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264A - 다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투약 제품 및 건식 분말 흡입기 - Google Patents

다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투약 제품 및 건식 분말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264A
KR20120115264A KR1020127015115A KR20127015115A KR20120115264A KR 20120115264 A KR20120115264 A KR 20120115264A KR 1020127015115 A KR1020127015115 A KR 1020127015115A KR 20127015115 A KR20127015115 A KR 20127015115A KR 20120115264 A KR20120115264 A KR 20120115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se
powder
annular
metered
metered d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일 고트리보임
앤나니 버렌슈텐
알렉산드르 즈예브
스콧 브라운
로버트 엘. 버거
Original Assignee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1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3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6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dos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1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Electronic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약물 제품 및 건식 분말 흡입기와 다수의 저장부를 구비하는 분말 분배기를 제공한다. 여러 실시예는 건식 분말 흡입기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제약 제제의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약물 제품을 제공하며, 건식 분말 흡입기는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분말 분배기를 제공하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를 갖는 제1 분말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출구 개구를 구비하는 제2 분말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2 출구 개구는 제1 출구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투약 제품 및 건식 분말 흡입기 {DRUG PRODUCTS AND DRY POWDER INHALERS WITH MULTIPLE RESERVOIRS}
본 발명은 건식 분말 흡입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수의 저장부를 갖는 건식 분말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가압 에어로졸 장치, 분무기, 펌프 흡입기 등을 포함하는 것 같은 다양한 장치가 활성 제약 제제의 흡입된 계량 투여량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분말 약제의 계량된 투여량을 분배할 수 있는 분말 분배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장치에 의해, 분말은 흡입에 의해 인출되고, 그래서, 제품 전달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정확한 흡입의 시작과 약제의 방출의 동기화를 덜 고려하여도 된다. 추가적으로, 건식 분말은 다른 흡입기 장치 형태에서 찾을 수 있는 액체 조성보다 더욱 안정적일 수 있다.
DPI를 벗어나는 APA를 포함하는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폐의 특정 영역을 목표로하는 특정 크기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APA를 포함하는 입자가 너무 큰 경우, 이들은 기도에 진입하지 못할 수 있으며, 대신 입이나 인두 내에 퇴적되거나 소화관에 진입할 수도 있다.
현재의 분배기는 활성 제약 제제를 포함하는 집괴체의 형태로 분말을 보유하는 하나의 저장부를 가질 수 있다. 장치가 작동될 때, 저장부는 적절한 APA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1회투여분 집괴체를 방출한다. 장치가 작동된 이후, 소비자는 집괴체를 흡입기 유동 채널을 통해 전달하고 미분화된 분말로 파괴하기 위해 흡입한다. 이 미분화된 분말은 APA의 일정한 투여량을 소비자의 목표 폐 영역으로 바람직하게 전달한다.
건식 분말 흡입기를 위한 현용의 디자인은 US6240918, US5829434, US5394868 및 US5687710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DPI는 소비자가 동작시키기 용이한 장치가 되어야 하며, 이는 DPI가 소비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너무 크거나 성가시지 않아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DPI는 작고 소비자가 조작하기에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DPI의 바람직한 크기 요건 때문에 특정한 총량의 건식 분말만이 현재의 DPI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현재의 DPI의 APA의 총 전달 투여은 제한되어 있다. 또한, 분말 전달 채널의 용량은 분말을 전달 및 파쇄(de-agglomerate)하기 위한 용량의 제한에 기인하여 큰 투여 부하를 수용 및 충분히 파쇄할 수 없다.
일부 APA는 하나의 집괴체로 제조될 수 없다. 예로서, 특정 APA를 위한 건식 분말의 처리 파라미터는 다른 APA로부터 별개로 준비될 필요가 있을 수 있거나, 두 개의 APA가 서로 호환불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작동시 다른 APA에 화학적 열화 또는 입자 크기 변화가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투여량의 일정한 내용물 균일성을 보증하기 위해, 단일 DPI로부터의 하나 보다 많은 APA의 투여는 개별 집괴체가 서로 다른 저장부 내에 위치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DPI의 투여 용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서로 비호환성인 둘 이상의 APA를 포함하거나 별개의 집괴체로서 제조된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를 갖는 제1 분말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출구 개구를 갖는 제2 분말 저장부를 포함하는 분말 분배기가 제공되며, 제2 출구 개구는 제1 출구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분배기는 제1 계량 투여량 구멍과 제2 계량 투여량 구멍을 갖는 투여량 계량판을 포함하고, 계량 투여량 구멍은 사전결정된 분말의 양을 각각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여량 계량판은 투여량 계량판이 출구 개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제1 및 제2 출구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출구 개구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투여량 계량판이 이동함으로써, 제1 계량 투여량 구멍은 제1 출구 개구 아래로 통과하고, 제2 계량 투여량 구멍은 제2 출구 개구 아래로 통과한다. 또한, 제1 계량 투여량 구멍은 출구 개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투여량 계량판이 가역적으로 이동할 때 제1 고정 경로를 형성하고, 제2 계량 투여량 구멍은 출구 개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투여량 계량판이 가역적으로 이동할 때 제2 고정 경로를 형성한다. 제1 계량 투여량 구멍이 투여량 계량판의 이동 동안 제2 경로에 중첩하지 않도록, 그리고, 제2 계량 투여량 구멍이 투여량 계량판의 이동 동안 제1 경로와 중첩하지 않도록, 제1 고정 경로가 제2 고정 경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분말이 분배기에 의해 수용되고, 이 분말은 제어된 방식으로 전달된다. 투여량 계량판 내에서의 투여량의 준비 동안, 투여량 구멍의 두 개의 이동 경로는 그 사이의 교차 오염을 제한하도록 별개로 유지된다.
또한, 실시예는 건식 분말 흡입기와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제약 제제의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투약 제품을 제공하며, 건식 분말 흡입기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는 서로 다른 활성 제약 제제를 별개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서로 다른 활성 제약 제제는 서로 비호환적이며, 예를 들어, 화학적 열화 또는 입자 크기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건식 분말 흡입기가 작동될 때,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이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로부터 동시에 방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제약 제제의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과 건식 분말 흡입기를 포함하는 투약 제품을 제공하며, 건식 분말 흡입기는 서로 다른 활성 제약 제제를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는 건식 분말 흡입기가 작동될 때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로부터 동시에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활성 제약 제제는 서로 비호환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학적 열화 또는 입자 크기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출구 개구를 갖는 제1 분말 저장부를 포함하는 분말 분배기를 제공하며, 제2 분말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출구 개구를 구비하고, 제2 출구 개구는 제1 출구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연구를 통해 이들 및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더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라인 4-4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저장부 본체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7의 라인 8a-8a 및 8b-8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저장부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구동 본체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라인 13-1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라인 14-14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저장부 본체, 구동 본체 및 저장부 플러그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투여량 계량판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범위 위에서의 투여량 계량판의 투여량 구멍의 이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투여량 계량판의 투여량 구멍 위로 연장하는 분말 보유기를 갖는 투여량 계량판을 도시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베이스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22의 라인 26-26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31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하부 스프링 보유기를 도시한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지지판을 도시한다.
도 34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분말 보유기의 대안적 배열을 도시한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어댑터를 도시한다.
도 37 내지 도 39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난류 노즐(swirl nozzle)을 도시한다.
도 40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와 난류 노즐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41 및 도 44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를 도시한다.
도 42 및 도 43은 각각 도 41의 라인 42-42 및 라인 43-4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5 내지 도 47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폐쇄 캡을 도시한다.
도 48a 및 도 48b와 도 49a 및 도 49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0 내지 도 53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연속 계수기 링을 도시한다.
도 54 내지 도 57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간헐 계수기 링을 도시한다.
도 58 내지 도 62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스프링-편향식 포올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63 내지 도 66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대안적 스프링-편향식 포올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67 내지 도 71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스프링-편향식 포올 조립체의 다른 대안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예로서, 적어도 두 개의 활성 제약 제제가 사용되는 치료법과 조합하여, 다양한 분말의 투여량 및 분말의 대량 투여량의 분배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서로 비호환적인 적어도 두 개의 활성 제약 제제, 예를 들어, 서로의 존재하에서 APA 중 하나 이상이 열화되게 할 수 있는 APA들에 유용하다. APA의 25 내지 1600 μg의 투여량이 가능하다. 투여량은 캐리어(들) 및/또는 보조 제제(들) 같은 적어도 하나의 APA 이외에 하나 이상의 추가적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400 mg 투여량은 3 mg의 활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고, 200 mg 투여량은 1.5 mg의 활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고, 100 mg의 투여량은 0.75 mg의 활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240,918호는 본 발명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분말 분배기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한다. 미국 특허 제6,240,918호는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미국 특허 제5,829,434호, 제5,687,710호 및 제5,394,868호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분말 분배기의 다양한 특징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829,434호, 제5,687,710호 및 제5,394,868호는 각각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며, 먼저, 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는 분배되어질 분말 재료의 공급원을 보유하고 사용자에게 계량된 분말 투여량을 공급하기 위한 분말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분말 하우징(20)은 저장부 본체(22), 저장부 플러그(90) 및 구동 본체(120)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성형 플라스틱 단편으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저장부 본체(22)는 원형 상단 벽(24)의 주연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환형 스커트(26)를 구비하는 원형 상단 벽(24)을 포함한다. 환형 스커트(26)는 원형 상단 벽(24)의 주연으로부터 그 상부 단부가 하향 연장하는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28)과,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28)의 하부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30)을 포함한다.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30)은 각각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28)의 내부 및 외부 직경보다 큰 내부 및 외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외부 환형 견부(32)는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30)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다.
이격된 축방향 연장 구동 슬롯(34, 35 및 36)이 환형 스커트(26)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슬롯(34, 35, 36)은 환형 스커트(26)의 원주 둘레로 균등하게 이격된(예를 들어, 대략 120°로 이격된) 중심을 갖는다. 또한, 후술된 벤튜리 도관(64, 64')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구동 슬롯(36)은 구동 슬롯(34, 35)보다 더 짧은 원주방향 길이를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은 이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슬롯(34, 35, 36)은 각각 그 하부 단부(38, 39, 40)에서 개방되며, 전체적으로 하부 환형 스커트 부분(30)을 통해, 그리고, 부분적으로 상부 환형 스커트 부분(28)을 통해 상향 연장한다. 따라서, 구동 슬롯(34, 35, 36)은 좌석 에지(42, 43, 44)를 형성하는 폐쇄된 상부 단부를 갖는다.
분말 하우징(20)은 그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주연 위치에서 원형 상단 벽(24)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 아치형 매니폴드(46, 46')를 포함한다. 매니폴드(46, 46') 각각은 주변 챔버 벽(48, 48')에 의해 형성되는, 그리고, 원형 상단 벽(24)의 주연 부분 둘레의 아치형 길이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치형 챔버(47, 47')를 각각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 챔버 벽(48, 48')은 원형 상단 벽(2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하부 챔버 벽 부분(50, 50')과, 하부 챔버 벽 부분(50, 50')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상부 챔버 벽 부분(52, 52')에 의해 형성된다. 벽 부분(50, 50' 및 52, 52')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상부 벽 부분(52, 52')의 내부 치수는 하부 벽 부분(50, 50')의 내부 치수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견부(54, 54')는 각 상부 챔버 벽 부분(52, 52')의 하부 단부에 형성된다.
원형 상단 벽(24)은 각 하부 챔버 벽 부분(50, 50')의 하부 단부와 각각 정렬되며 매니폴드(46, 46')의 하부 챔버 벽 부분(50, 50')과 동일한 형상 및 치수의 개구(55, 55')를 포함한다. 각각의 매니폴드(46, 46')의 상부 단부, 특히, 각 상부 챔버 벽 부분(52, 52')은 그 중심에 개구(58, 58')를 갖는, 그 중심으로부터 하향으로 각져있는 매니폴드 상단 벽(56, 56')에 의해 폐쇄된다.
매니폴드(46, 46') 각각은 공급 홀더로서 형성된 분말 공급 도관(60, 60')을 형성한다. 각 분말 공급 도관(60, 60')의 상부 단부는 개구(58, 58')에서 개방된다. 각 분말 공급 도관(60, 60')은 각각 통상적으로 흡입을 위한 분말(62, 62')로 충전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분말 약제" 및 "분말"은 미분된 분말, 과립화된 분말, 마이크로-캡슐화 분말, 분말 집괴체 등을 포함하며, 본 명세서에서 이들 용어들과 혼용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말(62, 62')은 서로 다른 분말 또는 동일 분말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분말(62, 62')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약물 조합을 이용한 조합 치료법이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분말들(62, 62')이 동일 분말인 경우, 단일 분말의 비교적 대량의 투여량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절두 원추 흡입 벤튜리 도관(64, 64')이 분말 공급 도관(60, 6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원형 상단 벽(24) 상에 형성되고, 원형 상단 벽(24)의 중심 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분말 공급 도관(60)의 중심 축 및 벤튜리 도관(64)의 중심 축은 원형 상단 벽(24)의 주연 부분에 위치되도록 원형 상단 벽(24)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 상에 놓여진다. 유사하게, 분말 공급 도관(60')의 중심 축 및 벤튜리 도관(64')의 중심 축은 원형 상단 벽(24)의 주연 부분에 위치되도록 원형 상단 벽(24)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 상에 놓여진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공급 도관(60, 60') 및 벤튜리 도관(64, 64')의 중심 축들은 원형 상단 벽(24)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동일 원 상에 놓여진다.
공급 도관(60, 60') 및 벤튜리 도관(64, 64')은 원형 상단 벽(24)의 중심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도관(60, 60' 및 64, 64')은 대략 90°이격 배치된다]. 또한, 공급 도관(60, 60') 및 벤튜리 도관(64, 64')은 교번적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벤튜리 도관(64, 64')은 각각 하부 벤튜리 도관 섹션(66, 66')과 그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 68')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 그 하부 단부로부터 그 상부 단부로 내부 직경이 감소한다. 각각의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 68')의 상부 단부는 개방되고, 각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 68')은 대응 하부 벤튜리 도관 섹션(66, 66')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래서, 내부 환형 견부(70, 70')는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 68')의 하부 에지에 형성된다. 원형 상단 벽(24)은 하부 벤튜리 도관 섹션(66, 66')의 대응 하부 단부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의 다른 개구(72, 72')를 포함하며, 그와 정렬된다.
주연 고정 벽(74)은 하부 챔버 벽 부분(50, 50')과 하부 벤튜리 섹션(66, 66')에 관하여 둘러싸는 관계로 원형 상단 벽(24)의 주연 부분 상의 대체로 원형 원호 둘레로 연장한다. 하나 이상의 갭(76)이 도관(60, 64') 사이의 위치에서 고정 벽(74) 내에 제공된다. 또한, 반경방향 연장 환형 립부(80)는 고정 벽(74)의 상부 단부로부터 외향 연장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된 바와 같이, 투여량 계량판과 결합하는 표면은 가능한 매끄러울 필요가 있으며, 내부에 매우 적은 요철을 가져야 한다. 원형 상단 벽(24)의 하부 표면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단편으로서 저장부 본체(22)를 성형할 때 이는 달성이 곤란하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 플러그(9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 플러그(90)는 판(92)의 두께에 기인하여 어떠한 요철도 갖지 않는 매우 평활한 하부 표면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는 얇은 원형 판(92)을 포함한다. 원형 판(92)의 외부 직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 플러그(9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 환형 스커트 부분(28)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런 조건에서, 원형 판(92)의 하부 표면은 사실상 구동 슬롯(34, 35, 36)의 좌석 에지(42, 43, 44)와 동일 표면을 갖는다.
원형 판(92)은 두 개의 원형 구멍(94, 94')과, 두 개의 실질적 난형 구멍(98, 98')을 가지며, 이들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판(92)의 중심에 중심설정된 가상 원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을 갖는다.
원형 판(92)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 원형 플러그 도관(100, 100')은 각각 원형 구멍(94, 94')에 대하여 둘러싸는 관계를 갖는다. 도관(100, 100')은 각각 그 상부 및 하부 단부에서 개방되며, 대응 하부 벤튜리 도관 섹션(66, 66')의 내부 직경 및 높이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직경 및 높이와, 대응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 68')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저장부 플러그(90)가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28) 내부에 삽입될 때, 플러그 도관(100, 100')은 하부 벤튜리 도관 섹션(66, 66') 내에 꼭 맞게 설치되며, 플러그 도관(100, 100')의 내부 표면들은 각각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 68')의 대응 내부 표면의 평활한 연속부를 형성한다. 이런 조건에서, 각 플러그 도관(100, 100')의 상부 에지는 대응 환형 견부(70, 70')에 대해 접하며, 그래서, 플러그 도관(100, 100')과 대응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 68') 사이에 어떠한 갭도 형성되지 않는다.
아치형 플러그 도관(102, 102')은 대응하는 실질적 난형 구멍(98, 98')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 원형 판(92)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각 플러그 도관(102, 102')은 매니폴드(46, 46')의 대응 하부 챔버 벽 부분(50, 5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각 플러그 도관(102, 102')은 그 상부 및 하부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대응하는 상부 챔버 벽 부분(52, 52')의 내부 형상 및 치수와 같은 대응 하부 챔버 벽 부분(50, 50') 내부 형상 및 치수의 내부 형상, 높이 및 치수 각각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 플러그(90)가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28) 내에 삽입될 때, 플러그 도관(102, 102')은 하부 챔버 벽 부분(50, 50')의 내에 꼭맞게 설치되며, 플러그 도관(102, 102')의 내부 표면 각각은 상부 챔버 벽 부분(52, 52')의 대응 내부 표면의 평활한 연속부를 형성한다. 이런 조건에서, 각 플러그 도관(102, 102')의 상부 에지는 플러그 도관(102, 102')과 대응 상부 챔버 벽 부분(52, 52') 사이에 어떠한 갭도 형성되지 않도록 대응 견부(54, 54')에 대하여 접한다.
플러그 도관(100, 100' 및 102, 102')의 외부 표면이 평활한 것으로서 상술되었지만, 리브를 구비하는 이런 외부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 플러그(90)의 대안 실시예로서, 저장부 플러그(90')가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저장부 플러그(90)의 것에 대응하는 요소는 이중 프라임(")이 붙어 있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도관(100")은 벤튜리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부 단부로부터 그 하부 단부로 테이퍼져 있는 절두 원추 구조를 갖는 내부 직경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플러그 도관(102")의 내부 직경은 상부 챔버 벽 부분(52, 52')의 내부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평활한 하부 표면을 더 양호하게 보증하도록, 전해연마 스테인레스 스틸의 얇은 평탄한 원형 금속 판(93")이 저장부 플러그(90")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다. 이런 경우에, 판(92")은 아치형 플러그 도관(102")과 동일한 치수의 개구(101")를 구비하며, 난형 구멍(98")은 금속 판(93") 내에 제공된다. 물론, 금속 판(93")은 원형 판(92")의 원형 구멍(94")과 일치하는 또 다른 원형 개구(95")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판(93")은 플라스틱 베이스 재료 상에 인서트 성형된다. 금속 부분은 조립된 장치의 투여량 계량 판(180)과 접촉함으로써 저장부로부터의 분말 누설을 방지하도록 매우 평탄하고, 평활하고, 강성적인 표면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금속은 투여량 탑재 동작 동안 표면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생성되는 임의의 정전기를 소산시키며, 이러한 충전은 투여 스테이션의 내외로의 분말 유동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본체(120)는 원형 상단 벽(122)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환형 스커트(124)를 구비하는 원형 상단 벽(122)을 포함한다.
환형 스커트(124)는 상부 단부가 원형 상단 벽(122)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과,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의 하부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을 포함한다.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은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의 내부 및 외부 직경 각각보다 큰 내부 및 외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 환형 견부(130)는 환형 스커트(124)의 내부를 따라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의 하부 에지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과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 사이의 전이 영역의 외부 표면은 절두 원추 표면(132)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의 내부 직경은 저장부 본체(22)의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28)의 외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의 내부 직경은 저장부 본체(22)의 주연 고정 벽(74)의 외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저장부 본체(22)는 긴밀한 끼워맞춤(close fit) 상태로 구동 본체(120) 내로 설치된다.
이런 위치로 저장부 본체(22)와 구동 본체(120)를 함께 로킹하기 위해, 채널 형태 같은 환형 보유 영역(138)이 환형 견부(130) 위에서 이격되어 그에 평행하게 형성된 상부 스커트 섹션(126)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부 본체(22)가 상술된 방식으로 구동 본체(120) 내에 삽입될 때, 플라스틱 단편의 탄성에 기인하여 주연 고정 벽(74)의 상부 단부의 립부(80)는 상부 스커트 부분(126)의 내부 표면을 따라 올라가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보유 영역(138) 내에 보유된다. 그 보유 효과를 개선시키도록 리브 또는 다른 돌출부가 보유 영역(138)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벤튜리 도관(64, 64')의 상부 에지가 원형 상단 벽(122)의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표면에 있도록(도 15) 벤튜리 도관(64, 64')을 수용하도록 함께 정렬되는 두 개의 원형 개구(142, 142')를 갖는 원형 상단 벽(122)이 형성된다.
두 개의 원형 플러그 도관(144, 144')은 분말 공급 도관(60, 60')과 각각 정렬되는 원형 상단 벽(122)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현수된다. 원형 플러그 도관(144, 144')은 대응 분말 공급 도관(60, 60')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큰 외부 직경을 각각 구비한다. 따라서, 저장부 본체(22)가 구동 본체(120)와 조립될 때, 플러그 도관(144, 144')은 분말 공급 도관(60, 60')의 상부 개방 단부를 폐쇄한다. 따라서, 분말(62, 62')은 매니폴드(46, 46'), 개구(55, 55') 및 실질적 난형 구멍(98, 98')을 통해서만 탈출할 수 있다.
또한, 굴곡된 보유 벽(148, 148')은 저장부 본체(22) 및 구동 본체(120)가 조립될 때 분말 공급 도관(60, 60')과 절두 원추 벤튜리 도관(64, 64') 사이의 추가적 분리를 보증하도록 원형 개구(142, 142')에 대해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관계로 원형 상단 벽(122)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보조 공기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을 형성하는 벽은 반경방향으로 내향 연장하여 구동 본체(120)의 원주 방향으로 원형 개구(142')에 인접한 제1 외부 공기 통로(150)와, 원형 개구(142)에 인접한 제2 외부 공기 통로(152)를 형성한다.
짧은, 축방향 연장 상부 안내 벽(154, 156)은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구동 본체(120)에 노즐을 고정하기 위해 원형 상단 벽(122)의 상부 표면 상의 주연부로부터 미소하게 내향 이격된 공통 원형 원호를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안내 벽(154)은 공기 통로(150, 152) 사이의 더 큰 원호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안내 벽(156)은 공기 통로(150, 152) 사이의 더 작은 원호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반경방향으로 상부 안내 벽(154, 156)의 외부에 위치된 원형 상단 벽(122) 상의 환형 보유 리지(159)를 형성하도록, 상부 안내 벽(154, 156)이 그를 따라 연장하는 공통 원형 원호는 원형 상단 벽(122)의 주연 에지로부터 미소하게 이격된다.
네 개의 실질적으로 균등한 각도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세장형 아치형 리세스(158a-158d)가 보유 리지(159) 상에 형성되며, 그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리세스(158a-158d)는 서로 다른 아치형 거리를 따라 연장한다. 예로서, 리세스(158a, 158b 및 158c)는 45도의 아치형 거리로 연장할 수 있으며, 리세스(158d)는 28도의 아치형 거리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은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 및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의 교차부에서 그 각각의 연결부(167)로부터 하향 및 미소하게 외향 연장하는 스프링 핑거(161, 163, 165)를 각각 포함하는 구동 개구(164, 166, 169)를 형성하도록 그 이격된 위치에서 절단제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핑거(161, 163, 165)는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의 하부 에지 아래로 연장한다.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 개구(164, 166, 169)는 구동 본체(120)를 회전시키도록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프링 핑거(161, 163, 165)는 그 길이 방향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된 만입부(171)를 내부에 갖도록 오목 형상으로 굴곡 또는 형성된다.
각각의 분말 공급 도관(60, 60')으로부터 벤튜리 도관(64, 64')으로의 분말(62, 62')의 계량 투여량을 제공하기 위해, 투여량 계량판(180)은 저장부 플러그(90) 바로 아래에서 저장부 본체(22)의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28) 내에 위치된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량 계량판(180)은 분말 리셉터클로서, 즉, 분말(62, 62')의 계량 투여량을 보유하기 위해 기능하는 두 개의 투여 구멍(184, 184')을 그 주연부 부근에 구비하는 얇은 디스크(182)를 포함한다.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위치에 투여 구멍(184, 184')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 구멍(184, 184')을 통해 분말의 계량 투여량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말 보유기(186, 186')는 적어도 투여 구멍(184, 184') 위로 연장하여 디스크(182)의 하부 표면에 대해 덮는 관계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보유기(186, 186')는 메시 스크린, 필터, 다공성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그를 통한 가스 유동에 대한 최소의 규제 효과를 가지며, 디스크(182)의 하부 표면 아래의 분말 약제의 현저한 손실을 방지한다. 분말 보유기(186, 186')는 셀룰로스, 폴리머, 금속, 세라믹, 유리 또는 그 복합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유용한 재료는 소결 다공성 플라스틱, 다공성 폴리머 멤브레인, 천연 또는 합성 직조 페브릭, 부직포 합성 페브릭 등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유용한 재료는 폴리에스터와 폴리올레핀 직조 메시 및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디클로라이드 및 셀룰로스의 혼합 에스테르의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분말 보유기(186, 186')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되고 투여량 계량 판(180)에 고정된다. 비제한적 예로서, 분말 보유기(186, 186')는 미국 특허 제6,240,9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투여량 계량판(180)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대응 리세스 내의 분말 보유기(186, 186')를 쉽고 정확하게 형성하도록, 투여량 계량판(180)은 인서트 몰딩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 계량판을 형성하기 위해 미국 특허 제6,240,918호에 개시된 인서트 성형 작업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미국 특허 제6,240,918호는 역시 사용될 수 있는 투여량 계량판을 구성하고 그에 분말 보유기(186, 186')를 고정하는 대안적 방식을 설명한다.
환형 장착 포스트(188)는 디스크(182)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며, 그 중심에 위치된다. 환형 장착 포스트(188)는 계량 투여 구멍(184, 184')에 대해 축방향 관계로 장착 포스트(188)의 내부 표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바아(190)가 형성된다. 바아(190)는 디스크(182)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장착 포스트(188)의 하부 에지로부터 미소하게 이격된 위치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단면 구조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부 본체(22), 저장부 플러그(90) 및 구동 본체(120)를 포함하는 분말 하우징(20)이 회전될 때, 바아(190)는 투여량 계량판(180)이 분말 하우징(20)에 관하여 고정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보증한다.
동작시, 계량 투여 구멍(184)은 최초에 절두 원추 벤튜리 도관(64)과 정렬되고, 계량 투여 구멍(184')은 최초에 절두 원추 벤튜리 도관(64')과 정렬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분말 하우징(20)은 투여량 계량판(180)에 대하여 120도의 각도의 회전만이 바람직하게 허용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작동 각도 범위가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초기 프라이밍 회전 동안,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매니폴드(46, 46')와, 실질적 난형 구멍(98, 98') 아래를 통과한다. 결과적으로, 분말(62, 62')은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에 각각 들어가며, 그 내부로 스크레이핑된다. 구체적으로, 실질적 난형 구멍(98, 98')을 형성하는 측부 벽은 분말(62, 62')을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로 스크레이핑하도록 기능한다.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난형 구멍(98, 98')이 원형 구멍(94, 94')으로부터 투여량 계량판(180)에 대해 분말 하우징(20)의 운동 범위 미만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계량 투여 구멍(184)은 난형 구멍(98) 및 매니폴드(46)를 완전히 지나쳐 이동하는 반면, 계량 투여 구멍(184')은 장치(10)의 작동 동안 난형 구멍(98)과 매니폴드(46')를 지나쳐 이동한다. 그후, 다시 초기 위치로의 복귀 회전 동안, 계량 투여 구멍(184)은 다시 매니폴드(46)와 실질적 난형 구멍(98') 아래를 통과하여 벤튜리 도관(64)과 정렬되며, 계량 투여 구멍(184')은 다시 매니폴드(46') 및 실질적 난형 구멍(98) 아래를 통과하여 벤튜리 도관(64')과 정렬된다. 이 복귀 이동 동안, 실질적 난형 구멍(98, 98')을 형성하는 측벽은 다시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로 분말(62, 62')을 스크레이핑하도록 기능함으로써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이 완전히, 그리고, 정확하게 충전되는 것을 보증한다. 따라서,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의 양자 회전중에, 즉, 회전 탑재 스테이지 및 흡입 스테이지로의 역방향 이동 양자 모두 동안 스크레이핑 작용이 제공된다.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이 각각 벤튜리 도관(64, 64')과 정렬될 때, 이때,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을 통한 견인 및 흡입을 유발하기 위해 벤튜리 도관(64, 64')을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는 것만이 요구되며, 분말(62, 62')의 계량 투여량은 벤튜리 도관(64, 64')을 통해 견인되고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도관(60, 60') 및 투여량 계량판 사이의 상대 이동은 분배기(10)의 작동(프라이밍 및 투여량 분배 양자 모두)을 위해 요구된다. 상대 이동은 회전 이동으로서 설명 및 도시되어 있다. 선형 상대 이동은 또한 대응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즉, 회전 반경이 무한(∞)으로 설정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동일한 크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동일 크기 투여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7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서로 다른 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서로 다른 크기의 투여량을 수용할 수 있다.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의 크기에 무관하게, 분말(62, 62')은 다양한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말(62, 62')은 서로 다른 약물(예를 들어, 서로 다른 조성, 동일 조성, 서로 다른 강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및/또는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 또는 특징으로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환자의 호흡 시스템의 서로 다른 타겟 영역에 도달하도록 서로 다른 공기역학 입자 크기 분포(APSD; aerodynamic 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분말(62, 62')은 서로 다른 지점의 배출 스트림 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분말(62, 62')이 서로 다른 배출 조건(예를 들어, 더 크거나 더 적은 배출 속도, 더 크거나 더 적은 파쇄를 받음)을 겪게 할 수 있다. 한 가지 유형의 분말은 조합을 형성하는 다른 분말보다 더 큰 양으로 투약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서로 다른 크기의 분말(62, 62')의 투여량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양의 분말(62, 62')이 최초에 분말 공급 도관(60, 60')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배열에서, 서로 다른 약물의 투여가 서로 다른 기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분말(62) 중 하나는 7일 투약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반면, 나머지 분말(62')은 더 긴 기간의 투약(예를 들어, 7 내지 30일)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항생제가 비교적 짧은 기간(예를 들어, 7일) 동안 제공될 수 있고, 스테로이드가 더 긴 기간(예를 들어, 21일)에 걸쳐 제공될 수 있다. 이 배열에서, 분배기(10)는 제1 기간 동안 양자의 약물을 분배하고, 그후, 더 긴 기간의 약물만을 분배할 수 있다. 분배기(10)는 비호환적(예를 들어, 화학적으로 비호환적인) 약물이 동시에 보관 및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제약 제제는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장기 작용 베타 작용제(long acting beta agonist), 단기 작용 베타 작용제,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phosphodiesterase) IV 개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절한 약물은 호흡, 면역 또는 기도 폐색 질환의 방지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가능할 수 있다. 이런 질환의 예는 천식 또는 만성 폐색성 폐질환을 포함한다.
적절한 항콜린제는 (R)-3-[2-하이드록시-2,2-(디티엔-2-일)아세톡시]-1-1[2-(페닐)에틸]-1-아조니아비사이클로[2.2.2] 옥탄{(R)-3-[2-hydroxy-2,2-(dithien-2- yl)acetoxy]-l-l[2-(phenyl)ethyl]-l-azoniabicyclo[2.2.2] octane}, 글리코피롤레이트(glycopyrrolate),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미드(ipratropium bromide), 옥시트로피움 브로미드(oxitropium bromide), 아트로핀 메틸 니트레이트(atropine methyl nitrate), 아트로핀 설페이트(atropine sulfate), 이프라트로피움(ipratropium), 벨라도나 추출물(belladonna extract), 스코폴라민(scopolamine), 스코폴라민 메토브로미드(scopolamine methobromide), 메쓰코폴라민(methscopolamine), 호마트로핀 메토브로미드(homatropine methobromide), 히오시아민(hyoscyamine), 이소프리오프라미드(isopriopramide), 오르펜아드린(orphenadrine), 벤잘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티오트로피움 브로미드(tiotropium bromide), GSK202405, 상술한 바의 임의의 개별 이성체 또는 상술한 바의 임의의 제약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하이드레이트 또는 상술한 바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절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모메타손 푸로에이트(mometasone furoate),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clomethasone dipropionate), 부데소나이드(budesonide), 플루티카손(fluticas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플루니솔리드(flunisolide),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22R)-6.알파., 9.알파.-디플루오로-11.베타., 21-디하이드록시-16.알파., 17.알파.-프로필메틸렌디옥시-4-프레그넨-3,20-디온, 티프레단(tipredane), GSK685698, GSK799943 또는 상술한 바의 임의의 제약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하이드레이트 또는 상술한 바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절한 장기 작용 베타 작용제는 카르모테롤(carmoterol), 인다카테롤(indacaterol), TA-2005, 살메테롤(salmeterol), 포르모테롤(formoterol) 또는 상술한 바의 임의의 제약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하이드레이트 또는 상술한 바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절한 단기 작용 베타 작용제는 알부테롤(albuterol), 테르부탈린 설페이트(terbutaline sulfate), 비톨테롤 메실레이트(bitolterol mesylate), 레발부테롤(levalbuterol), 메타프로테레놀 설페이트(metaproterenol sulfate), 피르부테롤 아세테이트(pirbuterol acetate) 또는 상술한 바의 임의의 제약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하이드레이트 또는 상술한 바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절한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IV 개시제는 실로밀라스트(cilomilast), 로플루밀라스트(roflumilast), 테토밀라스트(tetomilast), 1-[[5-(1(S)-아미노에틸)-2-[8-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틸)-5-퀴놀리닐]-4-옥사졸릴]카르보닐]-4(R)-[(사이클로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L-프롤린{1-[[5-(1(S)-aminoethyl)-2-[8-methoxy-2-(trifluoromethyl)-5-quinolinyl]-4- oxazolyl]carbonyl]-4(R)-[(cyclopropylcarbonyl)amino]-L-proline}, 에틸 에스테르 또는 상술한 바의 임의의 제약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또는 하이드레이트 또는 상술한 바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제약 제제는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다. 모메타손 프로에이트는 화학명이 9,21-디클로로-11(베타), 17-디하이드록시-16(알파)-메틸프레그나-1,4-디엔-3,20-디온 17-(2 푸로에이트)인 항염증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물에 비용해성이며,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에 미소하게 용해성이며, 아세톤 및 클로로폼에 용해성이며,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자유 용해성이다. 옥탄올과 물 사이의 분리 계수는 5000보다 크다. 모메타손은 다양한 하이드레이트, 결정 및 거울상(enantiomeric) 형태, 예를 들어, 모노하이드레이트로 존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APA는 집괴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US6503537에 개시되어 있는 집괴체 같은 약물 단독 또는 다른 물질과의 집괴체가 사용될 수 있다. 고체 바인더와 제약적 활성 제제를 집괴화하는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집괴화 방법은 비정질 고체 바인더의 함량을 결정 형태로 조기에 변환하지 않고 달성될 수 있고 추가적 바인더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들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유용한 집괴체는 약 100 내지 약 1500 ㎛ 사이의 크기 범의 집괴체를 포함한다. 집괴체는 약 300 내지 약 1,000 ㎛ 사이의 평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유용한 집괴체는 약 0.2 내지 약 0.4 g/cm3 사이 또는 약 0.29 내지 약 0.38 g/cm3 사이의 범위인 벌크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엄격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이 유용하다. 본 내용에서, 입자 크기는 집괴체의 크기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집괴체의 약 10% 이하가 평균 또는 목표 집괴체 크기보다 50% 더 작거나 50% 더 크다. 예로서, 300 ㎛의 집괴체에 대해, 집괴체의 약 10% 이하는 약 150 ㎛보다 작거나 약 450 ㎛보다 크다.
상술한 기준 모두를 충족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집괴체를 준비하는 유용한 방법은 약 100:1과 약 1:500 사이, 약 100:1과 약 1:300 사이(약물:바인더), 약 20:1 내지 약 1:20 사이의 비율로 또는 고체 바인더의 양에 대해 약 1:3 내지 약 1:10의 비율로 건조 고체 바인더를 포함하는 미분된 비정질 내용물과 하나 이상의 제약적 활성 제제(들)의 사전선택된 양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용한 집괴체는 약 50 mg와 약 5,000 mg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 mg와 약 1,500 mg 사이의 범위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분쇄 강도는 제조자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절차를 사용하여 일본 도쿄 소재의 Seiko Instruments, I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Seiko TMA/SS 120C 열기계 분석기(Thermomechanical Analyzer) 상에서 테스트된다. 이 방식으로 측정된 강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미립자간 결정 결합의 품질 및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집괴체의 크기는 또한 측정된 분쇄 강도에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더 큰 집괴체는 더 작은 입자들이 분쇄하는 것보다 더 큰 힘을 필요로 한다.
상대 회전을 제공하기 위해, 투여량 계량판(180)은 도 3, 도 4 및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된 베이스(200) 상에 회전불가하게 장착되고, 분말 하우징(20)은 베이스(200)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이스(200)는 그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환형 스커트(204)를 갖는 원형 상단 벽(202)을 포함한다. 원형 상단 벽(202)의 주연 에지는 외부 환형 리지(206)를 형성하도록 절단 제거된다. 환형 지지 립부(208)는 환형 스커트(204)의 반경 방향으로 그로부터 외향 연장하도록 그 하부 단부에서 환형 스커트(204)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지지 립부(208)의 것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환형 벽(209)은 지지 립부(208)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벽(209)은 그 외부 표면 상의 복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환형 치형부(211)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환형 보유 림(210)은 그 반경 방향으로 환형 스커트(204)로부터 외향 연장하도록 환형 스커트(204)의 상부 외부 표면 상에, 지지 립부(208) 및 환형 벽(209)에 평행하게, 그리고, 환형 벽(209) 위로 이격배치된다. 보유 림(210)은 환형 벽(209)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작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환형 보유 갭(212)은 환형 벽(209)과 보유 림(21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환형 벽(209)으로부터 보유 림(210) 위의 높이까지, 그러나, 상단 벽(202) 아래로 연장하는 작은 포스트(214)가 형성된다. 포스트(214)는 환형 벽(209)의 것과 같은 외부 직경을 가지며, 또한, 보유 림(210)과 연결되고, 갭(212) 내에서 연장한다.
원통형 돌기(216)는 원형 상단 벽(202)의 상부 표면 상에서 중앙에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환형 부분(217)은 부분적으로 절단 제거되며, 그 반경방향 세그먼트(219)도 절단 제거된다. 원형 돌기(216)보다 작은 직경의 동축 보유 포스트(218)가 원형 돌기(216)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환형 리지(220)는 원형 돌기(216)의 상부 에지에 형성된다. 보유 포스트(218)는 투여량 계량판(180)의 환형 장착 포스트(188)의 내부 직경보다 미소하게 작은 외부 직경을 갖는다. 보유 포스트(218)는 그 길이를 따라 슬롯(222)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바아(190) 및 슬롯(222)에 기인하여, 투여량 계량판(180)의 장착 포스트(188)는, 저장부 본체(22), 저장부 플러그(90) 및 구동 본체(120)를 포함하는 분말 하우징(20)이 회전될 때 투여량 계량판(180)이 분말 하우징(20)에 관하여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증하도록 회전불가한 방식으로 보유 포스트(218) 상에 보유된다.
두 개의 짧은 스터브 벽(221, 223)은 원형 돌기(216)의 바로 대향 측부들 상의 상단벽(202)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스터브 벽(221, 223)은 약 30도의 각도로 서로에 관하여 각지게 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계수기 기구의 부분으로서, 제1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24)는 원형 상단 벽(202) 상에 캔틸레버식으로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굴곡된 수직 멈춤쇠 지지 벽(226)은 환형 리지(206)와 원통형 돌기(216) 사이의 실질적 중간 위치에 원형 상단 벽(202)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며, 제1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24)는 멈춤쇠 지지 벽(226)의 일 에지(228)로부터, 원형 상단 벽(202)에 평행하게 그 위로 이격되어 연장한다. 또한, 제1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24)의 자유 단부에는 그곳에 외향 반경방향 지향 탭(230)이 제공된다.
또한,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 계수기 기구의 일부로서, 제2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32)는 원형 상단 벽(202) 상에 캔틸레버식으로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32)는 멈춤쇠 지지 벽(226)의 에지(228)로부터, 원형 상단 벽(202)에 평행하게 그 위로 이격되어, 그리고, 제1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24)에 평행하게 그 위로 이격되어 연장한다. 제2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32)의 자유 단부에는 외향 반경방향 지향 탭(234)이 제공된다.
삼각형 섹터형 리세스(236)가 포스트(214)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멈춤쇠(224, 232)에 대응하여 원형 상단 벽(202) 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리세스(236)는 멈춤쇠(232)의 연결된 단부와 실질적으로 일렬인 제1 반경방향 경계부(240) 및 멈춤쇠(232)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여 연장되는 제2 경계부(242)를 포함한다.
또한, 얕은 리세스(243)가 환형 리지(206)의 외부 반경방향 에지에서, 섹터형 리세스(236)와 정렬되어, 포스트(214)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제공된다.
저장부 플러그(90)의 얇은 환형 판(92)의 하부 표면과 결합상태로 투여량 계량판(180)을 스프링 편향시키기 위해, 그리고,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이 벤튜리 도관(64, 64')과 정렬될 때에만 분말(62, 62')이 흡입될 수 있는 것을 보증하도록, 편향 조립체가 제공된다.
편향 조립체는 도 3, 도 4 및 도 27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포스트(218) 위에서 환형 리지(220) 상에 장착된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는 보유 포스트(218)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중앙 개구(264)를 구비하는 디스크(262)를 포함한다. 환형 돌기(266)는 중앙 개구(264)에 둘러싸는 관계로 디스크(262)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한다. 보유 포스트(218)가 환형 돌기(266) 및 중앙 개구(264)를 통해 연장할 때, 환형 돌기(266)의 하부 에지가 환형 리지(220) 상에 배치된다.
상부 환형 보유 립부(268)는 디스크(262)의 주연 에지로부터 상향 연장한다. 또한, 반경방향 연장 피구동 귀부(270, 271, 272)는 환형 립부(268)의 주연 에지를 따라 형성된다. 귀부(270)는 저장부 본체(22)의 구동 슬롯(36)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져서 그 내부에 끼워지고 그에 의해 구동되며, 귀부(271, 272)는 저장부 본체(22)의 구동 슬롯(34, 35) 각각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을 가져서 그 내부에 끼워지고 그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아치형 포올 구동 벽(274)은 환형 돌기(266)와 디스크(262)의 주연부 사이의 디스크(262)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한다. 포올 구동 벽(274)은 계수기 기구를 참조로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대향 포올 구동 단부(276, 278)를 포함한다.
편향 조립체는 환형 보유 립부(268)에 의해 그 위에 보유된,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의 디스크(262)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된 일 단부를 갖는 코일 스프링(290)을 더 포함한다.
도 3, 도 4,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조립체는 투여량 계량판(180)을 지지하고, 상부 스프링 보유기로서 기능하며, 저장부 플러그(90)의 얇은 원형 판(92)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투여량 계량판(180)을 편향시키며,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이 벤튜리 도관(64, 64')과 정렬될 때에만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을 통한 흡입을 허용하는 지지판(30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지판(300)은 디스크(302)의 주연 에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환형 보유 립(304)을 갖는 디스크(302)에 의해 형성된다.
세 개의 반경방향 연장 피구동 귀부(306, 307, 308)는 환형 립부(304)의 주연 에지 상에 형성된다. 귀부(306)는 저장부 본체(22)의 구동 슬롯(36)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져서 그 내부에 끼워져 그에 의해 구동되며, 귀부(307, 308)는 저장부 본체(22)의 구동 슬롯(34, 35)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져서 그 내부에 끼워져서 그에 의해 구동된다. 귀부(306, 307, 308)의 높이는 환형 립부(304)의 높이 미만이며, 귀부(306, 307, 308)의 하부 표면은 환형 립부(304)의 하부 에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표면을 가지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로, 중앙 원형 구멍(310)은 디스크(302) 내에 형성되며, 내부의 투여량 계량판(180)의 환형 장착 포스트(188)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반경방향 연장 슬롯(312)은 원형 구멍(310)으로부터 연장하며 그와 소통한다. 슬롯(312)은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이 벤튜리 도관(64, 64')과 정렬될 때 슬롯(312)의 반경방향 외부 부분이 계량 투여 구멍(184, 184')과 중첩하도록, 그리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 항상 계량 투여 구멍(184, 184')과의 정렬을 벗어나 그와 중첩하지 않도록 하는 거리만큼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말 보유기(186, 186')는 그를 통한 가스 유동에 최소한의 규제 효과를 갖는 메시 스크린, 필터, 다공성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메시 스크린 등이 사용될 때, 대략 35%의, 가스 유동의 감소 및 그에 의한,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흡입의 감소가 존재한다. 대안 실시예에 따라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 스크린 등으로 구성된 분말 보유기(186)는 슬롯(312) 아래에서 지지판(300)의 디스크(302)의 하부 표면에 재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 스크린 등이 반경방향 연장 슬롯(312)을 통한 가스 유동을 감소시키지만, 이는 슬롯(312)보다 작은 계량 투여 구멍(184 또는 184')을 통한 가스 유동을 사실상 규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공기 유동은 투여량 계량판(180)의 단면 폭에 독립적이다. 또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을 통한 공기 유동을 감소시키도록 계량 투여 구멍(184 또는 184')에 어떠한 메시 분말 보유기(186)도 존재하지 않는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투여량 계량판(180)은 바아(190) 및 슬롯(222)에 기인하여 베이스(200) 상에 고정 보유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저장부 본체(22), 저장부 플러그(100) 및 구동 본체(120)로 구성되는 분말 하우징(20)은 베이스(200) 및 투여량 계량판(180)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추가적으로, 지지판(300)은 계량 투여 판(180)의 하부 표면과 결합 상태로 편향되어 이를 지지한다. 동작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이 벤튜리 도관(64, 64')과 정렬될 때에만 반경방향 연장 슬롯(312)이 계량 투여 구멍(184, 184')과 정렬된다. 따라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이 벤튜리 도관(64, 64')과의 정렬 상태를 벗어날 때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의 임의의 분말(62, 62')은 그 하부 단부의 지지판(300)의 디스크(302)의 상부 표면과 메시 분말 보유기(186, 186')에 의해, 그리고, 그 상부 단부의 저장부 플러그(90)의 얇은 원형 판(92)의 하부 표면에 의해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에 개재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의 보관 또는 비활성 위치에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프라이밍되고, 반경방향 연장 슬롯(312)과의 정렬을 벗어나 위치된다. 이런 위치에서,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의 분말(62, 62')은 지지판(300)의 디스크(302)의 상부 표면과 저장부 플러그(90)의 얇은 원형 판(92)의 하부 표면 사이에 보유되며, 따라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을 벗어날 수 없다.
상술한 요소를 모두 함께 능동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는 도 3, 도 4,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3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320)는 그 위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저장부 본체(22)의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30)의 외부 직경보다 큰 내부 직경을 갖는 하부 환형 벽(322)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 환형 벽(322)의 내부 직경은 그 위에 설치되도록 베이스(200)의 환형 스커트(204)의 외부 직경보다 미소하게 더 크지만, 베이스(200)의 환형 보유 림(210)의 외부 직경보다는 미소하게 작다.
환형 홈(324)은 그 하부 에지 위로 미소하게 이격된, 하부 환형 벽(322)의 내부 하부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단편의 탄성에 기인하여, 어댑터(320)가 베이스(200) 위에 삽입되어 그 위로 눌러질 때, 베이스(200)의 보유 림(210)은 베이스(200) 상에 어댑터(320)를 보유하도록 환형 홈(324) 내로 스냅결합된다. 이 때, 환형 치형부(2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환형 벽(322)의 내부 표면과 결합할 수 있다.
어댑터(320)와 베이스(200) 사이의 정확한 정렬을 획득 및 유지하기 위해, 어댑터(320)는 홈(324) 내에 작은 슬롯(326)을 구비한다. 슬롯(326)은 내부에 작은 포스트(214)를 수용하도록 베이스(200) 내의 작은 포스트(214)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물론, 포스트(214)는 어댑터(320)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슬롯(326)은 즉, 부품의 반전 상태로 베이스(200) 내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어댑터(320)의 회전은 베이스(200)가 그와 함께 회전하게 한다.
하부 환형 벽(322)의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의 파지 및 회전을 향상시키도록 요철, 널링(knurling) 등에 의해 형성된 파지 표면(328)을 구비한다.
직사각형 개구(329)는 하부 환형 벽(322)의 높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중앙에, 그리고, 슬롯(326)에 실질적으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하부 환형 벽(322) 내에 형성된다. 직사각형 투명 플라스틱 윈도우(330)는 접착제, 용접 등에 의해 개구(329) 내에 고정된다. 윈도우(330)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계수기 기구와 함께 사용된다.
어댑터(320)는 외부 환형 견부(334)에 의해 하부 환형 벽(322)의 상부 단부에 연결된, 하부 환형 벽(322)보다 작은 직경의 상부 환형 벽(332)을 더 포함한다.
환형 편향 립부(338)는 상부 환형 벽(332)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어댑터(3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200) 상으로 어댑터(320)를 로킹되도록 하향 추진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환형 편향 립부(338)는 저장부 본체(22)의 외부 환형 견부(32) 상에 배치되며, 그에 의해, 저장부 본체(22)를 코일 스프링(290)의 힘에 대항하여 하향 편향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290)은 편향력이 항상 투여량 계량판(180)과 접촉하도록 지지판(300)을 밀고, 항상 저장부 플러그(90)와 접촉하도록 투여량 계량판(180)을 밀도록 압축된다. 그러나, 이런 편향 작용은 여전히 어댑터(320) 및 투여량 계량판(180)에 대한 저장부 본체(22)의 회전을 허용한다.
동시에, 이러한 압축은 피구동 귀부(270, 306)가 항상 구동 슬롯(36) 내에 위치되고, 피구동 귀부(271, 272 및 307, 308)가 구동 슬롯(34, 35) 내에 항상 위치되는 것을 보증하며, 그래서, 저장부 본체(22)의 회전은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 및 지지판(300)의 결과적 회전을 유발한다. 투여량 계량판(180)이 베이스(200) 상에 고정 보유되기 때문에, 바아(190) 및 슬롯(222)에 기인하여, [저장부 본체(22), 저장부 플러그(90) 및 구동 본체(120)로 구성된] 분말 하우징(20),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 및 지지판(300)은 베이스(200), 투여량 계량판(180) 및 어댑터(320)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술한 조립된 조건에서, 구동 본체(120)의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의 하부 에지는 어댑터(320)의 상부 환형 벽(332)의 상부 에지 상에 배치되고 그 위에서 회전한다. 투여량 계량판(180)의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을 통한 공기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이격된 리세스(340, 341, 342)가 상부 환형 벽(332) 내에 형성되어, 상부 환형 벽의 상부 에지로부터 상부 편향 립부(338)로 연장한다. 리세스(340)는 구동 슬롯(36)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리세스(341, 342)는 구동 슬롯(34, 35)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이 저장부 본체(22)의 벤튜리 도관(64, 64') 및 지지판(300)의 반경방향 연장 슬롯(312)과 정렬될 때, 리세스(340)는 구동 슬롯(36)과 정렬되고, 리세스(341, 342)는 구동 슬롯(34, 35)과 정렬된다. 따라서, 벤튜리 도관(64, 64') 상의 흡입은 리세스(340)와 구동 슬롯(36)을 통한, 리세스(341, 342) 및 구동 슬롯(34, 35)을 통한, 그리고, 그후, 반경방향 연장 슬롯(312),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및 벤튜리 도관(64, 64')을 통한 공기 유동이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의 분말(62, 62')의 계량 투여량을 분배기(10)의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리세스(340, 341, 342)는 후술된 바와 같이, 캡이 제거된 이후 제 위치에 조립체를 로킹하도록 스프링 핑거(161, 163, 165)를 수용하도록 배향된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340, 341, 342) 각각은 그 내부 표면을 향한 경사부(345)를 그 일 측부에 구비하며, 그 목적은 이하에서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중 나선 캠 트랙(352)은 상부 환형 벽(332)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며, 그 목적은 후속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중 나선 트랙(352)을 형성하는 벽(353)은 실질적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그 목적은 캡에 관한 후술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캠 트랙(352)으로의 입구(351)는 회전이 시작할 수 있기 이전에 수직 강하 구역으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폐쇄 캡의 정확한 정합 및 이에 의한 분배기(10)의 정확한 작동을 보증한다.
분말이 파쇄되어 벤튜리 도관(64)의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의 개방 상부 단부로부터의 흡입 공기와 적절히 혼합되는 것을 보증하도록,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류 노즐(380)은 저장부 본체(22)의 상부 단부에 장착된다. 집괴화된 분말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는 상부 벤튜리 도관 섹션(68)으로부터 난류 노즐 내로 유동한다. 기계적 파쇄는 난류 노즐의 중요한 기능이다. 추가적으로, 난류 노즐(380)은 혼합 챔버로서 작용하거나, 분말(62, 62')을 함께 혼합한다. 분말들(62, 62')은 벤튜리 도관들(64, 64')에 의해 별개로 전달될 수 있지만, 그후 단일 투여량으로서의 전달을 위해 난류 노즐(380) 내에서 혼합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이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난류 노즐 구성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난류 노즐(380)은 원형 상단 벽(382) 및 상단 벽(382)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환형 측벽(384)을 포함한다. 환형 측벽(384)은 구동 본체(120)의 상부 환형 스커트 섹션(126)의 외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원형 상단 벽(382)과 환형 측벽(384) 사이의 내부 연결 영역(386)은 그 사이에 평활한 전이부를 제공하고, 그에 의해, 분말(62, 62')을 위한 평활한 유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굴곡된다. 달리 말하면, 원형 상단 벽(382), 환형 측벽(384) 및 내부 연결 영역(386)에 이해 형성된 내부 영역은 다소 부분적 도넛형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그 사이의 외부 연결 영역(390)은 원형 상단 벽(382)과 환형 측벽(384) 사이의 단면에서 실질적 직각을 형성한다.
난류 노즐(380)을 구동 본체(120)의 상부 단부 상에, 그리고, 특히, 구동 본체(120)의 환형 보유 리지(159) 상에 고정하기 위해, 네 개의 스파이크형 리브(392, 393, 394, 396)는 환형 측벽(384)의 하부 에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상태로 균등 각도간격으로 형성된다. 스파이크형 리브(392, 393, 394, 396)는 서로 다른, 그리고, 구동 본체(120)의 아치형 리세스(158a-158d)의 아치형 거리와 각각 동일하게 대응하는 아치형 거리로 연장하며, 그래서, 난류 노즐(380)은 구동 본체(120)와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조립된다. 예로서, 스파이크형 리브(392, 394)는 40도의 아치형 거리로 연장하고, 스파이크형 리브(393)는 23도의 아치형 거리로 연장하고, 스파이크형 리브(396)는 40도의 아치형 거리로 연장한다. 스파이크형 리브(392, 393, 394, 396)는 리세스(158a-158d)가 그 둘레로 연장하는 공통 원과 같은 직경을 갖는 공통 원을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스파이크형 리브(392, 393, 394, 396)는 2도 조정 간극으로 리세스(158a-158d) 각각의 내부에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스파이크형 리브(392, 393, 394, 396)는 실질적 삼각형 단면 구성을 갖는 테이퍼형 단부를 구비한다.
흡입 과정 동안, 난류 노즐(380) 및 그에 고정된 마우스피스(후술됨)는 구동 본체(120)로부터 분리되고 삼켜지게(swallow) 된다. 따라서, 구동 본체(120) 상에 난류 노즐(380)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 작업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에너지는 스파이크형 리브(392, 393, 394, 396)를 향해 안내된다. 이런 경우에, 리브(392, 393, 394, 396)의 스파이크형 또는 날카로운 단부는 더 큰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안내기로서 기능한다. 결과적으로, 스파이크형 리브(392, 393, 394, 396)의 플라스틱 재료는 구동 본체(120) 상에 난류 노즐(380)을 고정하도록 리세스(158a-158d)의 플라스틱 재료 내로 융합된다. 이 배열에서, 난류 노즐(380)을 고정하기 위해 균일한 에너지가 인가되며, 이런 고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자동 작업이 사용되어 항상 일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외부 공기 통로(150, 152)는 그에 보조 공기 유동을 공급하도록 환형 측벽(384)의 내부로 연장되며, 이 보조 공기 유동은 또한 환형 측벽(384)의 내부에 공급되는 벤튜리 도관(64, 64')으로부터의 공기/분말 혼합물과 혼합된다.
원형 상단 벽(382)은 중앙 개구(402)를 구비하며, 공급 침니(chimney)(404)는 중앙 개구(402)에 둘러싸는 관계로 원형 상단 벽(384)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공급 침니(404)를 통해 이를 공급하기 이전에 분말 집괴체를 파괴하기 위하여, 굴곡된 스파이크형 벽(406)은 원형 상단 벽(382)으로부터 하향 연장하고, 일 단부(408)에서 환형 측벽(384)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굴곡된 벽(406)은 단부(408)로부터 중앙 개구(402) 부분적 둘레에서 대향 단부(410)로 캔틸레버식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갭(409)은 굴곡된 벽(406)의 잔여부와 단부(410) 사이에 제공된다. 굴곡된 벽(406)의 높이는 환형 측벽(384)의 것과 동일하며, 그래서, 굴곡된 벽(406)의 하부 에지는 난류 노즐(380)이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 본체(120)와 조립될 때 구동 본체(120)의 원형 상단 벽(122) 상에 배치된다. 굴곡된 벽(406)은 사실상 두 개의 섹션, 즉, 단부(410)로부터, 예로서 165 내지 227도 동안 중앙 개구(402) 부분적 둘레로 연장하는 제1 섹션과, 제1 섹션보다 큰 반경을 따라 제1 섹션의 단부로부터 단부(408)로 연장하는 제2 섹션으로 형성된다.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굴곡된 벽(406)은 난류 공동(412)을 형성하며, 그래서, 벤튜리 도관(64, 64')으로부터의 분말이 난류 공동(412)에 진입하고, 공급 침니(404)에 진입하기 이전에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방향이 변한다. 따라서, 분말 집괴체가 난류 공동(412) 내의 원형 상단 벽(382), 환형 측벽(384) 및 굴곡된 벽(406)에 대해 일정하게 충돌한다. 또한, 집괴체는 서로 충돌하고, 이는 집괴체들 사이의 상호 연삭 또는 파괴 작용(shattering action)을 초래한다. 동시에, 난류 공동(412) 내의 분말 집괴체의 이동을 가속시키도록 제1 및 제2 외부 공기 통로(150, 152)로부터의 보조 공기 유동이 각각 난류 공동(412)에 진입한다. 난류 공동(412)을 형성하는 벽 상의 분말 집괴체의 일정한 충돌은 충돌시 집괴체가 미분된 분말로 파괴되게 한다. 기본적으로, 분말 집괴체가 충분한 속도로 이동하는 한, 집괴체를 파괴하기 위해 충분한 운동학적 에너지가 존재한다.
또한, 굴곡된 벽(406)과, 특히, 난류 공동(412)은 먼저 벤튜리 도관(64, 64')의 축방향으로부터 축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단 방향으로 분말(62)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이 횡단 방향으로, 분말(62, 62')은 그후 난류 공동(412)의 횡단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방향이 변하도록 강요된다. 난류 공동(412)을 벗어날 때, 유동의 난류 성분을 유지하면서, 즉, 침니(404)를 통해 나선적으로 난류유동하면서 분말(62, 62')의 방향은 다시 공급 침니(404)를 통해 축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미분화된 분말 및 임의의 잔여 집괴체가 난류 공동(412)으로부터 그에 부여된 난류유동을 유지하기 때문에, 난류 유동은 미분화된 분말 및 잔여 집괴체에 원심력을 인가함으로써 잔여 집괴체의 추가적 파괴를 초래하도록 공급 침니(404) 내에 추가적 충격을 생성한다.
그러나, 집괴체 파괴의 대부분은 난류 공동(412) 내에서 이루어진다. 집괴체에 의해 달성되는 속도는 항력 또는 흡입력, 집괴체의 관성 및 난류 공동(412)의 길이, 즉, 항력이 집괴체 상에 작용하는 시간에 의존한다. 그 관성에 기인하여, 집괴체는 난류 공동(412) 내의 벽과 충돌하여 집괴체를 미분화된 분말로 변화시킨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침니(404)는 그 내부벽을 따라 연장하는 수직 배향 홈 또는 플루트(flute)(405)를 구비한다. 플루트(405)는 그에 대해 집괴체가 충돌할 수 있는 더 많은 표면을 제공한다. 플루트(405)는 제1 반경의 6개 수직 오목 벽 섹션(4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더 큰 반경의, 또는 심지어 평탄, 평면 구성, 즉, 무한 반경의 제6 수직 오목 벽 섹션(413)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배열이 제공되든 플루트(405)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이 수직으로 배향되고, 그에 의해, 불규칙 수직 배향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루트(405)는 바람직하게는 침니(404)의 상부 에지로부터 굴곡된 벽(406)의 상부 에지로 연장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루트(405)는 분산을 위해 더 큰 파쇄력을 필요로 하는 집괴체의 파괴를 돕는다.
실험은 플루트형 난류 노즐(380)이 플루트형이 아닌 유사한 난류 노즐보다 호흡가능한 분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0.29 내지 0.36 g/ml의 범위의 벌크 밀도를 갖는 것들 같은 경질 집괴체에 대하여, 플루트가 없는 동일한 난류 노즐은 대략 10% 호흡가능한 분율을 제공하고, 플루트형 난류 노즐은 대략 35% 호흡가능한 분율을 제공한다. 이들 실험의 목적상 "호흡가능한 분율"은 다단 액체 충돌기를 사용하여 결정될 때, 6.8 ㎛ 직경 이하인 노즐로부터 전달된 총 입자의 백분율이다. 실험시, 조성은 1 내지 5.8의 성분 중량비의 모메타손 및 락토즈 집괴체이다.
집괴체 파괴에 추가로, 난류 노즐(380)은 추가적 제약을 충족하여야만 한다. 예로서, 분말 흡입기를 통한 압력 강하는 바람직하게는 호흡기능이 악화된 사람에 의한 용이한 사용을 위해 약 20 in 수주(5Kpa) 미만이어야 하지만,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을 통한 충분한 주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높아야 한다. 굴곡된 벽(406)의 제1 및 제2 섹션이 만나는, 즉, 제2 섹션이 중앙 개구(402)를 벗어나는 위치와 단부(410)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난류 노즐(380)을 통한 압력 강하가 변할 수 있다.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 각도는 약 165°이지만, 이 값은 필요한 압력 강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환형 마우스피스 고정 벽(418)은 그 주연 에지로부터 미소하게 내향으로 이격된, 원형 상단 벽(382)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환형 리지(420)는 환형 마우스피스 고정 벽(418)의 외측으로, 원형 상단 벽(382)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환형 립부(422)는 환형 마우스피스 고정 벽(418)의 상부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한다.
또한, 기어 치형부(424)는 환형 마우스피스 고정 벽(418)의 상부 에지 상에 제공된다. 비록, 40개 기어 치형부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로케이터 탭(426)은 기어 치형부(424)의 내부 표면을 따라 원형 상단 벽(382)의 상부 표면 상에 제공된다.
도 3, 도 4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440)는 난류 노즐(380)의 상부 단부에 고정된다. 도 40 내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440)는 상단 벽(442)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현수되는 환형 측벽(444)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 상단 벽(442)을 포함한다. 상단 벽(442)이 대체로 직사각형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리고, 측벽(444)의 환형 구성 때문에, 상단 벽(442)의 길이방향 측부에 대응하는 측벽(444)의 대향 측부(446, 448)의 상부 부분은 서로를 향해 수렴하는 방식으로 상향 경사진다. 장치의 사용자의 립부는 흡입 동안 측부(446, 448) 상에 배치된다. 물론, 사용자의 입이 마우스피스 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 다양한 에지들은 라운딩된다.
중앙 개구(450)는 상단 벽(442)의 중앙에 형성되며, 환형 연결 튜브(452)는 개구(450)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 상단 벽(442)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다. 마우스피스(440)가 난류 노즐(380) 상에 배치될 때, 연결 튜브(452)는 내부에 난류 노즐(380)의 공급 침니(404)의 상부 단부를 수용한다.
난류 노즐(380)에 마우스피스(440)를 고정하기 위해, 측벽(444)의 하부 단부는 원형 또는 환형 형상을 갖는다. 측벽(444)의 이러한 하부 단부의 내부 표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내향 연장하는 환형 V 형상 돌출부(454)가 형성된다.
마우스피스(440)가 난류 노즐(380) 상에 위치되고, 그 위로 하향 가압될 때, 난류 노즐(380)의 환형 립부(422)는 플라스틱 단편의 탄성에 기인하여, V-형 돌출부(454) 위에 올라가고, 그래서, V-형 돌출부(454)는 환형 립부(422)를, 그리고, 그에 의해, 마우스피스(440)를 난류 노즐(380) 상에 보유한다. 이런 위치에서, 측벽(444)의 하부 에지는 난류 노즐(380)의 환형 리지(420) 상에 배치된다.
또한, 두 세트의 세 개의 기어 치형부(460)는 측벽(444)의 대향 측부(446, 448)의 중앙에 위치된, 환형 V형 돌출부(454) 바로 위의 환형 측벽(444)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측부들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마우스피스(440)가 난류 노즐(380)과 조립될 때, 기어 치형부(460)는 마우스피스(440)와 난류 노즐(380)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기어 치형부(424)와 결합한다.
이제, 도 45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의 폐쇄 캡(520)이 마우스피스(440)를 위한 폐쇄체로서 제공되며, 동시에, 사용을 위해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를 프라이밍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폐쇄 캡(520)은 대체로 원형 상단 벽(524)에 의해 그 상부 단부에서 폐쇄되는 상부 세장형 환형 덮개 벽(522)을 포함한다. 환형 덮개 벽(522)보다 큰 직경의 하부 환형 고정 스커트(526)는 환형 절두 원추 커넥터(528)를 통해 환형 덮개 벽(522)의 하부 단부에 고정된다. 환형 고정 스커트(526)의 하부 단부가 개방된다. 또한, 하부 환형 고정 스커트(526)의 내부 직경은 어댑터(320)의 상부 환형 벽(332)의 외부 직경보다 다소 커서 그 위에 설치된다.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 상으로, 특히, 마우스피스(440)를 덮는 관계로 폐쇄 캡(520)을 고정하기 위해, 나선형 캠(530),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이격 배치된 나선형 캠이 하부 환형 고정 스커트(526)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폐쇄 캡(520)이 분말 하우징(20), 난류 노즐(380) 및 마우스피스(440) 위에 삽입될 때, 폐쇄 캡(520)의 캠(530)은 입구(351)에서 초기에 수직방향으로 강하하며, 그후, 하부 환형 고정 스커트(526)의 하부 에지가 어댑터(320)의 환형 절두 원추 연결 섹션(334) 상에 배치될 때까지, 어댑터(320)의 이중 나선 캠 트랙(352)과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캠(530) 및 캠 트랙(352)이 종래의 스크류 나사부 대신 제공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는 종래의 스크류 나사부에서, 캡(520)이 나사부의 공차에 기인하여 조기에 당겨져 제거되기(pull off)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는 정확하게 작동될 수 없으며, 즉, 그 프라이밍 및 전달 동안 완전 회전되지(바람직하게는 약 120도) 않는다. 그러나, 정사각형 단면의 벽(353)을 구비하는 캠 트랙(352) 및 캠(530)에 의해, 캡(520)의 조기 개방 방지, 사용의 용이성, 분배기(10)의 부분의 회전 위치의 적절한 위치를 항상 보증하는 것 및 계수기(후술됨)가 투여량 계수치를 항상 정확하게 변화시키도록 항상 정확하게 작동되는 것을 보증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수의 장점이 달성된다. 따라서, 캠(530)이 캠 트랙(352)과 완전히 결합할 때까지 캡(520)이 어댑터(320)와 결합될 수 없다.
하부 환형 고정 스커트(526)의 외부 직경은 상대적으로 평활한 연속적 외관을 제공하도록 어댑터(320)의 하부 환형 벽(322)의 외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폐쇄 캡(520)의 제거 및 폐쇄를 돕기 위해, 폐쇄 캡(520)의 파지 및 회전을 향상시키도록 하부 환형 고정 스커트(526)의 외부 표면은 요철부, 널링 등에 의해 형성되는 파지 표면(532)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폐쇄 캡(520)은 또한 사용을 위해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를 프라이밍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병렬적, 축방향 연장, 이격 배치 프라이밍 리브(534)의 세 개의 이격 배치된 쌍이 폐쇄 캡(520)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며, 절두 원추 커넥터(528)로부터 하부 환형 고정 스커트(526) 상으로 작은 거리로 연장한다. 프라이밍 리브(534)는 폐쇄 캡(520)의 내부 표면 상에 균등하게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쌍의 프라이밍 리브(534)는 스프링 핑거(161, 163, 165)를 내향 편향시키기 위해, 또한, 구동 본체(120)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개구(164, 166)의 측부와의 결합을 위해, 구동 본체(120)의 구동 개구(164, 166, 169)의 폭보다 미소하게 적은 거리만큼 각각 이격 배치된다. 도 4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밍 리브(534) 각각은 중간 돌출 부분(539)에서 만나며, 돌출 부분(53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들이 이동할 때 두께가 감소하는 상부 경사 부분(537) 및 하부 경사 부분(535)을 구비한다.
폐쇄 캡(520)이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로부터 제거될 때,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사용자에 의해 흡입 준비된 벤튜리 도관(64, 64')과 정렬된다. 따라서, 분배기(10)는 완전히 프라이밍되고, 사람에 의한 흡입 준비가 된다. 이 때, 스프링 핑거(161, 163, 165)는 어댑터(320)의 리세스(340, 341, 342)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분배기(10)는 이 위치에 로킹된다.
삽입 폐쇄 캡(520)의 동작이 도 48a 내지 도 48e와 도 49a 및 도 49b에 도시되어 있다. 흡입 동작 이후, 폐쇄 캡(520)은 도 4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 상에 위치된다. 이 때, 캠(530)은 캠 트랙(352) 내에 결합되지 않는다. 폐쇄 캡(520)의 회전시, 캠(530)은 캠 트랙(352)의 시작 부분 내에 들어가며, 도 48b 및 도 4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하방으로 눌러질 수 있다. 이 때, 프라이밍 리브(534)는 스프링 핑거(161, 163, 165)와 결합하여 추진하며, 또한 구동 개구(164, 169)의 측부와 결합한다. 달리 말하면, 초기 폐쇄 동작 동안, 프라이밍 리브(534)의 하부 경사 부분(535)은 스프링 핑거(161, 163, 165)의 상부 부분과 결합하며, 이를 리세스(340, 341, 342) 내로 편향시킨다. 이는 도 49a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구동 본체(120)는 도 48d 및 도 4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320)에 대하여 폐쇄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캡(520)은 구동 본체(120)와 결합하며, 그래서, 캡(520)의 지속 회전은 어댑터(320)에 대한 구동 본체(120)의 회전을 초래한다. 캡(520)이 회전될 때, 이는 캠 트랙(352) 내에 배치되는 캠(530)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진다.
회전의 완료시, 스프링 핑거(161, 163, 165)의 구성과 프라이밍 리브(534)의 상보적 구성에 기인하여, 스프링 핑거(161, 163, 165)는 흡입 위치로부터 120도 오프셋된, 프라이밍 리브(534)와의 정합 결합 상태로 로킹 위치로 탄성 복귀되며, 즉, 스프링 핑거(161, 163, 165)는 리세스(340, 341, 342) 내에 위치된다. 또한, 프라이밍 리브(534)와의 스프링 핑거(161, 163, 165)의 정합 관계에 기인하여, 프라이밍 리브(534)는 또한 이때 리세스(340, 341, 342) 내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프라이밍 리브(534)의 중간 돌출 부분(539)은 도 49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핑거(161, 163, 165)의 대응 오목 부분 내에 수용된다.
캡(520)이 도 48e의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 핑거(161, 163, 165)는 자유 상태, 즉, 스프링 핑거(161, 163, 165) 상에 어떠한 응력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복귀된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이는 시간에 걸쳐 스프링 핑거(161, 163, 165)가 대부분의 플라스틱 재료에서와 같이 편향된 상태에서 영구적 경화 또는 변형을 유발하지 않도록 제공된다. 이는 흡입기의 동작에 유해하다. 스프링 핑거(161, 163, 165)의 특정 형상 및 프라이밍 리브(534)가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폐쇄 캡(520)의 폐쇄 회전은, 계량 투여 구멍(184, 184')에 대한 구동 본체(120), 그리고, 그에 의한, 벤튜리 도관(64, 64')의, 120도 정렬을 벗어난 보관된 위치로의 회전을 유발한다. 이 이동 동안, 분말(62, 62')은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가 프라이밍되도록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로 스크레이핑된다.
사용자가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를 사용할 준비가 될 때, 폐쇄 캡(520)은 어댑터(320)로부터 스크류결합 해제된다. 이런 이동 동안, 스프링 핑거(161, 163, 165)는 초기에 리세스(340, 341, 342) 상의 경사부(345)와 결합하며, 스프링 핑거(161, 163, 165)가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내향 이동하게 한다. 그후, 캡(520)이 상승하기 시작함에 따라, 스프링 핑거(161, 163, 165)는 스프링 핑거(161, 163, 165)를 누르는 프라이밍 리브(534)에 의해 다시 결합된다. 달리 말하면, 초기 개방 동작 동안, 프라이밍 리브(534)의 상부 경사 부분(537)은 스프링 핑거(161, 163, 165)의 상부 부분과 결합하며, 이를 리세스(340, 341, 342) 내부로 편향시킨다. 따라서, 구동 본체(120)는 어댑터(320)에 대하여 개방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계량 투여 구멍(184,184')에 대한 구동 본체(120)의, 그리고, 그에 의한, 벤튜리 도관(64, 64')의 정렬 위치로의 대향 회전을 초래한다. 따라서, 폐쇄 캡(520)이 제거되자마자, 각각 분말(62, 62')로 충전되는 계량 투여량 구멍(184, 184')은 벤튜리 도관(64, 64')과 정렬되고, 흡입을 위해 준비된다. 따라서, 폐쇄 캡(520)이 제거된 이후 어떠한 추가적 프라이밍 및 설정 동작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도 20을 참조하면, 분말(62, 62')은 접촉 상태를 벗어나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투여량을 프라이밍 및 투여하기 위한 전후방향 투여량 계량판(180)의 상대 이동 동안 고정된 경로(F1, F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된 경로(F1, F2)는 약 90 내지 약 150도 범위의 각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도의 범위의 각도(α)에 걸쳐 스위핑한다. 추가적으로, 계량 투여 구멍(184, 184') 중 하나에 의해 고정 경로(F1, F2)를 따라 남겨진 분말 잔류물은 다른 계량 투여 구멍(184, 184')과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된 경로(F1, F2)는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부들 사이에서 약 30 내지 약 90도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도의 각도(β)만큼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배열에서, 고정 경로(F1, F2) 사이에 균등 간격이 제공될 수 있으며, 즉, 각도(β)는 고정 경로(F1, F2)의 양 측부 상에서 동일하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가 계량 투여 구멍, 예를 들어, 세 개의 계량 투여 구멍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대응 부분, 예를 들어, 벤튜리 도관, 공급 도관의 수는 대응적인 크기 상승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다수의 계량 투여 구멍에 의해, 형성된 임의의 고정 경로 사이에 간격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세 개의 계량 투여 구멍의 사용에 관하여, 각도(α)는 90도일 수 있으며, 각도(β)는 45도일 수 있다. 이 배열에 의해, 세 개의 고정 경로 사이의 균등 간격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폐쇄 캡(520)은 상단 벽(524)으로부터 작은 거리 이격되어 있는 덮개 벽(522)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6개 균등 각도 간격으로 이격된 돌출부(538)를 포함한다.
분배기(10)와 함께 건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240,918호에 개시된 것 같은 건조제 홀더가 사용될 수 있다.
분말이 고갈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경보하도록 남아있는 분배 대상 투여량 횟수를 나타내거나 분배되는 투여량 횟수를 계수하기 위해 계수기 기구(580)가 제공된다. 다수 유형의 기계적 및 전기적 계수기가 유용하다. 디지털 전자 계수기는 베이스 또는 장치의 다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투여량 탑재 동작의 소정 지점에서 회로를 완성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필요로 하고, 필요한 배터리의 특성은 장치를 위한 보관 수명을 결정하는 인자일 것이다. 현재, 분배 대상 잔여 투여량 횟수를 나타내는 감분식 기계적 계수기인, 계수기 기구(580)가 바람직하다.
계수기 기구(580)는 베이스(200) 상의 상술한 제1 및 제2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24, 232), 어댑터(320)의 상술한 투명 플라스틱 윈도우(330), 연속 계수기 링(590), 간헐 계수기 링(620) 및 스프링 편향 포올 조립체(640)로 구성된다.
도 3, 도 4 및 도 50 내지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계수기 링(590)은 실질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벽을 구비한 디스크(592)에 의해 형성된다. 외부 각진 리지(594)는 그곳에서 디스크(592)를 절단 제거함으로써 디스크(592)의 외부 상부 에지 상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 환형 립부(596)는 디스크(592)의 평활한 연장부, 그러나, 더 작은 단면 폭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로서 디스크(592)의 하부 외부 에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환형 리지(598)는 디스크(592)의 하부 에지에 형성된다. 이에 관하여, 연속 계수기 링(590)은 베이스(2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내부 환형 리지(598)는 베이스(200)의 원형 상단 벽(202) 상에 배치되며, 하부 환형 립부(596)는 원형 상단 벽(202)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 베이스(200)의 환형 리지(206)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수치 지표(600)가 평활하게 조합된 디스크(592)의 외부 표면과 하부 환형 립부(596) 상에 인쇄된다. 구체적으로, 숫자 "0" 내지 "9"의 두 개의 연속적 세트가 동일 각도간격으로 그 둘레에 인쇄된다. 수치 지표(600)는 수직 방식으로 인쇄된다. 따라서,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가 직립 상태인 동안, 즉, 사용되어져야 하는 방식으로 존재하는 동안, 지표(600)가 판독될 수 있다.
20개 수의 수치 지표(600)에 대응하여 20개 기어 치형부(602)가 디스크(592)의 내부 표면 상에 동일 각도간격으로 형성된다. 수치 지표(600)의 대향 수치 "5"에 대응하는 기어 치형부(602)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기어 치형부(604, 606)가 잔여 기어 치형부(602)보다 더 깊다는 것, 즉, 기어 치형부(604, 606)가 잔여 기어 치형부(602)보다 큰 정도로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모든 기어 치형부(602)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연속 계수기 링(590)이 베이스(200) 상에 배치될 때, 베이스(200)의 제1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24)는 베이스(200) 상의 연속 계수기 링(590)의 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번에 하나의 기어 치형부(602)와 결합한다.
도 3, 도 4 및 도 54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 계수기 링(620)은 실질적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벽을 구비하는 디스크(622)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환형 립부(624)는 디스크(622)의, 그러나, 더 적은 단면 폭의 평활한 연장부로서 디스크(622)의 하부, 외부 에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환형 리지(626)는 디스크(622)의 하부 에지에 형성된다. 이에 관하여, 간헐 계수기 링(620)은 연속 계수기 링(590)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내부 환형 리지(626)는 연속 계수기 링(590) 위로 이격 배치되며, 하부 환형 립부(624)는 연속 계수기 링(590)의 외부 환형 리지(594)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수치 지표(628)가 평활하게 조합된 디스크(622)의 외부 표면과 하부 환형 립부(624) 상에 인쇄된다. 구체적으로, 수치 "0" 내지 "19"는 그 둘레로 균등 각도 간격으로 인쇄된다. 수치 지표(628)는 수직 방식으로 인쇄된다. 따라서,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가 직립 상태인 동안, 즉, 사용되어져야 하는 방식으로 존재하는 동안, 지표(628)가 판독될 수 있다.
20개 수의 수치 지표(628)에 대응하여 20개 기어 치형부(630)가 디스크(622)의 내부 표면 상에 동일 각도간격으로 형성된다. 모든 기어 치형부(630)는 반경방향으로 동일 깊이를 가진다. 간헐적 계수기 링(620)이 연속 계수기 링(590) 상에 배치될 때, 베이스(200)의 제2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32)는 베이스(200) 상에서의 간헐적 계수기 링(620)의 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번에 하나의 기어 치형부(630)와 결합한다. 후속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어 치형부(630)가 기어 치형부(60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도록 기어 치형부(630)는 기어 치형부(602)보다 더 큰 직경의 원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투여량 제한 탭(632)은 사전지정된 수의 투여량이 분배된 이후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수치 "9"와 "10"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크(62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한다. 예로서,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가 200회 투여량을 분배하도록 제한되는 경우, 200번째 투여량의 분배 이후 투여량 제한 탭(632)은 이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투여량 계량판(180)에 관하여 분말 하우징(20)의 추가적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어댑터(320)의 투여량 제한기 탭(336)에 대해 접촉할 수 있다.
최초에, 지표(628)의 숫자 "19"가 지표(600)의 숫자 "9"와 정렬되어 어댑터(320)의 투명 플라스틱 윈도우(330)를 통해 노출되는 수치 199를 형성한다. 제1 투여량이 분배된 이후, 숫자 "19" 및 "8"이 각각 노출되어 윈도우(330)를 통해 노출되는 숫자 "198"를 형성하도록 연속 계수기 링(590)만이 회전된다. 다음 9회의 투여 이후에는, 연속 계수기 링(590)만이 각 투여량에 대해 한번에 1증분 회전한다. 숫자 "190"이 윈도우(330)를 통해 노출된 이후, 다음 투여량은 숫자 "189"를 형성하도록 연속 계수기 링(590) 및 간헐적 계수기 링(620) 양자가 회전하게 한다. 이 동작은 숫자 "00"가 윈도우(330)를 통해 노출될 때까지 이어진다. 이 시간에, 간헐 계수기 링(620)은 투여량 제한 탭(632)이 어댑터(320)의 투여량 제한기 탭(336)에 대하여 접하도록 하는 위치로 회전되어 투여량 계량판(180)에 관한 분말 하우징(20)의 추가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연속 계수기 링(590) 및 간헐 계수기 링(620)의 이런 회전을 유발하기 위해, 스프링 편향 포올 조립체(640)는 도 3, 도 4 및 도 58 내지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올 구동부(642)를 포함한다. 포올 구동부(642)는 연속 계수기 링(590) 및 간헐 계수기 링(620)의 조합된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 아치형 외부 벽(644)을 포함한다. U형 보유기(650)는 아치형 벽(644)의 자유 단부에 연결된다. U형 보유기(650)는 아치형 벽(644)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개방 영역(652)을 형성하는 루프는 아치형 벽(644)과 U형 보유기(650)에 의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 구조의 플랜지(648)는 U형 보유기(650)와의 그 교차부에 있는, 그러나, U형 보유기(65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이루어지는 아치형 벽(644)의 일 측부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포올(654)은 아치형 벽(644)의 외부 또는 볼록 표면 상에서 중앙에 형성된다. 따라서, 포올 구동부(642)가 원통형 돌기(216)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 베이스(200)의 원형 상단 벽(202) 상에 삽입될 때, 포올(654)은 기어 치형부(60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기어 치형부(630)가 기어 치형부(602)보다 큰 직경의 원을 따라 연장하기 때문에, 포올(654)은 기어 치형부(602)만과 결합하며, 기어 치형부(630)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포올(654)이 기어 치형부(604 또는 606) 중 하나와 결합할 때이다. 이런 경우에, 기어 치형부(604, 606)가 잔여 기어 치형부(602)보다 깊기 때문에, 포올(654)은 기어 치형부(630) 내에 도달하고 그와 결합할 수 있다. 기어 치형부(604, 606)가 10개 기어 치형부만큼 이격 배치될 때, 포올(654)은 매 10번째 투여량 분배마다 기어 치형부(604, 606) 중 하나 내부에 결합하며, 그에 의해, 이런 시기에 기어 치형부(630) 중 하나 내부에 결합함으로써 연속 계수기 링(590)과 함께 간헐 계수기 링(620)을 회전 구동한다.
기어 치형부(602)와 결합하도록 포올(654)을 편향시키기 위해, 굴곡된, 실질적으로 반전된 L형 스프링(658)은 아치형 벽(644)의 내부 표면에서 폭방향 및 길이방향에 관하여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단부를 가지며, 그 자유 단부는 반경방향 세그먼트(219) 내의 베이스(200)의 원통형 돌기(216)에 대해 누르고, 그에 의해, 포올 조립체(640)를 반경방향으로 내향 편향시키도록 하형 현수되어 있다. 이는 포올(654)이 기어 치형부(602)와 결합 상태로 진입하게 한다.
단일 성형 작업으로 포올 조립체(640)와 일체로 스프링(658)을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단일 성형 작업이 사용되고, 부품의 조립이 더 용이해지고, 스프링은 더 유연하고 신뢰성있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포올 조립체(640)가 베이스(200) 상에 위치될 때, U형 보유기(650)의 대향 측부들은 각진 스터브 벽(221, 223) 내에 위치되며, 그래서, 계수기 링(590, 620)의 기어 치형부에 관하여 래칫 조립체로서 기능하기 위해, 단지 포올 조립체(640)가 작은 각도만큼 회전하게 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
도 63 내지 도 6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편향 포올 조립체(64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8 내지 도 62의 포올 조립체(640)의 것들에 대응하는 요소는 프라임(')이 추가되어 있는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포올 조립체(640')와 포올 조립체(640)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포올 조립체(640')의 스프링(658')의 자유 단부는 그 고정 단부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미소한 볼록 곡률을 갖는다.
도 67 내지 도 7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편향 포올 조립체(64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8 내지 도 62의 포올 조립체(640)의 것들에 대응하는 요소는 그에 이중 프라임(")이 추가되어 있는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포올 조립체(640")와 포올 조립체(640) 사이의 한가지 차이점은 실질적 L형 부재로서 형성되지 않고 포올 조립체(640")의 스프링(658')이 아치형 벽(644")의 내부 표면의 상부 단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하는 테이퍼형 측부를 갖는 대체로 선형 부재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다른 차이점은 플랜지(648)가 전체적으로 제거되어 있다는 것이다.
계수기 기구(580)의 동작시,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는 폐쇄 캡(520)이 어댑터(320) 상으로 나사결합할 때의 보관 위치와 폐쇄 캡(520)이 어댑터(320)로부터 제거될 때의 흡입 위치 사이에서 투여량 계량판(180)에 대하여 저장부 본체(22)와 함께 120도 회전한다. 계량 분말 투여 분배기(10)가 보관 위치에 있을 때, 포올(654)은 연속 계수기 링(590)의 얕은 기어 치형부(602) 내에 결합되고, 따라서, 기어 치형부(630)와 결합하지 않는다. 또한, 이런 위치에서, 아치형 포올 구동 벽(274)의 포올 구동 단부(276)는 포올 조립체(640)와 결합한다.
저장부 본체(22)가 흡입 위치를 향해 최초 118도 회전할 때, 아치형 포올 구동 벽(274)의 포올 구동 단부(278)는 포올 조립체(640)의 대향 측부와 결합하도록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포올(654)은 얕은 기어 치형부(602)의 외부로 올라가도록 회전되어, 그 결과 스프링(658)을 압축시킨다. 10회 투여량이 분배되었을 때, 전체 120도까지의 지속 회전은 포올(654)이 미소한 양으로 회전하여 예로서 더 깊은 기어 치형부인 다음 기어 치형부(604) 내로 들어가게 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658)은 포올(654)을 기어 치형부(604) 내로 편향시킨다. 기어 치형부(604)가 더 깊은 기어 치형부이기 때문에, 또한, 포올(654)은 기어 치형부(630) 중 하나에 진입한다. 이 지점에서,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는 흡입 위치에 있으며, 여기서,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벤튜리 도관(64, 64')과 정렬된다.
사용자가 분말(62, 62')의 투여량을 흡입한 이후, 폐쇄 캡(520)은 어댑터(320) 상으로 다시 나사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저장부 본체(22)는 그 초기 위치로 다시 회전하여,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의 회전을 또한 초래한다. 즉, 이 120도 역방향 회전 동안, 아치형 포올 구동 벽(274)의 포올 구동 단부(276)는 그 초기 위치로 포올 조립체(6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그 이동의 종점에서 포올 조립체(640)와 결합한다. 이런 이동 동안, 포올(654)이 깊은 기어 치형부(604) 및 기어 치형부(630) 중 하나의 내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연속 계수기 링(590)과 간헐 계수기 링(620) 양자 모두는 함께 일 증분 회전된다. 포올(654)이 깊은 기어 치형부(604 또는 606) 중 하나와 결합하지 않는 경우, 포올은 기어 치형부(630)와 결합하지 않으며, 그래서, 연속 계수기 링(590)만이 회전된다.
기어 치형부(602, 630) 각각과 결합하는 제1 및 제2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24, 232) 때문에, 연속 계수기 링(590) 및 간헐 계수기 링(62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해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투여량 계량판(180)의 회전은 120도일 필요는 없지만, 더 작거나 더 큰 아치형 거리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아치형 포올 구동 벽(274)의 길이는 포올 조립체(640)를 증분 구동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환자에게 전달되는 분말 약물의 투여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분배기(10)는 종래 기술보다 구성 및 조립이 크게 단순화된다.
금속 판(93') 및 스프링(290)을 제외한 상술한 요소 모두는 쉽게 이용가능한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판(93') 및 스프링(290)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금속으로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다공성 또는 다른 특수 특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양한 구성요소는 원하는 강성 및 강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물질로 성형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말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비교적 얇고, 필요한 정도의 표면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강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금속 같은 덜 쉽게 변형되는 물질로 구성된다. 물론, 선택된 재료는 분배 대상 약물과 화학적으로 호환성이어야 한다. 비용상의 이유로, 플라스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장치는 초기 충전물이 분배된 이후 어떠한 약물 재충전도 이루어지지 않거나 단지 제한된 수의 약물 재충전이 이루어지고 폐기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특성이 필요한 장치의 다른 위치에 다른 "복합"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를 조립하기 위해, 분말 하우징(20)이 최초로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 플러그(90)는 저장부 본체(22) 내에 삽입되고, 난류 노즐(380)이 구동 본체(120)와 조립되고, 마우스피스(440)는 난류 노즐(380)과 조립된다. 다음에, 연속 계수기 링(590)은 베이스(200) 상에 설치되고, 간헐 계수기 링(620)은 연속 계수기 링(590) 상에 설치된다. 간헐 계수기 링(620)의 숫자 "19"와 연속 계수기 링(590)의 숫자 "19"가 윈도우(330)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정렬될 때까지 계수기 링들(590, 620) 양자 모두가 회전된다. 달리 말하면, 이는 숫자 "199"에 대응한다.
그 후, 포올 조립체(640)는 스터브 벽(221, 223) 사이에서, 원통형 돌기(216)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 베이스(200)의 상단 원형 벽(202) 상에 배치되며, 포올(654)은 숫자 "5"와 정렬되어 기어 치형부(604)와 결합 상태로 편향되며, 기어 치형부(630)는 숫자 "5"와 정렬되고, 즉, 숫자 "5"와 정렬된다. 제1 및 제2 회전 방지 스프링 멈춤쇠(224, 232)는 숫자 "0"에 대응하는 기어 치형부(606) 및 숫자 "19"에 대응하는 기어 치형부(630)와 정렬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는 보유 포스트(218)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 돌기(216) 상에 위치되며, 좁은 피구동 귀부(270)는 링(590, 620) 상의 숫자 "199"와 정렬된다. 이런 경우에, 그 포올 구동 단부(276) 포올 조립체(640)의 플랜지(648)와 접촉한다. 그후, 코일 스프링(290)은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의 디스크(262) 상에 배치되고, 지지판(300)은 코일 스프링(290)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며, 그 좁은 피구동 귀부(306)는 하부 스프링 보유기(260)의 좁은 피구동 귀부(270)와 정렬된다. 그후, 투여량 계량판(180)의 환형 장착 포스트(188)는 지지판(300)의 중앙 원형 구멍(310)을 통해, 베이스(200)의 보유 포스트(218) 위에 위치되며, 바아(190) 및 슬롯(222)과 정렬된다. 이런 경우에, 계량 투여 구멍(184, 184')은 지지판(300)의 반경방향 연장 슬롯(312)과 정렬된다.
그 후, 저장부 플러그(90)가 그와 조립되어 있는 저장부 본체(22)는 투여량 계량판(180), 지지판(300), 코일 스프링(290) 및 하부 지지판(260) 위에 삽입되며, 그래서, 좁은 피구동 귀부(270, 306)는 좁은 구동 슬롯(36) 내에 설치되고, 더 넓은 피구동 귀부(271, 272 및 307, 308)는 저장부 본체(22)의 더 넓은 구동 슬롯(34, 35) 내에 설치된다. 이런 경우에, 벤튜리 도관(64, 64')은 계량 투여 구멍(184)과 정렬된다. 상술한 부품들을 함께 조립하기 위해, 그후 어댑터(320)가 상술한 조립체 위에 배치되고, 그래서, 그 슬롯(326)은 베이스(200)의 포스트(214)와 정렬된다. 그후, 어댑터(320)는 어댑터(320)의 환형 홈(324) 내로 베이스(200)의 환형 리지(210)가 스냅 결합할 때까지 하향 가압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290)이 압축되고, 숫자 "199"는 어댑터(320)의 윈도우(330)를 통해 나타나며, 어댑터(320)의 리세스(340, 341, 342)는 저장부 본체(22)의 구동 슬롯(34, 35, 36) 각각과 정렬된다.
그 후, 분말 공급 도관(60)은 그 상부 개방 단부를 통해 충전된다. 그후, 그 위에 노즐(380) 및 마우스피스(440)를 갖는 구동 본체(120)는 저장부 본체(22) 위에 설치되고, 그로 인해, 구동 본체(120)의 원형 플러그 도관(144)은 분말 공급 도관(60, 60')의 상부 개방 단부에 플러그 결합되고, 벤튜리 도관(64, 64')의 상부 개방 단부는 구동 본체(120) 내의 원형 개구(142, 142')를 통해 연장한다. 이 위치에서, 구동 본체(120)의 하부 환형 스커트 섹션(128)의 하부 에지는 어댑터(320)의 상부 환형 벽(332)의 상부 에지 바로 위에 위치된다.
그후, 폐쇄 캡(520)이 어댑터(320) 상에 나사결합되고, 그에 의해, 계량 분말 투여량 분배기(10)를 프라이밍하도록, 즉, 계량 투여 구멍(184, 184') 내로 분말(62, 62')을 스크레이핑하도록 분말 하우징(20)은 투여량 계량판(180)에 대해 120도 회전된다. 이는 포올(654)을 다음 기어 치형부(602)로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분말(62, 62')의 투여량을 흡입하기를 원할 때, 폐쇄 캡(520)은 나사결합 해제되고 제거되며, 그에 의해, 벤튜리 도관(64, 64')을 계량 투여 구멍(184, 184')와 정렬되어 흡입 준비가 되도록 분말 하우징(20)를 120도 역방향 회전시킨다. 이때, 포올(654)은 일 증분 회전되고, 그에 의해, 다음 숫자 "198"가 윈도우(330)를 통해 표시된다. 모든 200 투여량이 사용되고 나면, 간헐 계수기 링(620)의 투여량 제한 탭(632)은 분배를 위한 추가 회전을 방지하도록 어댑터(320)의 투여량 제한기 탭(336)에 대해 접촉한다. 따라서, 숫자는 "00"으로부터 "199"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특정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정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포함하나 그에 제한되지 않는(including but not limited to)' 것으로 정의된다.

Claims (16)

  1. 분말 분배기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출구 개구를 갖는 제1 분말 저장부와,
    제1 출구 개구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출구 개구를 갖는 제2 분말 저장부와,
    제1 계량 투여 구멍 및 제2 계량 투여 구멍을 갖는 투여량 계량판으로서, 제1 및 제2 계량 투여 구멍은 사전결정된 양의 분말을 각각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투여량 계량판을 포함하고,
    투여량 계량판은 제1 및 제2 출구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투여량 계량판과 제1 및 제2 출구 개구 사이의 상대 이동은 투여량 계량판이 제1 및 제2 출구 개구에 대해 제1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게 하며,
    투여량 계량판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및 제2 출구 개구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제1 계량 투여 구멍은 제1 출구 개구 아래를 통과하고, 제2 계량 투여 구멍은 제2 출구 개구 아래를 통과하고,
    투여량 계량판이 제1 및 제2 출구 개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1 계량 투여 구멍은 고정 제1 경로를 형성하고, 투여량 계량판이 제1 및 제2 출구 개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2 계량 투여 구멍은 제2 고정 경로를 형성하고, 투여량 계량판의 이동 동안 제1 계량 투여 구멍이 제2 경로와 중첩하지 않고 투여량 계량판의 이동 동안 제2 계량 투여 구멍이 제1 고정 경로와 중첩하지 않도록 제1 고정 경로가 제2 고정 경로로부터 이격되는 분말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투여량 계량판의 중심에 대하여, 제1 고정 경로는 약 120도의 각도에 걸쳐 연장하는 분말 분배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2 고정 경로는 약 120도의 각도에 걸쳐 연장하는 분말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고정 경로는 제2 고정 경로로부터 투여량 계량판의 중심에 대해 측정될 때 적어도 최소 60도의 각도만큼 분리되는 분말 분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흡입 도관을 더 포함하고, 투여량 계량판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 계량 투여 구멍은 제1 흡입 도관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분말 분배기.
  6. 제5항에 있어서, 제2 흡입 도관을 더 포함하고, 투여량 계량판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계량 투여 구멍은 제2 흡입 도관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분말 분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제1 계량 투여 구멍은 제2 계량 투여 구멍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분말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분말 분배기.
  8. 제1항에 있어서, 제1 계량 투여 구멍은 제2 계량 투여 구멍과는 다른 양의 분말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분말 분배기.
  9. 제1항에 있어서, 투여량 계량판은 고정상태로 유지되는 분말 분배기.
  10. 건식 분말 흡입기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제약 제제의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포함하고, 건식 분말 흡입기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를 포함하는 투약 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는 서로 다른 활성 제약 제제를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투약 제품.
  12. 제10항에 있어서, 건식 분말 흡입기가 작동될 때,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은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로부터 동시에 방출되는 투약 제품.
  13. 제10항에 있어서, 건식 분말 흡입기는 적어도 두 개의 비호환성 활성 제약 제제의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수용할 수 있는 투약 제품.
  14. 건식 분말 흡입기와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제약 제제의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투약 제품이며, 건식 분말 흡입기는 서로 다른 활성 제약 제제를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는 건식 분말 흡입기가 작동될 때 적어도 두 개의 저장부로부터 동시에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투약 제품.
  15. 제14항에 있어서, 건식 분말 흡입기는 적어도 두 개의 비호환성 활성 제약 제제의 적어도 하나의 투여량을 수용할 수 있는 투약 제품.
  16. 분말 분배기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출구 개구를 갖는 제1 분말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출구 개구를 갖는 제2 분말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2 출구 개구는 제1 출구 개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분말 분배기.
KR1020127015115A 2009-11-13 2010-11-09 다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투약 제품 및 건식 분말 흡입기 KR201201152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114009P 2009-11-13 2009-11-13
US61/261,140 2009-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264A true KR20120115264A (ko) 2012-10-17

Family

ID=4399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115A KR20120115264A (ko) 2009-11-13 2010-11-09 다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투약 제품 및 건식 분말 흡입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20304991A1 (ko)
EP (1) EP2498847A4 (ko)
JP (1) JP2013510658A (ko)
KR (1) KR20120115264A (ko)
CN (1) CN102711885B (ko)
AU (1) AU2010319696B2 (ko)
BR (1) BR112012011249A2 (ko)
CA (1) CA2779480A1 (ko)
IL (1) IL219615A0 (ko)
MX (1) MX2012005517A (ko)
WO (1) WO2011059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6642A2 (en) * 2011-07-28 2013-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vice for dispensing a dental substance and method of dispensing
US20140014105A1 (en) * 2012-07-12 2014-01-16 Annaniy Berenshteyn Dry powder inhaler with large capacity reservoir
SE538399C2 (sv) * 2014-04-03 2016-06-14 Iconovo Ab Torrpulverinhalator
SE539930C2 (sv) * 2014-04-03 2018-01-23 Iconovo Ab Torrpulverinhalator
SE538400C2 (sv) * 2014-04-03 2016-06-14 Iconovo Ab Torrpulverinhalator
ES2821050T3 (es) 2015-05-08 2021-04-23 Iconovo Ab Inhalador de polvo seco que comprende un mecanismo de bloqueo
GB2540559A (en) 2015-07-21 2017-01-25 Provensis Ltd Device for producing sclerosing microfoam
GB2542376A (en) * 2015-09-16 2017-03-22 Nicoventures Holding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with variable airflow
CN106075677B (zh) * 2016-08-08 2022-06-10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干粉吸入装置的促动机构
US11918780B2 (en) * 2019-12-03 2024-03-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gent administering medical device
TWI736438B (zh) * 2020-10-05 2021-08-11 荷倈生醫股份有限公司 蓋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2048A (en) * 1989-12-12 1991-03-26 Makiej Jr Walter J Inhalation device utilizing two or more aerosol containers
ES2172763T3 (es) * 1996-02-21 2002-10-01 Schering Corp Inhalador de medicamento en polvo.
JP3739955B2 (ja) * 1999-01-11 2006-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吸入式投薬器
FI108518B (fi) * 1999-04-23 2002-02-15 Orion Yhtymae Oyj Jauheinhalaattori yhdistelmälääkkeelle
US6810872B1 (en) * 1999-12-10 2004-11-02 Unisia Jecs Corporation Inhalant medicator
US6427688B1 (en) * 2000-02-01 2002-08-06 Dura Pharmaceuticals, Icn. Dry powder inhaler
WO2003013633A1 (en) * 2001-08-09 2003-02-20 Glaxo Group Limited Inhalation device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GB0128148D0 (en) * 2001-11-23 2002-01-16 Innovata Biomed Ltd Assembly
WO2003061744A1 (en) * 2002-01-25 2003-07-31 Glaxo Group Limited Medicament dispenser
AR058289A1 (es) * 2005-12-12 2008-01-30 Glaxo Group Ltd Colector para ser usado en dispensador de medicamento
EP2082760A1 (en) * 2008-01-24 2009-07-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9480A1 (en) 2011-05-19
EP2498847A4 (en) 2014-04-23
BR112012011249A2 (pt) 2016-04-12
JP2013510658A (ja) 2013-03-28
AU2010319696B2 (en) 2014-07-31
MX2012005517A (es) 2012-06-14
US20120304991A1 (en) 2012-12-06
EP2498847A1 (en) 2012-09-19
WO2011059968A1 (en) 2011-05-19
CN102711885A (zh) 2012-10-03
CN102711885B (zh) 2014-10-29
AU2010319696A1 (en) 2012-05-17
IL219615A0 (en)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5264A (ko) 다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투약 제품 및 건식 분말 흡입기
AU714886B2 (en) Powdered medication inhaler
EP1173244B1 (en) Powder inhaler for combined medicament
KR0163472B1 (ko) 분말 약품용 흡입기
TWI592180B (zh) 乾燥粉末吸入器
JP2001517980A (ja) 吸入器
JP2013524976A (ja) 簡易なカプセル・ベースの吸入器
WO2000041755A1 (fr) Dispositif et procede servant a administrer une quantite constante de poudre
KR102207557B1 (ko) 흡입성 약제
JP2016523823A (ja) 吸入可能な医薬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吸入器デバイス
US20150020806A1 (en) Dry powder inhaler for delivering multipe agglomerate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