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091A -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091A
KR20120113091A KR1020110030811A KR20110030811A KR20120113091A KR 20120113091 A KR20120113091 A KR 20120113091A KR 1020110030811 A KR1020110030811 A KR 1020110030811A KR 20110030811 A KR20110030811 A KR 20110030811A KR 20120113091 A KR20120113091 A KR 20120113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oling
chamber
heat treatmen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762B1 (ko
Inventor
정미옥
Original Assignee
정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옥 filed Critical 정미옥
Priority to KR102011003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76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2Rolls; Rol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8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for charging, discharging or manipulation of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2Heat-treating apparatus with a cooling or quenching 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관기(2)에서 성형된 파이프(P)의 열처리 시 생산성을 높이고, 열처리 후 고광택의 표면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1)는 선후단에 각각 파이프(P)를 인입 및 인출시키도록 인입롤러(4)와 인출롤러(5)가 설치되어 조관기(2)와 사이징머신(3) 사이에 연계되도록 구성되고, 기체(6)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7) 상부에 전방에서부터 가열챔버(11) 내부에서 파이프(P)를 고주파가열토록 구성된 가열부(10)와, 파이프(P)를 보온하면서 서서히 냉각시키도록 수개의 서랭챔버(21)로 구성된 보온서랭부(20)와, 파이프(P)가 관통되는 내부통로(32)와 냉각수가 순환되는 외부통로(33)로 이루어진 냉각이중관(31)에 의해 파이프(P)를 간접적으로 냉각토록 구성된 공랭부(30)와, 수개의 급랭챔버(41)에 방사상으로 각각 설치된 카본냉각체(42)에 의해서 파이프(P)를 급속히 냉각토록 구성된 급랭부(40)가 각각 연통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서랭챔버(21)와 냉각이중관(31)에 수소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공급노즐(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열처리 시 파이프(P)의 산화, 탈탄을 방지하여 고광택의 표면을 제공하면서 내부 조직이 고르고 응력집중을 감소시키며, 산세과정을 없애서 작업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이며, 제반비용의 절감 및 친환경적인 열처리를 제공하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heat treatment device for stainless pipe}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파이프의 조관기와 연계되도록 설치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파이프의 열처리 후에도 고광택의 표면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조관기를 거쳐서 제조되는 스테인리스 계열의 파이프는 조관기를 거쳐서 성형된 후 조관기와 별도로 제작된 열처리장치에서 일명 소둔(燒鈍) 또는 어닐링(annealing)이라고 하는 풀림열처리를 행하게 되는바, 상기 열처리단계에서는 조관기에서 성형된 파이프 내부 조직을 고르게 하며, 응력을 제거하지만, 이러한 열처리 시 파이프의 산화, 탈탄이 이루어지면서 표면이 검게 변하게 되므로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이렇게 열처리에 의한 파이프의 산화, 탈탄으로 파이프 표면이 검게 변형되면 산(acid)으로 세척을 행하는 산세(pickling)를 통해서 표면에 광택이 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산세를 포함하는 종래 파이프의 열처리장치는 조관기와는 별도로 설비되어 있어서 조관기에서 성형이 이루어진 파이프를 적치 및 이송시켜서 열처리장치로 옮긴 다음, 열처리를 행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설비 전체의 설치장소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설비부지의 구매비와 설비비 및 장치구매비 등의 제반비용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산세의 과정에서 강한 산을 사용하므로 각종 보호구를 착용하여 작업을 행해야 할 정도로 작업안전상에 상당한 문제가 있음은 물론이고, 강한 산에 의해서 표면 광택과 더불어서 스테인리스 계열의 파이프 자체에 부식도 동시에 일어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산세용 부식억제제 등을 추가로 첨가하여 산세를 행하므로 상기한 산세처리 자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상기 산세처리 및 이후 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강한 산성을 띠므로 전량 회수될 수 있도록 폐기물회수장치를 더 구비해야 하였으며, 회수된 폐기물은 폐기처리장으로 보내 많은 비용과 시간 및 노력을 들여 정수하게 되는 등 산세에 따른 폐기물처리 등의 후처리비용과 환경오염 및 국력낭비 등 다수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를 스테인리스파이프의 조관기와 연계되도록 설치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조관기에서 성형된 파이프를 어닐링(annealing:소둔(燒鈍)) 후 산세(pickling)가 없이도 고광택의 표면을 가지며, 내부 조직이 고르게 되면서 응력이 제거도록 하여 제반비용의 절감과 함께 친환경적인 열처리가 가능토록 한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는 조관기의 후단에서 사이징머신과의 사이에 연계되도록 조관기에서 성형된 파이프를 인입토록 구성된 인입롤러와 열처리된 파이프를 사이징머신으로 인출토록 구성된 인출롤러를 선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하고, 기체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전방에서부터 가열부(加熱部), 보온서랭부(保溫徐冷部), 공랭부(空冷部), 급랭부(急冷部)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가열부는 가열챔버에 고주파가열기에 의해 파이프를 히팅코일로 가열토록 구성하며, 상기 보온서랭부 및 공랭부는 가열챔버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 중의 산소가 파이프와 접하지 않도록 수소가스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서랭챔버 및 냉각이중관을 각각 구비하여 연통되게 연결 구성하며, 상기 서랭챔버는 열선이 설치되어 파이프 진행에 따라 온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3단 구성으로 연통되게 연결 구성하며, 상기 공랭부의 냉각이중관은 내부통로와 외부통로가 형성되도록 얇은 이중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부통로는 서랭챔버와 연통되어 파이프가 이송되면서 외부에서 수소가스가 공급되며, 외부통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에 의해서 내부통로의 수소가스를 냉각시켜서 파이프가 간접적으로 냉각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급랭부는 냉각이중관과 연통되어 수소가스와 파이프가 내입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므로 파이프에 산소가 접하지 않도록 형성된 수개의 급랭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급랭챔버 내부에는 냉매가 순환되도록 이루어진 카본냉각체를 설치하여 파이프가 카본냉각체 사이로 관통되면서 급속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파이프의 열처리장치는 인입롤러와 인출롤러에 의해서 조관기와 연계되도록 설치하여 열처리장치를 조관기와 별도로 구비하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적치, 운반조작을 생략토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조관기에서 성형된 스테인리스파이프를 가열부에서 1차 가열하고, 보온서랭부에서 보온하면서 단계별로 서서히 식힌 후 공랭부에서 냉각수에 의한 수소가스의 냉각을 통하여 파이프를 간접적으로 냉각한 다음, 급랭부에서 카본에 의해서 급격하게 냉각시키되, 열처리장치 전체의 가열부와 보온서랭부와 공랭부 및 급랭부에 각각 서랭챔버와 냉각이중관으로 유입된 수소가스를 주입하여 스테인리스파이프의 열처리 시 산소가 없는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함으로써, 열처리 시 스테인리스파이프의 산화, 탈탄을 방지하여 파이프의 외부가 검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종래 소둔 후 산에 의한 세척단계인 산세과정 없이도 고광택의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가열부에서의 고주파 가열 후 보온서랭, 공랭, 급랭을 순차적으로 행하므로 파이프의 내부 조직이 고르게 되면서 응력집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산세과정을 없애므로 산의 취급주의가 필요 없으므로 작업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이며, 산의 후처리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제반비용의 절감 및 친환경적인 열처리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토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가열부를 발췌한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급랭부의 급랭챔버 하나를 발췌한 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급랭부의 급랭챔버 하나를 발췌한 확대 측단면도
상기한 도면들과 더불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1)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1)는 선단에 조관기(2)에서 성형된 파이프(P)를 열처리장치(1)로 안내토록 인입롤러(4)를 구비하고, 후단에 열처리장치(1)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진 파이프(P)를 사이징머신(3)으로 공급 안내하기 위한 인출롤러(5)를 구비하여 조관기(2)와 사이징머신(3) 사이에 연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인입롤러(4)와 인출롤러(5) 사이 하부에 열처리장치(1)를 지지토록 기체(6)를 설치하고, 상기 기체(6)의 상부에는 파이프(P)의 진행방향인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가열부(10), 보온서랭부(20), 공랭부(30), 급랭부(40)가 각각 연결 설치된 베이스프레임(7)을 설치하며,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7)은 조관기(2)에서 인출되는 파이프(P)를 정확한 위치로 인입할 수 있게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 가능토록 전후로 연동되는 승강수단(8)을 베이스프레임(7)과 기체(6)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7)의 상부 전방의 가열부(10)는 인입롤러(4)로부터 공급되는 조관기(2)에서 성형된 파이프(P)를 고온(1200℃ 정도)으로 1차 가열토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고주파가열기(12)가 설치되며, 파이프(P)의 고주파 가열 시 보온서랭부(20)로부터 수소가스만 유입되고 외부 공기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산소가 없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내부가 밀폐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고주파가열기(12)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되어 내부로 파이프(P)가 관통될 시 고주파가열되도록 히팅코일(13)이 설치된 밀폐형 가열챔버(11)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부(10)의 후방으로 연결 설치된 보온서랭부(20)는 3개의 밀폐된 서랭챔버(21)를 상호 연통되게 연결 설치한 것으로 가열챔버(11)와 연결되는 제1서랭챔버(21)는 개략 1000℃의 온도로 보온이 되도록 열선(22)이 설치되며, 제1서랭챔버(21)와 연결 설치된 제2서랭챔버(21)는 개략 800℃의 온도로 다운되어 보온이 되도록 열선(22)이 설치되며, 제2서랭챔버(21)와 연결 설치된 제3서랭챔버(21)는 고주파 가열된 파이프(P)가 700℃ 이하의 온도로 냉각되도록 열선(22)이 설치되어 파이프(P)가 제1서랭챔버(21)에서 제3서랭챔버(21)에 이르면서 서서히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서랭챔버(21), 제2서랭챔버(21), 제3서랭챔버(21)에는 수소가스가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가스공급노즐(50)이 각각 설치되어 가스공급노즐(50)로 주입된 수소가스가 가열챔버(11) 내부로도 유입되게 구성된다.
상기 보온서랭부(20)의 후방으로 연결 설치된 공랭부(30)는 내외 이중의 얇은 관체로 이루어진 냉각이중관(31)이 구비되며, 상기 냉각이중관(31)의 내부통로(32)는 서랭챔버(21)의 제3서랭챔버(21)와 연통되어 파이프(P)가 관통 이송되며, 서랭챔버(21)와 같이 내부로 수소가스가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가스공급노즐(50)이 설치된 구성이며, 냉각이중관(31)의 외부통로(33)는 내부통로(32)에 주입되는 수소가스를 냉각시켜서 냉각된 수소가스에 의해서 파이프(P)를 간접적으로 냉각토록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4) 및 내부통로(32)의 수소가스 냉각 후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관(35)이 연통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랭챔버(21)의 수는 도면에서 3개로 작도되었으나, 설치환경에 따라 2 내지 4개 등 필요에 따라 줄이거나 늘일 수도 있으며, 상기 보온서랭부(20)의 서랭챔버(21) 및 공랭부(30)의 냉각이중관(31)에 각각 설치된 가스공급노즐(50)로 주입되는 수소가스는 상기한 가열부(10), 보온서랭부(20), 공랭부(30)의 각 챔버 및 관체 내부로 외부의 산소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되는 것이며, 열처리장치(1)를 처음 가동할 시 수소가스만 먼저 주입하게 되면 폭발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아르곤가스를 수고가스와 혼합하여 주입하도록 하여 수소가스를 안정화시킨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난 후 수소가스만을 주입하면 되며, 상기한 아르곤가스는 수소가스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공랭부(30)의 후방으로 연결 설치된 급랭부(40)는 상기 공랭부(30)의 냉각이중관(31)과 연통되게 연결 설치하여 가열부(10), 보온서랭부(20), 공랭부(30) 내부의 수소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므로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여 산소가 파이프(P)와 접하지 않도록 한 수개의 급랭챔버(41)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급랭챔버(41)는 도 4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어 순환되도록 이루어지는 냉각순환관(43)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순환관(43)의 내측 단부에 전후로 급랭챔버(41)의 중심으로 향하는 카본(44)이 설치된 카본냉각체(42)가 방사상으로 수개 설치되며, 상기 카본냉각체(42)는 파이프(P)의 직경에 따라 급랭챔버(41)의 내부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 가능토록 나사 결합되게 구성하며, 내측 단부에 설치된 카본(44)이 파이프(P)에 밀착되게 급랭챔버(41)에 스프링(45)으로 탄력 지지되게 구성되며, 파이프(P)가 상기 수개의 카본냉각체(42) 사이로 관통 시 수소가스에 의해 산소가 없는 분위기에서 냉각수에 의해 차가워진 카본(44)에 접하여 이송되면서 보다 급속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1)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열처리장치(1)를 선(先) 가동시켜서 가열부(10)의 고주파가열기(12)를 작동시켜 내부의 히팅코일(13)을 예열시키면서 보온서랭부(20)의 각 서랭챔버(21)에 설치된 열선(22)에 전기를 공급하여 가온시키며, 수개 서랭챔버(21)와 냉각이중관(3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가스공급노즐(50)을 통하여 수소가스를 주입하되, 초반에는 상기 수소가스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아르곤가스를 혼합하여 주입하여 가열챔버(11), 서랭챔버(21), 냉각이중관(31)의 내부통로(32), 급랭챔버(41)의 내부에서 수소가스의 안정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100%의 수소가스만 지속적으로 주입하며, 이와 동시에 공랭부(30)의 냉각이중관(31)의 외부통로(33)에 유입관(34)을 통해서 냉각수를 유입시켜서 배출관(35)으로 배출되도록 냉각수를 순환시키며, 급냉부의 급랭챔버(41)에 설치된 카본냉각체(42)의 냉각순환관(43)으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조관기(2)에서 공급되는 파이프(P)의 높낮이에 따라서 기체(6) 상부의 승강수단(8)으로 베이스프레임(7)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더불어 파이프(P)의 직경에 맞추어서 급랭챔버(41)에 설치되는 카본냉각체(42)의 내부로 돌출되는 정도 나사 조절함과 더불어 카본냉각체(42)의 냉각순환관(43)의 단부 전후로 장착되는 카본(44)의 크기를 조절하여 파이프(P)의 외측에 카본(44)이 밀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사전 설정이 이루어지고 난 후, 조관기(2)에서 성형된 스테인리스파이프(P)를 인입롤러(4)를 통하여 열처리장치(1)의 기체(6)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7)의 전방에 위치한 가열부(10)의 가열챔버(11) 내부로 인입시키면서, 파이프(P)가 가열챔버(11)의 내부에서 수소가스에 의해 산소가 없는 분위기에서 고주파가열기(12)에 의한 히팅코일(13)에 의해서 1200℃까지 가열되고, 이후 파이프(P)가 후방으로 진행되면서 가열챔버(11)와 연통되게 설치된 보온서랭부(20)의 제1서랭챔버(21)에서는 1000℃ 정도로 보온되며, 제1서랭챔버(21)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2서랭챔버(21)에서는 800℃ 정도로 보온되며, 제2서랭챔버(21)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3서랭챔버(21)에서는 700℃ 정도로 보온되어 전체 보온서랭부(20)의 각 서랭챔버(21)를 거치면서 서랭챔버(21) 내부의 수소가스에 의해서 산소가 없는 분위기에서 서랭침버에 설치된 열선(22)에 의해서 보온되면서 서서히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후 보온서랭부(20)를 통과하면서 서서히 냉각되는 파이프(P)가 서랭챔버(21)의 후방으로 연통되게 설치된 공랭부(30)의 냉각이중관(31) 내부통로(32)를 관통 시 냉각이중관(31)의 외부통로(33)에 순환되는 냉각수가 내부통로(32)에 유입된 수소가스를 냉각시키면서 차가워진 수소가스가 파이프(P)를 냉각토록 하여 냉각수에 의한 간접 냉각을 하게 되며, 공랭부(30)에서 냉각된 파이프(P)는 급랭부(40)의 급랭챔버(41) 수개를 관통하면서 급격하게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급랭챔버(41)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카본냉각체(42)의 냉각순환관(43)으로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서 급격하게 차가워진 카본(44)이 파이프(P)와 접하므로 급램챔버의 내부에 찬 수소가스에 의해 산소가 없는 분위기에서 차가운 카본(44)과 접하는 파이프(P)는 급속하게 냉각될 수밖에 없으며, 상기 급랭부(40)에서 급격히 냉각된 파이프(P)는 후단의 인출롤러(5)를 통해서 사이징머신(3)으로 공급되어 진원도를 맞추게 된다.
상기한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1)의 작용에 의하면 조관기(2)에서 성형된 스테인리스파이프(P)가 열처리장치(1)의 가열부(10), 보온서랭부(20), 공랭부(30), 급랭부(40)를 거치면서 열처리 시 수소가스에 의해서 산소와 접하지 않으므로 산화 및 탈탄으로 인하여 표면이 검게 변하지 않고 고광택의 표면을 가지면서 내부 조직이 고르고 응력이 제거되며, 이로 인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산세과정과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안전성의 향상과 제반비용의 절감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조관기(2)와 사이징머신(3) 사이에 연계되게 설치되어 생산성의 향상과 적치나 이송 등의 설비를 줄여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를 쉽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1:열처리장치 2:조관기
3:사이징머신 4:인입롤러
5:인출롤러 6:기체
7:베이스프레임 8:승강수단
10:가열부 11:가열챔버
12:고주파가열기 13:히팅코일
20:보온서랭부 21:서랭챔버
22:열선 30:공랭부
31:냉각이중관 32:내부통로
33:외부통로 34:유입관
35:배출관 40:급랭부
41:급랭챔버 42:카본냉각체
43:냉각순환관 44:카본
45:스프링 50:가스공급노즐
P:(스테인리스)파이프

Claims (2)

  1. 선단에 조관기(2)에서 성형된 파이프(P)를 인입 안내토록 설치된 인입롤러(4)와,
    후단에 사이징머신(3)으로 열처리된 파이프(P)를 인출 안내토록 설치된 인출롤러(5)와.
    상기 인입롤러(4)와 인출롤러(5) 사이의 기체(6) 상부에 파이프(P)의 진행방향인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가열부(10), 보온서랭부(20), 공랭부(30), 급랭부(40)가 각각 연통되게 연결 설치된 베이스프레임(7)과,
    상기 인입롤러(4)로부터 공급되는 파이프(P)를 고온으로 가열토록 고주파가열기(12)와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되어 내부로 관통되는 파이프(P)를 고주파가열하는 히팅코일(13)이 내부에 설치된 밀폐형 가열챔버(11)가 구비된 가열부(10)와,
    상기 가열챔버(11)와 연통되는 수개의 서랭챔버(21)가 상호 연통되게 설치되며, 각 서랭챔버(21)에 파이프(P) 진행방향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자체 온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열선(22)이 설치된 보온서랭부(20)와,
    상기 서랭챔버(21)와 연통되어 파이프(P)가 관통되게 설치된 내부통로(32)와, 내부통로(32) 내부의 수소가스를 냉각시켜 파이프(P)를 간접적으로 냉각토록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순환되는 외부통로(33)로 이루어진 내외 이중의 얇은 관체 구성의 냉각이중관(31)이 구비된 공랭부(30)와,
    상기 냉각이중관(31)과 연통되는 수개의 급랭챔버(41)가 상호 연통되게 설치되며, 각 냉각챔버(41)에 내측 단부 전후로 카본(44)이 설치되며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순환관(43)으로 구성된 카본냉각체(42)가 방사상으로 수개가 설치되며, 각 카본냉각체(42)는 내측의 카본(44)이 파이프(P)에 밀착되도록 파이프(P)의 직경에 따라 돌출 정도를 조절 가능토록 급랭챔버(41)에 나사 결합되며 스프링(45)으로 급랭챔버(41)에 탄력 지지되게 구성된 급랭부(40)와,
    상기 각 서랭챔버(21)와 냉각이중관(31)의 내부통로(32) 일측에 내부로 관통되는 파이프(P)가 외부 산소와 접하지 않게 수소가스를 주입토록 설치된 가스공급노즐(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6)와 베이스프레임(7) 사이에 조관기(2)에서 인출되는 파이프(P)를 정확한 위치로 인입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7)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 가능토록 전후로 연동되게 설치된 승강수단(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KR1020110030811A 2011-04-04 2011-04-04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KR101254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811A KR101254762B1 (ko) 2011-04-04 2011-04-04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811A KR101254762B1 (ko) 2011-04-04 2011-04-04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091A true KR20120113091A (ko) 2012-10-12
KR101254762B1 KR101254762B1 (ko) 2013-04-19

Family

ID=4728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811A KR101254762B1 (ko) 2011-04-04 2011-04-04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7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88A (ko) * 2016-11-30 2018-06-11 주식회사 티엠시 콘크리트 펌핑 트럭용 압송 파이프의 열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CN112501421A (zh) * 2020-11-30 2021-03-16 苏州中门子工业炉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钢球锻造余热进行耐磨钢球热处理工艺
CN112662862A (zh) * 2020-12-23 2021-04-16 上海天阳钢管有限公司 一种双金属复合管热处理装置及热处理工艺方法
CN114836603A (zh) * 2022-04-12 2022-08-02 江苏常宝普莱森钢管有限公司 一种光亮热处理炉表面质量调整工艺
CN115044767A (zh) * 2022-07-04 2022-09-13 山东宏旺实业有限公司 用于不锈钢带加工的退火炉结构及退火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416B1 (ko) 2018-10-04 2019-03-14 (주)신광 스테인리스강 자동 산처리 장치
KR102173249B1 (ko) 2020-04-29 2020-11-03 박동석 벤딩 파이프용 열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920Y2 (ja) 1989-06-14 1995-08-09 日本鋼管株式会社 連続熱処理装置
JP4114843B2 (ja) 2000-05-01 2008-07-09 高周波熱錬株式会社 熱処理装置及び熱処理方法並びにパイプ製造装置
KR100364848B1 (ko) * 2002-07-20 2002-12-16 유병섭 선재용 열처리 시스템의 피딩장치
KR100407754B1 (ko) * 2003-02-13 2003-12-01 유병섭 선재용 열처리시스템의 냉각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88A (ko) * 2016-11-30 2018-06-11 주식회사 티엠시 콘크리트 펌핑 트럭용 압송 파이프의 열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CN112501421A (zh) * 2020-11-30 2021-03-16 苏州中门子工业炉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钢球锻造余热进行耐磨钢球热处理工艺
CN112662862A (zh) * 2020-12-23 2021-04-16 上海天阳钢管有限公司 一种双金属复合管热处理装置及热处理工艺方法
CN112662862B (zh) * 2020-12-23 2024-05-28 上海天阳钢管有限公司 一种双金属复合管热处理装置及热处理工艺方法
CN114836603A (zh) * 2022-04-12 2022-08-02 江苏常宝普莱森钢管有限公司 一种光亮热处理炉表面质量调整工艺
CN115044767A (zh) * 2022-07-04 2022-09-13 山东宏旺实业有限公司 用于不锈钢带加工的退火炉结构及退火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762B1 (ko) 201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762B1 (ko) 스테인리스파이프용 열처리장치
US7745765B2 (en) Thermal and high magnetic field treatment of materials and associated apparatus
KR100749314B1 (ko) 링기어용 고주파 열처리 장치
US8152935B2 (en) Vacuum carburization method and vacuum carburization apparatus
CN103397170B (zh) 管、线材用气氛保护高频感应加热连续退火方法及装置
CN205673386U (zh) 一种改进收线装置的铜拉丝机
CN103103333A (zh) 销轴中频调质热处理工艺及其专用设备
JP2009515045A6 (ja) 炭素鋼、特に帯鋼にベイナイト組織を連続的に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400302B2 (en) Annealing furnace and method for annealing a steel strand
CN104692637B (zh) 一种玻璃钢化生产线用淬冷装置
CN205763002U (zh) 一种双张紧装置的拉丝退火机
CN104963225B (zh) 多根钢丝感应加热水冷却生产线
CN107653373A (zh) 一种电机轴淬火装置
EP2942407B1 (en) Method for adjusting in-furnace atmosphere of continuous heat-treating furnace
JP3925149B2 (ja) 厚鋼板の連続加熱処理装置。
CN108550656B (zh) 一种电注入均衡退火装置
CN115522044A (zh) 一种殷钢线热处理设备和方法
CN102433426B (zh) 钢带马氏体二步淬火系统
CN114164321A (zh) 一种高频淬火系统及工艺
CN211360112U (zh) 一种碳素钢丝再拉拔生产线
CN111029038B (zh) 一种合金地线生产工艺
KR101917441B1 (ko) 압연설비
CN107586925A (zh) 一种消除发动机气门残余应力的感应线圈、设备及方法
CN205763003U (zh) 一种带有新型牵引装置的拉丝机
KR20100015110A (ko) 광휘소둔로 아울렛덕트의 스트립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7