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321A -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321A
KR20120113321A KR1020110030965A KR20110030965A KR20120113321A KR 20120113321 A KR20120113321 A KR 20120113321A KR 1020110030965 A KR1020110030965 A KR 1020110030965A KR 20110030965 A KR20110030965 A KR 20110030965A KR 20120113321 A KR20120113321 A KR 20120113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uel
supply system
oil
emul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하
Original Assignee
무원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원엘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무원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321A/ko
Publication of KR20120113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22Adding fuel and water emulsion, water or steam
    • F02M25/0221Details of the water supply system, e.g. pumps or arrangement of valves
    • F02M25/0225Water atomisers or mixers, e.g. using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47/00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 F02B47/02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anti-knock agent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s of engines the substances being water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22Adding fuel and water emulsion, water or steam
    • F02M25/0221Details of the water supply system, e.g. pumps or arrangement of valves
    • F02M25/0222Water recovery o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22Adding fuel and water emulsion, water or steam
    • F02M25/0227Control aspects; Arrangement of sensors; Diagnostics; Actu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은, 연료오일저장탱크에서 직접 공급되는 연료오일공급시스템과 물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물공급시스템 및 유화제공급을 위한 유화제공급시스템을 갖추며 연료오일과 유화제 및 물을 기관의 연료공급라인에서 직접혼합하여 기관에 공급하는 물혼합공급시스템 입니다.
서비스탱크에서 공급된 연료오일에 유화제와 물을 고속으로 분사하여 충돌면에 충돌시켜 분산시키면서 동시에 초크유동과 스월유동을 통하여 완전혼합되고, 재순환된 유화연료도 다시 초크유동과 스월유동을 통하여 혼합된 후에 기관에 공급되는 간결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저비용화하면서, 동시에 혼합후 단시간에 엔진에 공급되고 재순환 에멀젼유도 다시 혼합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항상 최적의 에멀젼연료 상태를 유지하고 기관의 상태에 따라 물혼합량을 조절함으로써 기관의 효율향상과 배기저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Description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Emulsified Fuel Production and Supply System of Marine Engine Using Chocked and Swirl Flow}
본 발명은 유화유를 선박기관에 공급하기 위한 주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료오일과 유화제, 물 및 재순환 유화연료를 혼합하는 핵심부품인 에멀젼혼합기와 연료공급시스템, 유화제공급시스템, 물공급시스템, 유화유 재순환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연료오일이 공급되면 1차 충돌 및 초크유동을 생성하는 협소한 유로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곳에 유화제를 공급하여 연료오일과 유화제가 혼합되고 2차 충돌 및 초크유동을 생성하는 협소한 유로에 물을 공급하여 유화제가 혼합된 연료오일과 혼합된다. 이후 2차례의 좌우 선회유동에 의하여 완전한 혼합상태에 이르게 되며 여기에서 재순환 유화연료가 유입된다. 재순환유화연료는 다시 충돌 및 초크유동과 스월유동에 의하여 새로 제조된 유화유와 혼합된 후에 고압펌프에 의하여 가압되고 적절한 점도를 갖는 온도까지 가열된 후에 엔진에 공급되는 물혼합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유는 벙커유나 경유에 물을 혼합하여 연소기에 공급함으로써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질소산화물을 동시에 저감시키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특히 박용기관에서 다량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규제는 매우 강화되고 있다. 급기냉각, 배기재순환, 분사시기지연 등 엔진작동을 조절하는 기술과 배기후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규제에 대응하고 있지만 비용의 증가와 기술에 한계가 있다. 엔진작동의 조절은 모든 기술이 연소를 둔화시켜 연소실온도를 낮추는 기술이며 이러한 기술은 연소가 미흡하기 때문에 항상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를 동반한다. 현재의 디젤기관에서는 분사시기를 상사점 이후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연료소모를 크게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SCR과 같은 배기후처리의 경우는 장치의 가격도 높지만 유지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소의 효율을 향상하면서 연소실의 국부적인 온도를 저감하여 질소산화물을 저감할 수 있는 에멀젼에 관한 연구가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다. 물을 연료오일에 적절한 크기로 혼합하면 연료액적들의 내부에 작은 물 액적이 존재하는 에멀젼 액적의 형태(Water in oil)가 된다. 연료가 연소실내에 분사되면 에멀젼 액적들은 연소실내부의 높은 온도의 열을 전달받아 내부에 있는 물이 증발하게 되고 이때의 포화증기압이 물 액적을 둘러쌓고 있는 연료오일의 표면장력보다 크게 되면 일시적으로 폭발하면서 매우 작은 액적들로 미립화되며 순간적으로 증발하여 국부적인 예혼합화염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예혼합화염과 같은 완전연소에 이르게 되어 매연미립자의 배출이 사라지고 연소효율이 크게 향상되며 동시에 증발된 수증기에 의하여 국부적인 화염온도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고온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즉 연소효율의 향상과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이러한 장점을 얻기 위하여 많은 종류의 유화유제조장치가 도입되었는데, 종래의 유화유 제조기술은 공장에서 유화유를 제조하여 유화연료로써 공급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따라서 유화연료의 저장, 즉 오랫동안 혼합된 유화유가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 되었다.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 성질이 있어 혼합직후부터 급속히 분리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유수분리가 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시키기 위하여 각종 유화제와 초음파처리, 음이온처리 등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많은 공정이 요구되어 대형화되었으며 각종 처리단계가 추가되면서 고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생산된 유화유는 사용기간이 지나면 유수분리가 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박기관에 적용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문제가 해결되어야하는데, 연료저장탱크를 나온 연료를 청정화시키기 위하여 미세필터와 정화기(Purifier)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연료내에 포함된 물이 분리되어 제거되는 문제가 있으며, 기관에 공급되고 남은 연료가 재순환되는데 이때 고온저압의 상태에서 연료내의 물이 증발하여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기관작동이 불안해지면 에멀젼연료의 공급을 중단해야하는데 모든 연료가 물혼합상태이기 때문에 중단에 어려움이 있고, 기관이 저부하에서 낮은 온도로 운항될때에는 물혼합유화유가 좋지 못한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연료를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기관의 서비스탱크에서 필터를 지나 펌프로 공급된 연료오일에 유화제와 물을 공급하여 혼합한 후에 고압펌프로 엔진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초음파, 음이온 처리 및 많은 양의 유화제공급 등에 의한 대형 고비용의 문제 및 유수분리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관작동조건에 따라 물 공급을 차단하거나 물혼합량을 조절하여 효율향상과 배기저감을 가져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서비스탱크에서 공급된 연료오일에 유화제와 물을 고속으로 분사하여 충돌면에 충돌시켜 분산시키면서 동시에 초크유동과 스월유동을 통하여 완전혼합되고, 재순환된 유화연료도 다시 초크유동과 스월유동을 통하여 혼합된 후에 기관에 공급되는 간결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저비용화하면서, 동시에 혼합후 단시간에 엔진에 공급되고 재순환 에멀젼유도 다시 혼합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항상 최적의 에멀젼연료 상태를 유지하고 기관의 상태에 따라 물혼합량을 조절함으로써 기관의 효율향상과 배기저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용기관의 주 연료탱크인 서비스탱크에서 배출된 연료오일을 직접혼합방식에 의하여 에멀젼유를 생산하고 곧바로 기관에 공급함으로써 에멀젼연료에 혼합된 물 액적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여 연소특성을 최대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유화제를 최소화함으로써 유지비용을 줄이고, 충돌 및 초크유동과 스월유동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혼합장치를 최소화시켜 제작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엔진에서 분사하고 남은 재순환 연료를 혼합기에서 한번 더 혼합시킴으로써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화유를 공급하며 기관의 상태에 따라 물혼합량을 조절기 때문에 실린더내의 연소를 균일하게 하여 엔진의 변동성을 줄이는 효과와 물액적 증발에 의한 국부적인 온도 저감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저감 및 미세폭발에 의한 연소특성의 향상과 효율향상의 효가가 있다.
[도 1] 디젤기관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 개략도
[도 2] 유화유제조를 위한 믹서 단면도
[도 3] 에멀젼혼합기(1)의 종단면 유동벡터분포
[도 4] 에멀젼혼합기(1)의 횡단면 유동벡터분포(유화제분사및충돌부(17),물분사및충돌부(19),재순환연료분사및충돌부(23))
[도 5] 에멀젼혼합기(1)의 종단면 물혼합농도분포(물공급입구부)
[도 6] 에멀젼혼합기(1)의 종단면 물혼합농도분포(물공급입구와 직각방향)
[도 7] 에멀젼혼합기(1)의 횡단면 물혼합농도분포(연료오일입구,물공급입구,스월유동전,스월유동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핵심부품인 물과 연료오일을 혼합하는 에멀젼혼합기(1)가 있으며 혼합기에 연료오일을 공급하는 공급시스템과 유화제와 물을 공급하는 유화제 및 물공급시스템, 연료분사후 남은 연료의 재순환시스템, 재순환된 연료를 기 혼합된 연료와 한번더 혼합하는 시스템 및 물의 조절을 위한 유량제어시스템(MFC)으로 구성된다.
연료오일의 공급은 기존의 공급시스템과 같이 연료오일저장탱크(2)인 서비스탱크에서 필터(3)를 거쳐 청정화된 후에 연료공급펌프(4)로 에멀젼혼합기(1)에 공급되는데 이때 공급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료유량계(5)를 통과한다. 물의 공급은 물저장탱크(7)에서 필터(8)를 지나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물펌프(9)로 가압하여 공급되는데 물의 혼합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질량유량제어기(10)를 장치한다. 연료오일공급구(15)로 공급된 연료오일은 좁아지는 유로에 의하여 유동이 가속화되어 유화제분사및충돌부(17)에서 유화제공급구(16)로 공급된 유화제와 혼합된다. 유화제분사및충돌부(17)에서 충돌 및 초크유동발생을 최적화하기위하여 분사구와 충돌부의 거리를 계산에 의하여 최적화한다. 유화제와 혼합된 연료오일은 확대되는 유로에서 텀블유동의 교란에 의하여 혼합된 후에 물공급구(18)로 공급된 물과 2차 초크발생부인 물분사 및 충돌부(19)에서 충돌과 초크유동에 의하여 혼합된 후에 역시 텀블혼합유동에 의하여 다시 혼합되고 우선회유동부(20)와 좌선회유동부(21)에서 연속으로 혼합된다. 이렇게 제조된 혼합연료는 재순환연료공급구(22)로 공급되어 재순환연료분사 및 충돌부(23)에서 재순환연료와 혼합되고 최종적으로 우선회유동부(24)에서 다시 혼합된 후에 에멀젼연료배출구(25)로 배출된다. 배출된 혼합연료는 유화유공급펌프(12)로 가압된 후에 유화유가열히터(13)로 적정 점도를 갖는 온도까지 가열되어 기관(14)에 공급된다. 기관에 공급되고 남은 혼합연료는 재순환라인(11)을 지나서 에멀젼혼합기(1)로 순환된다. 그림3-7은 본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해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3은 에멀젼혼합기(1)의 종단면 유동벡터분포를 나타내는데 충돌유동과 초크유동이 발생하는 유화제분사 및 충돌부(17)와 물분사 및 충돌부(19), 재순환연료분사 및 충돌부(23)에서 매우 높은 속도의 백터가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보여준다. 이 후에 확대되는 유로에서는 상하로 선회하는 텀블유동을 나타내며 좌우 선회유동부에서는 선회유동을 나타낸다. 횡단면에서의 속도벡터분포를 나타내는 그림4의 경우도 역시 큰 속도의 확산되는 벡터분포를 나타낸다. 공급이 적은 유화제분사 및 충돌부(17)에서는 비교적 유동이 작지만 공급량이 많은 물분사 및 충돌부(19)에서는 매우 큰 유동확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5와 6은 에멀젼혼합기(1)의 종단면 물혼합농도분포를, 그림7은 횡단면에서의 물혼합농도분포를 나타낸다. 파란색은 연료오일의 농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며 빨간색은 물의 농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물이 공급되는 물분사 및 충돌부(19)에서는 물의 농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분사된 직후에 충돌면과의 사이에 물이 집중되고 바로 초크유동과 함께 아래쪽으로 선회하여 혼합되는데, 아직 중앙부위는 물과 혼합되지 않은 연료오일이 집중되고 있다. 1차 선회유동 전의 혼합되지 않은 연료오일은 1차 선회유동후에 거의 혼합되었으며 2차 3차 선회유동후에는 고루게 혼합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해석결과를 적용하여 설계제작된 최적의 에멀젼혼합기(1)를 핵심부품으로 하는 유화유제조 및 공급시스템에 의하여 연소에 적절한 에멀젼유를 제조하여 공급하도록 한다.
1: 에멀젼혼합기 2: 연료오일저장탱크 3: 연료필터 4: 연료공급펌프 5: 연료유량계
6: 유화제저장용기 7: 물저장탱크 8: 물필터 9: 물펌프 10: 질량유량제어기(MFC)
11: 재순환라인(Return line) 12: 유화유공급펌프 13: 유화유가열히터 14: 기관
15: 연료오일공급구 16: 유화제공급구 17: 유화제분사및충돌부
18: 물공급구 19: 물분사및충돌부 20: 우선회유동부 21: 좌선회유동부
22: 재순환연료공급구 23: 재순환연료분사및충돌부 24: 우선회유동부
25: 에멀젼연료배출구

Claims (3)

  1.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오일저장탱크에서 직접 공급되는 연료오일공급시스템과 물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물공급시스템 및 유화제공급을 위한 유화제공급시스템을 갖추며 연료오일과 유화제 및 물을 기관의 연료공급라인에서 직접혼합하여 기관에 공급하는 물혼합공급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오일에 유화제와 물을 충돌 및 초크유동과 좌우 선회유동을 통하여 완전하게 혼합시키는 에멀젼혼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기관에 연료를 분사하고 남은 재순환 연료를 혼합기의 3차 초크유동부에 공급하여 새로 제조된 에멀젼연료와 충돌 및 초크유동과 선회유동을 통하여 다시 혼합하는 시스템.
KR1020110030965A 2011-04-05 2011-04-05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 KR20120113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65A KR20120113321A (ko) 2011-04-05 2011-04-05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65A KR20120113321A (ko) 2011-04-05 2011-04-05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321A true KR20120113321A (ko) 2012-10-15

Family

ID=4728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965A KR20120113321A (ko) 2011-04-05 2011-04-05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33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5566A (zh) * 2015-01-16 2015-06-03 曾小强 一种乳化柴油混合供给装置及方法
WO2017214082A1 (en) * 2016-06-09 2017-12-14 Micro Motion, Inc. Fuel consumption calculation of a fuel and water mix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5566A (zh) * 2015-01-16 2015-06-03 曾小强 一种乳化柴油混合供给装置及方法
CN104675566B (zh) * 2015-01-16 2017-01-11 曾小强 一种乳化柴油混合供给装置及方法
WO2017214082A1 (en) * 2016-06-09 2017-12-14 Micro Motion, Inc. Fuel consumption calculation of a fuel and water mix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701B2 (en) Bio-diesel fuel engine system and bio-diesel fuel engine operating method
CN101773796B (zh) 一种柴油、甲醇和水三组元乳化液乳化方法
KR20100034008A (ko) 물 에멀션 제조장치
RU2012148173A (ru) Встроенное в линию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эмульсии воды в топливе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JP5124145B2 (ja) 微細流体混入液体燃料の製造装置
JP2013511656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乳化油生成促進システム及び方法
MX2012014714A (es) Inyeccion secundaria de agua para sistemas de combustion por difusion.
CN101333993A (zh) 带扰动区的内燃机交叉喷孔式喷油嘴
US10975822B2 (en) Nozzle head and fluid injection valve
KR20120113321A (ko) 초크유동 및 스월유동을 이용한 선박기관의 유화유 제조 및 공급시스템
RU2669628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эмульс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указанной эмульсии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20140345570A1 (en) Method of fuel activation and system to deliver it to a diesel engine
KR101864517B1 (ko) 물 혼합 연료 생성 장치
KR20140062245A (ko) 고압분사를 이용한 유화연료 제조장치
US9540571B2 (en) In-line system for de-salting diesel oil supplied to gas turbine engines
JPS6033992B2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燃料供給方法及び装置
RU26998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воды в газодизельный двигатель
KR20130027618A (ko) 오일버너의 순간혼합 유화유 제조 및 공급장치
JP2012057927A (ja) 液体燃料と水との混合燃料の燃焼方法及び混合燃料の噴射装置
TWI685378B (zh) 乳化重油設備
RU1789973C (ru) Система дозировани и смешени жидких компонентов
NO782536L (no) Fremgangsmaate ved forbrenning av brensel i brenneren for en gassturbinmotor, og gassturbinmotor for utfoerelse av fremgangsmaaten
KR101389978B1 (ko) 유화연료 제조장치
JP4130144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CN104449915A (zh) 一种乳化液乳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