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966A -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966A
KR20120113966A KR1020110031673A KR20110031673A KR20120113966A KR 20120113966 A KR20120113966 A KR 20120113966A KR 1020110031673 A KR1020110031673 A KR 1020110031673A KR 20110031673 A KR20110031673 A KR 20110031673A KR 20120113966 A KR20120113966 A KR 2012011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power
personal computer
mode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095B1 (ko
Inventor
서문환
송진호
Original Assignee
서문환
송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문환, 송진호 filed Critical 서문환
Priority to KR102011003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095B1/ko
Priority to PCT/KR2012/001131 priority patent/WO2012138053A2/ko
Publication of KR2012011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9Power saving in cursor control device, e.g. mouse, joystick, track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컴퓨터에 마련된 절전모드를 마우스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절전관리를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인용컴퓨터에 절전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마우스에 마련된 절전 버튼을 사용자가 간단히 눌러주는 것만으로 개인용컴퓨터가 이를 인식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고 그 이후에는 각종의 절전효율 관리를 절전관리 프로그램에서 실행하며 추가로 사용자의 편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각종 부가적인 구성을 일체화한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에 부착된 여러 장치 중에서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마우스에 절전 버튼을 설치하여 이 절전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즉시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동안 자리를 비우는 시간에 절전모드를 즉시 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기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 절전관리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절전관리 프로그램에서 추가적인 기능을 실현하고 마우스에도 구성을 개선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을 활용하여 획득한 절전 효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System and method for power-saving mouse operation}
본 발명은 절전관리에 유리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개인용컴퓨터의 절전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인용컴퓨터에 절전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절전관리 마우스에 마련된 절전 버튼을 사용자가 간단히 눌러주는 것만으로 개인용컴퓨터가 이를 인식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고 그 이후에는 각종의 절전효율 관리를 절전관리 프로그램에서 실행하며 추가로 사용자의 편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각종 부가적인 구성을 일체화한 절전관리 기술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개인용컴퓨터에는 운영체제 내에 절전모드가 마련되어 있다. 절전모드는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모드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시스템 전원을 끄기 전에 시스템 메모리에 있는 모든 내용을 하드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해 두었다가 이후 컴퓨터가 다시 켜지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내용이 메모리에 다시 적재되면서 각종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비롯하여 모든 상태가 최대절전모드 진입 이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최대절전모드로부터 되돌아오는 시간은 시스템을 직접 다시 시작한 시간보다 훨씬 빠르기에 보통은 개인용컴퓨터를 한동안 사용하지 않을 때 전기를 절약할 목적으로 권장된다.
이와 같은 절전모드는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즈 운영체제에는 '최대절전모드'라는 이름으로 절전모드가 마련되어 있고, 애플의 맥(Mac) 운영체제에서는 '재우기'라는 이름으로 절전모드가 마련되어 있다. 운영체제에서 절전모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윈도우즈 운영체제의 경우, 컴퓨터 화면에서 메뉴 조작을 통해 컴퓨터 끄기를 선택하고, 다시 쉬프트(shift) 키를 눌러 최대절전모드 종료옵션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한 다음, 이 항목을 눌러야만 한다.
최대절전모드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전원을 사실상 차단하므로 전원 절감 효과가 매우 크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동안 자리를 비워야 되는 경우, 예컨대 화장실을 간다거나 식사를 하러 가거나 회의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각자가 자신이 사용하는 개인용컴퓨터를 최대절전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당한 정도의 전기를 절감할 수가 있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개인용컴퓨터를 최대절전모드로 설정하기 위해서 다소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기에, 현실적으로는 최대절전모드가 거의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즉,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컴퓨터가 유휴상태로 대기 중인 상태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의 사무실을 오후 일과 시간에 방문하면 사용자는 자리를 비운 채 컴퓨터만 켜져 있는 곳이 상당히 많기에 이로 인한 전기 낭비는 실제로 매우 심각한 수준이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좀더 간편하게 절전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전관리에 유리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개인용컴퓨터의 절전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인용컴퓨터에 절전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절전관리 마우스에 마련된 절전 버튼을 사용자가 간단히 눌러주는 것만으로 개인용컴퓨터가 이를 인식하여 절전모드로 진입하고 그 이후에는 각종의 절전효율 관리를 절전관리 프로그램에서 실행하며 추가로 사용자의 편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각종 부가적인 구성을 일체화한 개인용컴퓨터의 절전관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은 마우스 장치(200)를 이용하여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상태를 관리해주는 구성이다. 이중에서 마우스 장치(200)는 하우징의 일 단부에 절전버튼(210)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절전버튼에 대한 조작을 감지하면 그에 대응하여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개인용컴퓨터로 제공하고, 자극발생부(240)를 구비하여 개인용컴퓨터로부터 절전 예비신호를 수신하면 자극발생부를 통해 절전 예비자극을 생성한다.
이때, 개인용컴퓨터에 설치되는 절전관리 프로그램은, 마우스 장치와 연결되어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마우스 감지수단(111)과, 마우스 장치에서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를 발생한 경우에 제 1 절전 예비신호를 마우스 장치로 제공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절전상태 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113)과, 마우스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제 2 절전 예비신호를 마우스 장치로 제공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절전상태 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114)과, 절전상태 모드로 진입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개인용컴퓨터의 전원제어부(120)로 절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절전제어 수단(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에서, 절전관리 프로그램은 개인용컴퓨터의 절전상태 시간과 노멀모드 시간을 누적 관리하여 이로부터 개인용컴퓨터에 대한 절전율을 계산하는 절전계산 수단(117)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은, 복수의 개인용컴퓨터에 구비된 절전계산 수단(117)으로부터 각각의 절전율을 제공받아 복수의 개인용컴퓨터 전체에 대한 전체 절전 현황을 산출하는 절전율 관리수단(310)과, 전체 절전 현황을 표시하는 절전율 표시수단(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앙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에서, 절전관리 프로그램은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마우스 장치로 알리는 절전모드 진입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는 절전알림부(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마우스 장치(200)는, 절전모드 진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절전감지부(250)와, 절전감지부의 감지 결과로부터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에 진입해 있는 동안에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드표시부(220)와,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개인용컴퓨터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 모드표시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2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에서, 보조전원부(230)는 개인용컴퓨터가 노멀모드인 동안에 개인용컴퓨터로부터 유선으로 마우스 장치(200)로 전달되는 동작전원을 충전하였다가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그 충전해둔 전원을 모드표시부(220)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2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은 절전버튼(210)을 구비한 마우스 장치(200)를 이용하여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마우스 장치에서 절전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마우스 장치에서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 신호를 개인용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개인용컴퓨터에서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 1 절전 예비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제 1 절전 예비신호에 대응하여 절전 예비자극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을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 조작 입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절전상태 모드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 마우스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제 2 절전 예비신호를 마우스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제 2 절전 예비신호에 대응하여 절전 예비자극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을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 조작 입력이 여전히 제공되지 않으면 절전상태 모드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 절전상태 모드 진입 판단에 대응하여 개인용컴퓨터의 전원제어부로 절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은, 개인용컴퓨터에 대하여 절전상태 시간과 노멀모드 시간을 누적 관리하여 이로부터 개인용컴퓨터에 대한 절전율을 계산하는 단계; 복수의 개인용컴퓨터로부터 각각의 절전율을 제공받아 전체 절전 현황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노멀모드인 동안에 개인용컴퓨터로부터 유선으로 전달되는 동작전원을 마우스 장치에서 충전하는 단계;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노멀모드에서 충전해둔 전원을 마우스 장치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단계; 절전모드에 진입해 있는 동안에 마우스 장치에서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에 따르면, 컴퓨터에 부착된 여러 장치 중에서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마우스에 절전 버튼을 설치하여 이 절전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즉시 진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동안 자리를 비우는 시간에 절전모드를 즉시 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기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마우스를 이용한 컴퓨터 절전관리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절전관리 프로그램에서 추가적인 기능을 실현하고 마우스에도 구성상의 개선을 이루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을 활용하여 획득한 절전 효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의 개념을 적용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에서 보조전원부가 충전방식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에서 마우스 장치에 절전버튼이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에서 절전모드 진입시에 마우스 장치의 처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의 개념을 적용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개인용컴퓨터(100)에 마우스 장치(200)가 예컨대 범용직렬버스(USB)를 통해 연결되어 마우스 장치(200)를 통해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모드 사용을 관리한다. 복수 개의 개인용컴퓨터(100)가 네트워크(예: LAN)를 통해 중앙관리 컴퓨터(300)에 연결되어 있는데, 중앙관리 컴퓨터(300)는 이들 개인용컴퓨터(100)에서 이루어지는 절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먼저, 마우스 장치(200)에 대해 살펴본다. 마우스 장치(200)는 하우징의 일 단부에 절전버튼(210)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절전버튼에 대한 조작을 감지하면 그에 대응하여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개인용컴퓨터(100)로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마우스 장치(200)에 형성되어 있는 절전버튼(210)을 누르면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한다. 절전버튼(210)이 형성된 마우스 장치(200)의 일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하였는데, 절전버튼(210)의 형태나 형성위치는 설계자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장치(200)는 비프발생부(240)를 구비하는데,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비프 음(비프 사운드)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프 음(beep sound)이란 종래의 '삐-'하는 소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게 무언가 알리기 위하여 발생시키는 소리를 넓게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용컴퓨터(100)로부터 절전 예비신호를 수신하면 비프발생부(240)를 통해 절전 예비사운드를 생성한다.
마우스 장치(200)는 모드표시부(220), 보조전원부(230), 절전감지부(250)를 더 구비한다. 모드표시부(220)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모니터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으므로 현재 절전모드인지 아니면 완전히 파워오프 상태인지 사용자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전원버튼을 길게 눌러 완전히 파워오프 상태로 보내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면 재부팅할 때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이를 모드표시부(22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표시부(220)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해 간단히 구성될 수도 있고, 액정표시장치(LCD)를 통해 좀더 복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보조전원부(230)는 절전모드에서 마우스 장치(200), 특히 모드표시부(220)에 동작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노멀모드(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들어가지 않고 정상 동작하는 상태)인 경우에는 USB 라인을 통해 마우스 장치(200)의 동작전원이 제공된다. 하지만,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USB 라인을 통한 동작전원 공급도 끊어지게 되어 마우스 장치(200)가 동작을 중단해야 하고, 모드표시부(2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절전모드에 진입한 사실을 표시하는 것도 매우 곤란해진다. 그에 따라, 절전모드에서 동작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전원부(230)가 마우스 장치(200)에 구비되는데, 간단히 건전지 등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고,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은 충전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절전감지부(250)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알림부(116)로부터 모드 관련 신호를 제공받아 위 감지를 실시한다.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절전알림부(116)는 이를 마우스 장치(200)로 알려준다. 절전감지부(250)는 절전알림부(116)가 제공하는 절전모드 진입 이벤트 신호를 참조함으로써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한편, 절전모드에서도 계속 동작할 수 있도록 절전감지부(250)도 절전모드에서 보조전원부(230)로부터 동작전원을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워오프 모드에서 보조전원부(230)로부터 모드표시부(220)와 절전감지부(250)가 동작전원을 제공받는 것을 본 발명에서 완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한편,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과 관련하여, 개인용컴퓨터(100)와 마우스 장치(200)를 연결하는 디지털 통신라인, 즉 USB 라인(140)을 절전감지부(250)가 모니터링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USB 라인(140)을 통한 전원 공급은 노멀모드에서는 이루어졌다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중단되므로, 이 USB 라인(140)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해보인다. 하지만, 파워오프 모드에서도 USB 라인(140)을 통한 전원공급이 중단되므로, 이는 절전모드와 파워오프 모드를 구분하는 실시예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어서, 개인용컴퓨터(100)에 대해 살펴본다. 개인용컴퓨터(100)에는 전원제어부(1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절전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마련되어 있던 구성이다. 전원제어부(120)에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제공하면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한다.
또한, 개인용컴퓨터(100)에는 마우스 장치(200)와 협조 동작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를 시행하기 위한 절전관리부(110)가 마련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절전관리부(110)는 개인용컴퓨터(100)에 절전관리 프로그램(절전관리 소프트웨어)을 설치하여 구현한다. 절전관리부(110)는 마우스감지부(111), 절전판단부(112), 절전제어부(115), 절전알림부(116), 절전계산부(117)를 포함하고, 절전판단부(112)는 제 1 판단부(113)와 제 2 판단부(114)로 이루어진다.
마우스 감지부(111)는 마우스 장치(200)에서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 장치(200)에 형성된 절전버튼(210)을 조작하면 마우스 장치(200)에서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는데, 마우스 감지부(111)는 USB 라인을 통해 마우스 장치(200)와 연결되어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절전판단부(112)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즉, 절전판단부(112)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개인용컴퓨터(100)는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사유는 2 가지인데, 제 1 판단부(113)와 제 2 판단부(114)가 이들에 대한 판단을 각각 시행한다. 제 1 판단부(113)는 마우스 장치(200)에서 사용자가 절전버튼(210)을 조작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한다. 제 2 판단부(114)는 마우스 장치(200)로부터 상당한 시간동안 동작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절전모드에 진입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먼저 절전 예비신호를 마우스 장치(200)로 제공하여 비프발생부(240)에서 비프 음을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그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 10 ~ 30초)을 대기하는데, 이 시간에도 마우스 장치(200)로부터 동작신호가 여전히 제공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개인용컴퓨터(100)를 켜둔 상태로 상당시간 자리를 비운 것으로 판단하고,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개인용컴퓨터(100)를 절전모드로 진입시키는 것이다.
절전제어부(115)는 앞서 절전판단부(112)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전원제어부(120)로 절전모드 진입을 지시하는 제어신호('절전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용컴퓨터(100)를 절전모드로 설정한다.
절전알림부(116)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마우스 장치(200)로 알려준다. 절전제어부(115)가 전원제어부(120)를 제어하여 개인용컴퓨터(100)를 절전모드로 보내야 할 때, 이를 절전알림부(116)를 통해 마우스 장치(200)의 절전감지부(250)로 알려준다. 마우스 장치(200)는 개인용컴퓨터(200)가 절전모드에 들어갔을 때, 모드표시부(220)에서 절전모드 표시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모드표시부(220)와 보조전원부(230)는 개인용컴퓨터(2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한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절전제어부(115)가 절전모드 진입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절전계산부(117)는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모드 시간과 노멀모드 시간을 누적 관리하여 이로부터 개인용컴퓨터(100)에 대한 절전율을 계산한다. 개인용컴퓨터(100)에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기에 절전모드에 얼마나 오랫동안 진입하였는지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절전계산부(117)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던 시간을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모드 누적시간과 노멀모드 누적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절전율을 계산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서 절전율은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절전율 = 절전모드 누적시간 / (절전모드 누적시간 + 노멀모드 누적시간)
물론, 이와는 상이한 수학식으로 절전율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의 수학식에 따라 절전율을 계산하는 것은 매우 간편하면서도 어느 정도는 정확도를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중앙관리 컴퓨터(300)에 대해 살펴본다. 중앙관리 컴퓨터(300)는 복수 개의 개인용컴퓨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개인용컴퓨터(100)에서 이루어지는 절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중앙관리 컴퓨터(300)는 절전율관리부(310)와 절전율표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전율 관리부(310)는 복수의 개인용컴퓨터(100)로부터 각각의 절전율을 제공받아 전체 절전 현황을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용컴퓨터(100)에서는 절전계산부(117)에서 절전율을 계산하는데, 절전율 관리부(310)는 여러 개인용컴퓨터(100)로부터 이러한 절전율을 제공받아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절전율을 달성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전체 절전 현황은 이들 개별 절전율의 평균값으로 계산할 수도 있고, 개별 절전율을 표나 그래프를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가공한 것일 수도 있다.
절전율 표시부(320)는 절전율 관리부(310)에서 도출한 전체 절전 현황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전체 절전 현황을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고 있지는 않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에서 보조전원부(230)가 충전방식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우스 장치(200)의 보조전원부(230)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USB 라인을 통한 동작전원 공급이 끊어지면 마우스 장치(200), 특히 모드표시부(220)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간단하게는 보조전원부(230)를 건전지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좀더 바람직하게는 충전방식으로 구성한다.
충전부(231)는 노멀모드에서 USB 케이블(140)을 통해 개인용컴퓨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충전한다. 현재의 기술사양에 따르면 USB 라인(140)을 통하여 5 Volt, 500 mA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충전부(231)는 노멀모드에서 이렇게 공급되는 전기를 충전한다.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USB 라인(140)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가 없어지는데, 이때에는 그동안 충전해두었던 전기 에너지를 모드표시부(220)를 비롯한 마우스 장치(200)의 각종 구성요소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한다. 충전부(231)는 충전지와 충전회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순히 대용량 커패시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에 관한 대부분의 기술적 구성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공통되므로, 이하에서는 프로세스의 흐름에 대해서만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프로세스의 순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가 서로 순서를 바꾸어 구성될 수도 있다.
(S100) 단계 : 마우스 장치(200)에서 절전버튼(21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한다. 마우스 장치(200)에는 하우징에 절전버튼(2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사용자컴퓨터(100)를 절전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해 절전버튼(210)을 조작하면 마우스 장치(200)가 이를 감지한다.
(S110) 단계 : 마우스 장치(200)에서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 신호를 개인용컴퓨터(100)로 제공한다. 마우스 장치(200)는 사용자가 절전버튼(210)을 조작하면 그에 대응하여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USB 라인(140)을 통해 개인용컴퓨터(100)로 제공한다.
(S120) 단계 : 마우스 장치(200)가 USB 라인(140)을 통해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 신호를 제공함에 따라, 개인용컴퓨터(100)에서도 마우스 장치(200)에서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한다.
(S130) 단계 : 마우스 장치(200)에서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 1 판단부(113)는 절전 예비신호를 마우스 장치(200)로 제공한다.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 1 판단부(113)는 사용자가 개인용컴퓨터(100)를 절전모드로 설정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최종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바로 절전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먼저 절전 예비신호를 발생한다. 제 1 판단부(113)는 절전 예비신호를 마우스 장치(200)로 제공한다.
(S140) 단계 : 제 1 판단부(113)로부터 제공되는 절전 예비신호에 대응하여 마우스 장치(200)는 절전 예비사운드(예: 비프 음, 멜로디 등)를 생성한다. 이 절전 예비사운드는 사용자에게 개인용컴퓨터(100)가 곧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임을 알리는 것으로, 이처럼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사용자에게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서는 비프발생부(240)가 마우스 장치(20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인용컴퓨터(100)가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절전모드로 곧 진입할 것임을 알리는 수단으로 절전 예비사운드(비프 음)를 제시하였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단말기 분야에서 현재 벨소리, 멜로디, 진동, 빛 깜빡임 등이 등가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혹은 이들과는 상이한 기술수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절전 예비사운드는 '절전 예비자극'으로 일반화시킬 수 있고, 마찬가지로 비프발생부는 '자극발생부'로 일반화시킬 수 있다.
(S150) 단계 : 제 1 판단부(113)는 그 후 일정 시간동안(예: 30초)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모니터링한다. 앞서 절전 예비자극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제 곧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임을 알렸기에, 사용자가 만일 절전모드를 원치 않는다면 이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개인용컴퓨터(100)의 화면에 '취소'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 '취소'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S160) 단계 : 절전 예비자극을 제공한 후 상당한 시간동안 기다렸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판단부(113)는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한다. 즉, 앞서 (S100) 단계에서 사용자가 마우스 장치(200)의 절전버튼(210)을 누른 것이 정말로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원했던 것이라고 간주하는 것이다.
(S170) 단계 : 절전모드 진입을 위해 절전판단부(112)는 절전제어부(115)를 통하여 전원제어부(120)로 절전모드 진입을 지시한다. 그에 따라, 개인용컴퓨터(100)는 절전모드, 즉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한다.
(S180) 단계 :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개인용컴퓨터(100)는 빈번하게 절전모드와 노멀모드를 스위칭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 효과를 체감 내지 검증하기 위하여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계산부(117)는 절전모드 시간과 노멀모드 시간을 누적 관리하여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율 계산한다. 개인용컴퓨터(100)에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기에 얼마나 오랫동안 절전모드로 있었는지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절전계산부(117)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던 시간을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모드 누적시간과 노멀모드 누적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율을 계산할 수 있다.
(S190) 단계 : 중앙관리 컴퓨터(300)는 복수 개의 개인용컴퓨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개인용컴퓨터(100)에서 이루어지는 절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대부분의 기술적 구성이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공통되므로, 이하에서는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프로세스의 순서는 [도 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가 서로 순서를 바꾸어 구성될 수도 있다.
(S200) 단계 : 절전관리부(110)의 제 2 판단부(114)는 사용자가 개인용컴퓨터(100)를 켜둔 상태로 상당시간 자리를 비우는 경우에 개인용컴퓨터(100)를 절전모드로 진입시킨다. 제 2 판단부(114)는 마우스 장치(200)로부터 상당한 시간 동안 동작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개인용컴퓨터(100)를 켜둔 상태로 상당시간 자리를 비웠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제 2 판단부(114)는 절전 예비신호를 마우스 장치(200)로 제공한다.
(S210) 단계 : 절전 예비신호에 대응하여 마우스 장치(200)가 절전 예비사운드(비프 음)를 생성한다. 개인용컴퓨터(100)의 제 2 판단부(114)로부터 절전 예비신호를 수신하면, 마우스 장치(200)의 비프발생부(240)에서 비프 음을 생성한다. 이 비프 음은 절전 예비사운드로서, 사용자에게 이제 곧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임을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만일 사용자가 개인용컴퓨터(100) 앞에 있다면 절전 예비사운드를 듣고 마우스 장치(200)를 움직이거나 키보드 장치(미도시)를 두드리는 등의 조작을 통해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할 것이다.
한편, [도 1]에서는 비프발생부(240)가 마우스 장치(20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인용컴퓨터(100)가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절전모드로 곧 진입할 것임을 알리는 수단으로 절전 예비사운드(비프 음)를 제시하였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단말기 분야에서 현재 벨소리, 멜로디, 진동, 빛 깜빡임 등이 등가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혹은 이들과는 상이한 기술수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절전 예비사운드는 '절전 예비자극'으로 일반화시킬 수 있고, 마찬가지로 비프발생부는 '자극발생부'로 일반화시킬 수 있다.
(S220) 단계 : 제 2 판단부(114)는 그 후 일정 시간동안(예: 30초)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모니터링한다. 앞서 절전 예비자극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제 곧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임을 알렸기에, 사용자가 만일 절전모드를 원치 않는다면 이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개인용컴퓨터(100)의 화면에 '취소'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 '취소'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혹은, 사용자가 마우스 장치(200)를 조작하거나 키보드 장치(미도시)를 조작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S230) 단계 : 절전 예비사운드를 발생한 이후 상당한 시간동안 기다렸음에도 불구하고 마우스 장치(200)로부터 동작신호가 여전히 제공되지 않으면 제 2 판단부(114)는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개인용컴퓨터(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하였거나, 가까운 곳에 있더라도 당분간 사용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S240) 단계 : 절전판단부(112)가 개인용컴퓨터(100)를 절전모드로 진입할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절전판단부(112)는 절전제어부(115)를 통하여 전원제어부(120)로 절전모드 진입을 지시한다. 그에 따라, 개인용컴퓨터(100)는 절전모드, 즉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한다.
(S250) 단계 :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개인용컴퓨터(100)는 빈번하게 절전모드와 노멀모드를 스위칭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 효과를 체감 내지 검증하기 위하여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계산부(117)는 절전모드 시간과 노멀모드 시간을 누적 관리하여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율 계산한다. 개인용컴퓨터(100)에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기에 얼마나 오랫동안 절전모드로 있었는지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절전계산부(117)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설정되어 있었던 시간을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모드 누적시간과 노멀모드 누적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개인용컴퓨터(100)의 절전율을 계산할 수 있다.
(S260) 단계 : 중앙관리 컴퓨터(300)는 복수 개의 개인용컴퓨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개인용컴퓨터(100)에서 이루어지는 절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에서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할 때 마우스 장치(200)의 처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절전모드 진입시에 마우스 장치(200)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도 대부분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공통되므로, 이하에서는 프로세스의 흐름에 대해서만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프로세스의 순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가 서로 순서를 바꾸어 구성될 수도 있다.
(S300) 단계 : 개인용컴퓨터(100)는 USB 라인(140)을 통하여 5 Volt, 500 mA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 장치(200), 특히 충전부(231)는 노멀모드에서 개인용컴퓨터(100)로부터 USB 라인(140)을 통해 전달되는 동작전원을 충전해둔다.
(S310) 단계 : 마우스 장치(200)의 절전감지부(250)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절전제어부(115)가 전원제어부(120)를 제어하여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파워오프 모드로 진입하는데, 이 과정에서 절전알림부(116)는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이를 마우스 장치(200)로 알려준다. 절전감지부(250)는 절전알림부(116)가 제공하는 절전모드 진입 이벤트 신호를 참조함으로써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S320) 단계 :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다면 개인용컴퓨터(100)로부터 더이상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노멀모드에서 충전해두었던 전기 에너지를 마우스 장치(200)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표시부(220)가 절전모드에서도 여전히 동작할 필요성이 강하기에 절전모드에서 충전부(231)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는다.
(S330) 단계 : 개인용컴퓨터(100)가 현재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임을 마우스 장치(200)의 모드표시부(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모니터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으므로 현재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인지 아니면 완전히 파워오프로 된 상태인지 사용자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절전모드에서 전원버튼을 길게 눌러 완전히 파워오프 상태로 보내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면 재부팅할 때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인용컴퓨터(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이를 모드표시부(22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일정한 경우에 개인용컴퓨터(100)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절전버튼(210)을 누르거나 오랜동안 조작이 없는 경우에 개인용컴퓨터(100)를 절전모드(즉, 하이버네이션 모드)로 진입시킨다고 기술하였으나, 이는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이를 통해 전기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기소모를 최소화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파워오프 모드도 절전모드와 마찬가지로 매우 효과적이므로, 절전버튼(210)을 누르거나 오랜동안 조작이 없는 경우에 개인용컴퓨터(100)를 파워오프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본 발명에서 의식적으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절전버튼(210)을 누르거나 오랜동안 조작이 없는 경우는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을 종료한 것은 아니고 언제든지 재개할 수 있으므로, 파워오프 모드보다는 절전모드가 리부팅을 신속하기에 더 유리하다.
즉, 본 발명에서 절전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개인용컴퓨터(100)를 절전모드로 진입시킬 수도 있고 파워오프 모드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절전제어부(115)가 전원제어부(120)를 조작하는 방식에 따라서 절전모드로 진입시킬 수도 있고 파워오프 모드로 진입시킬 수도 있으며, 특히 절전버튼(210)을 누르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절전모드와 파워오프 모드(예: 윈도우즈 종료)를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처럼 절전모드와 파워오프 모드를 총칭하여 일반화한 개념은 '절전상태 모드'라고 부른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마우스 장치를 이용하여 개인용컴퓨터의 절전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으로서,
    하우징의 일 단부에 절전버튼(210)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절전버튼에 대한 조작을 감지하면 그에 대응하여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개인용컴퓨터로 제공하고, 자극발생부(240)를 구비하여 상기 개인용컴퓨터로부터 절전 예비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자극발생부를 통해 절전 예비자극을 생성하는 마우스 장치(200);
    상기 마우스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마우스 감지수단(111)과, 상기 마우스 장치에서 상기 절전조작 이벤트 신호를 발생한 경우에 제 1 절전 예비신호를 상기 마우스 장치로 제공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절전상태 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113)과, 상기 마우스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제 2 절전 예비신호를 상기 마우스 장치로 제공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 절전상태 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114)과, 상기 절전상태 모드로 진입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개인용컴퓨터의 전원제어부(120)로 절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절전제어 수단(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절전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절전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개인용컴퓨터의 절전상태 시간과 노멀모드 시간을 누적 관리하여 이로부터 상기 개인용컴퓨터에 대한 절전율을 계산하는 절전계산 수단(1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은,
    복수의 개인용컴퓨터에 구비된 절전계산 수단(117)으로부터 각각의 절전율을 제공받아 상기 복수의 개인용컴퓨터 전체에 대한 전체 절전 현황을 산출하는 절전율 관리수단(310)과, 상기 전체 절전 현황을 표시하는 절전율 표시수단(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앙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절전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상기 마우스 장치로 알리는 절전모드 진입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는 절전알림부(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 장치(200)는, 상기 절전모드 진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절전감지부(250)와, 상기 절전감지부의 감지 결과로부터 상기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에 진입해 있는 동안에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드표시부(220)와, 상기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개인용컴퓨터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 상기 모드표시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부(230)는 상기 개인용컴퓨터가 노멀모드인 동안에 상기 개인용컴퓨터로부터 유선으로 상기 마우스 장치(200)로 전달되는 동작전원을 충전하였다가 상기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그 충전해둔 전원을 상기 모드표시부(220)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2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6. 절전버튼을 구비한 마우스 장치를 이용하여 개인용컴퓨터의 절전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으로서,
    상기 마우스 장치에서 상기 절전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장치에서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 신호를 상기 개인용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컴퓨터에서 상기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절전버튼 조작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 1 절전 예비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전 예비신호에 대응하여 절전 예비자극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을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 조작 입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절전상태 모드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제 2 절전 예비신호를 상기 마우스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2 절전 예비신호에 대응하여 절전 예비자극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을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 조작 입력이 여전히 제공되지 않으면 절전상태 모드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절전상태 모드 진입 판단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용컴퓨터의 전원제어부로 절전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은,
    상기 개인용컴퓨터에 대하여 절전상태 시간과 노멀모드 시간을 누적 관리하여 이로부터 상기 개인용컴퓨터에 대한 절전율을 계산하는 단계;
    복수의 개인용컴퓨터로부터 각각의 절전율을 제공받아 전체 절전 현황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은,
    노멀모드인 동안에 상기 개인용컴퓨터로부터 유선으로 전달되는 동작전원을 상기 마우스 장치에서 충전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노멀모드에서 충전해둔 전원을 상기 마우스 장치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단계;
    절전모드에 진입해 있는 동안에 상기 마우스 장치에서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전관리 마우스 운영방법.
KR1020110031673A 2011-04-06 2011-04-06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21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673A KR101218095B1 (ko) 2011-04-06 2011-04-06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CT/KR2012/001131 WO2012138053A2 (ko) 2011-04-06 2012-02-15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673A KR101218095B1 (ko) 2011-04-06 2011-04-06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966A true KR20120113966A (ko) 2012-10-16
KR101218095B1 KR101218095B1 (ko) 2013-01-03

Family

ID=4696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673A KR101218095B1 (ko) 2011-04-06 2011-04-06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8095B1 (ko)
WO (1) WO201213805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368B1 (ko) 2019-02-07 2020-04-03 주식회사 한성 디스플레이기의 소비전력 저감장치
CN115525591A (zh) * 2021-06-25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外设设备唤醒主机的电路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110A (ja) * 1992-10-08 1994-04-28 Fujitsu Ltd 座標入力装置
JP2001255981A (ja) * 2000-03-10 2001-09-21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こ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入力装置、コンピュータ、省電力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3345467A (ja) * 2002-05-28 2003-12-05 Nec Corp 情報処理装置
KR100713214B1 (ko) * 2006-03-08 2007-05-02 백동근 마우스를 이용한 대기전력 절감 시스템
KR20110037193A (ko) * 2009-10-06 2011-04-13 오태현 마우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의 절전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마우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8053A2 (ko) 2012-10-11
WO2012138053A3 (ko) 2012-12-06
KR101218095B1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3349B2 (en) PC power monitoring
KR102015009B1 (ko) 충전 어웨이크닝 방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차량
US8786131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ame to save energy
EP2658231B1 (en) Energy-saving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TWI440277B (zh) 電源控制器、電源控制裝置及電源控制裝置的節能方法
US80014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9182809B2 (en) Electronic device
CN107340014B (zh) 多传感器的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8271778A (ja) オンデマンド無停電電源装置
EP2746787A1 (e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EP2866215A1 (en) Touch screen terminal and alarm method thereof
US20100185884A1 (en) Standby power saving system and computer power-on and power-off method thereof
US20160062440A1 (en) Standby power controller with external information capability
CN111464674B (zh) 一种电子设备及其充电时温度控制方法
US7065664B2 (en) Power management for a PDA system
US20150113301A1 (en) Charging method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218095B1 (ko) 절전관리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N108227900B (zh) 电子设备、节能控制方法、节能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3338300A (zh) 一种快速进入与退出休眠模式的方法及移动终端
JP4823243B2 (ja) 電子装置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方法
CN205594571U (zh) 电源控制装置和计算机
KR100965611B1 (ko) 컴퓨터시스템의 대기전력 절감장치
US20040148115A1 (en) Method of power control system for a pda with a microprocessor
CN106681470A (zh) 头盔式虚拟现实设备及头盔式虚拟现实设备的节电方法
CN109673043A (zh) 分体式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