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165A - 휠체어의 방향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의 방향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165A
KR20120115165A KR1020120036603A KR20120036603A KR20120115165A KR 20120115165 A KR20120115165 A KR 20120115165A KR 1020120036603 A KR1020120036603 A KR 1020120036603A KR 20120036603 A KR20120036603 A KR 20120036603A KR 20120115165 A KR20120115165 A KR 2012011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able
driving
motor
wheelchair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혜경
윤클라리싸
윤로사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11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좁은 공간에서 쉽게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휠체어의 자동 주행에 필요한 구동륜이 하부에 설치되고 자동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와 하나 이상의 모터 및 부품이 탑재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본체부에 내장되는 방향전환용 모터와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에 의해 후방 양측이 지지되는 상태로 등받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부재의 상단부에 저면이 지지 및 고정되는 상태로 본체부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되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여, 좁은 공간에서 휠체어의 방향을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휠체어의 주륜에 의해 방향 전체를 돌리지 않고도 간단하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간단하게 타고 내릴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휠체어의 방향전환장치{A direction change device of a wheel chair}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 사용자들이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대화나 물건을 집기 위해 작은 각도의 방향전환을 필요로 하게 될 때 휠체어 전체를 돌리지 않고서도 수월하게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신체장애자나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보조장치로서, 통상 시트와 등받이를 구비하며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휠을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보조자가 뒤에서 손잡이를 잡고 밀어 휠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수동식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동식 휠체어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는 차체 내에 설치된 모터로 바퀴를 구동시켜 휠이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지 않고도 손쉽게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동식 휠체어나 전동식 휠체어는 차체를 이루는 프레임 상에 시트와 등받이를 고정시켜 구비하고 있으며, 그 양측에 주륜(또는 구동륜)과 보조륜이 장착되고, 손잡이와 팔받이, 발판 등이 구비되며, 주륜(또는 구동륜)을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휠체어에 설치되는 시트는, 통상적으로 프레임 상에 완전히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휠체어 운전자가 대화나 물건을 잡기 위해 작은 각도의 방향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휠체어의 주륜(구동륜)을 회전시켜 휠체어의 방향 전체를 전환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은 각도의 방향전환이라 할지라도 방향 전환시마다 매번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휠체어의 주륜을 사용하여 작은 각도의 방향 전환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일 뿐만 아니라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엘리베이터에서 하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방향 전환을 실시하여야만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좁은 공간에서 휠체어의 방향을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휠체어의 주륜에 의해 방향 전체를 돌리지 않고도 간단하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간단하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휠체어의 바퀴(구동륜)부가 구동되지 않고, 휠체어의 의자부만이 360도 회전이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휠체어의 자동 주행에 필요한 구동륜이 하부에 설치되고 자동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와 하나 이상의 모터 및 부품이 탑재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본체부에 내장되는 방향전환용 모터와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에 의해 후방 양측이 지지되는 상태로 등받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부재의 상단부에 저면이 지지 및 고정되는 상태로 본체부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되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자동 주행에 필요한 모터와 각종 제어장치가 내부에 탑재되는 본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ㄷ'형 홈을 형성하여 그 공간에 개재되며 판넬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지지대가 상방으로 직립되어 일체로 연설되고 판넬 몸체의 저면부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한 다수 개의 제2보조륜을 구비하여 좁은 공간에서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에 의해 후방 양측이 지지 및 고정되며 고정판체로 이루어져 베이스 부재의 상방에 이격되어 설치되되 베이스 부재의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는 승강형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을 때 휠체어 전체를 돌리지 않고도 휠체어 사용자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대화나 물건을 집기 위한 작은 각도의 움직임을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륜의 회전에 의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다시 원래 위치로의 방향 전환없이 간단하게 타고 내릴 수 있게 되어 휠체어 사용자들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륜 및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모터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차체 일부를 절개하여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4의 주요부를 발췌하여 예시한 조립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한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동륜 및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모터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는, 본체부(30), 회전부재(41), 회전형 시트부재(40) 및 다리거치부(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0)는 전동 휠체어의 자동 주행에 필요한 구동륜(5a)이 하부에 설치되고, 자동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와 하나 이상의 모터 및 부품이 탑재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부(30)는 제어부(32), 및 모터 구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륜(5a)은 2개이상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좌우측에 각각 2개일 수 있다.
제어부(32)는 모드 선택부(31)에서 키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용 모터(34a) 또는 방향 전환용 모터(34b)를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구동부(33)로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부(32)는 모드 선택부(31)에서 방향전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주행용 모터의 동작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주행용 모터의 정지상태에서만 모드 선택부(31)의 방향 조절키(k3)에 따라 회전부재(41)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모드 선택부(31)에서 주행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회전부재(41)를 정위치(예를 들면 회전형 시트부재(40)가 휠체어의 정면을 향하는 위치일 수 있음)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모드 선택부(31)의 주행속도 조절키(k2)에 따라 구동륜(5a)을 회전시키기 위한 주행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2)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동작 흐름을 갖는 프로세스를 탑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모드 선택부(31)에서 방향전환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1), 방향전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주행용 모터(34a)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주행용 모터(34a)가 동작중인 경우 그것을 정지시키는 단계(S102,S103), 주행용 모터(34a)가 정지상태임이 확인되면 방향 조절키(k3)에 따라 회전부재(41)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방향 전환용 모터(34b)를 구동하는 단계(S104)를 포함하며, 아울러 모드 선택부(31)에서 주행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5), 주행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회전부재(41)를 정위치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방향 전환용 모터(34b)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S106), 회전부재가 정위치로 확인된 상태에서 주행속도 조절키(k2)에 따라 구동륜(5a)을 회전시키기 위한 주행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주행용 모터(34a)를 구동하는 단계(S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 구동부(33)는 주행에 사용되는 구동륜(5a)을 회전시키기 위한 주행용 모터(34a)와 기어(도면에서는 도시가 생략됨), 및 방향 전환에 사용되는 회전부재(41)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34b)와 기어를 각각 구비한다.
회전부재(41)는 본체부(30)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본체부(30)에 내장되는 방향전환용 모터와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방향전환용 모터는 시트부재의 회전용 모터라 할 수 있다.
회전형 시트부재(40)는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1)에 의해 후방 양측이 지지되는 상태로 등받이 프레임(1)과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부재(41)의 상단부에 저면이 지지 및 고정되는 상태로 본체부(30)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되 회전부재(41)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회전형 시트부재(40)의 좌우측에 팔걸이부(50)를 구비하며, 팔걸이부(50)의 일측에 모드 선택부(31)를 구비한다.
모드 선택부(31)는 사용자에 의해 주행 모드 또는 방향전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키(k1) 및 주행속도와 회전각도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주행속도 조절키(k2) 및 방향 조절키(k3)를 구비한다.
다리거치부(60)는 사용자의 다리와 발을 얹어서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아리지지 프레임(65), 발거치부(67)을 포함한다.
다리거치부 연결프레임(62)는 회전형 시트부재(40)의 하단(저면)과 연설되어 다리거치부(60)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회전형 시트부재(40)의 하단과 종아리지지 프레임(65) 사이를 연결한다.
종아리지지 프레임(65)는 종아리를 지지하도록 하는 프레임으로, 다리거치부 연결프레임(62)의 하단과 연설되어 있다. 종아리지지 프레임(65)의 하단에는 발을 얹어 거치하기위한 발거치부(67)가 장착되어 있다.
다리거치부(60)는 회전형 시트부재(40)의 하단과 연설되어 있으므로, 회전형 시트부재(4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회전형 시트부재(40)는 휠체어 차체의 등받이 프레임(1)에 후방 양측이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부(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41)의 상단부에 그 저면이 고정되어 일체로 설치되므로, 회전형 시트부재(40)는 본체부(30)의 상부에서 회전부재(41)의 회전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부재(41)는 본체부(30)에 탑재되는 방향 전환용 모터(34b)와 그에 연결된 기어에 의해 그 회전동작이 제어되고, 방향 전환용 모터(34b)는 도 2의 제어 회로도 및 도 3의 동작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2)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31)에서 모드 선택키(k1)의 조작을 통해 방향전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S101의 Y분기), 제어부(32)에서는 주행용 모터(34a)의 동작상태를 먼저 확인(S102)하여, 주행용 모터(34a)가 정지상태가 아니면(S102의 N분기) 우선 주행용 모터를 정지(S103)시킨다. 주행용 모터(34a)가 정지상태임이 확인되면(S102의 Y분기) 사용자가 조작하는 모드 선택부(31)의 방향 조절키(k3)에 따라 방향 전환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방향전환용 모터(34b)를 구동(S104)함으로써 회전부재(41)를 사용자가 키조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형 시트부재(4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31)에서 모드 선택키(k1)의 조작을 통해 주행모드를 선택하는 경우(S105의 Y분기), 제어부(32)에서는 방향 전환용 모터(34b)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회전부재(41) 및 회전형 시트부재(40)를 정위치(S106)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형 시트부재(40)가 정위치되면 제어부(3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모드 선택부(31)의 주행속도 조절키(k2)에 따라 주행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주행용 모터(34a)를 구동함으로써 구동륜(5a)을 회전(S107)시킨다. 이에 따라 전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도 4의 주요부 조립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실시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는, 자동 주행에 필요한 모터와 제어장치 등이 내부에 탑재되는 본체부(30)에 전방으로 개구된 'ㄷ'형 홈을 형성하여 그 공간에 개재되며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베이스 부재(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0)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는 승강형 시트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10)는 차체와 사용자의 무게를 함께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판넬로 이루어지며, 판넬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지지대(11)가 상방으로 직립되어 일체로 연설된다. 이 지지대(11)는 차체와 사용자의 무게를 함께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강성이 큰 재질로 구성되며 그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후술될 승강부재(21)의 하단부가 상부 쪽에서 하부 쪽으로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베이스 부재(10)는 판넬 몸체의 저면부에 다수 개의 제2보조륜(12)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등간격으로 분산 설치되어 이들 제2보조륜(12)의 회전동작에 의해 좁은 공간에서의 전, 후, 좌, 우로의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2보조륜(12)은 작은 단차구조에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보조륜(6)보다 그 직경이 작고 넓은 폭의 타이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실내 공간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요철무늬가 형성된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형 시트부재(20)는 등받이 프레임(1)에 의해 후방 양측이 지지 및 고정되며 이를 위해 승강형 시트부재(20)의 양측 후방에는 측면으로 개방된 볼트 결합 구멍(20a)이 형성되어 별도의 볼트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승강형 시트부재(20)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10) 상부의 지지대(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의 승강부재(21)가 하방으로 직립되어 일체로 연설되다. 또한 이 승강형 시트부재(20)의 일측에는 승강부재(21)의 승강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레버(22)가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승강부재(21)의 동작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승강부재(21)와 지지대(11)는 휠체어의 구동륜(5a)을 사용하여 주행중인 상태에서는 승강조절레버(22)를 그대로 두어 승강부재(21)가 지지대(11)의 최대 깊이까지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베이스 부재(10) 하부의 제2보조륜(12)을 사용하여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승강조절레버(22)를 움직여서 승강부재(21)가 지지대(11)의 최소 깊이까지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휠체어의 구동륜(5a)을 사용하여 주행중인 상태에서는 승강형 시트부재(20)와 베이스 부재(10) 사이를 최단 길이로 유지하여 베이스 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제2보조륜(12)이 지면에 닿지 않게 되어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될 것이다. 반대로 베이스 부재(10) 하부의 제2보조륜(12)을 사용하여 방향 전환하고자 하는 상태에서는 승강형 시트부재(20)와 베이스 부재(10) 사이를 최장길이로 유지하여, 베이스 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제2보조륜(12)이 휠체어의 구동륜(5a)과 제1보조륜(6)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승강형 시트부재(20) 및 휠체어 전체는 베이스 부재(10)의 지지대(1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승강부재(21)와 승강조절레버(22) 간의 역학적인 구성은 공지된 통상의 의자높이 조절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승강형 시트부재(20)가 볼트 결합 구멍(20a)을 통해 별도의 볼트부재에 의해 휠체어 차체의 등받이 프레임(1)에 후방 양측이 고정되어 지지되고, 베이스 부재(10)는 승강 가능하게 조립된 승강부재(21)와 지지대(11)에 의해 조립 및 결합되어 승강형 시트부재(20)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휠체어의 구동륜(5a)을 사용하여 정상적인 주행 및 넓은 공간에서의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승강조절레버(22)를 그대로 두어 승강부재(21)가 지지대(11)의 최대 깊이까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승강형 시트부재(20)와 베이스 부재(10) 사이가 최단길이로 유지되므로, 베이스 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제2보조륜(12)이 지면에 닿지 않게 되고, 이로써 베이스 부재(10) 하부의 제2보조륜(12)은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고 구동륜(5a)을 이용한 휠체어의 주행 및 방향 전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베이스 부재(10) 하부의 제2보조륜(12)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방향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승강조절레버(22)를 움직여서 승강부재(21)가 지지대(11)의 최소 깊이까지만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승강형 시트부재(20)와 베이스 부재(10) 사이가 최장길이로 유지되므로, 베이스 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제2보조륜(12)이 휠체어의 주륜(5) 또는 구동륜(5a)과 제1보조륜(6)보다 낮아지게 되어 지면에 닿게 되며, 이로써 승강형 시트부재(20) 및 휠체어 전체는 베이스 부재(10)의 지지대(1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제자리에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또는 전동식 휠체어에 회전형 시트 부재를 적용하게 되면, 레버를 간단하게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제자리에서의 방향전환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노약자나 장애를 가진 운전자가 휠체어를 더욱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등받이 프레임 5a : 구동륜
6 : 제1보조륜 10 : 베이스 부재
11 : 지지대 12 : 제2보조륜
20 : 승강형 시트부재 20a : 볼트 결합 구멍
21 : 승강부재 22 : 승강조절레버
30 : 본체부 31 : 모드 선택부
32 : 제어부 33 : 모터 구동부
34a : 주행용 모터 34b : 방향 전환용 모터
40 : 회전형 시트부재 41 : 회전 부재
50 : 팔걸이부 60: 다리거치부
62:다리거치부 연결프레임 65:종아리지지 프레임
67:발거치부

Claims (13)

  1. 휠체어의 자동 주행에 필요한 구동륜이 하부에 설치되고, 자동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와 하나 이상의 모터 및 부품이 탑재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는 방향전환용 모터와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에 의해 후방 양측이 지지되는 상태로 등받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상단부에 저면이 지지 및 고정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부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되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시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형 시트부재의 측면에 팔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팔 걸이부 위의 일측에, 모드 선택부를 구비하되, 모드 선택부는, 사용자에 의해 주행 모드 또는 방향전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키 및 주행속도와 회전각도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주행속도 조절키 및 방향 조절키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주행에 사용되는 구동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주행용 모터와 기어, 및 방향 전환에 사용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와 기어를 각각 구비한 모터 구동부;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키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용 모터 또는 방향 전환용 모터를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방향전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주행용 모터의 동작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주행용 모터의 정지상태에서만 방향 조절키에 따라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주행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회전부재를 정위치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주행속도 조절키에 따라 구동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주행용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5. 자동 주행에 필요한 모터와 각종 제어장치가 내부에 탑재되는 본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ㄷ'형 홈을 형성하여 그 공간에 개재되며, 판넬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지지대가 상방으로 직립되어 일체로 연설되고, 판넬 몸체의 저면부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한 다수 개의 제2보조륜을 구비하여 좁은 공간에서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에 의해 후방 양측이 지지 및 고정되며, 고정판체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방에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는 승강형 시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형 시트부재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로 조립되는 승강부재가 하방으로 직립되어 일체로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방향전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형 시트부재의 일측에는 승강부재의 승강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승강조절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8.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차체와 사용자의 무게를 함께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판넬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9.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판넬 몸체의 저면부에 회전 가능한 다수 개의 제2보조륜이 등간격으로 분산 설치되어 상기 제2보조륜의 회전동작에 의해 좁은 공간에서의 전, 후, 좌, 우로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10.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륜은,
    작은 단차구조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보조륜보다 그 직경이 작고 넓은 폭의 바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11.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륜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요철무늬가 형성된 바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12.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형 시트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형 시트부재의 저면에는, 발거치부가 장착된 다리 거치부가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
KR1020120036603A 2011-04-07 2012-04-09 휠체어의 방향전환장치 KR20120115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263 2011-04-07
KR20110032263 2011-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165A true KR20120115165A (ko) 2012-10-17

Family

ID=4728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603A KR20120115165A (ko) 2011-04-07 2012-04-09 휠체어의 방향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5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651A (ko) * 2020-07-16 2022-01-26 박찬웅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651A (ko) * 2020-07-16 2022-01-26 박찬웅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997B2 (en) Seat structure with sit-to-stand feature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KR101648667B1 (ko) 전동휠체어
JP2013530740A (ja) 移動支援機器
KR20160142548A (ko)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JP2013508011A (ja) 昇降駆動モジュールがヒンジ結合された昇降椅子
KR20120091663A (ko) 전동 휠체어
KR101409202B1 (ko) 휠체어
KR20200021388A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KR102150594B1 (ko) 휠체어
KR20120115165A (ko) 휠체어의 방향전환장치
KR20220019875A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2015519273A (ja) 階段昇降機
KR20090004513U (ko) 장애인을 위한 실내 이동식 좌대
KR101216028B1 (ko) 밸런싱 2륜 주행 로봇기능을 응용한 휠체어
KR101688763B1 (ko) 휠체어
JP2008154795A (ja) 起立補助椅子
JP2001057919A (ja) 昇降椅子
KR20170104182A (ko) 기립 보조기
JP2017143892A (ja) 車椅子
JP5671667B2 (ja) 車椅子の乗降支援装置
CN211632457U (zh) 一种可移动式多功能老人休息椅
KR102686054B1 (ko) 자율주행 휠체어
JP2000042039A (ja) 電動車椅子
KR20120060058A (ko) 기립 도우미 훨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