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326A -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 Google Patents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326A
KR20120113326A KR1020110030978A KR20110030978A KR20120113326A KR 20120113326 A KR20120113326 A KR 20120113326A KR 1020110030978 A KR1020110030978 A KR 1020110030978A KR 20110030978 A KR20110030978 A KR 20110030978A KR 20120113326 A KR20120113326 A KR 2012011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unnel
containe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웅
천순재
Original Assignee
김정웅
천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웅, 천순재 filed Critical 김정웅
Priority to KR102011003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326A/ko
Publication of KR2012011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6Funnels, e.g. for liquids with automatic discharge valves
    • B67C11/066Funnels, e.g. for liquids with automatic discharge valves for preventing overflow of the fill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2011/30Funnels, e.g. for liquids comprising venting mean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는, 하부에 주입부를 구비하고, 용기로 주입될 액체가 유입되는 깔대기본체; 및 상기 주입부의 내부 공간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용기내의 액체 수위에 따라 상기 주입부를 자동 개폐하는 액체개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체가 용기내로 유입됨에 따라 용기내의 공기가 외부로 충분히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면서 액체가 용기내의 소정 만수위에 도달하면 액체개폐부의 작동에 의해 자동 폐쇄되어 액체의 공급을 중단시킴으로써, 적정한 시기에 사용자로 하여금 액체 유입을 중단시키도록 자동으로 알리게 하며, 액체가 용기로부터 넘치지 않게 하고, 액체가 외부로 튀지 않게 하며, 액체가 안정적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주입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FUNNEL FOR GOOD WATER INFLOW AND AUTOMATIC SHUT-OFF OF LIQUID INFLOW}
본 발명은 깔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를 깔대기를 통해 용기내에 유입시 액체가 원활하게 유입되게 하면서 액체가 모두 유입된 경우 유입이 자동 차단되게 하는 깔대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기존 깔대기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기존의 깔대기(1)는 주입부(5) 및 주입부(5)와 연결되는 역삼각뿔 형상의 깔대기 본체(3)로 형성되어 본체(3) 하부가 액체(2)를 주입할 용기(20)의 유입부(15)상에 밀착되어 본체(3)상에 유입되는 액체(2)가 용기(20)내로 주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의 깔대기(1)를 사용시, 액체(2)가 용기(20)내로 유입됨에 따라본체(3) 하부가 유입부(15)상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용기(20)내에 남아있는 공기(4)가 압축되다가 어느 시점에서 한 순간에 깔대기(1)의 본체 하부와 용기(20)내의 입구부 사이 공간을 통해 분출되면서 깔대기(1)를 들어올려 액체(2)가 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액체가 점성이 있는 꿀이나 기름같은 경우 용기내에 압축되는 공기압이 더 높아서 깔대기 본체 상부로도 압축된 공기가 분출되면서 액체가 튀는 현상이 더 심각하며, 공기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는 만큼 용기내로의 액체 유입이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용기내로의 액체 유입 중단을 항상 용기내에 액체 수위를 육안으로 봐가면서 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자칫 적정한 타임의 액체 유입 중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액체가 용기에서 넘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용기가 불투명한 경우 액체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짐작으로 액체를 주입하거나, 수시로 액체 수위를 확인하면서 액체 유입 중단 시점을 주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액체가 주입됨에 따라 용기내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면서 용기내에서 주입된 액체가 소정 만수위에 도달할 시 자동으로 액체 유입이 차단되는 구조의 깔대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는, 하부에 주입부를 구비하고, 용기로 주입될 액체가 유입되는 깔대기본체; 및 상기 주입부의 내부 공간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용기내의 액체 수위에 따라 상기 주입부를 자동 개폐하는 액체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개폐부는, 지지축 기능을 하는 액체개폐부본체; 액체가 상기 주입부내의 공간을 따라 용기로 주입되도록 주입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기 액체개폐부본체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부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구; 및 상기 액체개폐부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용기내의 액체 수위에 따른 부력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주입부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개폐부는 상기 액체개폐부본체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는 내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는 중공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깔대기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주입부를 중심으로 싸이클론 형태로 형성되는 유도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깔대기본체의 하부면에는 용기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용기의 유입부와 깔대기본체의 하부면과의 공기 유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는, 액체가 용기내로 유입됨에 따라 용기내의 공기가 외부로 충분히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면서 액체가 용기내의 소정 만수위에 도달하면 액체개폐부의 작동에 의해 자동 폐쇄되어 액체의 공급을 중단시킴으로써, 적정한 시기에 사용자로 하여금 액체 유입을 중단시키도록 자동으로 알리게 하며, 액체가 용기로부터 넘치지 않게 하고, 액체가 외부로 튀지 않게 하며, 액체가 안정적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주입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기존 깔대기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의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 본체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유도날개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의 액체 주입시의 작동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의 액체 주입 중단시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 본체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유도날개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10)는, 하부에 용기(20)내로 액체(2)가 유출되는 주입부(50)를 구비하는 역삼각뿔 형상의 깔대기본체(30) 및 상기 주입부(50)의 공간 내에 지지 및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20)내의 액체(2) 수위에 따라 상기 주입부(50)를 자동 개폐하는 액체개폐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개폐부(70)는 길다란 바(bar)형상의 지지축 기능을 하는 액체개폐부본체(70d); 상기 주입부(50)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액체개폐부본체(70d)의 외부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구(70b); 및
상기 액체개폐부본체(70d)의 하단에 구비되어 용기(20)내의 액체(2) 수위에 따른 부력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주입부(50)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70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액체개폐부본체(70d)에는 용기(20)내의 압축 공기(4)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개폐부본체(70d)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기유로(70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유로(70a)내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액체개폐부본체(70d)의 상단 높이는 깔대기본체(30)의 최상단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구(70b)는 액체(2)가 상기 주입부(50)내의 액체 유로 공간을 따라 용기(20)로 주입되도록 주입 공간을 확보될 수 있으면서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4개의 방향으로 지지되는 돌출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구(70b)와 주입부(50)의 내면과의 접촉력은 후술할 개폐밸브를 이동시키는 부력보다 훨씬 작게 설정되어 지지구(70b)가 자유롭게 주입부(50)의 공간내에서 이동가능한 선에서 결정된다.
한편, 개폐밸브(70c)는 상기 개폐밸브(70c)가 폐쇄될 시의 최대 높이가 용기(20)내의 만수위 위치와 비슷한 선에서 결정되는 액체개폐부본체(70d)의 하단 길이상에 형성된다.
상기 개폐밸브(70c)는 용기(20)내로 유입되는 액체(2)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구성 요소로서, 상단면은 액체(2)가 깔대기본체(30)상에 유입되면 주입부(50)를 통해 개폐밸브(70c)의 상부면을 밀고 나오면서 흘러내릴 수 있는 둥그런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는 공기유로(70a)와 연통되고, 내부인 하단면은 용기(20)내의 만수위에 도달하는 액체 수위에 의해 액체(2)가 용기내로 유입되는 힘을 충분히 뛰어넘는 부력이 발생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런 오목한 형상은 액체의 표면장력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표면 면적이 최대화되는 형상이지만, 액체와의 표면 접촉 면적을 높일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70c)는, 액체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함에 따라 상승하려는 부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이 형성된 중공체(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깔대기본체(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주입부(50)를 중심으로 싸이클론 형태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유도날개(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도날개(11)는 액체(2)가 주입부(50)로 신속하게 흘러들어가게 하면서 흘러들어가는 액체(2)의 줄기 가운데에 공기 구멍이 형성되게 하여 용기(20)내의 압축공기(4)가 원활하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깔대기본체(10)의 하부면에는 용기(20)내의 압축공기(4)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용기의 유입부(15)와 깔대기본체(30)의 하부면과의 공기 유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30a)가 구비된다.
반면, 돌출부(30a)가 아닌 깔대기본체(30)의 하부면은 함몰부(30b)가 형성되어 함몰부(30b)의 공간 사이로 압축공기(4)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30a)는 함몰부(30b)로, 함몰부(30b)는 돌출부(30a)로 서로 뒤바뀐 채로 대체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의 액체 주입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의 액체 주입 중단시의 작동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10)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체(2)를 깔대기본체(30)상에 유입시키면 액체(2)는 유도날개(11)를 따라 와류가 형성되면서 주입부(50)를 통과한 후, 개폐밸브(70c)를 밀어내고 용기(20)로 주입된다. 이때, 용기(20)내에 남아있는 압축공기(4)는 용기(20)의 유입부(15)와 돌출부(30a)에 의해 형성된 함몰부(30b)의 빈 공간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어 액체 유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액체개폐부본체(70d)의 공기유로(70a)를 따라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
이후, 액체(2)가 용기(20)내에 유입되면서 설정된 만수위에 도달하면 액체 표면이 개폐밸브(70c)에 상부 방향으로 부력을 작용시켜 주입부(50)의 주입구를 폐쇄시키게 되며, 사용자는 액체개폐부본체(70d)의 상단부가 올라온 것을 확인한 후, 액체 만수위에 도달할 것을 인지하여 액체 주입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액체의 유입을 중단할 시점을 편리하게 알 수가 있어, 액체의 유입을 중단하여 액체가 용기로부터 넘치지 않게 하고, 용기내의 압축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하여 액체가 외부로 튀지 않게 하며, 그 만큼 액체가 안정적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주입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기존 깔대기 2 : 액체
3, 30 : 깔대기본체 4 : 압축공기
5, 50 : 주입부 10 : 본 발명에 따른 깔대기
11 : 유도날개 15 : 유입부
20 : 용기 30a : 돌출부
30b : 함몰부 70 : 액체개폐부
70a : 공기유로 70b : 지지구
70c : 개폐밸브 70d : 액체개폐부본체

Claims (6)

  1. 하부에 주입부를 구비하고, 용기로 주입될 액체가 유입되는 깔대기본체; 및
    상기 주입부의 내부 공간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용기내의 액체 수위에 따라 상기 주입부를 자동 개폐하는 액체개폐부를 포함하는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개폐부는
    지지축 기능을 하는 액체개폐부본체;
    액체가 상기 주입부내의 공간을 따라 용기로 주입되도록 주입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기 액체개폐부본체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부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구; 및
    상기 액체개폐부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용기내의 액체 수위에 따른 부력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주입부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개폐부는
    상기 액체개폐부본체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기유로를 더 포함하는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내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는 중공체로 형성되는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주입부를 중심으로 싸이클론 형태로 형성되는 유도날개를 더 포함하는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본체의 하부면에는 용기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용기의 유입부와 깔대기본체의 하부면과의 공기 유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KR1020110030978A 2011-04-05 2011-04-05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KR20120113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78A KR20120113326A (ko) 2011-04-05 2011-04-05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78A KR20120113326A (ko) 2011-04-05 2011-04-05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326A true KR20120113326A (ko) 2012-10-15

Family

ID=4728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978A KR20120113326A (ko) 2011-04-05 2011-04-05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33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6309A (ko) 유체 탱크를 위한 주입 장치
KR101649976B1 (ko) 약품투입기용 부구장치
KR101728880B1 (ko) 분수용 개폐형 노즐 장치
CN107999152B (zh) 一种自适应双向防倒吸装置
KR101657694B1 (ko) 드립 챔버에 자동 정지 장치를 구비한 정맥주사 세트
KR100852524B1 (ko) 개구공이 하향된 공기관의 자동 폐쇄 장치
JP5740712B2 (ja) 洗浄タンク装置
KR20120113326A (ko) 원활한 액체 유입 및 액체 자동 차단이 가능한 깔대기
RU1168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лива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в резервуар
KR200446973Y1 (ko)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KR101618122B1 (ko)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KR100997402B1 (ko) 기름 분리용 용기
CN111372689A (zh) 粉末吐出容器
RU201212869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ачи жидкости под давлением
CN113167063B (zh) 自动马桶清洁装置
KR101064158B1 (ko) 내용물 쏟아짐 방지 병마개장치
KR200444898Y1 (ko) 공기관의 자동 폐쇄 장치의 개폐 구조
KR102245650B1 (ko) 화장품 용기
JP666213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2007170367A (ja) サイホン式ポンプ自動停止装置
KR101322697B1 (ko) 유체 누수방지용 기능성 마개
CN213168731U (zh) 一种流体灌装机
CN211933680U (zh) 一种具有防溢水功能的聪明座
JP3228357U (ja) 液体取り出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体入れ容器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