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047A -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047A
KR20120119047A KR1020110036781A KR20110036781A KR20120119047A KR 20120119047 A KR20120119047 A KR 20120119047A KR 1020110036781 A KR1020110036781 A KR 1020110036781A KR 20110036781 A KR20110036781 A KR 20110036781A KR 20120119047 A KR20120119047 A KR 2012011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lead
voice coil
lead plates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295B1 (ko
Inventor
김동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셀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셀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셀웨이
Priority to KR102011003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295B1/ko
Priority to PCT/KR2012/002868 priority patent/WO2012144773A2/ko
Priority to CN201280019067.9A priority patent/CN103548363B/zh
Priority to EP12773603.1A priority patent/EP2701403A4/en
Priority to US14/112,314 priority patent/US20140233766A1/en
Publication of KR2012011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04R9/047Construction in which the windings of the moving coil lay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스피커로 되는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들이 각각 인쇄된 2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이 연속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2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 상단에는 가는 박막 형상의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위치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들과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FLAT TYPE SPEAKER CONTINUOUSLY CONNECTED MULTI MAGNETIC CIRCUIT}
본 발명은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스피커로 되는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자석 사이에 개재된 보이스 코일판 및 진동판을 구비하며, 보이스 코일판의 움직임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함으로써 음을 발생한다.
평판형 스피커에 사용되는 보이스 코일판은 플레이트 형상의 코일 베이스 단면 또는 양면에 타원 형태로 와권되거나 인쇄 패턴되어 형성된다.
보이스 코일판은 전류가 보이스 코일을 통하여 흐르면 이때 흐르는 전류가 보이스 코일의 주위에 오디오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팽창했다가 수축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게되고, 보이스 코일은 스피커 유니트 내의 자석에 의하여 발생된 자기장에 걸려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자기장에 대응하여 보이스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면서 보이스 코일판이 상하 이동하게 되고, 보이스 코일판이 스피커 유니트의 진동판에 연결되어 있음으로 진동판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공기를 밀어내 그 공기의 진동에 의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평판형 스피커는 출력 용량의 증대와 더불어 그 크기가 점점 가늘어 지고 긴 구조를 갖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으며, 나아가 평판형 스피커의 출력 용량의 증대를 위해 다수개의 자기회로를 결합시킨 구조의 평판형 스피커의 개발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자기회로를 결합시킨 평판형 스피커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들이 각각 인쇄된 2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이 연속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2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 상단에는 가는 박막 형상의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위치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들과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중 2개의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양단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 스플라인과,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판과 면대면 접촉되는 진동 스플라인과, 상기 컨택트 스플라인과 상기 진동 스플라인을 연결하는 날개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중 2개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상기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 스플라인과,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판과 면대면 접촉되는 진동 스플라인과, 상기 컨택트 스플라인과 상기 진동 스플라인을 연결하는 날개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중 다른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상기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동박판 형태의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보이스 코일들과의 전기적인 단락 및 개방에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들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이스 코일들이 병렬 연결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서로 대칭되어 180도 회전된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보이스 코일들마다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이스 코일들이 직렬 연결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보이스 코일들마다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이스 코일들이 직렬 연결인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서로 대칭되어 180도 회전된 형태로 위치되고, 하나의 진동-리드 플레이트가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면 다른 하나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인접된 다른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며, 다른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2개의 보이스 코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의 하단은 장방형의 댐퍼의 세로 중심부에 위치한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댐퍼의 외변은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하단 외곽측에 형성된 댐퍼 가이드에 장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싱글 구조 평판형 스피커의 고출력의 난제, 대단히 가늘고 긴 구조의 스피커 개발의 난제, 스피커가 슬림하고 아주 길어질수록 마주보는 N,S극의 구조로 형성된 자기회로가 서로 잡아 당기는 힘으로 중심부가 휘어지게 되는 난제 등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평판형 스피커 유니트 내부의 와이어 및 리드선을 없애므로서 생산성 및 불량율 감소의 획기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연속된 자기회로와 보이스 필름의 상하 진동 및 진동-리드 플레이트와 진동판의 면대면 접촉으로 진동판에 더욱 많은 사운드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슬림하면서 플랫한 고출력 평판형 스피커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병렬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수개 자기회로의 병렬 연결과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직렬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수개 자기회로의 직렬 연결과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직렬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다수개 자기회로의 병렬 연결과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베이스 프레임, 보이스 코일판과 댐퍼의 연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의 자석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프레임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수개의 자기회로는 보이스 코일이 인쇄된 보이스 코일판이 2 이상인 경우를 의미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평판형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판(또는 자기회로)이 2개가 연속적으로 위치되는 경우이며, 3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위치되는 경우도 동일한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2 이상의 보이스 코일(자기회로)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는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이용하며, 진동-리드 플레이트와 보이스 코일을 연결시켜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병렬로 또는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수개의 자기회로의 병렬 연결 구조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되고, 직렬 연결 구조의 일예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되며, 직렬 연결 구조의 다른 예는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된다.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제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병렬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는 베이스 프레임(11), 자기체(12a, 12b), 2개의 보이스 코일판(13a, 13b),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 진동판(15) 및 댐퍼(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프레임(11)은 평판형 스피커의 외관을 이루며, 내부로는 한 쌍의 자기체(12a)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 배열되어 위치되고, 다른 한 쌍의 자기체(12b)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 배열되어 위치된다.
한 쌍의 자기체(12a)와 다른 한 쌍의 자기체(12b)는 횡으로 배열된다.
한 쌍의 자기체(12a)와 다른 한 쌍의 자기체(12b) 각각의 사이에는 단면 또는 양면에 보이스 코일이 패턴 인쇄되거나 와권된 보이스 코일판(13a, 13b)이 위치된다.
2개의 보이스 코일판(13a, 13b) 상단으로는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가 위치되고, 하단으로는 보이스 코일판의 진동을 보조하기 위한 댐퍼(16)가 위치된다.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는 하부의 보이스 코일판(13a, 13b)의 +, -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양단 4개소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단자대가 형성되고 이 단자대는 베이스 프레임(11)의 양단에 형성된 부분에 위치되어진다.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 상단으로는 진동판(15)이 위치되고,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와 진동판(15)은 면대면으로 접촉된다. 면대면 접촉으로 진동판(15)에 더욱 많은 사운드 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외부로부터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의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판(13a, 13b)에 형성된 보이스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흘르고, 흐르는 전류가 보이스 코일의 주위에 오디오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팽창했다가 수축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보이스 코일은 평판형 스피커 내의 자기체(12a, 12b)에 의하여 발생된 자기장에 걸려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자기장에 대응하여 보이스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면서 보이스 코일판(13a, 13b)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고, 보이스 코일판(13a, 13b)이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에 의해 평판형 스피커의 진동판(15)에 연결되어 있음으로 진동판(15)이 상하로 진동되면서 공기를 밀어내 그 공기의 진동에 의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평판형 스피커는 작게는 출력 2W에서 향후에는 대용량 출력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용량 출력을 갖는 평판형 스피커는 그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고 또한 폭이 가늘어 질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가늘고 길어지는 평판형 스피커의 고출력 스피커에 부합되는 스피커의 구조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출력 스피커를 제안하기 위해 2 이상의 자기회로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하되, 자기회로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형성시켜 이를 보이스 코일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이와 함께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상부측의 진동판과 면대면 접촉을 시켜 진동판으로의 사운드 에너지 전달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다수개 자기회로의 병렬 연결과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보이스 코일판(13a, 13b)은 2개가 연속적으로 횡 배열된 상태로 놓인다.
보이스 코일판(13a, 13b)은 추가적으로 스피커의 출력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횡으로 연속적으로 계속 추가될 수 있지만,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는 그 길이와 스플라인의 구조만 변경될 뿐 그 수는 항상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를 이루는 각종의 스플라인은 사전적인 의미로서 금속 등의 가늘고 긴 박판(薄板)을 의미한다.
보이스 코일판(13a, 13b)은 트랙 형태로 패턴 인쇄된 보이스 코일(26a, 26b)을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26a, 26b)은 보이스 코일판(13a, 13b) 양면에 인쇄된 형태를 갖는다.
보이스 코일(26a, 26b)의 +, - 리드선은 각각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 각각은 보이스 코일(26a, 26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단자(24a, 24b)를 갖는 컨택트 스플라인(21a, 21b)과,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판(15)과 면대면 접촉되는 진동 스플라인(23a, 23b)과, 컨택트 스플라인(21a, 21b)과 진동 스플라인(23a, 23b)을 연결하는 날개 스플라인(22a, 22b)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4개소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25a, 25b)가 형성된다.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는 하나를 기준으로 대칭되어 180도 회전된 위치로 장착되며, 둘의 구조는 동일하게 제작되어 생산성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보이스 코일(26a)의 하나의 리드선은 진동-리드 플레이트(14a)의 연결단자(24a) 중 하나의 단자(+ 단자)와 연결되며, 보이스 코일(26a)의 다른 리드선은 진동-리드 플레이트(14b)의 연결단자(24b) 중 하나의 단자(- 단자)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보이스 코일(26b)의 하나의 리드선은 진동-리드 플레이트(14a)의 연결단자(24c) 중 하나의 단자(+ 단자)와 연결되며, 보이스 코일(26b)의 다른 리드선은 진동-리드 플레이트(14b)의 연결단자(24d) 중 하나의 단자(- 단자)와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2개의 보이스 코일(자기회로)은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 구조를 갖게 된다.
연결단자(24a 내지 24d)는 날개 스플라인(22a, 22b)을 통해 전원단자(25a, 25b)와 연결된다.
날개 스플라인(22a, 22b)은 전원단자(25a, 25b)와 연결단자(24a 내지 24d)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며, 또한 컨택트 스플라인(21a, 21b)과 진동 스플라인(23a, 23b)과 연결되어 진동 스플라인(23a, 23b)의 진동에너지를 높이기 위한 댐퍼 브릿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진동 스플라인(23a, 23b) 각각은 상부의 진동판(15)과 면대면으로 접촉되어 진동판(15)으로의 진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진동-리드 플레이트(14a, 14b)는 진동판(15) 하부에 면장착되어 보다 많은 진동 에너지를 진동판과 함께 진동시켜 소리에너지 출력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양단에 +, - 단자를 형성하고 메탈 금속판으로 형성시켜 기존의 보이스 코일과 회로 연결을 위해 사용했던 리드선(은사선)의 납땜 연결을 없애고 리드선 역할을 메탈 금속판으로 대체하여 리드선의 끊김에 의한 불량을 없애고 공정상의 어려움을 해결한다.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제2 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직렬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다수개 자기회로의 직렬 연결과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는 베이스 프레임(31), 자기체(32a, 32b), 2개의 보이스 코일판(33a, 33b),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34a, 34b), 진동판(35) 및 댐퍼(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와 진동-리드 플레이트와 보이스 코일간의 접속 구조가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서만 서술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리드 플레이트(34a, 34b)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보이스 코일판(33a, 33b)은 2개가 연속적으로 횡 배열된 상태로 놓인다.
보이스 코일판(33a, 33b)은 트랙 형태로 패턴 인쇄된 보이스 코일(46a, 46b)을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46a, 46b)은 보이스 코일판(33a, 33b) 양면에 인쇄된 형태를 갖는다.
보이스 코일(46a, 46b)의 +, - 리드선은 각각 진동-리드 플레이트(34a, 3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진동-리드 플레이트(34a, 34b) 각각은 보이스 코일(46a, 46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단자(44a, 44b)를 갖는 컨택트 스플라인(41a, 41b)과,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판(15)과 면대면 접촉되는 진동 스플라인(43a, 43b)과, 컨택트 스플라인(41a, 41b)과 진동 스플라인(43a, 43b)을 연결하는 날개 스플라인(42a, 42b)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4개소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45a, 45b)가 형성된다.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34a, 34b)는 보이스 코일(46a, 46b)의 직렬 연결을 위해 보이스 코일판(33a, 33b)을 기준으로 컨택트 스플라인(41a)은 안쪽에, 컨택트 스플라인(41b)은 바깥쪽으로 위치된다.
보이스 코일(46a)의 하나의 리드선은 진동-리드 플레이트(34a)의 연결단자(44a) 중 하나의 단자(+ 단자)와 연결되며, 보이스 코일(46a)의 다른 리드선은 보이스 코일(46b)의 하나의 리드선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보이스 코일(46b)의 하나의 리드선은 보이스 코일(46a)의 다른 리드선과 연결되며, 보이스 코일(46b)의 다른 리드선은 진동-리드 플레이트(34b)의 연결단자(44d) 중 하나의 단자(- 단자)와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2개의 보이스 코일(자기회로)은 (+)전원단자-제1 코일-제2 코일-(-)단자가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된다.
날개 스플라인(42a, 42b)은 전원단자(45a, 45b)와 연결단자(44a 내지 44d)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며, 또한 컨택트 스플라인(41a, 41b)과 진동 스플라인(43a, 43b)과 연결되어 진동 스플라인(43a, 43b)의 진동에너지를 높이기 위한 댐퍼 브릿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진동 스플라인(43a, 43b) 각각은 상부의 진동판(35)과 면대면으로 접촉되어 진동판(35)으로의 진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제3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직렬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다수개 자기회로의 병렬 연결과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스피커는 베이스 프레임(51), 자기체(52a, 52b), 2개의 보이스 코일판(53a, 53b), 3개의 진동-리드 플레이트(54a, 54b, 54c), 진동판(55) 및 댐퍼(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구조와 진동-리드 플레이트와 보이스 코일간의 접속 구조가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서만 서술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리드 플레이트(54a, 54b, 54c)는 3 개로 이루어지며, 보이스 코일판(53a, 53b)은 2개가 연속적으로 횡 배열된 상태로 놓인다.
보이스 코일판(53a, 53b)은 트랙 형태로 패턴 인쇄된 보이스 코일(66a, 66b)을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66a, 66b)은 보이스 코일판(53a, 53b) 양면에 인쇄된 형태를 갖는다.
보이스 코일(66a, 66b)의 +, - 리드선은 각각 진동-리드 플레이트(54a, 5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진동-리드 플레이트(54)는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54a, 54b)와 보이스 코일(66a, 66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단자(64c, 64d)를 갖는 제2 컨택트 스플라인(6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54a, 54b) 각각은 보이스 코일(66a, 66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단자(64a, 64b)를 갖는 제1 컨택트 스플라인(61a, 61b)과,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판(15)과 면대면 접촉되는 진동 스플라인(63a, 63b)과, 컨택트 스플라인(61a, 61b)과 진동 스플라인(63a, 63b)을 연결하는 날개 스플라인(62a, 62b)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4개소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65a, 65b)가 형성된다.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54a, 54b)는 하나를 기준으로 대칭되어 180도 회전된 위치에서 장착되며, 두 개의 구조는 조립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제2 컨택트 스플라인(61c)은 직선형으로 2개의 보이스 코일(66a, 66b)의 직렬 연결을 위해 보이스 코일판(53a, 53b)을 기준으로 안쪽에, 제1 컨택트 스플라인(61a, 61b)은 바깥쪽으로 위치된다.
보이스 코일(66a)의 하나의 리드선은 진동-리드 플레이트(54b)의 연결단자(64b) 중 하나의 단자(+ 단자)와 연결되며, 보이스 코일(66a)의 다른 리드선은 제2 컨택트 스플라인(61c)의 연결단자(64c) 중 하나의 단자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보이스 코일(66b)의 하나의 리드선은 제2 컨택트 스플라인(61c)의 연결단자(64d) 중 하나의 단자와 연결되며, 보이스 코일(66b)의 다른 리드선은 진동-리드 플레이트(54a)의 연결단자(64a) 중 하나의 단자(- 단자)와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2개의 보이스 코일(자기회로)은 (+)전원단자-제1 코일-제2 컨택트 스플라인-제2 코일-(-)단자가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된다.
날개 스플라인(62a, 62b)은 전원단자(65a, 65b)와 연결단자(64a 내지 64d)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며, 또한 컨택트 스플라인(61a, 61b)과 진동 스플라인(63a, 63b)과 연결되어 진동 스플라인(63a, 63b)의 진동에너지를 높이기 위한 댐퍼 브릿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진동 스플라인(6a, 6b) 각각은 상부의 진동판(55)과 면대면으로 접촉되어 진동판(55)으로의 진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의 베이스 프레임, 보이스 코일판과 댐퍼의 연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2개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스피커의 길이가 길어져 편진동 방지를 위해 보이스 코일판의 센타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렇듯 보이스 코일판의 센타를 정확하게 유지해주거나 보이스 코일판의 진동을 보조하는 데 댐퍼(76)가 이용된다.
댐퍼(76)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댐퍼 브릿지(76a)가 형성되고 댐퍼 브릿지 중앙에는 보이스 코일판(73a, 73b)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76b)가 형성된다. 댐퍼(76)의 4개의 변은 베이스 프레임(71)의 하단 외곽에 형성된 댐퍼 가이드(71a) 부분에 정확하게 위치되어진다.
도 7의 베이스 프레임, 보이스 코일판 및 댐퍼의 연결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31, 51, 71 : 베이스 프레임 12a, 12b, 32a, 32b, 52a, 52b : 자기체
13a, 13b, 33a, 33b, 53a, 53b, 73a, 73b : 보이스 코일판
14a, 14b, 34a, 34b, 53a, 53b : 진동-리드 플레이트
15, 35, 55 : 진동판 16, 36, 56, 76 : 댐퍼
71a : 댐퍼 가이드 76a : 댐퍼 브릿지
76b : 안착부

Claims (10)

  1. 보이스 코일들이 각각 인쇄된 2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이 연속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2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 상단에는 가는 박막 형상의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위치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들과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중 2개의 진동-리드 플레이트의 양단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 스플라인과,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판과 면대면 접촉되는 진동 스플라인과, 상기 컨택트 스플라인과 상기 진동 스플라인을 연결하는 날개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중 2개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상기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 스플라인과,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판과 면대면 접촉되는 진동 스플라인과, 상기 컨택트 스플라인과 상기 진동 스플라인을 연결하는 날개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중 다른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상기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동박판 형태의 연결단자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보이스 코일들과의 전기적인 단락 및 개방에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들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들이 병렬 연결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서로 대칭되어 180도 회전된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보이스 코일들마다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들이 직렬 연결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보이스 코일들마다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들이 직렬 연결인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서로 대칭되어 180도 회전된 형태로 위치되고, 하나의 진동-리드 플레이트가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면 다른 하나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인접된 다른 하나의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며,
    다른 진동-리드 플레이트는 2개의 보이스 코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보이스 코일판의 하단은 장방형의 댐퍼의 세로 중심부에 위치한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댐퍼의 외변은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하단 외곽측에 형성된 댐퍼 가이드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KR1020110036781A 2011-04-20 2011-04-20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KR10119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781A KR101196295B1 (ko) 2011-04-20 2011-04-20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PCT/KR2012/002868 WO2012144773A2 (ko) 2011-04-20 2012-04-16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CN201280019067.9A CN103548363B (zh) 2011-04-20 2012-04-16 多个磁回路连续连接的平板型扬声器
EP12773603.1A EP2701403A4 (en) 2011-04-20 2012-04-16 FLAT SPEAKER WITH MULTIPLE SERIALLY CONNECTED MAGNETIC SWITCHES
US14/112,314 US20140233766A1 (en) 2011-04-20 2012-04-16 Flat-type speaker having a plurality of consecutively connected magnetic circu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781A KR101196295B1 (ko) 2011-04-20 2011-04-20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047A true KR20120119047A (ko) 2012-10-30
KR101196295B1 KR101196295B1 (ko) 2012-11-06

Family

ID=4704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781A KR101196295B1 (ko) 2011-04-20 2011-04-20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33766A1 (ko)
EP (1) EP2701403A4 (ko)
KR (1) KR101196295B1 (ko)
CN (1) CN103548363B (ko)
WO (1) WO20121447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250B1 (ko) * 2011-06-08 2012-06-13 주식회사 엑셀웨이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수평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US9593835B2 (en) * 2013-04-09 2017-03-1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LED light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US9130445B1 (en) * 2014-08-04 2015-09-08 David Micah Katz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with non-circular voice coil
KR101765679B1 (ko) 2016-06-09 2017-08-08 주식회사 비에스이 모바일 디바이스용 평판 보이스 코일 스피커
KR102114439B1 (ko) * 2018-02-06 2020-05-22 김동만 다층 및 듀얼 트랙의 가동 코일을 구비한 평판형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6071A (en) * 1987-08-28 1989-08-08 Electromagnetic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ar loudspeaker system
JP3148520B2 (ja) * 1994-06-06 2001-03-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ピーカ構造
JP3443032B2 (ja) * 1999-04-14 2003-09-0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平面型スピーカ
JP2001313996A (ja) * 2000-05-02 2001-11-09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用ダンパ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同ダンパを備えたスピーカ装置
TW510139B (en) * 2001-01-26 2002-11-11 Kirk Acoustics As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a coil and a magnet circuit therefor
US6714655B2 (en) * 2001-05-11 2004-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US20030174856A1 (en) * 2002-01-25 2003-09-18 Leif Johannsen Flexible diaphragm with integrated coil
KR100533715B1 (ko) * 2003-12-05 2005-12-05 신정열 코일판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CN200994188Y (zh) * 2006-11-23 2007-12-19 无锡市大岛音响电器有限公司 小功率全频突出低频喇叭
EP1950998B1 (en) * 2007-01-29 2014-03-26 Sony Corporation Speaker unit and speaker apparatus
CN101321409B (zh) * 2007-06-06 2011-11-30 葛锦明 双磁路双音圈平板扬声器
KR101061519B1 (ko) * 2008-07-24 2011-09-02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장방형 박막스피커
KR100963559B1 (ko) 2009-07-20 2010-06-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CN101860783B (zh) * 2009-10-13 2013-10-30 东莞凡振工业电子有限公司 一种薄型扬声器
JP5322178B2 (ja) * 2009-12-07 2013-10-2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KR101052825B1 (ko) 2010-08-20 2011-07-29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초슬림형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1403A2 (en) 2014-02-26
KR101196295B1 (ko) 2012-11-06
CN103548363B (zh) 2017-06-13
CN103548363A (zh) 2014-01-29
EP2701403A4 (en) 2014-08-27
WO2012144773A2 (ko) 2012-10-26
US20140233766A1 (en) 2014-08-21
WO2012144773A3 (ko)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250B1 (ko)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수평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KR101196295B1 (ko) 다수개의 자기회로가 연속 연결된 평판형 스피커
KR101201828B1 (ko) n개의 자석과 n+1개의 보이스 코일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평판형 스피커
KR102114435B1 (ko) 하이브리드 가동 코일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스피커
KR101297658B1 (ko) 평판 스피커용 fpcb 일체형 리드 플레이트
US11284199B2 (en) Flat speaker having multilayer and dual track moving coil
KR20120094336A (ko) Pcb 보이스 코일판의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갖는 평판형 스피커
CN103563398A (zh) 具有多层pcb图形音圈薄膜的平板扬声器
KR101139386B1 (ko)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판과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
KR101119499B1 (ko) 진동판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갖는 평판형 스피커
CN110166902A (zh) 发声器件
WO2014137009A1 (ko) 적층구조의 자기회로를 구비한 고출력 평판형 스피커
KR102151222B1 (ko) 보이스 코일판의 센터 가이드를 구현한 평판형 스피커
KR101154253B1 (ko) 입체형 트랙타입 보이스코일판을 갖는 평판형 스피커
CN210807645U (zh) 喇叭
KR101247101B1 (ko) 적층구조의 자기회로를 구비한 고출력 평판형 스피커
CN220915416U (zh) 振动发声装置及电子设备
CN220915413U (zh) 发声装置及电子设备
KR20240021043A (ko) 하이브리드 코일판과 이를 이용한 평판형 스피커 및 진동 드라이버
CN220108188U (zh) 振动发声装置及电子设备
US12003937B2 (en) Speaker
CN117061962A (zh) 发声装置及电子设备
WO2022110371A1 (zh) 发声装置
CN117082412A (zh) 发声装置及电子设备
CN117082413A (zh) 发声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