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636A -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636A
KR20120115636A KR1020110033063A KR20110033063A KR20120115636A KR 20120115636 A KR20120115636 A KR 20120115636A KR 1020110033063 A KR1020110033063 A KR 1020110033063A KR 20110033063 A KR20110033063 A KR 20110033063A KR 20120115636 A KR20120115636 A KR 2012011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rt
pattern
pattern electrode
sensing electrode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967B1 (ko
Inventor
곽민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3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96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은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요철막; 상기 요철막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그물망(mesh) 형상의 제 1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1 패턴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부를 구비하는 제 1 센싱 전극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상기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여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2 패턴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전극부; 상기 제 1 센싱 전극부 및 제 2 센싱 전극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센싱 전극부 및 제 2 센싱 전극부를 접착시키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 및 상기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외선 송신소자 및 적외선 수신소자를 구비하는 압력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CAPACITIVE OVERLAY TOUCH PANEL WITH TOUCH PRESSURE SENSING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압력을 감지하여 다양한 터치방식을 구현한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touch panel)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물리적 접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품을 작동시키는 입력장치로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으며, 근래에 와서는 그 수요가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동작원리에 따라 저항막 방식(Resistiv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초음파 방식(SAW), 적외선 방식(IR)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종래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은 기본적으로 기판, 금속배선층, 패턴층을 구비한다. 패턴층은 복수개의 패턴 전극(터치패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패턴 전극은 외부의 물리적 접촉에 대응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패턴 전극과 연결된 금속배선들을 통해 제품의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품을 작동시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패턴 전극들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인 투명 전도막(ITO)의 표면저항이 금속박막과 비교하여 크므로, 대면적 및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터치패널 제조시 패턴 전극간 저항이 커져 신호 감도, 검출 감도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패턴전극이 존재하는 영역과 존재하지 않는 영역 사이의 투과율등의 차이로, 패턴전극이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패터닝 자국이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등장함에 따라, 터치패널에 있어서 다양한 터치 방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패턴 전극들간의 저항을 감소시켜, 전도성 및 검출감도면에서 향상된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투과성도 높일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에 관한 기술개발이 요청되고 있으며, 나아가 터치패널에서의 다양한 터치 방식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턴 전극을 금속을 사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패턴 전극들간 또는 패턴 전극들 및 배선 전극들간의 저항을 감소시켜 전도성, 검출감도 및 투과성면에서 향상된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다양한 터치방식을 구현한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요철막; 상기 요철막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그물망(mesh) 형상의 제 1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1 패턴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부를 구비하는 제 1 센싱 전극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상기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여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2 패턴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전극부; 상기 제 1 센싱 전극부 및 제 2 센싱 전극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센싱 전극부 및 제 2 센싱 전극부를 접착시키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a,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및 상기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외선 송신소자 및 적외선 수신소자를 구비하는 압력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 전극부는 1 내지 20㎛의 선폭을 가지고, 선들 사이의 간격이 200㎛ 이상인 세선(細線)들로 형성된 그물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리 기판 상부에 요철 형상을 갖는 요철막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철막 상부에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그물망 형상(mesh)의 제 1 패턴 전극부 및 제 1 패턴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부를 구비하는 제 1 센싱 전극부를 형성하는 제 2 단계;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하부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여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2 패턴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전극부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 일면에 상기 제 1 센싱 전극부를 접착하고, 타면에 상기 제 2 센싱 전극부를 접착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상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 송신소자 및 적외선 수신소자를 배치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배선 전극부를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턴 전극을 금속을 사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하여 패턴 전극들간 또는 패턴 전극들 및 배선 전극들간의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터치패널의 전도성 및 검출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 전극을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대면적 터치패널의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송신소자 및 수신소자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터치패널에 있어 다양한 터치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패턴 전극, 압력 전극 및 배선 전극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므로, 작업 공정이 단순한 터치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에서 제 1 센싱 전극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에서 제 2 센싱 전극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100, 이하 터치패널)은 유리 기판(110), 요철막(112), 제 1 센싱 전극부(130),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이하 PET) 필름 기판(150), 제 2 센싱 전극부(170), 광학용 투명 접착제(a) 및 압력측정부(190)를 포함한다.
제 1 센싱 전극부(130)는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제 1 배선 전극부(136)을 포함한다.
제 2 센싱 전극부(170)는 제 2 패턴 전극부(172) 및 제 2 배선 전극부(176)을 포함한다.
유리 기판(110)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기판, 또는 강화유리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요철막(112)은 유리 기판(110) 상부에 형성된다. 요철막(112)은 후술할 제 1 패턴 전극부(132)에서 발생하는 빛의 반사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무지개현상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요철막(112)은 20㎛ 이하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 1 센싱 전극부(130)는 유리 기판(110)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그물망(mesh) 형상의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제 1 패턴 전극부(132)와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부(136)를 구비한다.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제조된 투명성 필름 기판으로 공지의 것을 사용 가능하다.
제 2 센싱 전극부(170)는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여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패턴 전극부(172) 및 제 2 패턴 전극부(172)와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부(176)를 구비한다.
광학용 투명 접착제(a)는 제 1 센싱 전극부(130) 및 제 2 센싱 전극부(17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학용 투명 접착제(190)의 예로는 OCA(Optical Clear Adhesive)가 있다.
광학용 투명 접착제(190)는 제 1 센싱 전극부(130)와 제 2 센싱 전극부(170)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용 투명 접착제(190)의 일면에는 제 1 센싱 전극부(130)를 접착하고, 타면에는 제 2 센싱 전극부(170)를 접착하게 된다. 즉, 터치패널(100)은 유리기판(110)-요철막(112)-제 1 센싱 전극부(130)-광학용 투명 접착제(a)-제 2 센싱 전극부(170)-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압력측정부(190)의 순으로 층을 이루게 된다.
압력측정부(190)는 터치패널(100)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지압(指壓)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압력측정부(190)는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압력측정부(190)의 배치 위치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압력측정부(190)는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력측정부(190)는 적외선 송신소자(191) 및 적외선 수신소자(192)를 구비한다. 적외선 송신소자(191) 및 적외선 수신소자(192)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적외선 송신소자(191)는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 상부면 일측에 배치할 수 있고, 적외선 수신소자(192)는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 상부면 타측에 적외선 송신소자(191)와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압력측정부(190)에서 터치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적외선 송신소자(191)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는 적외선 송신소자(191)와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적외선 수신소자(192)에서 수신된다.
이 때, 터치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의 적외선 신호량을 기준으로 하여, 가해지는 터치 압력에 따른 터치 패널(100)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적외선 신호량에 변화가 일어난다. 상술한 적외선 신호의 변화량을 검지하여 터치 압력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터치 압력을 정량화 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100)에서 제 1 센싱 전극부(130)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센싱 전극부(130)는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제 1 배선 전극부(136)를 포함한다.
제 1 패턴 전극부(132)는 제 1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물망(mesh)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방향은 예를 들면, 터치패널(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일 수 있다. 제 1 패턴 전극부(132)의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방향은 X축 방향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패턴 전극부(132)는 복수개의 패턴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패턴 전극은 서로 연결된 채로 X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패턴 전극부(132)는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패턴 전극부(132)의 테두리 형상은 마름모,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 또는 정형화되지 않은 모양(예를 들면, 덴드라이트(dendrite) 구조와 같이 나뭇가지들이 얽혀 있는 모양)일 수 있다.
한편, 제 1 패턴 전극부(132)가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 패턴 전극이 존재하는 영역에서 패터닝 자국이 보이던 현상을 감소시켜 터치패널(100)의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그물망 형상은 세선(細線)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선들은 선폭이 1 내지 20㎛일 수 있다. 선폭이 1㎛보다 좁을 때에는 터치패널(100)의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고, 선폭이 20㎛보다 넓을 때에는 터치패널(100)의 투과성 향상 효과가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선들의 선들 사이의 간격은 200㎛ 이상일 수 있다. 선들 사이의 간격이 200㎛ 미만인 경우에는 터치패널(100)의 투과율이 목적한 것 보다 감소할 수 있다.
제 1 배선 전극부(136)는 제 1 패턴 전극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배선 전극부(136)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물리적 접촉을 했을 때, 제 1 패턴 전극부(132)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미도시) 또는 연성회로기판(미도시)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패턴 전극부(132) 또는 제 1 배선 전극부(136)는 Ag, Al, Cr, Ni, Mo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패턴 전극부(132)의 패턴 전극 상호간 또는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제 1 배선 전극부(134)간의 저항을 감소시켜 터치패널(100)의 전도성 및 검출강도를 향상시킨다.
한편,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제 1 배선 전극부(136)가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터치패널(100)의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100)에서 제 2 센싱 전극부(170)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센싱 전극부(170)는 제 2 패턴 전극부(172) 및 제 2 배선 전극부(176)를 포함한다.
제 2 패턴 전극부(172)는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여 제 2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물망(mesh)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방향은 예를 들면, 터치패널(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일 수 있다. 제 2 패턴 전극부(172)는 제 1 패턴 전극부(132)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한, 특정 배치 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2 방향은 Y축 방향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패턴 전극부(172)는 배치형태를 제외하고, 제 2 패턴 전극부(172)의 테두리 형상, 그물망 형상, 세선들의 선폭 및 간격 등은 제 1 패턴 전극부(13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배선 전극부(176)는 제 2 패턴 전극부(1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배선 전극부(176)의 역할 및 기능은 제 1 배선 전극부(136)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압력은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적외선 송신소자(191) 및 적외선 수신소자(192)를 이용하여, 터치에 따른 터치패널(100)의 기계적인 변형(터치, 지압)에 의해 발생되는 적외선 신호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적외선 송신소자(191) 및 적외선 수신소자(192)는 공지의 것을 이용 가능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유리기판(110) 상부에 sputter system, E-Beam system 또는 Thermal system을 이용하여 금속 막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과정을 생략하기 위해 프린팅 공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금속 막은 Ag, Al, Cr, Ni, Mo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한편, 금속 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금속 막의 표면이 요철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요철막(112)으로 기능하게 한다.
둘째, 상기 금속 막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코팅하고, 노광 공정을 이용하여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제 1 배선 전극부(136)를 형성한다.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제 1 배선 전극부(136)는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제 1 배선 전극부(136)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셋째,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 하부에 프린팅 공정을 사용하여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의 투전도성 박막을 에칭함으로써, 제 2 패턴 전극부(172) 및 제 2 배선 전극부(176)를 형성한다. 제 2 패턴 전극부(172) 및 제 2 배선 전극부(176)는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패턴 전극부(172) 및 제 2 배선 전극부(176)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넷째, 광학용 투명 접착제(a)의 양면에 유리 기판(110) 및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의 전극 형성면을 접착한다. 다음으로,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 상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 송신소자(191) 및 적외선 수신소자(192)를 배치함으로써 터치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턴 전극을 금속을 사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하여 패턴 전극들간 또는 패턴 전극들 및 배선 전극들간의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터치패널의 전도성 및 검출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 전극을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대면적 터치패널의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외선 송신소자 및 수신소자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터치패널에 있어 다양한 터치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터치패널 110: 유리 기판
112: 요철막
130: 제 1 센싱 전극부 134: 제 1 압력 전극부
136: 제 1 배선 전극부 150: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170: 제 2 센싱 전극부 174: 제 2 압력 전극부
176: 제 2 배선 전극부 190: 압력측정부
191: 적외선 송신소자 192: 적외선 수신소자
a : 광학용 투명 접착제

Claims (4)

  1. 유리 기판(110);
    상기 유리 기판(110) 상부에 형성되는 요철막(112);
    상기 요철막(112)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그물망(mesh) 형상의 제 1 패턴 전극부(132) 및 상기 제 1 패턴 전극부(132)와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부(136)를 구비하는 제 1 센싱 전극부(130);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
    상기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여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패턴 전극부(172) 및 상기 제 2 패턴 전극부(172)와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부(176)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전극부(170);
    상기 제 1 센싱 전극부(130) 및 제 2 센싱 전극부(1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센싱 전극부(130) 및 제 2 센싱 전극부(170)를 접착시키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a,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및
    상기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150)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외선 송신소자(191) 및 적외선 수신소자(192)를 구비하는 압력측정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전극부(132)는 1 내지 20㎛의 선폭을 가지고, 선들 사이의 간격이 200㎛ 이상인 세선(細線)들로 형성된 그물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3. 유리 기판 상부에 요철 형상을 갖는 요철막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요철막 상부에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그물망 형상(mesh)의 제 1 패턴 전극부 및 제 1 패턴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부를 구비하는 제 1 센싱 전극부를 형성하는 제 2 단계;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하부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여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2 패턴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전극부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 일면에 상기 제 1 센싱 전극부를 접착하고, 타면에 상기 제 2 센싱 전극부를 접착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PET 투명 전도성 필름 기판 상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적외선 송신소자(191) 및 적외선 수신소자(192)를 배치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패턴 전극부 및 상기 제 1 배선 전극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10033063A 2011-04-11 2011-04-11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063A KR101240967B1 (ko) 2011-04-11 2011-04-11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063A KR101240967B1 (ko) 2011-04-11 2011-04-11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636A true KR20120115636A (ko) 2012-10-19
KR101240967B1 KR101240967B1 (ko) 2013-03-11

Family

ID=4728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063A KR101240967B1 (ko) 2011-04-11 2011-04-11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96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926A1 (de) 2011-12-09 2013-06-13 Hyundai Motor Company Zylinderkopf eines Fahrzeuges
KR101460772B1 (ko) * 2013-08-16 2014-11-14 전자부품연구원 촉각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134656A (ko) 2014-05-22 2015-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메쉬 타입 전극이 형성된 터치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9448647B2 (en) 2013-04-12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552092B2 (en) 2013-06-07 2017-01-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7018756A1 (ko) * 2015-07-24 2017-02-02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WO2017171218A1 (ko) * 2016-03-31 2017-10-0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패턴화된 전극셀을 갖는 터치 센서
KR20190120473A (ko) 2018-04-16 2019-10-24 최정태 정전용량 압력검출방식의 매트형 센싱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200072776A (ko) 2018-12-13 2020-06-23 금강테크 (주) 정전용량 압력검출방식의 iot연동 매트형 센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94B1 (ko) 2013-09-11 2020-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표시 장치
CN106945431B (zh) * 2016-11-28 2018-06-08 杨宇豪 一种电子教学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158A (ja) * 1996-03-01 1997-09-09 Ne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0954894B1 (ko) 2009-09-10 2010-04-28 남동식 터치패널센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926A1 (de) 2011-12-09 2013-06-13 Hyundai Motor Company Zylinderkopf eines Fahrzeuges
US9448647B2 (en) 2013-04-12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552092B2 (en) 2013-06-07 2017-01-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60772B1 (ko) * 2013-08-16 2014-11-14 전자부품연구원 촉각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134656A (ko) 2014-05-22 2015-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메쉬 타입 전극이 형성된 터치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18756A1 (ko) * 2015-07-24 2017-02-02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WO2017171218A1 (ko) * 2016-03-31 2017-10-0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패턴화된 전극셀을 갖는 터치 센서
KR20190120473A (ko) 2018-04-16 2019-10-24 최정태 정전용량 압력검출방식의 매트형 센싱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200072776A (ko) 2018-12-13 2020-06-23 금강테크 (주) 정전용량 압력검출방식의 iot연동 매트형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967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967B1 (ko)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93651B1 (ko) 금속박막을 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6163191B2 (ja) 圧力検出のための電極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圧力検出モジュール
JP6622917B2 (ja) 温度補償が適用された圧力を検出できる電極シート及びタッチ入力装置
KR101128669B1 (ko) 저저항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센서
JP6527343B2 (ja) タッチ入力装置
JP5591834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JP5845371B1 (ja) スマートフォン
JP5748274B2 (ja) 位置検出センサ、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KR101121120B1 (ko) 불투명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센서
TWM532597U (zh) 觸控輸入裝置及電極片
KR101161146B1 (ko) 금속박막을 이용한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9009249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2方式併用タッチパネル
JP2011181057A (ja) 単層容量式タッチ装置
TWM455209U (zh) 觸控面板
US20120044189A1 (en) Capacitive touch pad
JP2015122046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タッチスクリーン装置
TW201523367A (zh) 觸控面板
KR101349703B1 (ko)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462147B1 (ko)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KR20140016623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형성방법
KR101381729B1 (ko) 단일 금속박막 터치패널 및 제조방법
KR20140030900A (ko) 터치패널센서
KR20110136118A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TWI530835B (zh) 觸控面板、觸控顯示裝置及觸控面板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