)와 맞물려 회전하는 보조기어(42a)를 구비하는 피동기어(42), 상기 피동기어(42)와 밸트(44)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45)은 일측에 자력에 의해 회전을 제한하여 운동량을 증가하도록 자석(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KR1020110037400A 2011-04-21 2011-04-21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KR20120119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400A KR20120119461A (ko) 2011-04-21 2011-04-21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400A KR20120119461A (ko) 2011-04-21 2011-04-21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461A true KR20120119461A (ko) 2012-10-31

Family

ID=4728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400A KR20120119461A (ko) 2011-04-21 2011-04-21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4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4100A (zh) * 2016-08-08 2018-02-16 马正华 一种儿童摇摇车
KR20210071574A (ko) * 2019-12-06 2021-06-16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승마형 허벅지 운동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4100A (zh) * 2016-08-08 2018-02-16 马正华 一种儿童摇摇车
KR20210071574A (ko) * 2019-12-06 2021-06-16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승마형 허벅지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8413B2 (en) Rocking exercise apparatus
JP3223318U (ja) 振動フィットネス器具
CN201415026Y (zh) 一种仿骑马的脚踏健身车
US7338412B2 (en) Rocking exercise apparatus
US8092350B2 (en) Electric stepper
US20130296137A1 (en) Exercise rowing machine with power generation
TW201427749A (zh) 具腿部橢圓軌跡之運動器材
JP2016016327A (ja) 乗馬用運動器具
KR20120119461A (ko) 승마용 운동기구 구조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JP5028348B2 (ja) 揺動型運動装置
CN101732828A (zh) 椭圆机的结构
KR20110132774A (ko) 실내운동용 산악자전거 기구
CN110141472B (zh) 一种实现脚踏按摩的学生座椅
TWI668034B (zh) 運動設備
KR20100053051A (ko) 승마형 운동기구
JP2008011990A (ja) 着座型運動装置
CN109908545B (zh) 踩踏式震动装置
CN203577245U (zh) 一种健身车
CN103082713A (zh) 一种电动摇椅
CN208582677U (zh)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JP3213959U (ja) 健康器具
KR101568856B1 (ko) 승마 운동기구
CN112168602A (zh) 律动运动与起身辅助装置
JP3202231U (ja) 運動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