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878A - 에너지?효율 송신을 위한 비트 레이트 및 전송 전력을 선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효율 송신을 위한 비트 레이트 및 전송 전력을 선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878A
KR20120117878A KR1020127021460A KR20127021460A KR20120117878A KR 20120117878 A KR20120117878 A KR 20120117878A KR 1020127021460 A KR1020127021460 A KR 1020127021460A KR 20127021460 A KR20127021460 A KR 20127021460A KR 20120117878 A KR20120117878 A KR 20120117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handset
setting
determining
transmit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740B1 (ko
Inventor
비나이 스리드하라
사우미트라 모한 다스
알록 아가왈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1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Calibration, monitoring or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references to control power, e.g. look-up-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전파-시간 거리-결정 방법은 핸드셋으로부터 AP로의 프로브 요청 송신을 전송하는 것 그리고 리턴 ACK를 수신하는 것을 수반한다. AP로 프로브 요청을 전파하는데 걸리는 시간, 턴어라운드 시간, 및 발신측이었던 핸드셋으로 ACK를 전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핸드셋에서 측정된다. 턴어라운드 시간이 측정된 시간으로부터 감산되고 이 결과는 거리 결정을 하는데 사용된다.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핸드셋에 의해 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할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된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을 수반한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의 실시에 있어서 핸드셋으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프로브 요청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에너지?효율 송신을 위한 비트 레이트 및 전송 전력을 선택하는 방법{METHOD OF SELECTING BIT RATE AND TRANSMIT POWER FOR ENERGY-EFFICIENT TRANSMISSION}
본 출원은, 35 U.S.C. §119하에서, 2010년 1월 18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Method of Selecting Rate and Modulation of Probe Packets for Energy Efficient Ranging"이고 Sridhara 등에 의한 가출원 시리얼 넘버 제 61/295,91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에너지-효율 패킷 송신을 위한 비트 레이트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복수의 AP들(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 핸드셋을 휴대하고 다님에 따라, 핸드셋에서 논-AT 스테이션(예를 들어, WiFi 능력을 가진 셀룰러 전화 핸드셋)의 위치를 아는 것은 유용하고 다수의 응용들을 갖는다. 핸드셋의 위치를 결정하는 일 방법은 AP들 간의 삼각측량을 수반한다. 핸드셋으로부터 다수의 AP들에 대한 거리들이 결정되고, 이후, 이러한 거리들 및 AP들의 위치들에 대한 다른 정보가 사용되어 핸드셋의 위치가 결정된다. 신호-세기-기반 거리-결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WiFi IEEE 802.11 네트워크에서, 핸드셋은 상이한 비트 레이트 셋팅들 및 상이한 송신 전력 셋팅들을 이용하여 AP에 전송할 수 있다.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송신 전력 셋팅의 결합은 송신의 비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체 에너지를 결정한다. AP는 송신들 호출 비컨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AP가 비컨을 전송할 경우 사용하는 전송 전력은 핸드셋에 의해 시간에 따라 추정될 수 있다. 비컨을 수신하는 핸드셋은, 핸드셋에서 비컨이 수신됨에 따라 신호 세기(RSSI)를 평가할 수 있다. 비컨을 전송했을 때 사용한 공지의 전송 전력으로부터, 그리고 비컨이 수신됨에 따라 비컨의 측정된 RSSI로부터, 핸드셋은 채널 손실을 평가할 수 있다. AP로부터 핸드셋으로의 그리고 핸드셋으로부터 AP로의 채널 손실은 일반적으로 대칭적이다. 채널 손실과 거리 간의 관계가 존재하므로, 결정된 채널 손실 정보로부터, 핸드셋은 핸드셋과 AP 사이의 거리를 근사화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환경 및 장애물들이 채널 손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핸드셋과 AP 간의 동일한 거리에 대하여, AP와 핸드셋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상이한 환경적 조건들 및 장애물들에 따라서 수신기에서 검출된 것과 신호 세기들이 상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거리의 결정은 실질적인 오차를 가질 수 있고 다소 신뢰할 수 없고 환경에 의존한다.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time-of-propagation distance-determining transaction) 및 방법은 논-AP 스테이션(예를 들어, WiFi 능력을 가진 셀룰러 전화 핸드셋)으로부터 AP로의 프로브 요청 송신을 전송하는 것 그리고 AP로부터 발신측으로의(back) 리턴 확인응답 송신(ACK)을 수신하는 것을 수반한다. 핸드셋으로부터 AP로 프로브 요청을 전파하는데 걸리는 전파 시간, AP가 프로브 요청을 수신하고 ACK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는데 걸리는 턴어라운드 시간, 및 AP로부터 발신측이었던 핸드셋으로 ACK를 전파하는데 걸리는 전파 시간이 핸드셋에서 측정된다. 턴어라운드 시간이, 측정된 시간으로부터 감산되어 라운드-트립 전파 시간이 결정된다. 핸드셋으로부터 AP로의 거리의 거리 결정을 하기 위해서 라운드-트립 전파 시간이 사용된다. 거리 결정은 때로는 "거리추정(ranging)"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전파-시간 트랜잭션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핸드셋에 의해 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할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된다. 수용가능한 수신을 달성하는 것은,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수신되는 프로브 요청의 신인성(dependability)의 측정이 얻어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보다 약간 더 많은 전송 에너지를 수반한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될 수 있는 여러가지 가능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제 1 방법으로, 비컨이 핸드셋에서 수신되고 이 수신은 채널 손실 결정을 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결정된 채널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 미리결정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조정되고, 이것에 의해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생성된다. 제 2 방법으로, 프로브 요청들의 시퀀스가 핸드셋으로부터 AP로 전송된다. 높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이용하여 제 1 프로브 요청이 전송되고 ACK가 회답으로 수신된다. 시퀀스의 각각의 연속적인 프로브 요청은 더 작은 전체 전송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프로브 요청들 중 하나가 ACK가 리턴되게 하지 않을 경우, 스퀀스가 중단된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ACK가 리턴되게 하는 최종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셋팅이다. 제 3 방법으로, 2개의 인접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진 탐색 기술이 사용되는데, 셋팅 중 하나에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ACK가 발신측으로 전송되게 하고, 셋팅들 중 다른 것에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ACK가 발신측으로 전송되게 하지 않는다. 이진 탐색이 사용되는 경우,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끊임없이 감소되기 보다는 이진 패턴으로 변경된다(단계 204).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ACK가 발신측으로 전송되게 하는 2개의 셋팅들 중 하나이다. 중심이 되는 목적은 최소 에너지 셋팅을 채널 손실의 함수로서 학습하는 것이다. 일단 학습되면, 이 절차는 반복될 필요가 없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들이 가능하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와 상관없이, 이후에, 셋팅은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으로 핸드셋으로부터 AP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일례로,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은, 핸드셋이 다수의 AP들에 의해 서빙된 영역에서 그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동작의 일부이다.
결정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의 사용이 상술된 바와 같은 거리추정을 최적화하는데 이용가능하더라도, 결정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또한, 데이터, 제어 및 관리 프레임들의 에너지-효율 송신(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비롯하여 다른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패킷 송신들을 최적화하는데 사용가능하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는 방법이 프로브 요청들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더라도, 이 방법은 또한 무선 LAN 패킷들의 다른 타입들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개요이고 따라서 필요에 의해 세부사항의 간소화들, 일반화들 및 생략들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당업자는 본 개요가 단지 예시이고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려는 취지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양상들에서, 여기에 설명된 디바이스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의 신규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단독으로 정의된 바와 같이, 여기에 제시된 비제한적인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저전력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될 수 있는 제 1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될 수 있는 제 2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위치-결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1의 저전력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의 사용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도 5의 논-AP 스테이션(3)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비트 레이트 셋팅을 변경하는 것이 프로브 요청 송신의 전체 전송 에너지를 어떻게 변경시키는지(일정한 전송 전력 셋팅을 가정함)를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1은 저전력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 및 방법 1의 다이어그램이다. 트랜잭션은 "프로브 요청"(2)로 지칭되는 송신을 논-AP 스테이션(3)(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핸드셋과 같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으로부터 AP 스테이션(4)으로 전송하는 것을 수반한다. 프로브 요청의 전송에 있어서, 비트 레이트가 낮은 경우 프로브 요청의 각각의 비트를 전송하기 위해 핸드셋의 송신기에서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비트 레이트가 높다면, 프로브 요청의 각각의 비트를 전송하기 위해 핸드셋의 송신기에서 더 짧은 시간의 양이 필요하다. 따라서, 프로브 요청(2)을 전송하기 위해 얼마나 걸리는지는 비트 레이트에 달려있다. 그러나, 핸드셋(3)으로부터 AP(4)로 프로브 요청(2)을 전파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T1)은 핸드셋(3)과 AP(4) 간의 거리의 함수이고 사용된 비트 레이트와는 무관하다.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의 다음은 턴어라운드 시간(T2)이다. 턴어라운드 시간(T2)은 일반적으로, 제조자뿐만 아니라 적용가능한 IEEE 802.11 표준 둘 모두에 의존한다. 턴어라운드 시간(T2)은, AP(4)가 프로브 요청(2)을 수신하고 확인응답 송신(4)(ACK)을 발신측이었던 핸드셋(3)으로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시간(T3)은 AP로부터 핸드셋으로 ACK를 전파하는 시간이다. AP가 ACK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는 것 이외에도, AP(4)는 이후에 "프로브 응답"(6)을 IEEE 802.11 표준으로 발신측이었던 핸드셋으로 전송한다. 전파-시간-기반 거리-결정 트랜잭션은 "프로브 응답"(6)의 수신에 의존하지 않고, 또한 지금까지 전송했던 프로브 응답에 의존하지도 않는다. 거리-결정 트랜잭션은 ACK(5)를 사용하여 시간(TM)을 측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M)은 프로브 요청의 전파의 시간(T1), AP 턴어라운드 시간(T2), 및 AP로부터 발신측이었던 핸드셋으로의 ACK 전파 시간(T3)을 포함한다.
IEEE 802.11은, AP가 ACK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도록 요구되기 전에 AP가 사용하도록 허용되는 턴어라운드 시간의 최소량을 지정한다. 그러나, 턴어라운드 시간(T2)의 실제량은 제조자 및 AP의 타입에 따라 상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P들은 대게 하드웨어 MAC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결과적으로 주어진 AP의 턴어라운드 시간은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핸드셋은 주어진 AP에 대한 턴어라운드 시간(T2)을 측정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턴어라운드 시간(T2)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고 이후 시간-오프-전파 거리-결정 트랜잭션의 변수로서 턴어라운드 시간을 제거할 수 있다. 핸드셋이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에 비트 레이트가 영향을 주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핸드셋이 ACK를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역시 비트 레이트가 영향을 준다.
도 1의 전파-시간-기반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거리가 핸드셋(3)에서 결정된다. 먼저, 시간(TM)이 측정된다. 측정된 시간(TM)으로부터 턴어라운드 시간(T2)이 감산되어 합성 라운드-트립 전파 시간(T1+T3)을 생성한다. 이 라운드-트립 전파 시간은 핸드셋으로부터 AP까지의 거리의 거리 결정을 하는데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 프로브 요청(2)을 전송할 경우, 핸드셋(3)은 다음 표준들:802.11(a) 또는 (b) 또는 (g) 또는 (n)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어느 것을 사용할지는 사용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비트 레이트 셋팅들의 세트를 정의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저(low) 비트 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핸드셋의 송신기가 오랜 시간 동안 온이고 이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또한, 핸드셋에서 ACK를 수신하기 위해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핸드셋의 수신기가 오랜 시간 동안 온이고, 이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따라서, 저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은 핸드셋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고(high)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은 핸드셋의 송신기 및 수신기가 온인 시간의 양만큼 에너지 소비가 감소하지만, AP가 프로브 요청을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고/있거나 핸드셋이 ACK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주어진 전송 전력 셋팅에서, 더 높은 비트 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주어진 거리에 대해 노이즈에 의해 콘스텔레이션(constellation)이 손상되는 확률이 증가된다. 개괄하여 말하면, 더 작은 양의 노이즈가, AP가 프로브 요청을 수신할 수 없도록 신호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일 신규한 양상에 따르면, AP에서 수용가능한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프로브 요청의 송신을 위해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의 조합이 ("전파-시간-기반 거리-결정 방법"에서의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 이 구체적인 예에서 용어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의 조합을 지칭한다.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달성하는 것은,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통신 신인성의 측정이 이루어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보다 약간 더 많은 전송 에너지를 수반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전파-시간-기반 거리-결정 트랜잭션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의 사용은 거리-결정 트랜잭션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킨다. 핸드셋이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할 수 있는 다수의 방법들이 존재한다. 예증의 목적들로 아래에 3가지 방법들이 제시된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는 제 1 방법은 "표"로 지칭된 특정 정보의 사용을 수반한다. 각각의 AP 스테이션 및 핸드셋 칩셋 판매자는 통상적으로 표를 제공한다. 이 표는, 주어진 표준 하에서 허용가능한 비트 레이트들의 어레이의 수신을 위해 필요한 최소 신호 세기를 나타낸다. 이 표는 주어진 칩셋의 수신기 특성을 기본적으로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AP 스테이션에 대한 그러한 일 표가 존재하고, 핸드셋에 대한 또 하나의 그러한 표가 존재한다. 핸드셋이 AP에 대한 표를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는 없지만, 핸드셋과 AP 스테이션에 대한 표들은 통상적으로 서로로부터 많이 다르지 않으므로 핸드셋은 다음의 채널 손실 보상 방법으로 핸드셋에 대한 표를 이용한다. 또한, 상술한 제 2 또는 제 3 방법들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핸드셋이 시간의 일 기간에 걸쳐 이 표를 학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정보가 일반적으로 표로 지칭되지만, 이 정보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 및 포맷으로 실제로 저장될 수 있다. 용어 표는 저장된 정보의 타입 및 정보의 관계를 지칭한다.
핸드셋이 AP 스테이션으로부터 비컨을 수신하고, 핸드셋은, AP 스테이션이 비컨을 전송할 때 사용한 추정된 전송 전력의 지식을 이용하여 그리고 비컨의 수신 시 핸드셋에서의 측정된 RSSI를 이용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채널 손실"을 평가한다. 미리결정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택하고(일례로, 미리결정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표로부터 획득된 최대 허용가능 비트 레이트를 수반한다) 그리고 결정된 채널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이 미리결정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조정함으로써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된다. 전송 에너지는, 비트 레이트 셋팅을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송신 전력 셋팅을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이 둘 모두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채널 손실 보상 조정의 결과는, 핸드셋이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를 이용하여 AP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이다. 이 결정을 하기 위해서 단지 하나의 비컨만이 AP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채널 손실의 더 양호한 평균을 얻기 위해서 다수의 비컨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를 결정하는 제 1 방법의 흐름도이다. 핸드셋은 최초 전송 전력 셋팅(예를 들어, 17dBm의 그의 최대 전송 전력 셋팅)을 갖는다. (AP-투-핸드셋 비컨 송신을 위한) 수신된 신호 세기가 핸드셋에서 결정된다(예를 들어, -62dBm). 비컨을 가진적 있는 핸드셋에 의해 송신이 알려지기 때문에, 그리고 비컨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전송 전력이 알려지기 때문에, 송신을 하기 위해 AP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었던 전송 전력은 17dBm인 것으로 알려진다. 따라서, 핸드셋은 채널 손실이 79dB(17dBm+62dBm)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101).
핸드셋은, AP가 복수의 허용가능한 비트 레이트 셋팅들 각각에서 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수신 전력을 나타내는 최대 허용가능한 비트 레이트 표(아래의 표 1 참조)를 알고 있다.
인덱스(i) 비트 레이트 셋팅
(RTX ,i)
최소 필요한 수신 전력
(PReq ,i) (Min. RSSI)
54Mbps -71dBm
48Mbps -75dBm
... ...
2 9Mbps -86dBm
1 6Mbps -90dBm
표 1은, -71dBm이 AP가 54Mbps 전송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RSSI이라는 것을 나타낸다(54Mbps는 802.11에서의 최대 비트 레이트 송신이다). 그러나, 핸드셋이 17dBm의 전송 전력 셋팅을 이용하였다면, AP에서 수신된 바와 같은 신호는 필요한 -71dBm이 아니라 -62dBm(17dBm 전송 전력 플러스 79dBm 채널 손실)의 더 큰 신호 세기를 가질 것이다. 핸드셋이 17dBm에서 전송하였다면, 핸드셋은 필요한 것보다 9dBm 더 많은 전력으로 전송할 것이다. 따라서, 핸드셋은, 이것이 8dBm의 감소된 전송 전력 셋팅으로 전송할 수 있고 AP는 여전히 54MBps에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결정한다. 따라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의 이 결정은, 전체 전송 에너지를 54MBps의 비트 레이트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로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전송 전력을 17dBm으로부터 8dBm 셋팅으로 낮게 조정함으로써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조정하는 것을 수반한다(단계 102).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54Mbps의 비트 레이트 셋팅 및 8dBm의 전송 전력 셋팅이다. 가급적 8dBm으로 전송 전력 셋팅을 낮게 조정하는 것보다는, 채널의 비대칭적 성격으로 인해 확인되지 않을 수 있는 추가 손실들을 고려하기 위해서 17dBm의 최초 전송 전력 셋팅이 다소 더 적은 양으로 낮게 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의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예를 들어, 54Mbps의 비트 레이트 셋팅 및 9dBm의 전송 전력 셋팅일 수 있다.
아래에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될 수 있는 제 1 방법의 구체적인 예가 있다. 이 구체적인 예에서 사용된 변수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들을 갖는다:RTx는 RTT 프로브의 전송 비트 레이트(Mbps)이고; Pmax는 최대 허용된 전송 전력(dBm)이고; C는 핸드셋과 AP 간의 채널 손실(dB)이고; Preq는 최소 필요한 수신 전력(dBm)이고; PTx는 RTT 프로브에 대한 핸드셋 RF 전송 전력(dBm)이고; PRx는 프로브 확인응답에 대한 수신 전력이고; Pmin은 최소 허용 전력(dBm)이고; TTx는 RTT 프로브에 대한 핸드셋 RF 전송 시간(마이크로초)이고; TRx는 수신할 때의 RTT 프로브의 비트 레이트(Mbps)이고; E는 RTT에 대한 핸드셋 총 RF 에너지(nJ)이고, 그리고 인덱스 i는 루핑 인덱스이고 또한 표 1의 표에서 열을 식별하는 인덱스이다. 프로브 요청 전송 전력 PTx는 Pmin보다 더 크거나 같아야하고 Pmax보다 더 작거나 같아야한다. Pmax 제약은, 핸드셋 전력 증폭기가 최대 출력 능력을 갖기 때문에 그리고 또한 무선 표준에 의해 부과된 FCC 규제들 때문에 발생한다. Pmin 제약은, CSMA(carrier-sense multiple access) 프로토콜이 정확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핸드셋 송신이 다른 핸드셋들에 의해 무선 범위에서 수신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먼저, 채널 손실(C)이 결정된다 (단계 101). 핸드셋은, AP로부터의 비컨들의 수신된 신호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AP 비컨 전송 전력을 알게 됨으로써 이 채널 손실(C)을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102), 핸드셋은 다음의 루핑 방법을 이용하여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한다. 최고 RTx,i 전송 비트 레이트로 시작하여, (Pmax-C)가 Preq,i보다 더 큰지 또는 같은지 여부에 관하여 결정이 이루어진다. 대답이 예인 경우, 비트 레이트 RTx,i는 달성가능한 것으로 결정된다. 전송 전력 PTx,i는 max(Pmin,Preq,i+C)로 설정된다. 이것은, AP가 프로브 전송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최소 필수 전송 전력이다. 수신 비트 레이트 RRx,i는 RTx,i의 함수인 것으로 추정된다. PRx,i는 RRx,i에 기초하여 추정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스트림들 또는 더 높은 대역폭은 더 높은 전력 소비에 이르게 한다. TTx,i 및 TRx,i 시간들은 주어진 프로브 및 ACK 길이 및 선택된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필요 에너지(Ei)가 계산된다. 반면에, (Pmax-C)가 Preq,i보다 더 작은 경우, RTx,i가 달성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고, 표 1로부터의 다음 최고 비트 레이트 RTx,i를 이용하여 이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이 표기법에서, 두 번째로 프로세스가 수행될 때 인덱스 i가 1에서 2로 증가된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i가 1이었을때 이 방법을 거치는 첫 번째 패스(pass)에서 54Mbps이었던 가능한 전송 비트 레이트 RTx,i는 이제, i가 2일 때 이 방법을 거치는 두 번째 패스에서 48Mbps이다. 이 방법의 루핑은, 핸드셋 전송 전력 셋팅 PTx 및 비트 레이트 셋팅 RTx(PTx 및 RTx가 함께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임)가 결정될 때까지 계속된다.
루핑 방법을 이용하여, 핸드셋이, 최소 에너지(Ei)를 제공하는 비트 레이트 셋팅 RTx,i를 선택한다. 2개의 비트 레이트 셋팅들이 동일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경우, 핸드셋은 강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 낮은 비트 레이트 셋팅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는 더 낮은 비트 레이트들이 노이즈 및 간섭의 존재 시 더 큰 신뢰성으로 디코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으로, 핸드셋이 더 높은 비트 레이트 셋팅을 선택하여 RTT 거리추정 지속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전체 채널 용량을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RTT 거리추정의 경우에서와 같이, 프로브 및 ACK 길이들(L)이 고정되는 경우, 핸드셋은 채널 손실(C)의 각각의 가능한 값(또는 범위)에 대한 최적의 비트 레이트 RTx 및 전송 전력 PTx를 사전계산할 수 있다. 이후, 핸드셋은, 채널 손실을 추정한 후, 예를 들어, 표에서 사용할 최선의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을 단순하게 룩업할 수 있다.
도 3은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될 수 있는 제 2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초기에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단계 201) 이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이용하여 프로브 요청이 전송된다(단계 202). AP 스테이션이 ACK를 발신측으로 전송하고(단계 203),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감소된다 (단계 204). 프로브 요청의 전송(단계 202)이 반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프로브 요청들의 시퀀스가 핸드셋으로부터 전송되며, 시퀀스에서의 연속적인 프로브 요청들은 전체 전송 에너지들을 끊임없이 감소시키고 있다. 각각의 프로브 요청에 있어서, AP 스테이션이 ACK를 발신측으로 전송한다. 시퀀스의 몇몇 포인트에서는, 전체 전송 에너지가 매우 낮아 AP 스테이션이 프로브 요청을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AP 스테이션이 ACK를 발신측으로 전송하지 않는다. ACK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단계 203),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ACK가 수신되게 하는 최종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되도록(단계 205) 할당된다. 이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전파-시간-기반 거리-결정 트랜잭션"의 프로브 요청들을 전송하기 위해 나중에 사용된다.
제 3 방법에서, 허용가능한 비트 레이트 셋팅들의 어레이의 인덱스들에 관한 이진 탐색을 이용하여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된다. 제 1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중간 레벨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사용된다. ACK가 수신되는 경우, 제 2 프로브 요청에 대한 전체 전송 에너지는 제 1 중간 레벨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의 0.5배이다. 그러나, ACK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 2 프로브 요청에 대한 전체 전송 에너지는 제 1 중간 레벨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의 2.0배이다. 이 프로세스는, 2개의 인접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들이 발견될 때까지 이진 탐색 방식으로 반복되는데, 셋팅 중 하나에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ACK가 발신측으로 전송되게 하고, 셋팅들 중 다른 것에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ACK가 발신측으로 전송되게 하지 않는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ACK가 발신측으로 전송되게 하는 이러한 2개의 셋팅들 중 하나이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되는 특정 방법과는 상관없이, 이 셋팅은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순차적인 거리 결정 프로브 요청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프로브 요청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이용함으로써, 핸드셋의 전체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이는, 추가적인 에너지-효율 전송을 위해 표를 학습하는 방법이다.
도 4는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300)의 다이어그램이다. 제 1 단계(301)에서, 핸드셋(3)에 의해 AP(4)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할 것인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예를들어,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이 결정된다. 제 2 단계(302)에서,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핸드셋(3)으로부터 AP(4)로 프로브 요청(2)을 전송하기 위해 이 결정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사용된다.
도 5는 위치 결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저전력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의 사용의 다이어그램이다. 핸드셋(3)은 몇 개의 AP들(4, 7 및 8) 각각에 의해 저전력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을 수행하고, 이로써 거리들(D1, D2 및 D3)을 결정한다. AP들 중 하나에 프로브 요청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AP들 중 다른 것에 프로브 요청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후, AP들(4, 7 및 8)에 관한 위치 정보(L1, L2 및 L3)와 함께 거리들(D1, D2 및 D3)의 결정들이 핸드셋(3)에 의해 사용되어 삼각측량에 의해 핸드셋(3)의 위치(L4)가 결정된다. 핸드셋(3)은 통상적으로, 노이즈의 랜덤한 소스들로부터 에러를 감소시키는 평균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서 다수의 프로브 요청들을 각각의 AP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위치 기반 상황 인식(context-aware) 컴퓨팅을 위해 위치 결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결정 트랜잭션들이 얼마나 빈번하게 수행되는지는 통상적으로 핸드셋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달려있다. 거리-결정 트랜잭션은, 핸드셋이 AP와 한번도 연관되지 않고 그리고 핸드셋이 네트워크에 한번도 연결되지 않고도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핸드셋(3)이 다수의 AP들(4, 7 및 8)에 의해 서빙된 영역 주위로 이동함에 따라, 핸드셋(3)은 저전력 거리-결정 트랜잭션들 및 삼각측량 결정들을 주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그의 위치 정보(L4)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거리-결정 트랜잭션들은 2회에 한번과 같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거리-결정 트랜잭션들은 로밍 동안 백그라운드 스캐닝이 완료되는 것보다 더 빈번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논-AP 스테이션(3)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논-AP 스테이션(3)은 셀룰러 전화 기능 및 802.11 기능을 갖는 셀룰러 전화 핸드셋이다. 셀룰러 전화 기능은 안테나(400),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통합 회로(401), 디지털 기저대역 통합 회로(40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403)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는,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전화 기능은 셀룰러 전화 통신들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가능하다. 802.11 기능은 안테나(404), RF 송수신기 통합 회로(405), 및 802.11 프로토콜 처리 유닛(406)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처리 유닛(406)은 다른 파트들(미도시) 중에서도 디지털 프로세서(407) 및 메모리(408)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의 세트들(프로그램들로도 또한 지칭됨)을 저장한다. 셀룰러 전화 기능 및 802.11 기능은 버스(409)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메모리(408) 내 프로그램들(410) 중 하나는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고, 그리고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사용하는 거리-결정 트랜잭션들을 개시하고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블록(411)은 비트 레이트 셋팅의 프로세서(407)에 의한 결정, 저장 및 사용을 나타낸다. 화살표(412)는 프로세서(407)로부터의 전송 전력 셋팅을 송수신기(405)의 송신기 부분으로의 통신을 나타낸다. 화살표(413)는 송수신기(405)의 수신기 부분으로부터 프로세서(407)로의 수신 신호 세기 표시의 통신을 나타낸다.
도 7은, IEEE 802.11(a)에 따라서 프로브 요청의 송신을 위해, 비트 레이트 셋팅이 전체 전송 에너지를 어떻게 변경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차트이다. 차트에서, 전체 전송 에너지 값들이 정규화된다. 54Mbps, 48Mbps 및 36Mbps의 비트 레이트 셋팅들을 위해 동일한 근사치인 전체 전송 에너지가 관련되는 도 7의 예에서, 36Mbps의 최저 비트 레이트 셋팅이 SNR(신호 대 잡음비)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차트 내 전체 전송 에너지 값들의 결정에서, 다음 파라미터들 및 값들이 사용되었다. 첫째로, 통신을 수신한 후, 핸드셋은 프로브 요청의 전송 전에 difs 시간량을 대기한다(MAC 파라미터 difs = 34 마이크로초). difs 값과 sifs 값은, 핸드셋 및 AP가 어떻게 채널을 사용할 것이지를 결정하는 MAC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 파라미터들이다. 이 시간 difs 동안, 핸드셋 수신기가 온이고 일 실시예에서 375mW를 소비하고 있다. 둘째로, 핸드셋이 프로브 요청을 전송한다. 프로브 길이는 33bytes이다. 이 시간 동안, 핸드셋 송신기가 온이고 961mW를 소비하고 있다. 셋째로, 이후, 핸드셋은, 375mW의 수신 전력을 소비하면서, 리스닝 모드에서 최대 최악의 경우의 sifs 시간량(MAC 파라미터 sifs = 16 마이크로초)을 대기한다. 넷째로, 이후, 핸드셋 수신기가 ACK를 수신한다. ACK 길이는 14bytes이다. ACK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시간량은 비트 레이트 셋팅에 의존한다. 핸드셋 수신기가 이 시간 동안 온이고, 핸드셋은 961mW를 소비하고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하게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와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디스크들(disks)이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에, 디스크들(discs)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 것들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일 특정 예에서, 도 6의 메모리(408)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의 프로그램(410)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이고, 프로그램(410)은 도 6의 프로세서(407)에 의해 액세스되어 실행되고, 프로그램(410)의 실행은 도 6의 논-AP 스테이션(3)으로 하여금 도 4의 방법을 실시하게 한다.
설명의 목적들로 특정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상술되었지만, 이 특허 문헌의 교시들은 일반적인 적용가능성을 가지며 상술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의 결정이 거리-결정 방법의 일부로서 상기에 설명되었지만,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의 결정이 거리-결정 방법의 일부일 필요가 없고 오히려 프로브 패킷들 이외의 패킷들의 송신 및 거리-결정 방법 이외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폭넓게 적용가능하다. 비트 레이트를 조정하기 위한 일 방법은 MIMO 송신기에서 스트림들의 수를 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적응들, 및 다양한 특징들의 조합들은 아래에 제시되는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3)

  1. (a)핸드셋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할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는 단계; 및
    (b)상기(a)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이용하여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time-of-propagation distance-determining transaction)에서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a)의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AP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핸드셋에서 수신하는 단계?상기 신호는 특정 전체 전송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송되었던 것으로 상기 핸드셋에 의해 알려짐?;
    상기 AP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핸드셋으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연관된 채널 손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미리결정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택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채널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미리결정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는 단계
    를 수반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a)의 결정하는 단계는,
    확인응답(ACK)이 발신측에 수신되지 않고 송신이 전송될 때까지 감소하는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들을 이용하여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상기 AP로의 송신들의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a)단계의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를 갖고 그리고 ACK가 발신측에서 수신되게 했던 상기 시퀀스에서 사용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되게 결정하는 단계
    를 수반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a)의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상기 AP로의 송신들의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반하고,
    확인응답(ACK)이 발신측에서 수신되게 했던 송신들의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되도록 상기 시퀀스의 상기 송신들의 상기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들이 이진 탐색 패턴으로 변경되는, 방법.
  6. (a)핸드셋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하는 미리결정된 전송 전력에 대한 최고 비트 레이트인 비트 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b)상기(a)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여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상기 AP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상기 프로브 요청은 상기 미리결정된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전송됨?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a)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비트 레이트는 복수의 허용가능한 비트 레이트 셋팅들로부터 선택된 비트 레이트인,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a)의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AP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핸드셋에서 수신함으로써 채널 손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채널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의 비트 레이트를 조정하고 그리고 상기 조정에 의해 상기(a)단계에서 상기 비트 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수반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a)의 결정하는 단계는,
    확인응답(ACK)이 발신측에서 수신되지 않았지만 송신이 전송될 때까지, 증가하는 비트 레이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상기 AP 스테이션으로의 송신들의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시퀀스의 상기 송신들은 모두, 동일한 전송 전력 셋팅을 이용하여 전송됨?; 및
    상기(a)단계의 상기 비트 레이트가, ACK가 발신측에서 수신되게 했던 상기 시퀀스에서 사용된 최대 비트 레이트가 되게 결정하는 단계
    를 수반하는, 방법.
  10. (a)미리결정된 비트 레이트에 대하여, 핸드셋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하는 최저 전송 전력 셋팅인 전송 전력 셋팅을 결정하는 단계; 및
    (b)상기(a)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전송 전력 셋팅을 이용하여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상기 AP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상기 프로브 요청은 상기 미리결정된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여 전송됨?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a)의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AP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핸드셋에서 수신함으로써 채널 손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채널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의 전송 전력 셋팅을 조정하고 그리고 상기 조정에 의해 (a)단계에서 상기 전송 전력 셋팅을 결정하는 단계
    를 수반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a)의 결정하는 단계는,
    확인응답(ACK)이 발신측에서 수신되지 않았지만 송신이 전송될 때까지, 감소하는 전송 전력 셋팅들을 이용하여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상기 AP 스테이션으로의 송신들의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시퀀스의 상기 송신들은 모두, 동일한 비트 레이트 셋팅을 이용하여 전송됨?; 및
    상기(a)단계의 상기 전송 전력 셋팅이, ACK가 발신측에서 수신되게 했던 상기 시퀀스에서 사용된 최소 전송 전력 셋팅이 되게 결정하는 단계
    를 수반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a)의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상기 AP로의 송신들의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반하고,
    각각의 송신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확인응답(ACK)이 발신측에서 수신되게 했던 송신들의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결정되도록 상기 시퀀스의 상기 송신들의 상기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들이 이진 탐색 패턴으로 변경되는, 방법.
  14. (a)논-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논-AP 스테이션)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스테이션)으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상기 프로브 요청은 복수의 허용가능한 비트 레이트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되고,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비트 레이트는, 상기 논-AP 스테이션이 상응하는 에너지량을 소비하게 할 것이고, 그리고 상기 프로브 요청의 전송에 사용된 일 비트 레이트는 상기 논-AP 스테이션에 의한 최대 송신 에너지 소비량에 상응하는 비트 레이트가 아님?;
    (b)상기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논-AP 스테이션에서 확인응답 송신(ACK)을 수신하는 단계;
    (c)상기(a)단계에서의 상기 프로브 요청의 전송과 상기(b)단계에서의 상기 ACK의 수신 사이의 시간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d)상기 논-AP 스테이션과 상기 AP 스테이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시간량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스테이션)과의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 관여하는 논-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논-AP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논-AP 스테이션은 상기 논-AP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할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논-AP 스테이션들은 상기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논-AP 스테이션으로부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이용하는, 논-AP 스테이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을 포함하는, 논-AP 스테이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논-AP 스테이션은 IEEE 802.11 통신 기능을 갖는 셀룰러 전화이고,
    상기 IEEE 802.11 통신 기능은 상기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논-AP 스테이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은, 상기 프로브 요청이 상기 논-AP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시기의 시간과 확인응답(ACK)이 상기 논-AP 스테이션에 응답으로 수신되는 시기의 시간 사이의 시간 차를 측정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논-AP 스테이션.
  19.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수단은,
    (a)논-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논-AP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할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고; 그리고
    (b)상기(a)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이용하여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논-AP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것인,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은 비트 레이트 셋팅 및 전송 전력 셋팅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수단은 또한,
    상기 AP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논-AP 스테이션으로의 신호의 송신과 관련된 채널 손실을 결정하는 것; 및
    미리결정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택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채널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미리결정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는 것
    에 의해,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기 위한 것인,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수단은 또한,
    상기 논-AP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상이한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들을 이용하여 상기 논-AP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AP 스테이션으로의 송신들의 시퀀스를 전송하게 하는 것; 및
    상기(a)단계의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ACK를 발신측으로 전송되게 했던 상기 시퀀스의 상기 송신에서 사용된 상기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되게 결정하게 하는 것
    에 의해, 상기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기 위한 것인, 장치.
  23.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논-AP 스테이션(논-AP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프로브 요청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제공할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결정된 최저 전체 전송 에너지 셋팅이 전파-시간 거리-결정 트랜잭션에서 상기 논-AP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프로브 요청의 전송에 사용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27021460A 2010-01-18 2011-01-18 에너지―효율 송신을 위한 비트 레이트 및 전송 전력을 선택하는 방법 KR101466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591810P 2010-01-18 2010-01-18
US61/295,918 2010-01-18
US12/817,036 2010-06-16
US12/817,036 US8385243B2 (en) 2010-01-18 2010-06-16 Method of selecting bit rate and transmit power for energy-efficient transmission
PCT/US2011/021572 WO2011088466A1 (en) 2010-01-18 2011-01-18 Method of selecting bit rate and transmit power for energy-efficient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878A true KR20120117878A (ko) 2012-10-24
KR101466740B1 KR101466740B1 (ko) 2014-11-28

Family

ID=4427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460A KR101466740B1 (ko) 2010-01-18 2011-01-18 에너지―효율 송신을 위한 비트 레이트 및 전송 전력을 선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85243B2 (ko)
EP (1) EP2526727A1 (ko)
JP (2) JP5770209B2 (ko)
KR (1) KR101466740B1 (ko)
CN (1) CN102783225B (ko)
TW (1) TW201204122A (ko)
WO (1) WO2011088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3250B2 (en) * 2003-04-03 2010-12-14 Network Security Technologies, Inc.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EP2332375B1 (en) * 2008-09-29 2018-08-1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pparatus,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power control or power setting
KR20130073147A (ko) * 2011-12-23 2013-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변 장치를 검색하는 무선 장치 및 방법
US9386584B2 (en) * 2012-06-11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Inter-frame spacing duration for sub-1 gigahertz wireless networks
EP2862399B1 (en) * 2012-06-18 2016-11-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improved scanning in wireless network
US20140301375A1 (en) * 2013-04-05 2014-10-09 Ashraf Nusairat Timing advance method for synchronized wifi network
US10034188B2 (en) 2013-09-18 2018-07-24 Intel Corporation Fine-timing measurement exchange
WO2015099759A1 (en) 2013-12-27 2015-07-0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Location determining scheme
US10057717B2 (en) 2013-12-27 2018-08-2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Location determining scheme
GB2521869B (en) * 2014-01-07 2020-09-09 Novar Ed&S Ltd Control units, mounted units, and methods of controlling mounted units using control units
KR20160095144A (ko) 2014-02-10 2016-08-10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개선된 비행시간법 성능을 위한 송신 전력 제어
US10051581B2 (en) 2014-03-14 2018-08-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Wifi efficient network transition
US9591564B2 (en) * 2014-03-31 2017-03-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for dynamic traffic offloading and transmit point (TP) muting for energy efficiency in virtual radio access network (V-RAN)
US10165510B2 (en) 2014-04-25 2018-12-25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763209B (zh) * 2014-12-17 2018-11-16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射频功率控制方法及装置
JP6023288B1 (ja) * 2015-08-10 2016-11-09 株式会社リクルートホールディングス 混雑状況推定システムおよび混雑状況推定方法
US10165461B2 (en) * 2016-02-04 2018-1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a ranging protoco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0003968A3 (en) 1997-08-01 2003-01-28 Salbu Res & Dev Pty Ltd Method of operat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
WO2001031945A1 (en) 1999-10-28 2001-05-03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ergy-effici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routing and transmission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3577253B2 (ja) * 2000-01-31 2004-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GB0008488D0 (en) * 2000-04-07 2000-05-2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US6944460B2 (en) * 2001-06-07 2005-09-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7245946B2 (en) * 2003-07-07 2007-07-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ptimal power saving scheduler for 802.11e APSD
WO2006082627A1 (ja) * 2005-02-01 2006-08-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送信制御方法、移動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1701486A1 (en) * 2005-03-07 2006-09-1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Route selection in multi-hop cellular network
JP4598569B2 (ja) * 2005-03-09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tfc選択方法
US20060215601A1 (en) * 2005-03-14 2006-09-28 H-Stream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 wireless PAN network and a wireless LAN network
US7623545B2 (en) * 2005-10-14 2009-11-24 Menzo Wentink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control over a wireless medium between two or more devices
CA2744874C (en) 2005-11-07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for wlans and other wireless networks
CN101366195B (zh) * 2006-02-08 2015-06-1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能耗最小化的链路适配和功率控制
US20090054096A1 (en) * 2007-08-20 2009-02-26 G2 Microsystems Pty. Ltd. Low power range and position determin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US8134958B2 (en) * 2007-10-08 2012-03-13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Synchronous two-phase rate and power control in WLANs
US8897269B2 (en) 2008-01-30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pilot pollution in a wireless network
US7782829B2 (en) * 2008-06-22 2010-08-24 Intel Corporation Energy-efficient link adaptation and resource allocation for wireless OFDMA systems
US20100081389A1 (en) * 2008-09-26 2010-04-01 Jennic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pagation delay
US7702290B1 (en) * 2009-04-08 2010-04-20 On-Ramp Wirless, Inc. Dynamic energy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83225A (zh) 2012-11-14
TW201204122A (en) 2012-01-16
WO2011088466A1 (en) 2011-07-21
JP5951837B2 (ja) 2016-07-13
JP5770209B2 (ja) 2015-08-26
CN102783225B (zh) 2016-08-17
KR101466740B1 (ko) 2014-11-28
JP2015156668A (ja) 2015-08-27
US20110176468A1 (en) 2011-07-21
EP2526727A1 (en) 2012-11-28
JP2013517742A (ja) 2013-05-16
US8385243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740B1 (ko) 에너지―효율 송신을 위한 비트 레이트 및 전송 전력을 선택하는 방법
US20240089865A1 (en) Power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KR101138523B1 (ko) 랜덤 액세스 채널에서의 백오프 메카니즘
US10225804B2 (en) Power control for uplink transmissions
JP201002202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移動局によって発信されるアクセスパケットの出力を制御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EP23011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bluetooth 802.11 alternate mac/phy (amp) transmit power control (tpc)
JP6289650B2 (ja)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8472993B2 (en) Downlink and uplink pathloss estimation gap adjustment scheme for wireless systems
JP3759390B2 (ja) ユーザ・プローブ信号の強さを調節することによりユーザのアクセス遂行能力を改善する方法
JP2004282756A (ja) 無線lanシステムでの無線接続ノードの電力制御方法
US8588783B2 (en)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during hand-over
EP1779563A1 (en) Estimation of received signal strength
US8903320B1 (en)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close proximity
WO2019029382A1 (zh) 一种物理上行控制信道pucch的功率控制方法和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